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우벤 G. 소더스트롬
Reuben G. Soderstrom르우벤 G. 소더스트롬 | |
---|---|
![]() 1954년 소더스트롬 연설 | |
일리노이 AFL-CIO 제1대 대통령 | |
재직중 1958–1970 | |
선행자 | 새로운 조직 |
성공자 | 스탠리 존슨 |
제22대 일리노이 주 노동 조합 회장 | |
재직중 1930–1958 | |
선행자 | R.G. 피치 |
성공자 | 해체된 조직 |
일리노이 하원의원 | |
재직중 1918–1920 | |
선행자 | 올레 벤슨 |
성공자 | 존 윌리 |
재직중 1922–1936 | |
선행자 | 존 윌리 |
성공자 | 예레미야 월라스 |
개인내역 | |
태어난 | 루벤 조지 소더스트롬 1888년 3월 10일 웨이벌리, 미국 미네소타 주 |
죽은 | 1970년 12월 15일 미국 일리노이 주 슈트레터 | (82)
정당 | 불무스 (1918년 이전) 공화당 (1918–1936) 언소속 (1937-1970) |
배우자 | 잔 쇼 (m.1951년 사망) |
아이들. | 칼 로즈 잔 |
거주지 | 일리노이 주 스트레터 |
직업 | 라이노티피스트, 노동 지도자 |
르우벤 조지 소더스트롬(Leuben George Soderstrom, 1888년 3월 10일 ~ 1970년 12월 15일)은 미국의 조직 노동 지도자로서 1930년부터 1970년까지 일리노이 주 노동 연맹(ISFL)과 일리노이 AFL-CIO의 회장을 역임하였다. 시카고와 일리노이 정치의 핵심 인물인 그는 1955년 AFL-CIO 구성 이후 국가 노동 정책을 규정하는 데 도움을 줌으로써 미국 노동사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기도 했다. 소더스트롬은 그의 지지와 그가 대표했던 130만 명이 넘는 노동자들의 표를 얻기 위해 여러 미국 대통령들에게 조언을 구했고 구애를 받았다.[1][2] 미국 노동사상 최장수 국가연맹 총재를 지낸 그는 반노무법을 통과시켜 조직의 회원을 5배로 키워 미국에서 가장 강력한 노동기구 중 하나로 만들었다.[3]
초년기
르우벤 소더스트롬은 1888년 3월 10일 미네소타주 웨이벌리 서쪽의 작은 농장에서 태어났다. 그는 존 프레데릭 소더스트롬과 안나 구스타파바 에릭손 사이에서 태어난 6명의 자녀 중 둘째로, 스몰랜드 출신 스웨덴 이민자와 얀트랜드가 각각 태어났다. 자유 교회 전도사이자 무역에 종사하는 코블러인 존은 농부가 되려고 했다. 그는 1886년 가족의 자산을 활용해 토지, 종자, 장비를 구입했다. 그의 노력은 실패로 돌아갔고, 10년도 채 되지 않아 소더스트롬 가문은 빚더미에 올라앉았다.[4]
1898년 존은 10살 난 루벤을 미네소타 코카토에 있는 이웃의 대장장이 밑에서 일하도록 보내 그 가족의 밀린 돈을 갚게 했다. 2년 후, 르우벤은 더 나은 임금을 찾아 일리노이 주 스트레이터의 광산촌으로 혼자 여행을 갔다. 그는 노면 전차 노선과 유리 공장에서 일했고, 이것은 조형적 경험을 증명했다. 그의 누이 올가는 이후 "사람들은 종종 내게 무엇이 그를 감동시켰는지, 그의 삶에서 어떤 일들이 그를 노동운동에 헌신하게 만들었는지 물어본다"고 썼다. "그는 가난을 직접 알고, 아동 노동을 경험했다. 그는 그렇게 어린 나이에 가족과 헤어져야 하는 외로움을 알고 있었다. 이 시절은 그의 형성기였고, 그들은 행복한 시절이 아니었다."[4]
결국 소더스트롬은 부모와 형제들을 슈트레터로 옮길 만큼 충분한 돈을 벌었다. 16세에, 그는 Streator Independent Times에서 인쇄업자의 악마가 되었고, 그곳에서 그는 John E의 지도를 받았다. 일리노이주 노동운동의 초기 지도자 겸 칼럼니스트인 윌리엄스.[5] 그는 소더스트롬을 John Mitchell, Richard Ely, William U'Ren을 포함한 많은 조직화된 노동 이론가, 경제학자, 활동가들의 작품에 소개했다.[6]
