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라루스 국립대학 핵문제연구소
Research Institute for Nuclear Problems of Belarusian State University확립된 | 1986 |
---|---|
연구분야 | 핵 및 입자물리학, 나노기술 |
감독 | 세르게이 A.막시멘코 |
스태프 | 97 (2014) |
주소 | 보브루이스카야 스트리트 11, 민스크, 220030, 벨라루스 공화국 |
위치 | 민스크 / 벨라루스 |
소속 | 벨라루스 주립 대학교 |
웹사이트 | 인프비수에 의해 |
벨라루스 주립대학의 핵문제연구소(INP BSU)는 벨라루스 민스크에 있는 연구기관이다.그것의 주요 연구 분야는 핵물리학과 입자물리학이다.null
파운데이션
벨로루시 주립대학의 핵문제 연구소는 1986년 9월 1일 구소련 정부령에 의해 설립되었다.null
먼저 총장, 지금 명예 감독:블라디미르 G. Baryshevsky,[1]닥터 과학(Phys-Math), 교수님, Honored 과학 벨라루스, 주 상은 벨라루스의 과학과 기술의 밭에서 우승자는 Skarina 질서와 의장대 주문 2개의 등록된 발견의 공동 수상했다.월핵물리학에서의 USSR (N 224 (1979년)과 N 360 (1981).null
세르게이 A 교수막시멘코는[2] 2013년 1월부터 INP 총책임자로 임명되었다.null
주요 연구 분야
- 핵 및 초등 물리학, 코스모-광물 물리학 및 핵 천체 물리학.
- 초고온 및 압력에서 물질의 극한 상태와 에너지의 자기적 응집
- 새로운 복합 재료, 나노 및 마이크로 구조 재료
- 방사성 선원, 가속기 및 원자로에 기반한 무선 및 핵 기술
- 전리방사선 측정을 위한 새로운 방법
가장 중요한 업적
- 결정체를 통과하는 충전된 입자에 의해 생성되는 새로운 유형의 방사선인 파라메트릭 X선 방사선(PXR)이 이론적으로 예측되어 처음으로 실험적으로 관찰되었다.[3][4]
- 결정에서 고에너지 양자에 의해 생성된 PXR은 고에너지물리연구소(프로트비노, 러시아)의 입자 가속기에서 검출되었고, 전자로부터 PXR 생성의 다파체제가 SIRIUS 가속기(톰스크, 러시아)에서 관측되었다.[3][5]
- 결정체를 통해 채널로 전달되는 상대론적 전하 입자(전자, 양전자)에 의해 생성되는 새로운 유형의 방사선이 예측되었다.이 현상은 전 세계 많은 물리학 연구소에서 관찰되었다.[3]
- 자기장 내 정형외과-포시트로늄의 3중 붕괴 소멸면의 진동을 이론적으로 예측하고 실험적으로 관찰했다(벨라루스 국립과학원 물리학연구소와 공동으로).[3]
- 이전에 알려지지 않은 무오늄 원자의 특성 - 지상 상태의 4극 모멘트 - 는 예측되었고 실험에서 관찰되었다.[3]
- 스핀 진동과 스핀 이크로이즘의 존재, 그리고 따라서 비극화 물질로 움직이는 중수체(및 기타 고에너지 입자)의 텐서 양극화 현상이 가정되었다. 스핀 이크로이즘 현상은 독일과 러시아에서 수행된 공동 실험에서 관찰되었다.[3]
- 휘어진 결정에서 고에너지 입자의 스핀 회전 현상이 예측됐다.이 현상은 페르밀라브에서 실험적으로 관찰되었다.[3]
- CERN에서 결정체에서의 싱크로트론형 전자양전자 쌍생산을 예측하고 관찰했다.[3][6]
- 결정체에서 고에너지 γ 퀀타의 이분법 및 이분법 현상이 예측되었다.[3][6]
- 결정에서 고에너지 전자의 복사 냉각 효과는 CERN에서 예측되고 관찰되었다.[7]
- 새로운 종류의 전자기 방사 생성기 - 부피 자유 전자 레이저 -가 개발되었다.[3][4]
- 하나의 휘어진 결정 내부의 서로 다른 평면에서 나온 고에너지 입자의 다중 볼륨 반사의 효과가 예측되었다.이 효과는 CERN에서 관찰되었다.[8]
- 자기장에 배치된 원자 및 핵에서 유도된 전기 쌍극자 모멘트의 출현에 따른 CP-비-비-비-비-비-비-비-비-비-비-비-비-비-비-비-비-비-비-변광 물질 현상의 존재는 이론적으로 정당화되었다.[3][4]
- 고전압과 고전류의 폭발성 플럭스 압축 발전기가 개발되어 벨라루스의 이 분야의 개척 연구를 주도하였다.[3]
- 진화의 초기 단계에서 우주를 채운 상대론적 플라즈마 흡수에 관한 연구를 바탕으로 우주의 존재와 여분의 크기에 부과되는 새로운 제약조건이 원시적인 블랙홀에 의해 발견되었다.[9]
- 고립된 유한길이 탄소나노튜브(CNT)에 의한 전자기 방사 산란 이론이 개발되었다.이를 통해 Teraherz 범위에서 흡수 피크의 정성적 및 정량적 해석이 가능했으며, 이는 CNT 함유 복합 재료에서 실험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10]
- 단벽 탄소나노튜브를 가진 복합재료에서 국부적인 플라스몬 공명의 존재가 실험적으로 확인되었다.[11]이 효과는 새로운 전자파 차폐 재료의 설계와 의학에서 응용 분야를 찾는다.
