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베카 랜스필드

Rebecca Lancefield
레베카 크라이힐 랜스필드
Maclyn McCarty (5493933573).jpg
레베카 랜스필드(가운데)가 T를 받고 있다. 1960년 덕켓 존스 상.
태어난1895년 1월 5일
죽은1981년 3월 3일 (86세
국적미국인의
모교웰즐리 칼리지 (B.A.)
컬럼비아 대학교 (MS & 박사)
로 알려져 있다.랜스필드 그룹
배우자도널드 랜스필드
아이들.제인 매독스 랜스필드 허시
수상T. 덕켓 존스상
뉴욕 메디컬 아카데미 메달
과학 경력
필드세균학
면역학
기관록펠러 대학교
컬럼비아 대학교
박사학위 자문위원한스 진서
기타학술고문오스왈드 에이버리
알폰스 도체스

레베카 크라이힐 랜스필드(Rebecca Craighill Lancefield, 1895년 1월 5일 ~ 1981년 3월 3일)[1]미국의 저명한 미생물학자였다. 그녀는 1918년 뉴욕의 록펠러 의학연구소(현 록펠러 대학)에 입학했으며, 그녀의 길고 뛰어난 경력 내내 그 연구소와 인연을 맺었다. 그녀의 참고 문헌은 60년에 걸쳐 출판된 50개 이상의 출판물로 구성되어 있다.

랜스필드는 세포벽에서 발견되는 박테리아 항원의 탄수화물 조성에 기초하여 [2]β-용혈성 스트렙토크칼 박테리아인 랜스필드 그룹에 대한 혈루학적 분류로 가장 잘 알려져 있다.[3] 그녀는 또한 그룹 A Streptococci의 혈청학적 타이핑을 담당한다.

조기생활과 교육

랜스필드는 뉴욕 스태튼 아일랜드포트 워즈워스에서 태어났다. 그녀의 아버지는 미군 공병대의 장교였다.[1] 그녀는 매사추세츠에 있는 웰즐리 대학에 다녔다. 1916년 동물학 학위를 받고 졸업한 후, 그녀는 버몬트의 한 여자 학교에서 1년 동안 수학과 과학을 가르쳤다.[4] 그녀는 컬럼비아 대학교의 교사 대학에 장학금을 받고 박테리아학을 계속 공부했다.[5] 랜스필드는 1918년 콜롬비아로부터 석사학위를 받았다. 같은 해 그녀는 도널드 E와 결혼했다. 랜스필드, 컬럼비아 대학의 유전학 대학원 동료 학생. 졸업 후, 그녀는 록펠러에서 오스왈드 에이버리, 알퐁스 도체즈의 기술자로 일했다. 이듬해 그녀는 찰스 W. 메츠 휘하의 드로필라 윌리스토니에 대한 연구를 위해 컬럼비아로 돌아왔다.[6] 1922년에 랜스필드는 박사학위를 받기 시작했다. 그녀는 1925년 콜롬비아로부터 면역학세균학 박사학위를 받았으나 대부분의 대학원 작업은 록펠러에서 진행되었다.

직업 및 연구

랜스필드가 처음으로 공동 저술한 논문은 그녀가 기술자였을 때 1919년에 발표되었는데, 당시로서는 이례적인 인정이었다. 이 연구에 앞서 연구자들은 서로 다른 연쇄상구균 변종이 생물학적으로 구별되는지를 알지 못했다. 에이버리, 도체스와 함께 일하면서, 그녀는 그들이 연구하고 있는 ß 용혈성 연쇄상구균 변종의 70%를 분류한 네 종류의 혈류학적 유형을 확인했다.[2]

랜스필드는 박사학위 논문을 위해 처녀자리 연쇄상구균을 연구했다. 랜스필드는 원래 한스 진서의 연구실에 들어갔다. 지스너는 여자들과 함께 일하고 싶지 않았고, 자신의 일을 호머 스위프트의 연구실로 옮기자고 제안했다.[4] 따라서 그녀의 작업의 대부분은 스위프트의 연구실이 있는 록펠러에서 수행되었다. 당시 처녀자리 줄무늬코치는 류머티즘 열병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잘못 여겨졌다. 랜스필드의 논문 작업이 이러한 생각을 불식시키는 데 도움이 되었다.[1]

박사학위를 받은 랜스필드는 록펠러에서 ß 용혈성 스트렙토코치를 공부하기 위해 돌아왔다. 그녀는 이제 박테리아에 위치한 표면 항원의 생물학적 성분을 확인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1928년 랜스필드는 스트렙토코치의 유형별 항원이 단백질이라고 보고했다. 그녀는 이 단백질을 M-단백질이라고 이름 지었다. 왜냐하면 박테리아가 항원에 노출되었을 때 매트 군집이 발생하기 때문이다.[7] 랜스필드는 스트렙토코치의 그룹 특유의 항원이 그녀가 C-탄수화물이라고 이름 붙인 탄수화물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 발견에서 랜스필드는 C-탄수화물이 원래 생각했던 대로 종에 특화된 것이 아니라고 밝혔다.[7] 이러한 깨달음은 그녀가 연쇄상구균 질환에 대한 랜스필드 그룹화라고 불리는 분류 체계를 발전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그녀는 처음에 인간 연쇄상구균 감염을 위한 그룹 A와 소 연쇄구균 감염을 위한 그룹 B를 지정했다. 오늘날 랜스필드 그룹은 그룹 A부터 M까지를 포함한다.[7]