소더스트롬은 성부터 중서부를 도제 삼아 조합 라이노티피스트로서의 경력을 추구했다. 미주리 주, 미주리 주, 위스콘신 주, 매디슨 주, 일리노이 주 시카고 주. 1909년 슈트레터로 돌아와 프로페셔널하게 자리를 잡았으며, 1912년 12월 2일 장 쇼와 결혼하였다. 그는 또한 그해 아버지가 돌아가신 후 어머니와 누이에 대한 모든 재정적 책임을 떠맡았다.[4]
정치 경력
소더스트롬은 스트레터 ITU 로컬 328에 가입했고 곧 도시의 노동운동에 고정물이 되었다. 1910년, 그는 지역 집행위원회에 선출되었고, 시 무역 노동 위원회 대표로 지명되었다. 1912년, 그는 그의 지역 무역과 노동 위원회 모두의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1920년 대통령직에서 은퇴한 후, 그는 1936년까지 재직했던 노동위원회의 독서계원이 되었다.[7]
1914년 소더스트롬은 시어도어 루즈벨트 전 대통령의 진보당의 일원으로 일리노이 주 대표 선거운동을 하면서 공직에 첫 출마했다.[8] 궁극적으로 성공하지는 못했지만, 르우벤은 주의 정치 현장에 소개되었다. 4년 후, 일리노이 하원에 공화당 의원으로 선출되었다.[9] 1920년 그의 금주 반대 때문에 크게 패배한 후,[10] 소더스트롬은 1922년 사무실을 되찾아 14년 동안 중단 없이 지냈다.
소더스트롬은 곧 일리노이주 하원의 가장 강력한 노동운동 옹호자로 명성을 얻었다. 그는 입법부를 통해 가처분 제한법(1925년),[11] '노란개' 계약법(1933년),[12] 7법 하루 휴식법(1935년),[13] 노령연금법(1935년) 등 일련의 친노동법안을 작성·양도했다.[14] 그는 교육 기금을 늘렸고, 오늘날 일리노이 노동 및 고용 관계 학교로 알려진 일리노이 대학 노동 및 산업 관계 연구소를 설립하는 것을 도왔다.[15] 그는 또한 노동자들의 보상, 직업병, 연금법에 대한 유리한 개정도 확보했다.
1923년 슈트레이어에서 전국제조업협회의 반노동자 '아메리칸 플랜' 반대운동을 주도했다. 역사적으로 조직된 이 도시는 일리노이 제조 협회(IMA)의 J.M. 글렌 회장이 책임을 주도하면서 NAM의 미국 내 노조 종결을 위한 시도의 중심 전선이 되었다. 그의 지시에 따라 라살레 카운티 보안관은 IMA가 지원하는 무장한 '애국자'들을 대표하여 거리를 가득 메웠다. 표면적으로는 평화를 유지한 혐의를 받고 있는 반면, '수입된 폭력배'들은 파업 노동자들을 위협하고 평화 시위를 무력으로 해산시켰다는 비난을 받았다. 소더스트롬과 그의 동료 노동위원회 위원들이 항의했을 때, 그들은 처벌이 내려졌고 음모로 기소되었다.[16] 감옥의 제재와 위협이 극심했던 반면, 소더스트롬의 저항은 그를 주 전체와 전국적인 관심을 받게 했다. 그 동안 그는 미국노동조합총연맹의 새뮤얼 곰퍼스 대표를 소개받았는데, 그는 그에게 인내심을 갖고 인내심을 갖고 인내심을 갖고 한 번에 한 발짝씩 그것을 할 수 있는 인내심을 가지고 있다면 가장 높은 산을 오를 수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고 충고했다.[17]
1936년, 소더스트롬은 프랭클린 D 대통령을 지지했다. 루즈벨트. 루즈벨트가 일리노이를 52% 대 48%로 도전자 알프레드 랜던에게 패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오자 루즈벨트를 위한 시카고 스타디움에서 전례 없는 집회를 여는 데 일조했다. 루즈벨트는 이후 '매드하우스에서의 만남'[18][19]으로 불렸다. 루즈벨트가 일리노이주에서 승리하고, 소더스트롬이 재선에 패한 반면, 패배는 일반적으로 민주당 대통령에 대한 그의 지지 때문이었다.[20] 소더스트롬은 더 이상 주 대표는 아니지만 ISFL과 일리노이 AFL-CIO의 회장으로 계속 재직했다.
