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약 스투파
Rawak Stupa![]() 남서벽 위에서 바라크 스투파. 2008년 11월. | |
위치 | ![]() |
---|---|
지역 | 신장 호탄 현 롭 현 |
좌표 | 37°20′46″N 80°09′49″E / 37.3460°N 80.1635°E좌표: 37°20′46″N 80°09′49″E / 37.3460°N 80.1635°E/ |
라약(중국어: 热瓦佛寺遗址)은 중국 신장(新江省)의 타클라마칸 사막 남쪽 가장자리에 위치한 불탑으로, 호탄 제1천년 왕국의 실크로드로 알려진 유명한 무역로를 따라 있다. 탑 주위에는 원래 많은 수의 거대한 조각상으로 장식된 다른 작은 건물들이 있다. 사원의 뜰에는 테라코타 완화제와 벽 페인팅이 들어 있는 벽이 둘러져 있었다. 탑과 다른 구조물들은 3차원 만다라를 형성한다.[1] 현장은 현재 중화인민공화국 신장 자치구의 현대 도시 호탄(중국어: 和田)에서 북쪽으로 약 40km 떨어져 있다.
유적 발굴
- 1901: 고고학자 아우렐 스타인은 1901년 4월 제1차 중앙아시아 원정 때 라왁을 처음 방문했다.[2] 그 곳에서 그는 '코탄 지역의 현존하는 유적들 중에서 내가 본 가장 인상적인 건축물'이라고 묘사한 거대한 부도를 발견했다. 부도의 일부와 거의 모든 부도는 25피트 정도까지 솟아 있는 모래언덕으로 덮여 있었다. 그는 모래가 벽과 구조물들을 덮어버린 곳들에서 모래 속에 놓여 있는 조각상들의 유색 석고 조각들을 발견했다.
그 후 8일 동안 그의 발굴은 91개의 큰 석불과 보살상을 발굴했고, 수행된 신들 사이에 작은 불상들이 있었다. 폐허를 가득 채운 모래도 보존 역할을 해 험한 바람으로부터 석굴들을 보호하고 스스로 무너졌을 곳을 지탱해 주었다. 따라서 스타인은 현장을 떠날 때 자신이 제거한 모래를 교체하여 '이 큰 조각상들의 경우 할 수 있는 일은 사진을 찍고 묘사한 후에 다시 모래 속에 안전하게 묻어두고, 보호 표지 아래 방해받지 않고 남아 있을 것이라고 믿는 것뿐이었다. 그 때까지는 여전히 멀었다.eems, Khotan이 그 지역 박물관을 가질 것이다.'[3] - 1906: 스타인은 1906년 9월에 두 번째 탐험을 다시 시작했다. 보물 찾는 사람들의 활동으로 인해 1906년 스타인의 두 번째 방문으로 대부분의 거대한 조각상들이 사라졌다: '대부분의 거대한 석고 조각상들이 줄지어 서 있는 것을 내가 발견했던 그 벽은 이제 맨 벽돌을 전시했다. 이것들을 모래 속에 묻어버리는 데 대한 나의 관심은, 내가 발견한 것처럼, 허무하게 증명되었고, 당시 발굴된 코탄 조각 미술의 흥미로운 표본에 대한 나의 모든 것은, 내가 두려워하는 것은, 내가 지금 살아 남은 사진들이다.'[4]
이번 방문에서 스타인은 한구야의 타티로 알려진 거대한 부도와 인근 유적지 사이에 있는 유적을 발굴했다. 여기서 그는 5~6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가는 많은 작은 테라코타 구호물들을 발견했다. - 1928: 에밀 트링클러 박사의 지휘를 받는 독일-스위스 원정(1928–29)도 1928년에 라왁을 방문했다.[5] 탐험대는 상당한 양의 과학적(지질학적, 기후적 등) 자료를 모았다. 이 외에도 그들은 6건의 고고학적 자료도 수집했는데, 이 자료들은 나중에 지방 정부에 의해 압수되었지만 나중에 독일로 반출될 수 있도록 허용되었다. 1930년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은 트링클러가 가져온 중앙아시아 소장품 중 일부를 라약(예: 헬레니즘적 특징이 있는 조각상 머리)에서 일부 소장품들을 획득했다. 나머지 소재는 현재 독일 브레멘(Bremen)에 있다.)[6]
- 1929년: 스벤 헤딘의 지도하에 중-스웨덴 원정대의 일원이었던 중국의 고고학자 황원비는 라와크를 잠깐 방문했다.
역사와 데이트
라약 스투파는 니야와 같은 지역에서 보이는 네모난 기슭의 탑에서 각 측면의 기단으로부터 돌출된 계단이 추가되어 십자가 모양의 기단 위에 있는 탑으로 발전한 것을 예시한다. 이는 쿠샨과 발크의 탑이루탐에 이르는 카니시카 부도에서 볼 수 있다. 이 형태는 디브야바다나에서 발견된 대본 묘사에 따른 것으로, 이 묘사는 부도가 4개의 계단, 3개의 승강장, 그리고 달걀 모양의 돔과 다른 일반적인 요소들을 가지고 있다고 묘사하고 있다.[7] 라왁은 여러 학자들에 의해 4~5세기까지 연대를 이루며, 동전을 포함한 발견과 장방형 보행에 있어서의 동상의 양식적 고려에 의해 뒷받침되지만, 돔에 높게 배치된 유물과 같은 특징에 의해서도 제시된다. 이러한 특징은 4세기와 5세기 동안 타실라의 부도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카슈가르의 마우라-팀 부도에서 볼 수 있다. 스타인은 탑 자체의 스타일과 조각과 그림에 근거하여 3세기 후반에서 4세기 초반에 가능한 날짜를 제시했다.[8][9]
참조
- ^ Martinson, Fred (2010). "Stein and Trinkler on the Rawak Vihara: A Mandala style moves east". Ancient Sites on the Silk Road: 125–131.
- ^ Stein, M. Aurel (1907). Ancient Khotan: Detailed report of archaeological explorations in Eastern Turkestan. Clarendon Press. p. 482ff.
- ^ Stein, M. Aurel (1904). Sand-Buried Ruins of Khotan. London: Hurst and Blackett, Ltd. p. 466.
- ^ Stein, M. Aurel (1921). Serindia. Oxford. pp. 128–9.
- ^ Trinkler, Emil (1930). Geographical and archaeological explorations in the Takla-Makan desert of Chinese Turkestan. London: Central Asiatic Society.
- ^ Gropp, G. (1974). Archäologische Funde aus Khotan Chinesisch-Ostturkestan: die Trinkler-Sammlung im Übersee-Museum, Bremen. Bremen: Rover.
- ^ Rhie, Marylin Martin (2007). Early Buddhist Art of China and Central Asia, Volume 1 Later Han, Three Kingdoms and Western Chin in China and Bactria to Shan-shan in Central Asia. Leiden: Brill. p. 254.
- ^ Stein, M. Aurel (1907). Ancient Khotan: Detailed report of archaeological explorations in Eastern Turkestan. Clarendon Press. p. 500ff.
- ^ Rhie, Marylin Martin (2007). Early Buddhist Art of China and Central Asia, Volume 1 Later Han, Three Kingdoms and Western Chin in China and Bactria to Shan-shan in Central Asia. Leiden: Brill. p. 316.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라약 고고학 유적지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