라나지트 쿤와르
Ranajit Kunwar라나지트 쿤와르 | |
---|---|
श्री काजी रणजीत कुँवर | |
개인내역 | |
태어난 | 기원로1753번길 |
죽은 | C.1815 C.E. 네팔 왕국 강라(현재의 인도 히마찰프라데시 강라) |
아이들. | 발 나르싱 쿤와르 발라람 쿤와르 레완타 쿤와르 |
상위 항목 |
|
친척들. | 쿤와르 가족을 만나다 |
병역 | |
얼리전스 | ![]() |
전투/와이어 | 서부 네팔 통일 운동 (주믈라 전투; 하드부다 전투) |
라나지트 쿤와르(네팔리: रणजतत त)रर) 또는 라나지트 칸와르는 네팔의 총독이자 네팔 왕국의 군무원이었다. 그는 쿤와르 가문의 라마크리슈나 쿤와르의 아들이었다. 푸탄 주믈라 총독과 가르왈 지방의 스나가르에서 아마르 싱 타파 휘하의 부주석 행정관을 지냈다. 그는 주지사로서 주믈라의 반란을 진압했다. 그는 카드부다 전투에서 가르활의 프라디움나 샤를 죽였다. 그는 장바하두르 쿤와르 라나지의 할아버지였으며 후에 카스키&람중의 마하라자와 네팔 총리가 되었다.
초년기
그는 서기 1753년 고르칼리 사르다 라마크리슈나 쿤와르에서[1] 태어났다. 그는 찬드라비르 쿤워의 사촌으로 발하드라 쿤워를 낳았다.[2]
경력
1786년 11월 피우탄 통합 이후 라마크리슈나 쿤워는 피우탄에 탄약 공장을 열었다. 그는 그곳에서 사망했고 그의 아들 라나지트 쿤와르가 공장 운영을 위해 계승했다.[3] 라나히트는 서기 1788년 중-네팔 전쟁 제1차 캠페인에 쿠티 축(1사단)의 초타리야 슈리 크리슈나 샤 휘하의 고르칼리군에 보강으로 참가했다. 그 후 그는 서기 1792년 케룽 축스에서 카지 아비만 싱 바스나트 휘하의 부사령관으로 활동하였다. 중-네팔 [4]전쟁
주믈라의 주민들은 고리칼리 통치자들에 의한 정복을 받아들이지 않았고 그들은 고리칼리 정부에 자주 반란을 일으켰다.[5] 그 후, 왕명은 주믈라 주민에게 카스트에 따른 벌로 반란을 일으키지 말라고 경고하였다.[5] 기원전 1850년(기원전 1793년 5월) 화요일에 발표된 왕명에 따르면, 1849년(기원전 1792년)에 전 통치자 소반 샤히가 이끄는 지역민들이 주믈라의 수바(도지사) 라나짓 칸와르에 반대하여 반란을 일으켰다고 한다. 그 당시 주민들은 결과적으로 그 사건의 노예가 되었다. 왕명은 1850년 화요일에 일어난 주믈라 반란의 모든 노예들을 석방한다.[6] 마찬가지로, 또 다른 사건에서도 수바 라나짓 쿤워는 1793년 주믈라의 반란의 결과로 주믈라의 주민들에게 무거운 벌금을 부과하였다.[5][note 1] 기르반 유다 비크람 샤 왕(Girvan Yudda Bikram Shah)이 Shrawan Sudi 2, 1859년 (1802년 7월)의 왕명으로 보아 라나짓 쿤와르가 1851년 Vikram Samvat (1794년)에 Jumla에서 재임하였음을 알 수 있다.[7] 마침내 랑지트 칸와르는 1851년 (1794년 4월) 바이사흐 바디 1호에서 주믈라의 서브바(도지사)로 조그 나라얀 말라(Jog Narayan Malla)로 대체되었다.[5]
1853년 (1796년 8월) 바드라 바디 11일의 왕실 명령은 수바 라나짓트를 피우탄의 요새 건설 책임자로 언급하고 있다.[8] 이스마 지방의 아말리달에게도 수바 라나지트 휘하의 피우탄 요새 건설에 필요한 준비를 지시하였다.[9] 그는 또 마디 강 위에 놓인 다리를 보수하고 쇼라지와 둔와코트에 검문소를 건설하라는 명령을 받았다.[note 2]
