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벨데 (앨범)
Rebelde (album)레벨데 | ||||
---|---|---|---|---|
![]() | ||||
스튜디오 앨범 기준 | ||||
방출된 | 2004년 11월 30일 | |||
녹음된 | 2004 | |||
스튜디오 | 코스모스 스튜디오 메렉시오 (멕시코시티, 멕시코) 더 박스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주) | |||
장르. | ||||
길이 | 37:13 | |||
언어 | 스페인어 포르투갈어(에디시온 디아만테) | |||
라벨 | EMI | |||
프로듀서 | ||||
RBD 연대기 | ||||
| ||||
레벨데 에디시온 디아만테 | ||||
![]() | ||||
레벨데의 싱글 | ||||
점수 검토 | |
---|---|
출처 | 순위 |
올뮤직 | ![]() ![]() ![]() ![]() ![]() |
레벨데는 멕시코 라틴 팝 보컬 그룹 RBD의 데뷔 스튜디오 앨범으로, 2004년 11월 30일 멕시코에서, 2005년 1월 11일에 미국과 나머지 라틴 아메리카에서 발매되었다.[2]
이 앨범은 팝과 라틴 팝 장르에 속하며, 10대 팝과 팝 록 스타일링들이 소속되어 있다.[2]이 앨범은 카를로스 라라, 막스 디 카를로, 아르만도 아빌라가 프로듀싱했다.2005년 11월 1일 브라질 포르투갈어 버전의 앨범도 녹음되어 발매되었다.2006년 3월 2일에는 앨범의 '다이아몬드 에디션'도 발매되었다.[3]
미국에서 이 앨범은 빌보드 라틴 팝 앨범 차트에서 1위를 차지했고, 빌보드 탑 라틴 앨범 차트에서 2위를 차지했고 미국에서 40만 장 이상이 팔리며 4x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이 앨범은 멕시코의 음악 차트에서 55만 장이 팔렸고 AMPROPON의 다이아몬드 및 골드 인증을 획득하며 1위에 올랐다.
앨범 홍보의 일환으로 4개의 싱글이 발매되었다.첫 번째 세 곡인 "레벨데"와 "솔로 퀘데일 엔 실렌시오" 그리고 "살바메"는 멕시코에서 1위에 올랐다.
이 앨범은 발매 첫 2년 동안 전세계적으로 150만 장 이상 팔렸고 2006년 EMI 앨범 중 10번째로 많이 팔렸다.[4]
배경 및 기록
In 2004, filming began on the Mexican telenovela Rebelde; its six main young actors (Anahí, Alfonso Herrera, Dulce María, Christian Chávez, Christopher Uckermann and Maite Perroni) would go on to form the musical group RBD, having their first studio album released on November 30, 2004, in Mexico.이 앨범은 RBD 멤버들이 직접 밝힌 대로 단 이틀 만에 음원을 녹음했다.RBD의 여섯 명의 보컬리스트들은 앨범의 프로듀서인 아르만도 아빌라와 카를로스 라라의 스튜디오에서 앨범의 11곡을 모두 불렀다.이 앨범은 멕시코 유명 텔레비전 프로듀서인 페드로 다미안이 제작했다.이 앨범은 이후 2005년 1월 11일에 미국과 나머지 라틴 아메리카에서 발매되었다.
프로모션
싱글스
앨범 홍보의 일환으로 2004년 9월부터 4곡의 싱글이 발매되었다.2004년 9월 30일에 앨범의 리드 싱글인 "Rebelde"가 발매되어 멕시코 차트에서 1위에 올랐다.두 번째 싱글은 "Solo Quédate en Silencio"로, 2004년 12월 2일에 발매된 후 멕시코에서도 1위를 차지했다.세 번째 싱글은 2005년 멕시코 라디오에서 가장 많이 재생된 곡으로 선정된 발라드 '살바메'이다.이 곡은 가수 아나히가 메인 보컬을 맡고 나머지 밴드가 후렴구를 부른다.이 싱글은 2005년 3월 15일에 발매되었다.이 앨범의 네 번째이자 마지막 싱글은 2005년 7월 4일에 발매된 "Un Poco De Tu Amor"로 멕시코 라디오에만 발매되었다.이 앨범의 싱글들은 텔레노벨라의 사운드 트랙의 일부로 사용되었고, 리드 싱글 "Rebelde"가 TV 쇼의 주요 테마가 되었다.
싱글 '레벨데', '솔로 퀘데 엔 실렌시오', '살바메'를 홍보하기 위해 뮤직비디오 3편을 촬영했으며, 모두 페드로 다미안이 감독을 맡았다.이 앨범의 네 곡의 공식 싱글과는 별도로, 이 앨범의 다른 두 곡인 "Otro Dia Que Va"와 "Ensename"이 라디오 홍보를 했다.