그 때부터, 그는 일반적으로 자신의 재임 기간 내내 공화당과 민주당 정치인들을 지지한다는 AFL 설립자 사무엘 곰퍼스(일반적으로 "우리의 친구들"을 선출하는)가 선호하는 비동맹적, 비당파적 접근법을 추구했다. 소더스트롬은 국가와 국가 차원에서 여러 정부의 고문이 되었다. 그는 대공황과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루즈벨트 대통령의 노동입법에 관한 전국회의에서 프란체스 퍼킨스 노동장관과 긴밀히 협력했다.[21] 그는 아이젠하워 행정부 시절 일터와 공공안전에 중점을 두었으며, 아이젠하워 대통령의 국가간선제 계획 중 고속도로 안전 관련 회의에 참석했다.[22] 대통령 존 F. 케네디는 소더스트롬을 백악관으로 초대하면서 적극적으로 그의 지지를 구했다.[23] 1964년, 린든 B 대통령. 존슨은 소더스트롬의 요청에 따라 직접 주 노동 대회를 연설한 최초의 미국 대통령이 되었다.[24]
대통령직
광부들의 위기
1930년 일리노이 주 노동 조합(ISFL)은 존 L. 루이스의 강압적인 지도 아래 최대 노조인 미국 광산 노동자 연합(UMWA)이 분열하면서 위기를 맞았다. 존 워커 ISFL 회장은 UMWA 소속으로 그와 그의 진보적 광부들이 UMWA에서 탈퇴하고 "합법적인" 광부조합이라고 주장하자 사임할 수밖에 없었다. 일리노이 UMWA 광부의 85%가 워커 편을 들었고 ISFL 회원 수는 20만명 이하로 급감했다.[25]
뚜렷한 후계자가 없는 상황에서 ISFL 집행위원회는 그의 정치적 통찰력이 위기 안정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희망으로 42세의 소더스트롬에게 접근했다. 그는 수락했고 정식 투표가 있을 때까지 임시 대통령으로 임명되었다.[26] 소더스트롬은 1930년 ISFL 컨벤션에서 Walker와의 친분에도 불구하고 PMA에 대해 단호히 반대했다. 이 조치는 PMA를 소외시켰고 중요한 순간에 UMWA를 안정시키는데 도움을 주었다.[27] 소더스트롬은 곧 공식적으로 ISFL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
대공황
광부들의 위기가 진정되기 시작했을 때, 더 큰 위협이 나타났다: 대공황이다. 1933년까지 노동자 4명 중 1명은 놀고 있었다.[28] 르우벤은 입법, 선동, 채용이 뒤섞여 위기를 타개했다. 그는 실업보험과 주당 근로시간 단축을 포함한 구제입법을 위해 싸웠고, 모든 노동자들에게 " 빼앗겨서는 안 되는 노동권이 있다"[29]고 선언했다. 그는 그라운드에서 노조의 노력을 강화하고 일리노이를 횡단하여 파업과 조직적인 노력을 지지했다.[30] 무조직 노동자뿐 아니라 기존에 ISFL에 가입하지 않은 기성 노조에도 집중하는 등 거침없는 영입 운동을 펼치기도 했다.[31] 그 결과 소더스트롬은 대공황과 르우벤의 미국노동자연맹(AFL)의 라이벌인 산업단체총회(CIO) 구성에도 불구하고 회원 수가 급증했다.[32]