차이트라 수디 7년(1857년 4월)의 주믈라의 행정 문서에는 아말리(지방 행정관)가 단종한 가나카순다리 사원의 세입 배정을 복원하기 위해 시자의 알리다타 자이시(Alidatta Jaisi)에게 '서브바' 라나짓트의 행정명령이 나와 있다.[11] 마찬가지로, 차이트라 수디 7, 1857년 (1801년 4월)과 제사 바디 1,1858년 (1801년 5월)의 문서에는 서브바(도지사)로서 그의 세금 면제와 토지 할당 결정이 나타나 있다.[7] On Baisakh Sudi 10, 1861 V.S. (May 1804), the royal orders from King Girvan Yuddha Bikram Shah instructed Sardar Ranajit Kunwar along with Sardar Angad Khawas and Subedar Nirbhaya Simha Thapa to investigate the conflict between King Samundra Sen of Bajhang and King Mandhir Shah of Bajura and take over the areas by military means and deport the obs수도에 [12]무단 침입하다

가르활 왕국의 프라디움나 샤왕은 란트하우르의 구자르 사르다르 람다얄 싱 휘하에 람가드, 푼디르스, 구자르, 라즈푸츠 등 다양한 집단의 1만2000명을 집결시켜 전쟁에 대비했다. 반면 고르할리군은 아마르 싱 타파 총사령관과 그의 부하 지휘관 바크티비르 타파와 라나지트 쿤워가 지휘했다.[13] 전투는 기원전 1860년 1월 22일 카드부다에서 벌어졌다. 프라디움나 샤는 말을 타고 프리트비푸르의 미야 둘랄 싱과 대화를 나누고 있었는데 순간적으로 라나지트는 프라디움나 샤를 쏘아 죽였다.[13] 그의 슛은 가르활리 군인들이 도망치고 마침내 전쟁이 끝나면서 성공적이었다.[13] 바다 아마르 심하(Bada Amar Simha)는 가루왈의 3개 세입 부서 중 하나인 스나가르(Srinagar)의 과장에 라나짓트를 임명했다.[14] 라나지트 쿤워가 1867년 일요일 바드라 수디 11, V.S.에 Bhadra Sudi 11, Ranajit Kunwar가 Bhimsen Thapa에게 보낸 편지에는 네팔 왕국의 서부 지방에 대한 그의 관여가 명시되어 있다. 라나짓트는 판타야다의 바르하 타쿠라이 왕들의 적군과 판타야다의 고르할리 기업들의 전쟁 준비에 대해 빔센에게 보고한다.[15] 그는 시크 마하라자 란지트 싱의 테라이 지역 제출과 그에 따른 라하스 언덕의 고르칼리스에 대한 적대감을 추가로 보고한다.[15] 라나짓트는 또 아들 르완타 쿤워가 쿠마운 지역의 당시 군사 경영에서 있었던 경제 문제에 대해 썼다고 언급하고 있다.[16][note 3]
1870년 아샤드 수디 1호에서 빔센 타파 장군은 가옥 건설을 위해 상속받을 수 있는 비르타-비탈랍의 종신 재직권에 따라 라간톨에 30개의 로파니스와 5개의 연고를 부여받았다. 경계의 분열을 위해 동석한 바라다르(법정)들 중에는 카지 라나짓 쿤와르도 함께 있었다.[17] 카지로서 라나짓트는 기원전 1871년 바드라 바디 14일자 편지에 따라 피우탄의 우다야푸르의 차우타리아스 아타라마 파디야와 틸라카라마 파디야에게 훌락(우편) 기둥을 복구하고 아르탈라의 현수교를 수리하라는 행정명령을 내렸다.[18]
수당, 보조금 및 부담금