- 높은 에너지 물리학에서 전자기 열량계의 적용을 통해 LHC실험, 즉 CMS와 ALICE과 PANDA 공동 작업에 의해 그 대형 입자 Collider,에 CMS실험 팀의(독일)[12]INP는 부분에서 가장 인기가 많은 섬광 재료 tungstate 섬광 재료, PbWO4(PWO), 개발되었다, 살다whiATLAS 팀과 함께 2012년 물리학 편지 B(716/1)에서 힉스 보손의 공식 발견을 발표했다.
- 마이크로파 전력 공학: 산업, 농업, 환경 보호를 위한 마이크로파 방사선의 새로운 응용 개발.
과학학교
교수에 의해 설립된 양극화 미디어의 핵 광학 관련 유명한 과학 학교.V.G. 바리셰프스키는 핵 및 초입자 물리학에 대한 연구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왔다.[1]null
나노전자학은[13] 전자기(또는 다른) 방사선이 나노화된 물체 및 나노구조화된 시스템과 상호 작용하여 발생하는 영향을 탐구하는 새로운 연구 분야다.나노 전자학에 관한 과학 학교가 현재 개발되고 있다(교수님이 주임).S.A. 막시멘코와[2] 교수.G.Ya.Slephyan).null
참조
- ^ a b 블라디미르 바리셰프스키 벨라루스 주립대학 핵문제연구소; 공식 웹사이트
- ^ a b 세르게이 A. 막시멘코 벨라루스 주립대학 핵문제연구소; 공식 홈페이지
- ^ a b c d e f g h i j k l Baryshevsky, V.G. (2012). High-Energy Nuclear Optics of Polarized Particles. World Scientific. ISBN 978-981-4324-84-7.
- ^ a b c Baryshevsky, V.G., Feranchuk I.D., Ulyanenkov, A.P. (2005). Parametric X-Ray Radiation in Crystals: Theory, Experiment and Applications. Springer. ISBN 978-3-540-26905-2.
{{cite book}}
: CS1 maint : 복수이름 : 작성자 목록(링크) - ^ Afanasenko, V.P.; et al. (1992). "Detection of proton parametric X-ray radiation in silicon". Phys. Lett. A. 170 (4): 315–318. Bibcode:1992PhLA..170..315A. doi:10.1016/0375-9601(92)90261-J.
- ^ a b Baryshevskii, V.G.,Tikhomirov, V.V. (1989). "Synchrotron-type radiation processes in crystals and polarization phenomena accompanying them". Sov. Phys. Usp. 32 (11): 1013–1032. Bibcode:1989SvPhU..32.1013B. doi:10.1070/PU1989v032n11ABEH002778.
- ^ Tikhomirov, V.V. (1987). "The position of the peak in the spectrum of 150 GeV electron energy losses in a thin Germanium crystal is proposed to be determined by radiation cooling". Phys. Lett. A. 125 (8): 411–415. Bibcode:1987PhLA..125..411T. doi:10.1016/0375-9601(87)90173-3.
- ^ Tikhomirov, V.V. (2007). "Multiple Volume Reflection from Different Planes Inside One Bent Crystal". Phys. Lett. B. 655 (5–6): 217–222. arXiv:0705.4206. Bibcode:2007PhLB..655..217T. doi:10.1016/j.physletb.2007.09.049. S2CID 15874719.
- ^ Tikhomirov, V.V., Tselkov, Yu. A. (2005). "How particle collisions increase the rate of accretion from the сosmological background onto primordial black holes in braneworld cosmology". Phys. Rev. D. 72 (12): 121301(R). arXiv:astro-ph/0510212. Bibcode:2005PhRvD..72l1301T. doi:10.1103/PhysRevD.72.121301. S2CID 119408718.
- ^ Slepyan, G. Ya.; et al. (2006). "Theory of optical scattering by a chiral carbon nano-tubes, and their potential as optical nanoantennas". Phys. Rev. B. 73 (19): 195416. Bibcode:2006PhRvB..73s5416S. doi:10.1103/PhysRevB.73.195416.
- ^ Shuba, M. V.; et al. (2012). "Experimental evidence of localized plasmon resonance in composite materials containing single-wall carbon nanotubes". Phys. Rev. B. 85 (16): 165435. Bibcode:2012PhRvB..85p5435S. doi:10.1103/PhysRevB.85.165435.
- ^ Baryshevsky, V.G.; et al. (1992). "Single crystals of tungsten compounds as promising materials for the total absorption detectors of the e.m. calorimeters". Nucl. Instrum. Methods Phys. Res. A. 322 (2): 231–234. Bibcode:1992NIMPA.322..231B. doi:10.1016/0168-9002(92)90033-Z.
- ^ Maksimenko, S.A. & Slepyan, G.Ya. (2004). Nanoelectromagnetics of low-dimensional structures. SPIE Press: The Handbook of Nanotechnology: Nanometer Structure Theory, Modeling, and Simulation. pp. 145–206.
외부 링크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벨라루스 주립대학과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 벨라루스 주립 대학교 - 공식 웹사이트 벨라루스 주립 대학교
- 벨로루시 주립대학교 핵문제연구소 - 공식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