소더스트롬은 또한 조직 범죄와 그것이 노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항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였다. 존 피츠패트릭 시카고노동조합총연맹(Chicago Fedzpatrick) 총재와 긴밀히 협력하면서 노동자와 기업체로부터 불법적인 '페일'을 갈취하기 위해 조직 노동의 대표라고 거짓으로 주장한 '노동광'자들을 색출하고 체포하려 했다.[33] 그의 노력은 일리노이 폭력배들의 분노를 샀고, 그들은 그의 차를 파괴하고 그를 납치하려고 시도했다.[34]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소더스트롬은 내무 전선을 조직하는 데 앞장섰다. 그는 국방산업 내에서 노동계의 파업금지 조직화 약속을 이행하는 데 동참해 도왔다.[35] 일리노이주는 246,845대 이상, 탱크 75,000대, 해군 함정 56,696대, 화기 15,454,714대, 탄약 3700억 발 이상을 생산함으로써 한국의 전시 제조의 중심지가 되었다.[36] 르우벤은 전쟁 생산 위원회, 전쟁 인력 위원회, 일리노이 주 계획 위원회의 일원으로서 그 노력을 감독하는 것을 도왔다. 그는 노동자의 안전을 특별히 강조했고 입법부와 일리노이 안전보건 위원회와 산업안전 자문 위원회의 일원으로서 과로에 대해 강하게 밀어붙였다. 그는 전쟁 자금을 모금하여 전쟁 본드를 홍보하고 연방 전쟁 저축 위원회에서 일했다. 전쟁이 끝날 무렵, 그는 AFL의 평화 및 전후 문제 위원회의 일원으로서 전후 계획 노력을 구체화하는 데 일조했다.[37]
소더스트롬은 전국적으로 반노동 감정이 고조되던 시절 일리노이주의 노동이익을 진전시켰다. 그는 일리노이 대학교의 노동 연구소 설립뿐만 아니라, 저렴한 주택과 노동자들의 보상과 실업 수당을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한 친노동자 법안을 통과시켰다. 그는 또한 16개 주를 휩쓴 "작업권" 법안 통과를 위한 반복적인 시도를 좌절시켰다. 그것은 부분적으로는 주 내의 파업을 억제하려는 조직적인 노력과 공화당 대통령 후보 출마를 고려하던 한때 적수였던 그린 주지사와의 새로운 정치적 연대를 통해 이루어졌다.[38]
AFL-CIO 합병
소더스트롬의 영향력은 전후 시대에도 계속 확대되었다. 그의 노력의 직접적인 결과로 일리노이주는 1940년대 후반 나라를 뒤흔든 반노동 입법의 물결에 휩쓸리지 않은 유일한 주 중 하나였다.[39] 국가적으로, 그는 AFL의 강력한 결의 위원회의 장관으로서 영향력을 행사했다. 그는 전국의 내분을 해결하고 해외 AFL을 대표하기 위해 루벤을 개인 대표로 거듭 파견한 윌리엄 그린 AFL 국가총재의 개인적 신임을 얻었다.[40][41] 그린의 후임자인 조지 메이니가 두 노동 조직을 합병하기 위해 CIO 상대방과 대화를 시작했을 때, 소더스트롬은 소수의 지도자 중 한 사람이자 워싱턴 DC에서 합의안을 도출하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 선택된 유일한 주 대통령이었다.[42][43] 1958년 자신의 일리노이 주 연방(Illinois State Federation)이 CIO 상대방과 합병되었을 때, 르우벤은 새로운 일리노이 AFL-CIO의 초대 회장으로 선출되었다.[44]