카지 라나지트 칸와르는 1866년 비크람 삼바트에서 쿠마운 지역에서 군 사령관으로 근무하면서 NRs 1000 수당을 받았다.[19] 그는 1862년 아스윈 바디 13에서 발행된 왕명에 의해 마나카말의 종신 재직에 대한 토지 보조금 200무리를 받았다.[20] 라나짓트는 1861년 비크람 삼바트(1804/05년 CE)에 네팔 정부 최고위급 바라다르(국가보유 장교)에 속했다. 따라서 그는 바나라스에서 4년(1800~1804CE) 동안 라나 바하두르 샤 전 국왕의 대출금을 상환하기 위해 특별 살라미 부담금으로 272.25번 NRs를 부과받았다.[21]
죽음
크리스토퍼 바이어스(Christopher Buyers)가 언급한 라나 족보에 따르면, 서기 1815년 강라에서 자바사르(Javesar)의 폭행으로 받은 상처로 인해 사망하였다.[citation needed] 고질러 대니얼 라이트는 라나짓트가 쿠마온의 자파베사르에서 폭격을 하던 중 강라의 정복으로 죽었다고 주장한다. 그는 벽에 걸린 대나무 사다리를 오르던 58세의 나이에 오른쪽 가슴에 총알을 맞았다.[22]
후손
쿠마르 프라단이 제작한 식탁에는 발 나르싱그 쿤와르, 발람, 르완트 등 라나짓트의 세 아들이 전시돼 있다.[23] 발 나싱 쿤워는 빔센 타파의 정치 보좌관이었다.[24] 그의 아들 정 바하두르 쿤워는 네팔의 총리가 되었다. 네팔 총리로 임명된 정 바하두르 쿤워는 발 나르싱흐 쿤워의 아들이자 라나지트 쿤워의 손자임을 확인시켜 준다.[25][26] 게다가 밤 바하두르 쿤워를 카지로 임명한 것도 발 나르싱흐 쿤워를 아버지로, 라나지트 쿤워를 할아버지로 언급하고 있다.[26] 정 바하두르 쿤와르는 메워의 라나스에서 하계를 선포한 후 1848년[27] 5월 15일 쿤와르 라나지(Kunwar Ranaji)라는 칭호를 채택하고 1856년 8월 6일 카스키와 람정의 마하라자(대왕)가 되었다.[28]
참조
각주
- ^ 1794년 4월 왕명을 Subba Ranajit Kunwar로 영어로 번역한 것은 다음과 같다.
주믈라의 주민들이 1793년에 반란을 일으켰기 때문에, 너는 그들에게 무거운 벌금을 부과하였다. 그들은 이런 처벌에 대해 불평하러 왔다. 과거에 어떤 일이 일어났든 간에, 매년 벌금을 징수하는 것은 그 영토의 감소를 가져왔다. 그 추세를 확인하기 위해, 우리는 이에 따라 그러한 벌금 체납액을 모두 송금한다. 서부로 귀속된 바르다는 12세 이상의 모든 반군을 죽이지 말고 다른 가족 구성원들을 노예로 만들어 땅을 경작하게 하라는 지시를 받았다. 이러한 지침을 위반하여 어떠한 조치도 취해서는 안 된다. 억울하게 빼앗은 노예와 말을 모두 복직시켜라. 그 영토는 인구밀도가 높고 즐길 수 있어야 한다. 규정을 어기면 벌을 받는다.[5] - ^ 영국 왕실 명령어 번역은 다음과 같다.
우리는 그곳에 요새를 건설한 자라의 노동을 감동시키라는 명령을 보냈다. 군대를 파견하여 자하라 노무자를 포위하고 요새(가디)와 체크포스트(타나)를 건설한다. 넓고 높여야 할 표탄 궁전의 북쪽 측면에 요새를 건설하십시오. 채석장에서 조달한 단단하고 내구성이 강한 돌을 사용하여 기초를 튼튼하게 한다. 석회 모르타르로 포트 내부에 탱크를 파서 충분한 물이 공급될 수 있도록 하십시오. 깊은 기초가 있는 팔레스타인을 세우고, 목장과 제방을 쌓아라. 적절한 탄약을 보관하는 것은 궁내에도 보관되어야 할 것이다. 정기적으로 수리하십시오. Shoraj와 Dunwakot에도 내구성이 좋은 체크 포스트를 건설하십시오. 우리는 마디 강의 포드(상후)가 손상되었다는 보고를 받았다. 그것을 수리해라. 포랴홀라 하류에도 튼튼한 포드(파투키아)를 건설한다. 이런 건설사업으로 현지인들로부터 자하라 노동을 감명받으면 코끼리 사냥에 투입할 수 있는 노동력이 없기 때문에, 우리는 다른 지역의 노동을 감동시키라는 명령을 보내왔다. 지역과 프로젝트에 따라 업무를 할당한다.