투어

RBD의 첫 전국 투어인 Tour Generacion RBD는 날짜마다 매진되었다.이 그룹은 2005년 1월 3일부터 2005년 8월 28일까지 멕시코에서 35회의 콘서트를 열었다.2005년 10월 21일, 이 투어를 위한 확장된 국제 다리가 이 그룹을 처음으로 콜롬비아를 방문하도록 이끌었다.이는 곧 이어 베네수엘라, 푸에르토리코, 에콰도르를 처음 방문하면서 밴드의 모국인 멕시코에서와 같은 수준의 성공을 실험했다.
상업적 성과
이 앨범은 계속해서 멕시코에서 다이아몬드 및 금 인증을 받았으며 55만 장이 판매되었고 12주 동안 연속되지 않은 주 동안 멕시코 앨범 차트에서 1위를 차지했다.[5]스페인어 앨범의 성공으로 이 밴드는 레벨데(Edizang Brasil)라는 제목의 브라질에서 성장하는 팬층을 위해 포르투갈어 버전의 레벨데를 녹음했다.RBD는 브라질 앨범차트 상위 10위 안에 서로 다른 언어로 된 2개의 앨범(포르투갈어와 스페인어)을 동시에 보유한 브라질 최초의 해외 연기로 두 앨범 모두 1위에 올랐다.2006년에는 스페인어 버전의 앨범이 스페인에서도 발매되었다.RBD는 결국 데뷔 앨범으로 스페인 앨범 차트에서 5주 연속 1위를 차지했다.이 앨범은 또한 미국의 빌보드 탑 라틴 앨범 차트에서 50주 이상을 보냈고, 2위를 정점으로 2달 동안 차트의 상위 5위를 차지했으며, 미국에서 40만 장 이상이 팔렸고 RIAA에 의해 4× 플래티넘(라틴 필드) 인증을 받았다.[6]전세계적으로, 이 앨범은 150만 장 이상 팔렸다.[4]
트랙리스트
No. | 제목 | 작성자 | 프로듀서 | 길이 |
---|---|---|---|---|
1. | "레벨데" | DJ 카프카,[7] 막스 디 카를로 | 카를로스 라라, 디 카를로 | 3:33 |
2. | "솔로 퀘데일 엔 실렌시오" | 마우리시오 L.아리아가 | 아르만도 아빌라 | 3:38 |
3. | 오트로 디아 큐바 | DJ 카프카, 디 카를로 | 아빌라 | 3:27 |
4. | 운포코 데 투 아모르 | DJ 카프카, 디 카를로 | 라라, 디 카를로 | 3:24 |
5. | "엔세냐메" | 하비에르 칼데론 | 라라, 디 카를로 | 3:39 |
6. | 후투로엑노비오 | 션 & 데임,[8] 스티브 스미스, 앤서니 앤더슨, 미치킨 보이조 | 아빌라 | 3:00 |
7. | 테네르테 Y 케레르테 | 가이 로슈, 에이미 파워스, 디 카를로 | 아빌라 | 3:25 |
8. | 쿠안도엘아모르세아카바 | 호세 마누엘 페레스 마리노 | 라라, 디 카를로 | 3:19 |
9. | "산타노소이" | 라카르,[9] 미치킨 보이조 | 아빌라 | 3:08 |
10. | "후에고" | 더블 엔,[10] 램팩,[11] 파파 디, 보이조 | 아빌라 | 3:00 |
11. | "살바메 | DJ 카프카, 디 카를로, 페드로 다미안 | 라라, 디 카를로 | 3:42 |
총 길이: | 37:15 |
No. | 제목 | 작성자 | 프로듀서 | 길이 |
---|---|---|---|---|
1. | "Rebelde"(포르투갈어 버전) | DJ 카프카, 디 카를로, 클라우디오 라벨로 | 라라, 디 카를로 | 3:34 |
2. | "피케 엠 실랑키오" | 아리아가, 라벨로 | 아빌라 | 3:41 |
3. | "큐러-테" | 로체, 파워스, 라벨로 | 아빌라 | 3:18 |
총 길이: | 47:48 |
No. | 제목 | 길이 |
---|---|---|
1. | "사진 갤러리" | |
2. | "스크린세이버" | |
3. | "마우스 커서" | |
4. | "에모티콘" | |
5. | "RBD 게임" |
인원
앨범의 라이너 노트에서 각색한 크레딧.
