벨라루스 국립대학 핵문제연구소

Research Institute for Nuclear Problems of Belarusian State University
벨로루시 주립대학의 핵문제 연구기관(INP BSU)
INP logo INP people. October 2012.
확립된1986
연구분야
입자물리학, 나노기술
감독세르게이 A.막시멘코
스태프97 (2014)
주소보브루이스카야 스트리트 11, 민스크, 220030, 벨라루스 공화국
위치민스크 / 벨라루스
소속벨라루스 주립 대학교
웹사이트인프비수에 의해

벨라루스 주립대학의 핵문제연구소(INP BSU)는 벨라루스 민스크에 있는 연구기관이다.그것의 주요 연구 분야는 핵물리학과 입자물리학이다.null

파운데이션

벨로루시 주립대학의 핵문제 연구소는 1986년 9월 1일 구소련 정부령에 의해 설립되었다.null

먼저 총장, 지금 명예 감독:블라디미르 G. Baryshevsky,[1]닥터 과학(Phys-Math), 교수님, Honored 과학 벨라루스, 주 상은 벨라루스의 과학과 기술의 밭에서 우승자는 Skarina 질서와 의장대 주문 2개의 등록된 발견의 공동 수상했다.월핵물리학에서의 USSR (N 224 (1979년)과 N 360 (1981).null

세르게이 A 교수막시멘코는[2] 2013년 1월부터 INP 총책임자로 임명되었다.null

주요 연구 분야

  • 핵 및 초등 물리학, 코스모-광물 물리학 및 핵 천체 물리학.
  • 초고온 및 압력에서 물질의 극한 상태와 에너지의 자기적 응집
  • 새로운 복합 재료, 나노 및 마이크로 구조 재료
  • 방사성 선원, 가속기 및 원자로에 기반한 무선 및 핵 기술
  • 전리방사선 측정을 위한 새로운 방법

가장 중요한 업적

  1. 결정체를 통과하는 충전된 입자에 의해 생성되는 새로운 유형의 방사선인 파라메트릭 X선 방사선(PXR)이 이론적으로 예측되어 처음으로 실험적으로 관찰되었다.[3][4]
  2. 결정에서 고에너지 양자에 의해 생성된 PXR은 고에너지물리연구소(프로트비노, 러시아)의 입자 가속기에서 검출되었고, 전자로부터 PXR 생성의 다파체제가 SIRIUS 가속기(톰스크, 러시아)에서 관측되었다.[3][5]
  3. 결정체를 통해 채널로 전달되는 상대론적 전하 입자(전자, 양전자)에 의해 생성되는 새로운 유형의 방사선이 예측되었다.이 현상은 전 세계 많은 물리학 연구소에서 관찰되었다.[3]
  4. 자기장 내 정형외과-포시트로늄의 3중 붕괴 소멸면의 진동을 이론적으로 예측하고 실험적으로 관찰했다(벨라루스 국립과학원 물리학연구소와 공동으로).[3]
  5. 이전에 알려지지 않은 무오늄 원자의 특성 - 지상 상태의 4극 모멘트 - 는 예측되었고 실험에서 관찰되었다.[3]
  6. 스핀 진동과 스핀 이크로이즘의 존재, 그리고 따라서 비극화 물질로 움직이는 중수체(및 기타 고에너지 입자)의 텐서 양극화 현상이 가정되었다. 스핀 이크로이즘 현상은 독일과 러시아에서 수행된 공동 실험에서 관찰되었다.[3]
  7. 휘어진 결정에서 고에너지 입자의 스핀 회전 현상이 예측됐다.이 현상은 페르밀라브에서 실험적으로 관찰되었다.[3]
  8. CERN에서 결정체에서의 싱크로트론형 전자양전자 쌍생산을 예측하고 관찰했다.[3][6]
  9. 결정체에서 고에너지 γ 퀀타의 이분법 및 이분법 현상이 예측되었다.[3][6]
  10. 결정에서 고에너지 전자의 복사 냉각 효과는 CERN에서 예측되고 관찰되었다.[7]
  11. 새로운 종류의 전자기 방사 생성기 - 부피 자유 전자 레이저 -가 개발되었다.[3][4]
  12. 하나의 휘어진 결정 내부의 서로 다른 평면에서 나온 고에너지 입자의 다중 볼륨 반사의 효과가 예측되었다.이 효과는 CERN에서 관찰되었다.[8]
  13. 자기장에 배치된 원자 및 핵에서 유도된 전기 쌍극자 모멘트의 출현에 따른 CP-비-비-비-비-비-비-비-비-비-비-비-비-비-비-비-비-비-비-변광 물질 현상의 존재는 이론적으로 정당화되었다.[3][4]
  14. 고전압과 고전류의 폭발성 플럭스 압축 발전기가 개발되어 벨라루스의 이 분야의 개척 연구를 주도하였다.[3]
  15. 진화의 초기 단계에서 우주를 채운 상대론적 플라즈마 흡수에 관한 연구를 바탕으로 우주의 존재와 여분의 크기에 부과되는 새로운 제약조건이 원시적인 블랙홀에 의해 발견되었다.[9]
  16. 고립된 유한길이 탄소나노튜브(CNT)에 의한 전자기 방사 산란 이론이 개발되었다.이를 통해 Teraherz 범위에서 흡수 피크의 정성적 및 정량적 해석이 가능했으며, 이는 CNT 함유 복합 재료에서 실험적으로 관찰할 수 있다.[10]
  17. 단벽 탄소나노튜브를 가진 복합재료에서 국부적인 플라스몬 공명의 존재가 실험적으로 확인되었다.[11]이 효과는 새로운 전자파 차폐 재료의 설계와 의학에서 응용 분야를 찾는다.
  18. 높은 에너지 물리학에서 전자기 열량계의 적용을 통해 LHC실험, 즉 CMS와 ALICE과 PANDA 공동 작업에 의해 그 대형 입자 Collider,에 CMS실험 팀의(독일)[12]INP는 부분에서 가장 인기가 많은 섬광 재료 tungstate 섬광 재료, PbWO4(PWO), 개발되었다, 살다whiATLAS 팀과 함께 2012년 물리학 편지 B(716/1)에서 힉스 보손의 공식 발견을 발표했다.
  19. 마이크로파 전력 공학: 산업, 농업, 환경 보호를 위한 마이크로파 방사선의 새로운 응용 개발.