민권

시민권 시대에, 르우벤은 평등을 일터에 가져오기 위해 일했다. 그는 일리노이 공정 고용 관행 위원회(FEPC)법과 차별 철폐를 위한 다른 입법 노력을 지지했다.[45] 그는 1953년 유대인 노동위원회로부터 정식으로 예우를 받은 초기 국가인 이스라엘에서 유대인의 권리와 조직화를 위한 노력을 강력히 지지했다.[46] 1964년 마틴 루터 킹 주니어가 시카고에서 시민권을 위한 집회를 주도했을 때, 르우벤은 명예의장을 역임하고 일리노이에서 그를 환영했다.[47] 행사가 끝난 후, 르우벤은 킹 박사를 직접 초청하여 다음 해에 행한 일리노이 AFL-CIO 컨벤션에서 기조연설을 하였다.[48] 다수의 민권 지도자들은 일리노이 AFL-CIO가 킹의 후계자인 랄프 애버나시를 포함한 루벤의 요청에 앞서 연설했다.[49][50]
가족
소더스트롬은 어린 시절부터 가족의 일차적인 부양자였으며 1959년 어머니가 세상을 떠날 때까지 계속 어머니를 돌보았다.[51] 그는 형제들, 특히 여동생 올가와 형제 폴과 라페와 친했는데, 1940년 시카고에서 음주 운전자에게 살해당하면서 노동 정치에서 자신의 경력이 단절되었다. 그는 1912년에 쟌느 쇼와 결혼했고, 두 아이, 즉 칼과 로즈 쟌을 낳았다. 칼은 그의 아버지가 1950년에 가지고 있던 일리노이 하원 의석을 차지함으로써 그의 아버지의 뒤를 따랐다. 그의 딸 잔은 스트레터 고등학교의 선생님이자 상담사였다. 1941년 칼 소더스트롬은 스트래터 출신 버지니아 메리너와 결혼했다. 이 커플은 칼 주니어, 버지니아 잔, 로버트, 제인, 윌리엄 루벤 등 다섯 명의 자녀를 두었다.
그는 스트레터 시에 헌신했고, 양친 고향을 떠나기보다는 시카고와 스프링필드에 있는 그의 사무실로 출퇴근하는 것을 택했다. 2012년 9월 2일, 시는 그에게 르우벤 G. 소더스트롬 동상과 기념광장의 헌신을 기렸다.[52]
죽음과 유산
1970년 9월 12일, 소더스트롬은 일리노이 AFL-CIO의 명예회장으로 임명되었다.[53] 그는 석 달 후인 1970년 12월 15일 고향인 스토레터에서 82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54]
마흔 개벨스 전기
소더스트롬의 권위 있는 3권짜리 전기 마흔 개벨: 《Life of Reuben Soderstrom》과 일리노이 AFL-CIO는 2018년 2월 28일에 개봉되었다. 소더스트롬이 매년 열리는 주 노동 회의에서 받은 의식적인 의사봉을 따서 명명된 Four Gavels는 한 세기의 역사에 걸쳐 있으며, 매년 그 주제를 문서로 자세히 검토한다. 이 전기는 또한 2,250개가 넘는 역사적 기록물들의 사진과 이미지들을 담고 있다. 40개벨스는 칼 W. 소더스트롬, 로버트 W. 소더스트롬, 크리스 M에 의해 쓰여졌다. 스티븐스,[55] 앤드류 버트, 케빈 에반스의 그래픽 디자인. 현재까지 이 전기 시리즈는 2019년 차세대 인디 북 어워드 전기 및 종합 디자인, 2018년 미국 북페스트 전기 및 인테리어 디자인 최우수 도서상, 2018년 미국 인디 인디 우수 전기상 등 여러 상을 수상했다. 2019년 책 전문이 온라인에 공개됐다.
