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라라트 공화국
Republic of Ararat아라라트 공화국 코마라아기리에 코마라아라테 | |||||||||
---|---|---|---|---|---|---|---|---|---|
1927–1931 | |||||||||
깃발 | |||||||||
![]() | |||||||||
상태 | 인식되지 않는 상태[해체 필요] | ||||||||
자본 | 쿠르드 아바[2] / 쿠르다바[3] (Doğubayazıt)5054448705, 518140448 39°21˚N 화씨 43°23°E / 39.35°N 43.38°E좌표: 39°21˚N 43°23′E / 39.35°N 43.38°E/ | ||||||||
공용어 | 쿠르드어, 터키어 | ||||||||
정부 | 공화국 | ||||||||
대통령[4] | |||||||||
• 1927 - 1930 | 이브라힘 하스키[5] | ||||||||
슈프림[5] | |||||||||
• 1927 - 1931 | 이산누리[5] | ||||||||
역사시대 | 전쟁중기 | ||||||||
• 독립 선언[6] | 1927년 10월 28일 | ||||||||
• 터키에 의해 재계약됨 | 1931년 9월 | ||||||||
|
아라라트 공화국, 즉 쿠르드 공화국([7][8][9]쿠르드어:코마라 아기리예, کۆمای and, 쿠르드어:코마라 아라라테)은 자칭 쿠르드족 국가였다. 그것은 카라코세 지방을 중심으로 한 터키 동부에 위치해 있었다. "Agirî"은 아라라트의 쿠르드어 이름이다.[13]
역사
소이본당 중앙위원회가 이끄는 아라라트 공화국은 터키 남동부의 쿠르드족들 사이에서 반란의 물결이 일던[6] 1927년 10월 28일 또는 1928년 10월 28일 독립을 선언했다.[9][14][15] 군단장이 이흐산누리로 임명되고, 이브라힘 헤스키가 민정을 맡았다.
소이번의 첫 회의에서 이흐산 누리 파샤는 아라라트 반란군의 군장으로 선포되었다.[16] 이브라힘 헤스키는 민정의 지도자가 되었다.[17] 1927년 10월 아라라트 산 근처의 [3]마을인 쿠르드 아바 즉 [2]쿠르드아바를 쿠르디스탄의 임시 수도로 지정하였다. 소이번은 강대국들과 국제연맹에 호소했고 이라크와 시리아의 다른 쿠르드족에게도 협조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보냈다.[18] 그러나 터키의 압력으로 프랑스뿐만 아니라 대영제국은 소이벤 회원들의 활동에 제한을 가했다.[16]
이후 터키군은 1931년 9월 아라라트 공화국을 격파했다.[19][20]
아라라트 공화국의 국기
이 깃발은 오스만 제국으로부터 쿠르드족 독립을 위한 운동 중에 처음 나타났으며 1930년 아라라트 반란에서 활동한 소이본(Khoyboon) 조직에 의해 만들어진 이전 버전과 닮았으며 1927~1931년 갈라진 아라라트 공화국이 날았다.[citation needed]
참고 항목
참조
- ^ "The National Flag of Kurdistan"., 쿠르드족 파리 연구소.
- ^ Jump up to: a b 와디 자이드, 쿠르드 민족 운동: 그 기원과 발전, 시라큐스 대학 출판부, 2006, ISBN 978-0-8156-3093-7, 페이지 211.
- ^ Jump up to: a b (프랑스어로) 셀랄 사얀, 라 건설 국가 투르크 et mouvment 국가 쿠르드, 1918-1938, 프레스 유니버설사 듀셉트리온, 2002, 페이지 649.
- ^ Paul J. White, 원시 반군인가 혁명적인 모더니즘인가?: 터키의 쿠르드 민족운동, 제드북스, 2000, ISBN 978-1-85649-822-7, 페이지 77.
- ^ Jump up to: a b c (터키어로) 에민 카라카, 아ğı 에틀린데 이̇샨: 비르 키르트 아야클란마스ınanatomisi, 3. 바스크ı, 카라쿠투 야야ınları, 2003, ISBN 975-8658-38-7, s. 23.
- ^ Jump up to: a b 다나 아담스 슈미트, 용감한 남자들 사이의 여행, 리틀, 브라운, 1964, 페이지 57.
- ^ 크리스토퍼 휴스턴, 쿠르디스탄: 2008년 인디애나 대학 출판부의 국가별 자기소개서, ISBN 0-253-22050-5, 페이지 52.
- ^ 아프리카와 중동의 백과사전, 1. cilt, Infobase Publishing, 2009, ISBN 978-0-8160-7158-6, 페이지 385.
- ^ Jump up to: a b 압바스 발리, 쿠르드 민족주의의 기원에 관한 에세이, 마즈다 출판사, 2003, ISBN 978-1-56859-142-1, 페이지 199.
- ^ "Xwendin û danasîna pirtûkan". dengekurdistan.nu (in Kurdish). Retrieved 21 December 2019.
- ^ "کۆماری ئارارات، ئاوڕدانەوەیەک لە مێژوو". chawykurd.com (in Kurdish). Retrieved 21 December 2019.
- ^ "Ihsan Nuri Paşa" (in Kurdish). Retrieved 21 December 2019.
- ^ "Republics of Ararat". www.ekurds.com. Retrieved 8 December 2020.
- ^ 마르틴 스트로마이어, 쿠르드 민족 정체성 발표에서 중요한 이미지: 영웅과 애국자, 반역자와 적, 브릴, 2003, ISBN 978-90-04-12584-1, s. 97.
- ^ 크리스토퍼 휴스턴, 쿠르디스탄: 2008년 인디애나 대학 출판부의 국가별 자기소개서, ISBN 0-253-22050-5, s. 52.
- ^ Jump up to: a b Allsopp, Harriet (2014). The Kurds of Syria: Political Parties and Identity in the Middle East. London: I.B. Tauris. p. 55. ISBN 9781780765631.
- ^ Yilmaz, Özcan (2015). La formation de la nation kurde en Turquie (in French). Graduate Institute Publications. p. 77. ISBN 978-2-940503-17-9.
- ^ Edmonds, C.J. (1971). "Kurdish Nationalism". Journal of Contemporary History. 6 (1): 91. doi:10.1177/002200947100600105. S2CID 220879999.
- ^ 가레스 M의 케말 키리치 윈로, 쿠르드족 질문 그리고 터키: ISBN 978-0-7146-476-3, 페이지 101. Routrege, 1997. ISBN 978-0-7146-4746-3.
- ^ "Kurdistan: Short-lived independent states". www.crwflags.com. Retrieved 8 December 2020.
- ^ 로하트 알라콤, 호이브엔 외르귀튀 베 아야클란마스, 1998년 아베스타, ISBN 975-711-45-3, 페이지 180. (터키어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