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비 스테디 고!
Ready Steady Go!준비 스테디 고! | |
---|---|
![]() | |
주연 | 키스 포다이스와 캐시 맥고원 |
생산. | |
프로듀서 | 프랜시스 히칭 비키 위컴 엘칸 앨런[1] |
제작사 | Associated Rediffusion(당시 런던 ITV 네트워크의 주중 프랜차이즈 업체) |
디스트리뷰터 | BMG 권한 관리 |
풀어주다 | |
원래 네트워크 | ITV |
오리지널 릴리즈 | 1963년 8월 9일 ([2] – 1966년 12월 23일( |
《레디 스테디 고!》는 1963년 8월 9일부터 1966년 12월 23일까지 매주 금요일 저녁 방송되었던 영국의 록/팝 음악 프로그램이다.그것은 리디퓨전 TV의 대표인 엘칸 앨런에 의해 고안되었다.앨런은 ATV에서 방송되는 저속한 스타일의 가벼운 엔터테인먼트와는 다른 가벼운 엔터테인먼트 프로그램을 원했다.이 프로그램은 풍경이나 의상 없이 최소한의 안무와 메이크업으로 제작되었다.앨런은 동료 기자 프란시스 히칭을 프로듀서로 영입했다.히칭은 1960년대에 가벼운 엔터테인먼트의 주요 인물이 되었다.로버트 플레밍이 초대 감독을 맡았고, 롤로 갬블, 마이클 린제이 호그, 다프네 쉐이드웰, 피터 크로프트가 뒤를 이었다.
이 프로그램은 런던의 평일 ITV 계약자인 Associated-Rediffusion에 의해 제작되었으며, 1964년 이후 Rediffusion-London은 1964년 이후 Rediffusion-London으로 불렸다.그 생방송은 결국 전국적으로 연결되었다.1964년 3월 20일 비틀즈가 인터뷰를 하고 "It Won't Be Long", "You Can't Do That", "Can't Buy Me Love" 등의 공연을 선보이며 최고 시청률을 기록했다.
1980년대에 Dave Clark Five의 Dave Clark는 1960년대 영국 음악 쇼의 판권을 획득하고 살아남은 [3]음반에 대한 판권을 샀다.
2018년 1월 10일, BMG Rights Management는 Ready, Steady, Go![4]에 대한 부수적인 권리를 취득했다고 발표했습니다.
묘사
이 쇼는 금요일 저녁 일찍 "The weekend starts here!"라는 대사로 시작되었고, 서파리의 "Weep Out"에 의해 소개되었고, 후에 맨프레드 만의 "5-4-3-2-1"에 이어 맨프레드 만의 "허블 버블 (화장실과 트러블)", 그리고 마침내 롤링 스톤스의 "홈"에 의해 소개되었다.더 후가 단기간 동안 주제곡으로 사용됐을 가능성도 있다.그것은 BBC의 경쟁사인 Top of the Pops보다 더 젊은 층을 지향하고 격식을 차리지 않았다.관객들을 댄서로 등장시키고 예술가들과 관객들의 상호작용으로 유명했다.예술가들은 다른 미니 무대, 때로는 스튜디오의 갠트리와 계단, 또는 관객들에게 빽빽이 둘러싸인 솔로 가수들을 위한 메인 층에 나타났다.제작자들은 런던 클럽에서 최고의 혹은 가장 유행하는 댄서들을 골라 관객들을 뽑았다.이것은 예술가와 [citation needed]잘 어울리는 청중을 확보했다.
영국 일부 지역 뉴스 스케줄 때문에 몇몇 ITV 지역이 중간 중간에 쇼에 참여했습니다.
처음에는 RSG! 아티스트들이 흉내를 냈지만 1964년 말 몇몇 아티스트가 라이브 공연을 했고 1965년 [5]4월 라이브 공연으로 전환했다.그것은 다른 쇼에서 요구하는 짧은 버전보다는 풀 버전의 노래를 연주할 수 있게 해준 것으로 유명했다.이 프로그램은 ABC, CBS, NBC가 풀 컬러로 전환될 때 흑백이었기 때문에 미국에서 방송되지 않았다.
이 쇼는 런던 킹스웨이에 있는 레디퓨전 본사의 작은 스튜디오에서 녹화되었다.이 회사는 수도 서쪽의 웸블리에 더 큰 시설을 가지고 있었지만, 스타들과 관객들을 런던 중심부로 끌어들이는 것은 더 쉬웠다.스튜디오가 작아서 카메라를 [6]숨길 수 없었다.줌이 아닌 회전 렌즈 포탑이 달린 대형 카메라들은 때때로 액션에 포함되었는데, 폴 존스가 카메라에 둘러싸인 바닥에 웅크리고 앉아 노래를 부르는 것으로 끝난 "머신즈"의 맨프레드 맨 공연도 있었다.