랜스필드는 1940년에 T-antigen, 그리고 1957년에 R-antigen이라는 두 그룹의 A 연쇄상구균 표면 단백질을 추가로 발견했다. 선수 생활 후반기에 그녀는 그룹 B 스트렙토코치에 집중했다. 그녀의 연구는 그룹 B 스트렙토코치가 M-단백질이 부족하다는 것을 밝혀냈다. 그녀는 대신 표면 다당류가 그들의 정력적인 요인에 책임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7]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랜스필드는 육군 역학 위원회의 스트렙토칼 및 포도상구균 질병 위원회 위원회에서 근무했다.[7]

1946년 랜스필드는 록펠러 대학의 부교수로 승진했다. 그녀는 1958년에 록펠러에서 정회원 겸 교수로 승진했다.[7] 같은 해, 그녀는 콜롬비아 대학의 미생물학 교수가 되었다. 랜스필드는 1980년까지 명예교수로 연구실에서 계속 근무했지만 1965년 두 직책을 모두 그만두었다.

랜스필드는 매클린 매카티의 오랜 협력자였고 유명한 라스커상 수상자에밀 고트슐리히의 멘토였다.[7]

명예

1943년, 그녀는 미국 세균학회의 회장이 된 두 번째 여성이었다. 1961년, 그녀는 미국 면역학자 협회의 회장이 되었고, 이 자리를 차지한 최초의 여성이 되었다. 그녀는 1970년에 국립 과학 아카데미에 선출되었다. 1973년, 그녀는 록펠러 대학교로부터 명예 과학 박사상을 받았다. 그녀는 1976년 모교인 웰즐리 칼리지에서 정식으로 상을 받았다. 랜스필드는 T상을 포함해 많은 상을 받았다. 헬렌 헤이 휘트니 재단의 덕켓 존스 상, 미국 심장 협회 공로상, 뉴욕 의학 아카데미 훈장.[1]

죽음과 유산

1980년 추수감사절에 랜스필드는 엉덩이가 부러져 거동이 완전히 회복되지 못했다. 그녀는 이듬해 86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랜스필드의 에그노그 요리법은 수십 년 동안 동료 과학자들에 의해 사용되어 왔고 2008년 사이언스 프라이데이[8] 발표되었다.

랜스필드의 미생물학적 질문에 기꺼이 대답하려는 의지 때문에, 록펠러에 있는 그녀의 연구실은 "연쇄조직 신비의 스코틀랜드 야드"라는 별명을 얻었다.[7]

Streptocci 와 Streptoccal 질병에 관한 랜스필드 국제 심포지엄은 그녀를 기리기 위해 이름이 붙여졌다.[4] 그녀의 경력을 통해 수집된 샘플은 현재 록펠러 대학교가 랜스필드 컬렉션으로 유지되고 있다. 현재까지 이 컬렉션에는 6,000개 이상의 스트렙토코치 균주가 포함되어 있다.[9]

참조

  1. ^ a b c d Maclyn McCarty. "Rebecca Craighill Lancefield 1895–1981" (PDF). Biographical Memoir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pp. 225–246.. p.227
  2. ^ a b Lancefield RC (1933). "A serological differentiation of human and other groups of hemolytic streptococci". J Exp Med. 57 (4): 571–95. doi:10.1084/jem.57.4.571. PMC 2132252. PMID 19870148.
  3. ^ Patterson MJ (1996). "Streptococcus". In Baron S; et al. (eds.). Streptococcus. in: Baron's Medical Microbiology (4th ed.). Univ of Texas Medical Branch. ISBN 978-0-9631172-1-2.
  4. ^ a b c O'Hern, Elizabeth (1975). "Rebecca Craighill Lancefield, Pioneer Microbiologist" (PDF). ASM News. 4: 805–810.
  5. ^ O'Hern, Elizabeth M. (1975). "Rebecca Craighill Lancefield: Pioneer Microbiologist" (PDF). ASM (American Society for Microbiology) News. 41 (12). Retrieved 29 November 2018.
  6. ^ Lancefield, Rebecca C.; Metz, Charles W. (1921-08-01). "Non-Disjunction and the Chromosome Relationships of Drosophila willistoni".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7 (8): 225–229. Bibcode:1921PNAS....7..225L. doi:10.1073/pnas.7.8.225. ISSN 0027-8424. PMC 1084856. PMID 16576594.
  7. ^ a b c d e f g h "PI in the Scotland Yard of Streptococcal Mysteries" (PDF). The American Association of Immunologists.
  8. ^ "레베카 랜스필드 박사의 에그노그 레시피" 사이언스 프라이데이.
  9. ^ "The Rockefeller University " The Lancefield Collection of Streptococcus Strains". lab.rockefeller.edu. Retrieved 2018-08-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