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처드 H. 제슈케

Richard H. Jeschke
리처드 홀 제슈케
Richard H. Jeschke 001.jpg
USMC의 대령으로 예슈케
태어난(1894-12-22) 1894년 12월 22일
일리노이 주, 라 그란지
죽은1957년 12월 15일 (1957-12-15) (62)
버지니아 주 마크햄
매장지
얼리전스 미국
서비스/지점USMC logo.svg 미국 해병대
근속년수1917–1949
순위US-O7 insignia.svg 준장
서비스 번호0-476
보유된 명령해병대 8연대
1대대, 해병 8대
NB 진주만 해병대 병영
전투/와이어제1차 세계 대전
양쯔 순찰대
, 제2차 세계 대전
수상레지오트 오브 메리트
해군 표창장(2)
관계BG 제임스 드베룩스, USMC(형제)

리처드 홀 제슈케(Richard Hall Jeschke, 1894년 12월 22일 ~ 1957년 12월 15일)는 과달카날 해전 당시 8 해병 연대를 지휘했던 준장 계급의 미 해병대의 훈장 장교였다.이후 유럽 극장에서 활동하였으며 노르망디 침공시칠리아 침공 계획에 참여하였다.

초년기

리처드 H. 제슈케는 1894년 12월 22일 일리노이주 라그랑지에서 태어났다.그는 시카고 대학에 다녔고 1917년에 과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제슈케는 학생 시절 미시간 해군 민병대에서 복무했으나 대학 졸업에 이어 해병대 예비역 임용을 수락하기 위해 임무를 사임했다.1917년 5월 21일 해병대 예비역 중위로 임관하여 즉시 현역으로 소환되었다.제슈케는 메릴랜드주 윈드롭에 있는 해병대 소총사단에 먼저 배치되었고 그곳에서 2개월간의 훈련을 받은 후 버지니아주 마린 막사 콴티코에 배치되었다.[1]

1917년 10월, 제슈케는 중위로 진급하여 전함 USS 뉴욕호에 승선한 해병 분대에 배속되었다.그는 그 배를 미국 대양 함대의 일원으로 대서양으로 항해했고 봉쇄호송 임무에 참여했다.제슈케는 1918년 해병대 막사 콴티코로 복귀하여 대위 진급에 따라 해외 디포에서 근무하게 되었다.[1]

제1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 그는 1919년 3월에 노퍽 해군 야드에 배속되어 교통봉사 임무를 수행하게 되었다.1919년부터 1926년까지 제슈케는 미국 내 여러 직책을 역임한 뒤, 콴티코 해병대학교의 사관학교로 발령받았다.그는 1927년 4월 이 과정을 마치고 이후 필라델피아 해군 야드에서 제6 해병 연대에 배속되어 북경에 있는 미국 공사관을 보호하기 위해 중국으로 항해했다.중국에 있는 동안 해병 3여단 참모로 전보되어 15기총 중대장으로 임명되었다.[1]

1929년 초 중국의 상황은 잠잠해졌고 제슈케는 미국으로 돌아왔다.그는 잠시 동안 샌디에이고 해병대에서 복무하다가 버지니아주 콴티코의 해병대 학교 내 학교 부대의 지휘관으로 임명되었다.제슈케는 캔자스포트 리븐워스지휘 총참모대학에서 과정을 거쳐 1934년 10월 소령으로 승진했다.졸업 후 1936년 8월까지 샌디에이고 해병대 기지에서 근무하다가 워싱턴 D.C.로 전근되어 에드워드 A 준장 휘하의 본부 해병대의 부관 및 감찰부에 임명되었다. 오스터만.[1]

유럽에서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제슈케는 중령으로 진급하고 해병대 막사 패리스도로 전출되어 제임스 C 소장에 참모총장으로 임명되었다. 브레킨리지.

, 제2차 세계 대전

1942년 12월 과달카날에서의 지휘권 변경.알렉산더 M. 패치 소장의 후임으로 알렉산더 A 소장이 있다. 반데그리프트(USMC) 입니다.리처드 H. 제슈케(USMC) 대령이 그들에게 브리핑을 한다.

1941년 12월 7일 일본의 진주만 공습으로 제슈케는 12월 23일 제8해병연대 지휘관으로 임명되었다.제8 해병대는 제2해병여단에 소속되어 미국령 사모아에 방어임무를 위해 출항했다.그의 임무는 적이 미국과 호주, 뉴질랜드 사이의 중요한 통신선을 끊는 것을 막는 것이었다.제슈케는 이후 해변 방어와 요새의 확장 및 개선 과정에서 8번째 해병대를 지휘했다.그는 이후 다가올 공격 작전에 대비하기 위해 연대의 집중적인 정글 훈련을 감독했다.[2]사모아 훈련 중 대령으로 진급했다.[1]

제슈케는 1942년 11월 초 과달카날 룬가 포인트에 도착하여 거의 즉시 일본군과 격렬한 전투를 벌였고, 이후 두 달 동안 계속되었다.8 해병대는 이전까지는 전투 경험이 없었지만, 제슈케의 지휘 아래 사모아에서 8개월간 강도 높은 훈련을 받은 것이 우수 부대가 되도록 도왔다.Jeschke는 서쪽을 향한 마지막 드라이브 동안 8번째 해병대를 지휘했고 1943년 2월 초에 그 섬이 확보되었다고 선언되었다.제슈케는 전투 중 지도력을 인정받아 전투 'V'로 해군 표창장을 수여받았다.그는 또한 그의 첫 해군 대통령 부대 표창장을 받았다.[2]