RSG는 원래 Kingsway의 Studio 9에서 시작되었으며, 나중에 Wembley의 Studio 5로 옮겨서 아티스트들이 라이브 공연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아티스트들의 녹음된 백 트랙은 뮤지션즈 유니온에 의해 허용되지 않았기 때문에 스튜디오 5 전체를 사용하여 오케스트라가 [6]백킹을 라이브로 연주할 수 있었다.
그 쇼는 젊은이들 사이에서 인기가 있었다.그것은 1960년대의 [7]현대 청년 하위 문화 중 특별한 추종자를 가지고 있었다.
1966년 말, "비트 붐"이 사라졌을 때, 그 인기에도 불구하고 쇼는 취소되었다.편집은 1990년대에 채널 4에서 방송되었고 VHS 비디오에는 비틀즈 라이브 스페셜과 사운드 오브 모타운 스페셜 에디션이 포함되어 있다.[citation needed]1989년 이 쇼는 미국에서 디즈니 채널에서 처음으로 방영되었다.그 당시에 디즈니는 밤에 성인들을 대상으로 한 유료 채널이었다.Ready Steady Go!는 DVD로 정식 발매되지 않았다.
'주말 시작은 여기서'
1963년 7월 16일 화요일 파일럿 에피소드 녹화가 끝난 후, 키스 포다이스는 셰필드의 킹 모조 클럽에서 온 모즈 일행에게 다가가서 '그래서 당신들은 화요일 셰필드에서 멀리 왔군요.주말이 다가옴에 따라 당신은 집에 가서 일을 하고 싶어 할 것입니다.'
셰필드 '에이스 페이스'의 존 바니는 '농담하는 친구 - 주말은 여기서 시작한다'라고 대답했고 이 슬로건이 탄생했다.그 후 3년 동안 피트 스트링펠로우와 셰필드 모조의 관중들은 현재 이름이 바뀐 'Ready Steady Go'[6]의 단골들이었다.
발표자 및 제작자
가장 잘 알려진 진행자는 키스 포다이스와 캐시 맥고완이었지만 초기 쇼는 더스티 스프링필드에 의해 소개되었다.그 쇼는 가끔 데이비드 겔과 마이클 올드레드에 의해 진행되었다.맥고완과 올드레드 둘 다 "일반적인 십대"를 고문으로 뽑는 광고에 응한 후 합류했다.그들은 자신들이 쇼를 선보이고 있는 것을 발견했고, 맥고완의 팬으로서의 지위는 그녀의 스타일에 분명했다; 대사에 걸려 넘어지고 그녀의 냉정을 잃었고, 그녀의 경험 부족은 그녀를 덜 유명하게 만들기 보다는 오히려 더 많이 만들었다. 그리고 마지막에 그녀는 혼자 발표하게 되었다.그녀는 또한 롤링 스톤스와 함께 "I Got You Babe"를 포함한 다른 사람들의 음반에 흉내를 내는 등 재미와 게임에 참여하기도 했다.
피처링 아티스트

그것은, 그들 사이의 시대의 가장 성공적인 예술가들 특징은 누가, 비틀즈, Hollies, Merseybeats, Zombies, 더스티 스프링필드, Supremes, Temptations, 워커 형제 Kinks, 폴 버터필드 블루스 밴드, 게리&은 Pacemakers, Fourmost, 롤링 스톤즈, 도노번 Fortunes, 헬렌 샤피로, P.J. Proby, 오티.리 s딩, 프레디와 드리머, 데이브 클라크 파이브, 바비 비, 애니멀스, 실라 블랙, 걸리버 피플, 서커스, 조지 페임과 블루 플레임스, 빌리 퓨리, 루루, 마빈 게이, 진 피트니, 비치 보이즈(영국 TV에 처음 출연)
또한 샌디 쇼, 버트 바차라크, 제리 리 루이스, 폴[when?] 사이먼,[citation needed] 케니 린치, 스몰 페이스, 쉬렐스, 제임스 브라운 & 더 페임 플레임스, 야드버드, 짐 리브스, 페니 4명이 출연했다.
1963년 10월 4일 비틀즈의 첫 출연 때 폴 매카트니는 브렌다 리의 "Let's Jump the Broomstick"(이 그룹은 유명해지기 전에 리를 위해 문을 열었다)를 따라하는 네 명의 십대 소녀들을 심사하여 14세의 멜라니 코를 수상자로 선택했다.3년 후, 코의 실종이 데일리 미러의 1면을 장식한 후, 매카트니는 이 기사를 "She's Leaving Home"[8]의 기사로 사용했다.