바드라 바디 11, 1853년
(1796년 8월)[10] - ^ 역사학자 Dinesh Raj Pant의 편지의 영문번역은 다음과 같다.
라나짓 쿤와르에서 카지 빔센 타파까지.
인사말 그곳도 모든 것이 잘 되어 있고, 나도 역시 그러길 바란다. 이곳의 소식은 좋다.
여기서 지배적인 상황에 대한 정보는 이전 후자에 제공되었다. 판타야다를 거쳐 간 적은 더 이상 진격하지 않았다. 우리 사르다르와 회사들은 그를 공격할 준비를 하고 있다.서방의 왕국들의 입장은 이전과 변함없다. 마데쉬 지역과 관련하여, 우리는 라나지트 싱이 점령했던 영토(파르가나)뿐만 아니라 요새를 비웠다는 보고를 받았는데, 이때 영국이 바갈 싱이 제출한 불평에 근거하여 그 효력을 요구하였다. 라나지트 싱은 지금 마르하타족, 시크족, 라하스 언덕의 연합전선을 조직하려고 하고 있는데 그렇지 않으면 영국이 최고 권위를 차지하게 될 것이라는 근거다. 라하스 언덕은 우리와 싸우고 싶어해 무슨 일이 있어도 보고할 것이다.
나는 소년들이 보낸 편지에서 르완타 쿤워가 고마운 마음으로 쿠마운에게 귀의하여 모든 것을 이루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우리는 폐하와 당신의 지원을 통해 모든 것을 이루었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왕명에 따라 행동하려고 했다. 다른 사람들을 기쁘게 하기 위해서가 아니다. 쿠마운에서 르완타는 음모의 희생양이 되고 있었고, 그것이 우리가 그의 이적을 청원한 이유였다. 우리는 왕실의 지시를 받은 대로 부다 카지(암바라 심하 타파)의 명령에 따라 행동하고 있다.
레완타는 "바라크 컴퍼니의 힘을 4개의 플라툰(패트)으로 늘리는 데 이야기하지 않기 위해 만들어진 기존 플라톤 2개도 에미레이션을 받지 못하고 있다"고 쓰고 있다. 왜냐하면… 그의 대대(팔탄)에서는 우리의 증액된 수당을 (쿠마운 수입에) 부과하라는 명령이 아직 내려지지 않았다. 가지는 이 지역에 토지를 배정하라는 명령을 받은 적이 없다고 분명히 밝혔다. 사르다르가 많기 때문에 우리가 보통 사람들처럼 군대에 남아 있는 것은 온당치 않다.
나는 네 앞에서 나의 문제를 대변했고, 네가 충고하는 것은 무엇이든지 할 것이다. 계속 조언해 주시길 바라며, 당신의 복지에 대해 알려주시길 바라며.
일요일, 바드라 수디 11 (1867) 캠프: 스가토르.[16]
메모들
- ^ 아차랴 1978, 페이지 145.
- ^ INAS 1996, 페이지 227.
- ^ 반다리 1986b, 페이지 68-69.
- ^ "History of the Nepalese Army". Nepalese Arm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7 June 2011.
- ^ a b c d e 레그미 1987b, 페이지 61.
- ^ 레그미 1987a, 페이지 9.
- ^ a b 레그미 1975, 223페이지.
- ^ Regmi 1983, 페이지 50–51.
- ^ 레그미 1986a, 페이지 25.
- ^ Regmi 1983, 페이지 51. 오류: 없음:
- ^ 레그미 1975, 222페이지.
- ^ Regmi 1974, 페이지 17–18.
- ^ a b c 다바랄 1987a, 페이지 38.
- ^ 다바랄 1987b, 페이지 120.
- ^ a b 1975년 판트 161쪽
- ^ a b 1975년 판트 161-162쪽
- ^ 레그미 1988c, 페이지 153.
- ^ 쿠섬 1979, 페이지 82.
- ^ 레그미 1971 페이지 145.
- ^ 레그미 1987c 178쪽
- ^ 레그미 1988a, 페이지 36–37.
- ^ 라이트 1877, 페이지 288.
- ^ 프라단 2012, 페이지 193.
- ^ 아차리아 2012, 페이지 67.