제슈케 대령은 1943년 5월 초까지 8대 해병대와 함께 있다가 엘머 E 대령에게 안도했다.. 그는 그 후 미국으로 이송되어 본부 해병대에 잠시 파견되었다.[3]이후 제슈케는 헨리 켄트 휴이트 제독의 지휘 아래 지중해에 위치한 서부 해군 기동대의 참모진에서 해병대 작전 및 훈련 장교로 임명되었다.이 자격으로 1943년 7월 시칠리아 침공 계획에 참여하여 두 번째 해군 표창장을 받았다.[2]

시칠리아 캠페인에 이어 제슈케는 영국으로 이양되어 오마르 브래들리 중령 휘하의 제1군에 옵서버로 배정되었고, 이후 부기획관 겸 합동작전관으로서 앨런 굿리치 커크 제독 휘하의 현재 서부해군 기동대 직원으로 복귀하였다.노르망디 침공 계획에 참여하여 브래들리 장군과 함께 상륙하였다.제슈케는 D-데이 기간 동안 커크 제독에게 계속 알렸고 해안가에 있는 최전방 육군 전투부대를 자주 방문했다.D-Day에 대한 그의 업적으로, 그는 전투 "V"를 가진 레지옹 유공자 훈장을 받았고, 또한 프랑스 정부로부터 금성과 함께 프랑스 크로익스게레 1939–1945를 받았다.[2][4][1]

그의 유럽 순방은 1944년 9월, 미국으로 다시 전출되어 워싱턴 D.C.에 있는 본부 해병대에 사병 성과부 및 훈장 및 메달 부문을 담당하는 장교로 배치되면서 끝이 났다.제슈케는 후에 수행 지부장으로 임명되었다.[5]

후기 경력

제슈케 대령은 1945년 10월까지 본부 해병대에서 근무하다가 하와이로 전근되어 해군기지 진주만 해병대 병영부대의 지휘를 맡았다.1947년 12월 미국으로 돌아와 매사추세츠보스턴의 제1 해병대 예비역 소장으로 임명되었다.그의 마지막 임무는 1948년 6월 프랭클린 A 소령 휘하의 캠프 르쥔 제2해병사단 사단장으로 임명되면서 이뤄졌다. 하트.[1]

제슈케는 1949년 5월 1일 해병대를 퇴역시켰고, 전투에서 특별히 추대된 것으로 인해 퇴역자명단의 준장으로 진급되었다.제슈케는 1957년 12월 15일 사망했으며, 부인 마가렛 메리 드베룩스 제슈케(1899–1974)와 함께 알링턴 국립묘지에 안장되어 있다.그들에게는 리처드 홀 제슈케 주니어(1921-2000년)라는 한 아들이 있었는데, 그도 해병대 장교가 되어 대령으로 은퇴했다.그의 처남은 USMC 준장 제임스 드베룩스였다.[6]

장식

여기 리처드 H. 제슈케 준장의 리본 바가 있다.[4]

V
V
Gold star
Bronze star
Bronze star
Bronze star
Bronze star
Bronze star
Bronze star
Bronze star
Bronze star
Bronze star
1열로 전투 "V"가 있는 레지옹 공로 전투 "V"와 별 1개가 포함된 해군 표창장 별 1개 달린 해군 대통령부대 표창장 제1차 세계 대전 승리 메달, 두 개의 전투 클라스
2열로 해병대 원정훈장 양쯔 서비스 메달 베이스 걸쇠가 달린 미국 방위군 훈장 두 명의 서비스 스타와 함께 아시아 태평양 지역 캠페인 메달
3열로 아메리칸 캠페인 메달 유럽-아프리카-중동지역 캠페인 메달(서비스 스타 2명 포함) 제2차 세계 대전 승리 메달 프랑스의 크로익스 드 게레 1939-1945년 금성
군청
선행자 해병대 8연대 지휘관
1941년 12월 23일 – 1943년 5월 3일
성공자

참조

  1. ^ a b c d e f g "Richard H. Jeschke Papers – USMC Military History Division". USMC Military History Division. Retrieved 2017-09-30.
  2. ^ a b c d "A Different War: Marines in Europe & Africa" (PDF). marines.mil. Marine Corps Websites. Retrieved 8 May 2017.
  3. ^ "Marine Corps Chevron, Volume 2, Number 21, 29 May 1943". historicperiodicals.princeton.edu. Marine Corps Chevron –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Retrieved 8 May 2017.
  4. ^ a b "Valor awards for Richard H. Jeschke". valor.militarytimes.com. Militarytimes Websites. Retrieved 21 March 2017.
  5. ^ "Marine Corps Chevron, Volume 3, Number 31, 5 August 1944". historicperiodicals.princeton.edu. Marine Corps Chevron – Princeton University Library. Retrieved 8 May 2017.
  6. ^ "Find a Grave Memorial". findagrave.com. Find a Grave Memorial Websites. Retrieved 8 May 2017.

Public Domain이 기사는 미국 해병대의 웹사이트나 문서의 공개 도메인 자료를 통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