지미 헨드릭스는 영국에서 RSG!를 통해 "Hey Joe"로 첫 TV 출연을 했다.그 후 그의 클럽 투어는 매진되었고 그는 워커 브라더스에 의해 전국 투어에 추가되었다.
더스티 스프링필드는 1965년 [9]4월 슈프림스, 스티비 원더, 미라클스, 마사, 반델라스가 등장하는 RSG Motown Special을 고안하고 선보였는데, 이는 1980년대 VHS 비디오였다.슈프림즈는 그들의 "Stop!"을 공연했다. "사랑의 이름" 댄스 루틴에서 처음으로... 그리고 미라클스는 히트곡 "미키의 원숭이"로 쇼를 마감했다.
The Who는 1965년 1월부터 1966년 12월까지 총 18차례에 걸쳐 모든 아티스트 중 가장 많이 출연하면서 특히 인기를 끌었다.이 밴드는 1966년 10월에 방영된 Ready Steady Who라는 제목의 에피소드를 가지고 있었다.이 밴드는 또한 같은 이름의 EP를 발매했다. 타이틀에도 불구하고 모든 트랙은 [10]이전에 만들어진 스튜디오 녹음이었다.Walker Brothers 또한 인기가 있었고 1966년에 라이브 에디션이 있었지만,[citation needed] 2009년에 YouTube에서 발췌가 나왔지만 테이프는 삭제되었다.
2020년 3월 20일, BBC Four는 오리지널 동영상과 함께 레디 스테디 고에 대한 다큐멘터리를 방영했으며, 마사 리브스, 메리 윌슨, 폴 존스, 크리스 팔로우, 비키 윅햄, 애니 나이팅게일, 마이클 린제이 [11]호그와 인터뷰했다.
대중문화에서
![]() |
- 1965년에 그 프로그램은 베니 힐 쇼에서 패러디되었다.힐은 캐시 맥고완, 피터 & 고든 그리고 P. J. 오비슨이라는 이름의 가수를 사칭했다.
- 이름은 언급되지 않았지만, Ready, Steady, Go!는 코미디언 Peter Cook과 Dudley Moore가 출연한 1967년 영화 Bedazzled에서 패러디되었다.이 노래는 1966년 말 실제 RSG 세트장에서 촬영되었다.
- 모드 영화 쿼드로페니아에서 주인공은 Ready Steady Go!에서 Who performance on Ready Steady Go!를 보고 있다.
- 영국 그룹 X세대는 1978년에 "Ready Steady Go"라는 쇼에 대한 노래를 썼는데, 이 쇼에 대해 다양한 언급을 했고 "Cathy McGowan과 사랑에 빠졌기 때문에"라는 가사가 있었다.
- 사우스뱅크 멜트다운 페스티벌 2011의 일환으로 큐레이터 레이 데이비스는 6월 [12][13]11일 토요일 Ready Steady Go!를 재현했다.
레퍼런스
- ^ "Ready, Steady, Go! (TV Series 1963–1966)". IMDb.com. Retrieved 14 June 2021.
- ^ Ian Inglis, 영국 대중음악 및 텔레비전 (Ashgate Publishing, 2010) pp71-72
- ^ Fiddy, Dick. "Ready, Steady, Go! (1963-66)". Screenonline. Retrieved 9 September 2015.
- ^ "UK: BMG acquires rights to iconic 60's TV show Ready Steady Go!". Bmg.com. 10 January 2018.
- ^ Tv.com Ready Steady 시작!에피소드 번호: 88 시즌 번호: 2 첫 방송: 1965년 4월 2일, Tv.com.2007년 2월 취득.
- ^ a b c Baker, Rob (30 September 2017). "The Weekend Starts Here! Fabulous Photos of Classic Pop TV Show - Ready Steady Go!". Flashbak.com.
- ^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November 2010. Retrieved 4 April 2011.
{{cite web}}
: CS1 maint: 제목으로 아카이브된 복사(링크) - ^ "Beatles' 'Sgt. Pepper' at 50: Meet the Runaway Who Inspired 'She's Leaving Home'". 23 May 2017 – via rollingstone.com.
- ^ "Ready Steady Go! Special Edition - The Sounds of Motown". Amazon.co.uk.
- ^ "Ready Steady Who (EP)". Thewho.com. Retrieved 14 June 2021.
- ^ "The Story of Ready Steady Go!, BBC Four review - when life was fab". Theartsdesk.com. 21 March 2020.
- ^ Caspar Llewellyn Smith (24 March 2011). "Ray Davies reveals lineup for 2011 Meltdown festival". The Guardian. Retrieved 21 May 2012.
- ^ "Meltdown First Anouncement [sic]". Festivalsforall.com. 25 March 2011. Retrieved 21 May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