르우벤 G. 소더스트롬 플라자
르우벤 G. 소더스트롬 플라자는 2012년 9월 2일 일리노이 주 슈트레터에 헌납되었다. 팻 퀸 일리노이 주지사가 공식적으로 "루벤 소더스트롬의 날"로 선포한 이 날은 소더스트롬이 그랜드 마셜로 추서된 하루 동안의 축하와 노동절 퍼레이드를 특징으로 했다.[56] 플라자에는 피오리아 조각가 로니 스튜어트가 만든 소더스트롬의 청동상이 그려져 있으며 소더스트롬의 인용구를 담은 12개의 현판이 장식되어 있다. 이 광장은 데이비드 라이크스와 노동자 지역 #393, 벽돌공 #6, #21, 전기공 #176, 배관공 #130, 운영기사 #150, 시멘트메이슨 #11, 일리노이 밸리 빌딩 트레이드가 기부한 노동을 통해 지어졌다. 조경은 제프 베르펠트에 의해 제공되었다.[57]
르우벤 G. 소더스트롬 재단
'일리노이 AFL-CIO 대통령 르우벤 G. 소더스트롬의 업무와 비전을 보존하고 홍보하기 위한 전담기구'인 '루벤 G. 소더스트롬 재단'이 2017년 설립됐다.[58] 이 재단은 텍스트 및 시청각 기록의 디지털 아카이브를 확대하고 있으며, 르우벤 소더스트롬의 생애와 유산을 기념하는 작품과 노력을 홍보하고 있다.
슈트레터 공공도서관
2017년 교육받지 못한 르우벤이 청소년 시절 직접 교육한 슈트레터 공립도서관은 르우벤 G. 소더스트롬 재단으로부터 후한 기부금을 받았다. 그 자금은 도서관의 열람실을 대대적으로 개조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59]
일리노이 대학교 노동헌신학교
2019년 9월 13일 일리노이 대학교 어바나 샴페인은 르우벤 소더스트롬 동상을 형상화한 노동고용관계학교(LER)와 연결된 야외 공유지인 소더스트롬 플라자를 공식 개장했다.[60] 그 동상과 광장은 물론, 부여된 교수직도 소더스트롬 가족 자선 신탁이 선물했다. 페트리 쿤네 사는 또한 이 동상을 광장에 세우기 위해 시간과 노력을 기부했다.
참조
- ^ Hodgson, Olga (1974). Reuben G. Soderstrom (PDF). Kankakee, IL. pp. 17–18.
- ^ Soderstrom, Carl; Soderstrom, Robert; Stevens, Chris; Burt, Andrew (2018). Forty Gavels: The Life of Reuben Soderstrom and the Illinois AFL-CIO. Vol. 3. Peoria, IL: CWS Publishing. pp. 221–222, 237–238. ISBN 978-0998257532.
- ^ Lewin, Robert M. (March 10, 1966). "Soderstrom: Labor's One of a Kind" (PDF). Chicago Daily News. Retrieved May 10, 2018.
- ^ a b c Hodgson, Olga (1974). Reuben G. Soderstrom (PDF). Kankakee, IL. pp. 3–5.
- ^ Bennett, Dale Lee (1966). The Labor Movement of Streator, Illinois, 1868 to 1933. Urbana, Illinois: University of Illinois. p. 18.
- ^ 소더스트롬, 루벤 밀턴 더버의 인터뷰. 녹취록, 1958년 5월 23일 일리노이 대학 자료실 7페이지
- ^ Soderstrom, Carl; Soderstrom, Robert; Stevens, Chris; Burt, Andrew (2018). Forty Gavels: The Life of Reuben Soderstrom and the Illinois AFL-CIO. Vol. 1. Peoria IL: CWS Publishing. p. 105. ISBN 978-0998257532.
- ^ Illinois, Office of the Secretary of State (1915). Blue Book of the State of Illinois, 1915-1916. Danville, IL: Illinois Printing Company. p. 720.
- ^ Illinois, Office of the Secretary of State (1919). Blue Book of the State of Illinois, 1919-1930. Danville, Illinois: Illinois Printing Company. p. 663.
- ^ "Soderstrom Defeated". Streator Independent Times. September 20, 1920.
- ^ "Streator Honors Soderstrom". Illinois State Federation of Labor Weekly News Letter. July 25, 1925.
- ^ "Corporate Tax Bill is all but Killed by House". The Chicago Tribune. June 30, 1933.
- ^ "Horner Vetoes Teachers' Bill". The Decatur Daily Review. July 9, 1935.
- ^ Douglas, Paul (June 25, 1935). "Illinois Belatedly Aids Aged". The Decatur Herald.