과학학교

교수에 의해 설립된 양극화 미디어의 핵 광학 관련 유명한 과학 학교.V.G. 바리셰프스키는 핵 및 초입자 물리학에 대한 연구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왔다.[1]null

나노전자학은[13] 전자기(또는 다른) 방사선이 나노화된 물체 및 나노구조화된 시스템과 상호 작용하여 발생하는 영향을 탐구하는 새로운 연구 분야다.나노 전자학에 관한 과학 학교가 현재 개발되고 있다(교수님이 주임).S.A. 막시멘코와[2] 교수.G.Ya.Slephyan).null

참조

  1. ^ a b 블라디미르 바리셰프스키 벨라루스 주립대학 핵문제연구소; 공식 웹사이트
  2. ^ a b 세르게이 A. 막시멘코 벨라루스 주립대학 핵문제연구소; 공식 홈페이지
  3. ^ a b c d e f g h i j k l Baryshevsky, V.G. (2012). High-Energy Nuclear Optics of Polarized Particles. World Scientific. ISBN 978-981-4324-84-7.
  4. ^ a b c Baryshevsky, V.G., Feranchuk I.D., Ulyanenkov, A.P. (2005). Parametric X-Ray Radiation in Crystals: Theory, Experiment and Applications. Springer. ISBN 978-3-540-26905-2.{{cite book}}: CS1 maint : 복수이름 : 작성자 목록(링크)
  5. ^ Afanasenko, V.P.; et al. (1992). "Detection of proton parametric X-ray radiation in silicon". Phys. Lett. A. 170 (4): 315–318. Bibcode:1992PhLA..170..315A. doi:10.1016/0375-9601(92)90261-J.
  6. ^ a b Baryshevskii, V.G.,Tikhomirov, V.V. (1989). "Synchrotron-type radiation processes in crystals and polarization phenomena accompanying them". Sov. Phys. Usp. 32 (11): 1013–1032. Bibcode:1989SvPhU..32.1013B. doi:10.1070/PU1989v032n11ABEH002778.
  7. ^ Tikhomirov, V.V. (1987). "The position of the peak in the spectrum of 150 GeV electron energy losses in a thin Germanium crystal is proposed to be determined by radiation cooling". Phys. Lett. A. 125 (8): 411–415. Bibcode:1987PhLA..125..411T. doi:10.1016/0375-9601(87)90173-3.
  8. ^ Tikhomirov, V.V. (2007). "Multiple Volume Reflection from Different Planes Inside One Bent Crystal". Phys. Lett. B. 655 (5–6): 217–222. arXiv:0705.4206. Bibcode:2007PhLB..655..217T. doi:10.1016/j.physletb.2007.09.049. S2CID 15874719.
  9. ^ Tikhomirov, V.V., Tselkov, Yu. A. (2005). "How particle collisions increase the rate of accretion from the сosmological background onto primordial black holes in braneworld cosmology". Phys. Rev. D. 72 (12): 121301(R). arXiv:astro-ph/0510212. Bibcode:2005PhRvD..72l1301T. doi:10.1103/PhysRevD.72.121301. S2CID 119408718.
  10. ^ Slepyan, G. Ya.; et al. (2006). "Theory of optical scattering by a chiral carbon nano-tubes, and their potential as optical nanoantennas". Phys. Rev. B. 73 (19): 195416. Bibcode:2006PhRvB..73s5416S. doi:10.1103/PhysRevB.73.195416.
  11. ^ Shuba, M. V.; et al. (2012). "Experimental evidence of localized plasmon resonance in composite materials containing single-wall carbon nanotubes". Phys. Rev. B. 85 (16): 165435. Bibcode:2012PhRvB..85p5435S. doi:10.1103/PhysRevB.85.165435.
  12. ^ Baryshevsky, V.G.; et al. (1992). "Single crystals of tungsten compounds as promising materials for the total absorption detectors of the e.m. calorimeters". Nucl. Instrum. Methods Phys. Res. A. 322 (2): 231–234. Bibcode:1992NIMPA.322..231B. doi:10.1016/0168-9002(92)90033-Z.
  13. ^ Maksimenko, S.A. & Slepyan, G.Ya. (2004). Nanoelectromagnetics of low-dimensional structures. SPIE Press: The Handbook of Nanotechnology: Nanometer Structure Theory, Modeling, and Simulation. pp. 145–206.

외부 링크



좌표:53°53′34″N 27°32′49″E/53.89278°N 27.54694°E/ 53.89278; 27.546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