계기
- 아르만도 아빌라 – 모든 악기, 배경 보컬
- Max di Carlo – 모든 기기
생산
- Camilo Lara – A&R
- Melissa Mohulske – A&R 조정
- 구이도 라리스 – 편곡, 보컬 프로듀서
- 카를로스 라라 – 배경 보컬 편곡, 프로듀서
- 레네 카데나스, 후안 카를로스 모겔 – 엔지니어
- 페드로 다미안 – 총괄 프로듀서
- 루이스 루이스 루이스요 미겔 – 부 프로듀서
- hulahula.com.mx – 그래픽 디자인
- Marisol Alcelay – 마케팅
- Max di Carlo – 믹서, 프로듀서, 보컬 프로듀서, 편곡, 프로그래밍
- 밀리아노 파글리니오 – 추가 음악가
- Gib Taylor – 추가 음악가
- 라몽신 소사 – 추가 음악가
- 에밀리오 아빌라 – 생산 조정자
- 호르헤 곤살레스 – 생산 보조원
- Armando Ahvila – 스페인어로의 노래 번역, 프로듀서
- Michkin Boyzo – 스페인어로 노래 번역, 녹음 보조
- 리카르도 트라불시 – 사진작가
수상
연도 | 식 | 상 | 결과 |
---|---|---|---|
2005 | 프리미오스 오예! | 올해의 레코드 | 지명했다 |
올해의 돌파구 | 원 | ||
올해의 팝 앨범, 듀오 또는 그룹 | 원 | ||
올해의 베스트셀러 팝 앨범 | 원 | ||
프리미오스 주벤투드 | Me Muero Sin Eese CD | 원 | |
2006 | 빌보드 라틴 뮤직 어워드 | 올해의 라틴 팝 앨범, 듀오 또는 그룹 | 원 |
라틴 팝 올해의 앨범, 신인 아티스트 | 원 | ||
올해의 라틴 앨범 가수 1위 | 지명했다 |
차트
주간 차트
| 연말 차트
|
인증
지역 | 인증 | 인증 단위/판매 |
---|---|---|
브라질(프로무시카브라질)[15] | 2× 플래티넘 | 250,000[15] |
콜롬비아 (ASINCOL)[17] | 백금 | 20,000[16] |
멕시코(AMPROPON)[5] | 다이아몬드+골드 | 550,000^ |
스페인(PROMUSICAE)[18] | 2× 플래티넘 | 200,000^ |
미국(RIAA)[6] | 4× 플래티넘(라틴) | 400,000^ |
^ 출하량은 인증만으로 계산된다. |
발매이력
지역 | 날짜 | 포맷 | 라벨 |
---|---|---|---|
멕시코 | 2004년[19] 11월 30일 | CD, 디지털 다운로드 | EMI |
미국 | 2005년[20][21] 1월 11일 | ||
영국 | |||
브라질 | 2005년 10월 30일 | ||
스페인 | 2006년 7월 17일 | ||
월드와이드 | 2006년 3월 2일 | '에디시온 디아만테' - CD, 디지털 다운로드 |
참고 항목
메모들
- ^ 올뮤직 리뷰
- ^ a b "RBD - Rebelde". Allmusic. 11 January 2005. Retrieved 7 July 2013.
- ^ "RBD lanza ediciones diamante de sus discos". El Nuevo Diario. 4 March 200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December 2013. Retrieved 7 July 2013.
- ^ a b Cashmere, Paul (13 January 2007). "EMI Share Price Drops on Restructure Announcement". Undercover Media Pty Ltd. Retrieved 21 March 2011.
- ^ a b "Certificaciones" (in Spanish). Asociación Mexicana de Productores de Fonogramas y Videogramas. ARESTA 열 머리글 아래의 상자에 RBD를 입력하고 TITULO 열 머리글 아래의 상자에 Rebelde를 입력하십시오.
- ^ a b "American album certifications – RBD – REBELDE".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America.
- ^ 카를로스 라라는 DJ 카프카 역을 맡았다.
- ^ 션 호스틴과 데인 드빌러는 션 앤 데임으로 청구되었다.
- ^ 닉 니스와 폰투스 소데르크비스트가 라카르로 임명되었다.
- ^ Niklas Bergwall과 Niclas Kings는 더블 N으로 청구되었다.
- ^ 요한 람스트룀과 파트리크 마그누손은 람팩으로 청구되었다.
- ^ https://www.billboard.com/artist/rbd/chart-history/billboard-200
- ^ "Top Latin Albums Chart".
- ^ "Latin Pop Albums Chart".
- ^ a b Guarda, Erica (March 3, 2006). ""Rebelde" é a nova febre nacional". Correio do Povo (in Portuguese). Grupo Record: 4. Retrieved October 22, 2021.
In less than two months, the soundtrack for "Rebelde", available in the Brazilian market in two versions, one in Spanish and the other in Portuguese, had already surpassed the mark of 250,000 copies sold (each one). Both have already been certified double platinum.
- ^ "Piracy, Progress Marked Music in 2003". Billboard. New York, N.Y.: VNU Business Publications USA. 116 (2): 26. January 10, 2004. ISSN 0006-2510. Retrieved 2010-07-29.
...forced Asincol to lower the standards for gold and platinum albums...
- ^ "El fenomeno del grupo RBD y su telenovela". Santa Fe New Mexican. 3 November 2005. p. 19.
- ^ "Spanish album certifications" (in Spanish). Productores de Música de España. "차트"에서 앨범을 선택하고 "년" 필드에 2007을 입력하십시오. "세마나" 필드에서 세마나 14를 선택한다. 차트 검색을 클릭하십시오.
- ^ "EMI Music-RBD-Noticias". EMI Music España. Retrieved 2010-10-10.
- ^ "Rebelde - RBD". Retrieved 2010-10-10.
- ^ "Rebelde - RBD - United Kingdom". Amazon.co.uk. Retrieved 2010-1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