- ^ Soderstrom, Carl; Soderstrom, Robert; Stevens, Chris; Burt, Andrew (2018). Forty Gavels: The Life of Reuben Soderstrom and the Illinois AFL-CIO. Vol. 2. Peoria, IL: CWS Publishing. p. 42. ISBN 978-0998257532.
- ^ Soderstrom, Carl; Soderstrom, Robert; Stevens, Chris; Burt, Andrew (2018). Forty Gavels: The Life of Reuben Soderstrom and the Illinois AFL-CIO. Vol. 1. Peoria, IL: CWS Publishing. pp. 165–167. ISBN 978-0998257532.
- ^ 소더스트롬, 루벤 밀턴 더버의 인터뷰. 녹취록, 1958년 5월 23일 일리노이 대학 자료실 13페이지
- ^ Storm, Frederick (October 14, 1936). "Roosevelt Address Tonight Last Opportunity to Swing Illinois' 29 Votes Into Line". Oakland Tribune.
- ^ Storm, Frederick (October 15, 1936). "Roosevelt Given Tumultuous Reception by Chicago Crowd". Marshall Evening Chronicle.
- ^ Soderstrom, Carl; Soderstrom, Robert; Stevens, Chris; Burt, Andrew (2018). Forty Gavels: The Life of Reuben Soderstrom and the Illinois AFL-CIO. Vol. 2. Peoria, IL: CWS Publishing. p. 116. ISBN 978-0998257532.
- ^ 소더스트롬, 칼; 소더스트롬, 로버트; 스티븐스, 크리스; 버트, 앤드류(2018). 40개벨: 르우벤 소더스트롬과 일리노이 AFL-CIO. 2. 피오리아, IL: CWS 출판. 페이지 127. ISBN 978-0998257532.
- ^ 소더스트롬, 칼; 소더스트롬, 로버트; 스티븐스, 크리스; 버트, 앤드류(2018). 40개벨: The Life of Reuben Soderstrom and Illinois AFL-CIO 3. Peoria, IL: CWS Publishing. 페이지 81-82. ISBN 978-0998257532
- ^ 소더스트롬, 칼; 소더스트롬, 로버트; 스티븐스, 크리스; 버트, 앤드류(2018). 40개벨: The Life of Reuben Soderstrom and Illinois AFL-CIO 3. Peoria, IL: CWS Publishing 220–223. ISBN 978-0998257532
- ^ 소더스트롬, 칼; 소더스트롬, 로버트; 스티븐스, 크리스; 버트, 앤드류(2018). 40개벨: The Life of Reuben Soderstrom and Illinois AFL-CIO 3. Peoria, IL: CWS 출판. 페이지 234–238. ISBN 978-0998257532
- ^ Dubofsky, Melvyn; Van Tine, Warren (1986). John L Lewis: A Biography. Urbana IL: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pp. 116–118. ISBN 0-252-01287-9.
- ^ 소더스트롬, 루벤 밀턴 더버의 인터뷰. 녹취록, 1958년 5월 23일 일리노이 대학 기록 보관소 17페이지
- ^ "Labor Convention Bars Insurgent Miner Delegates". Alton Evening Telegraph. September 16, 1930.
- ^ Crafts, Nicholas; Fearon, Peterr (2013). The Great Depression of the 1930s: Lessons for Toda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pp. 75, 330.
- ^ Proceedings of the 1936 Illinois State Federation of Labor Convention. Chicago, IL: Illinois State Federation of Labor. 1936. p. 22.
- ^ 소더스트롬, 르우벤 소더스트롬. 밀턴 더버의 인터뷰. 녹취록, 1958년 5월 23일 일리노이 대학 자료실 34페이지.
- ^ 소더스트롬, 루벤 "이세이: Federation Is Growing," 1952년 8월. 아브라함 링컨 대통령 도서관.
- ^ "Illinois Labor Federation Head Defends His Work". Freeport Journal-Standard. August 7, 1941.