- ^ 아차리아 1971 페이지 25.
- ^ a b 레그미 1988b, 페이지 127.
- ^ 웰튼 1991, 페이지 253.
- ^ 웰튼 1991, 페이지 192.
책들
- Acharya, Baburam (January 1, 1971), "The Fall Of Bhimsen Thapa And The Rise Of Jung Bahadur Rana" (PDF), Regmi Research Series, 3 (1): 13–25
- Regmi, Mahesh Chandra (June 1, 1971), "Allowances Of Military Personal In Kumaun and Garhwal" (PDF), Regmi Research Series, 3 (6): 145–148
- Regmi, Mahesh Chandra (January 1, 1974), "Bajura Rajya" (PDF), Regmi Research Series, 6 (1): 17–20
- Pant, Dinesh Raj (September 1, 1975), "Ranajit Kunwar's Letters to Bhimsen Thapa" (PDF), Regmi Research Series, 7 (9): 161–163
- Regmi, Mahesh Chandra (December 1, 1975), "Miscellaneous Documents on the Bheri-Mahakali Region" (PDF), Regmi Research Series, 7 (12): 221–223
- Acharya, Baburam (October 1, 1978), "Jung Bahadur" (PDF), Regmi Research Series, 10 (10): 145
- Kusum, Govind (June 1, 1979) [1978], "Udayapur" (PDF), Regmi Research Series, 11 (6): 81–82
- Regmi, Mahesh Chandra (February 1986a), "Royal Orders of Bhadra 1853" (PDF), Regmi Research Series, 18 (2): 24–30
- Bhandari, Devi Prasad (May 1986b), "The Regency of Bahadur Shah" (PDF), Regmi Research Series, 18 (5): 65–71
- Regmi, Mahesh Chandra (January 1987a), "The Royal Family of Jumla" (PDF), Regmi Research Series, 19 (1): 8–9
- Dabaral, Shiva Prasad “Charan” (March 1987a), "The Rape of Garhwal" (PDF), Regmi Research Series, 19 (3): 37–40
- Regmi, Mahesh Chandra (May 1987b), "Rebellion in Jumla" (PDF), Regmi Research Series, 19 (5): 61–63
- Dabaral, Shiva Prasad “Charan” (July–August 1987b), "Gorkhali rule in Garhwal" (PDF), Regmi Research Series, 19 (7–8): 115–120
- Regmi, Mahesh Chandra (November–December 1987c), "Selected Documents of Aswin 1862" (PDF), Regmi Research Series, 19 (11–12): 175–180
- Regmi, Mahesh Chandra (March 1988a), "Ran Bahadur Shah's Expenses in Banaras" (PDF), Regmi Research Series, 20 (3): 31–37
- Regmi, Mahesh Chandra (September 1988b), "Jung Bahadur Kunwar" (PDF), Regmi Research Series, 20 (8): 127
- Regmi, Mahesh Chandra (November 1988c), "Miscellaneous Land Grants" (PDF), Regmi Research Series, 20 (11): 151–155
- Pradhan, Kumar L. (2012), Thapa Politics in Nepal: With Special Reference to Bhim Sen Thapa, 1806–1839, New Delhi: Concept Publishing Company, ISBN 9788180698132
- Acharya, Baburam (2012), Acharya, Shri Krishna (ed.), Janaral Bhimsen Thapa : Yinko Utthan Tatha Pattan (in Nepali), Kathmandu: Education Book House, p. 228, ISBN 9789937241748
- Whelpton, John (1991). Kings, soldiers, and priests: Nepalese politics and the rise of Jang Bahadur Rana, 1830-1857. Manohar Publications. ISBN 9788185425641.
- Institute of Nepal Asian Studies (INAS) (1996). Contributions to Nepalese studies. Vol. 23–24. Tribhuvan University.
- Wright, Daniel (1877), History of Nepal, Cambridge University Press
추가 읽기
- Regmi, Mahesh Chandra (March 1986c), "Royal Orders of Aswin 1853" (PDF), Regmi Research Series, 18 (3): 33–40
- Regmi, Mahesh Chandra (February 1987), "Supply of Elephants, A.D. 1796" (PDF), Regmi Research Series, 19 (2): 21–22
- Bolt, James Langstone (1967), Gurkhas, Weidenfeld & Nicols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