- ^ 소더스트롬, 칼; 소더스트롬, 로버트; 스티븐스, 크리스; 버트, 앤드류(2018). 40개벨: Reuben Soderstrom과 일리노이 AFL-CIO. 2. 피오리아, IL: CWS 출판. 페이지 237-238. ISBN 978-0998257532
- ^ 호지슨, 올가(1974년). 르우벤 G. 소더스트롬 칸카케, 17페이지
- ^ Taft, Phillip (1959). The A. F. of L.: From the Death of Gompers to the Merger. New York, NY: Harper & Brothers. pp. 219–220.
- ^ "Our Production Miracle is Told". Illinois State Federation of Labor Weekly News Letter. March 10, 1945.
- ^ Soderstrom, Carl; Soderstrom, Robert; Stevens, Chris; Burt, Andrew (2018). Forty Gavels: The Life of Reuben Soderstrom and the Illinois AFL-CIO. Vol. 2. Peoria IL: CWS Publishing. p. 295. ISBN 978-0998257532.
- ^ Soderstrom, Carl; Soderstrom, Robert; Stevens, Chris; Burt, Andrew (2018). Forty Gavels: The Life of Reuben Soderstrom and the Illinois AFL-CIO. Vol. 2. Peoria, IL: CWS Publishing. pp. 291, 310, 24, 322. ISBN 978-0998257532.
- ^ "Green Remains GOP Darkhorse". The Edwardsville Intelligencer. October 17, 1947.
- ^ 소더스트롬, 르우벤, 그리고 조지 로슨. 1943년 5월 "L. Central Labority Council of L. F.C. Central Labority Council of L. Central Labority Council of L. Central Labority Commission 1943" 아브라함 링컨 대통령 도서관.
- ^ 존슨, 스탠리 1954년 8월 "소더스트롬 A Francoulder defender". 아브라함 링컨 대통령 도서관.
- ^ 울, 매튜. "Letter to Reuben Soderstrom," 1955년 8월 1일. 아브라함 링컨 대통령 도서관.
- ^ 소더스트롬, 루벤 1955년 7월 25일 "George Meany에게 보내는 편지" 아브라함 링컨 대통령 도서관.
- ^ "State AFL-CIO Elects Soderstrom President". The Decatur Herald. October 8, 1958.
- ^ Kramp, Larry (April 11, 1961). "Fair Employment Passage Bolstered In Springfield". Freeport Journal-Standard.
- ^ "Jewish Labor Unit to Honor Soderstrom". Chicago Daily Tribune. March 8, 1953.
- ^ 밀러, 제이 "Letter to Reuben Soderstrom," 1964년 6월 18일. 아브라함 링컨 대통령 도서관.
- ^ "Address of Dr. Martin Luther King, Jr". Illinois AFL-CIO News Letter. December 4, 1965.
- ^ "Address of Rev. Ralph D. Abernathy". Illinois AFL-CIO Weekly News Letter. December 14, 1963.
- ^ "Address of the Hon. Corneal Davis". Illinois AFL-CIO Weekly News Letter. January 4, 1964.
- ^ Hodgson, Olga (1974). Reuben G. Soderstrom. Kankakee, IL. p. 13.
- ^ "Streator Statue Memorializes Labor Leader". News Tribune. September 4, 2012. Retrieved May 11, 2018.
- ^ Proceedings of the 1970 Illinois AFL-CIO Convention. Chicago, IL: Illinois AFL-CIO. 1970. p. 228.
- ^ 1970년 12월 16일, 뉴욕 타임즈, 뉴욕 타임즈, 페이지 50
- ^ "Forty Gavels: The Life of Reuben Soderstrom and the Illinois AFL-CIO". Forty Gavels. Retrieved May 11, 2018.
- ^ 퀸, 팻 일리노이 주지사 선언문 2016년 8월 16일 서명.
- ^ "Statue Dedication: Streator Celebrates "Reuben G. Soderstrom Day" In Illinois". Reuben G. Soderstrom Foundation. Retrieved May 11, 2018.
- ^ "About the Reuben G. Soderstrom Foundation". The Reuben G. Soderstrom Foundation. Retrieved May 11, 2018.
- ^ "Reading Room Dedication". The Reuben G. Soderstrom Foundation. Retrieved May 11, 2018.
- ^ Madigan, Nell (May 9, 2019). "LEP News". Retrieved September 16,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