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처드 맥브라이드
Richard McBride리처드 맥브라이드 경 KCMG KC | |
---|---|
![]() | |
브리티시 컬럼비아 16대 총리 | |
재직중 1903년 6월 1일 – 1915년 12월 15일 | |
모나크 | 에드워드 7세 조지 5세 |
주지사 중위 | 앙리구스타브 졸리 드 로트비니에르 제임스 던스무어 토머스 윌슨 패터슨 프랜시스 스틸먼 바나드 |
선행자 | 에드워드 가울러 프라이어 |
성공자 | 윌리엄 존 보우서 |
MLA for Westminster-Dewdney | |
재직중 1898년 7월 9일 – 1903년 10월 3일 | |
선행자 | 콜린 뷰캐넌 검 |
성공자 | 폐지된 지역 |
MLA for Dewdney | |
재직중 1903년 10월 3일 – 1909년 11월 25일 | |
선행자 | 제1회원 |
성공자 | 윌리엄 J. 맨슨 |
예일대 MLA | |
재직중 1909년 11월 25일 – 1912년 3월 28일 | |
선행자 | 스튜어트 알렉산더 헨더슨 |
성공자 | 알렉산더 루카스 |
빅토리아 시티를 위한 MLA | |
재직중 1907년 2월 2일 – 1915년 12월 15일 | |
선행자 | 윌리엄 조지 카메론 리처드 로우 드러리 리처드 홀 제임스 듀발트 맥니븐 |
성공자 | 할란 캐리 브루스터 |
개인내역 | |
태어난 | 대영제국 브리티시 컬럼비아 식민지 뉴 웨스트민스터 | 1870년 12월 15일
죽은 | 1917년 8월 6일 영국 런던 | (46세)
국적 | 캐나다인 |
정당 | 보수적인 |
기타정치 소속. | 정부 |
배우자 | 크리스틴 마거릿 맥길리브레이 (m. 1896) |
아이들. | 여섯 딸 |
모교 | 슐리히 법학대학원 |
직업 | 변호사 |
직업 | 정치가 |
내각 | 광산 장관 (1900–1901) |
KCMG KC인 리처드 맥브라이드 경(1870년 12월 15일~1917년 8월 6일)은 브리티시 컬럼비아의 정치인으로 종종 브리티시 컬럼비아 보수당의 창시자로 여겨진다. 맥브라이드는 1898년 선거에서 처음으로 지방의회에 선출되었고 1900년부터 1901년까지 제임스 던스무어 내각에서 일했다. 맥브라이드는 도의 비당정체제가 불안정해 발전을 저해한다고 봤다. 1903년 6월 이 부지사가 그를 16대 총리로 임명한 후 맥브라이드는 그의 정부가 보수당 행정부였으며 다가오는 선거에 당 노선을 따라 경쟁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1903년 10월 3일, 맥브라이드의 정당인 브리티시 컬럼비아 보수당이 2석 다수를 얻어 정당 노선을 따라 싸운 최초의 지방 선거에서 승리했다.
리처드 맥브라이드는 브리티시 컬럼비아 주 빅토리아에 있는 로스베이 묘지에 매장되어 있다.
브리티시 컬럼비아의 총리
새 보수당 정부는 지출을 줄이고 새로운 세금을 인상함으로써 경제를 안정시키려 했다. 또한 도내 노동법의 진보적인 개혁도 소개했다. 1909년 맥브라이드는 지방 대학의 계획을 발표했고 철도 노선을 더 짓겠다고 약속했다. 그 정당은 1909년과 1912년 선거에서 압승을 거두어 야당이 입법부를 거의 폐쇄시켰다.
맥브라이드의 보수당은 로버트 보든의 연방 보수당과 제휴하여 1911년 연방 선거에서 그들이 집권하는 것을 도왔다. 도는 제1차 세계대전 첫날 독일의 공격 위협으로부터 도를 방어하기 위해 잠수함 2척(HMCS CC-1, HMCS CC-2)을 구입해 점유했다. 지방은 헌법상 군대 유지가 허용되지 않기 때문에 48시간 이내에 명령에 의해 연방정부에 신속히 이양되어 1914년 8월 캐나다 왕립 해군과 함께 복무하게 되었다.[1]
그의 정부는 또한 1915년에 문을 연 이 지방의 첫 번째 대학인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의 설립에 책임이 있었다.
늘어나는 철도 부채와 함께 경기 침체가 도를 강타하면서 정부의 인기는 시들해졌다. 맥브라이드는 1915년 12월 15일 사임하여 1917년 사망한 런던에서 이 지방의 대표가 되었다.
레거시
브리티시 컬럼비아 주 맥브라이드의 작은 공동체는 그가 재임하던 시기에 이 수상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또한 수상 이름을 따서 이름이 붙여진 브리티시 컬럼비아 북부 맥브라이드 강은 스티키네 강의 주요 지류다.
뉴 웨스트민스터에 있는 리차드 맥브라이드 초등학교는 1912년에 지어졌고, 1929년에 현재의 학교가 완공됨에 따라 학교를 불태운 후 인근의 사퍼턴 학교를 교체했다.[2] 밴쿠버의 리차드 맥브라이드 초등학교는 1911년 7월 26일 키틸라노의 맥브라이드 공원을 비롯하여 프리미어 재임 중 그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1차 세계 대전 동안 이 공원은 채소 재배에 사용되었다.) 밴쿠버 섬 스트라스코나 공원의 봉우리인 맥브라이드 산도 이 수상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다.
또한 그를 위해 이름이 붙여진 것은 팻툴로 다리 서쪽 경사로인 뉴 웨스트민스터에 있는 맥브라이드 대로다.
현재, 많은 학교들이 그의 논란이 많은 역사를 바탕으로 이름 바꾸기를 겪고 있다. 그는 아시아인과 원주민, 여성의 참정권에 반대하는 견해를 공개적으로 밝혔으며 재임 기간 내내 그러한 견해를 반영한 입법을 총괄했다.
"리차드 맥브라이드에 관한 것은 무엇인가?
6월 22일 뉴 웨스트민스터 학군에 보낸 서한에서, 리차드 맥브라이드 PAC 임원은 학교의 이름 석상에 대한 그들의 연구 결과의 일부를 요약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 중:
수상 시절(1903~1915) 맥브라이드는 "백인 기원전"를 주창하며 "아시아의 무리"를 저지하려 했다. 그는 일본 노동력이 어업에서 경쟁하는 것과 "백인이 자신의 것이라고 부르기 위해 사용한 모든 것"을 막기 위해 열심히 노력했다.
맥브라이드는 중국 노동자들을 고용한 기업에 대한 세금과 아시아인과 원주민들에게 투표권을 주지 않는 법안 등 수많은 반아시아적 조치들을 통과시키는데 있어 입법부를 이끌었다.
맥브라이드는 1911년 보수당이 연방정부를 구성한 뒤 로버트 보든 총리에게 아시아로부터의 이민을 금지하는 법률을 제정하겠다는 약속을 지킬 것을 촉구했다.
맥브라이드는 수백 명의 시크 승객을 태운 일본 기선의 도킹이 금지되고 대부분의 승객들이 BC에 진입하는 것이 금지되었던 고마가타 마루 사건 당시 최고의 기수였다. 맥브라이드는 "동양인을 대량으로 인정하는 것은 백인의 멸종을 의미할 것"이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수상으로서 맥브라이드는 토착 국가들을 그들의 예비 땅을 빼앗음으로써 경제 발전과 도시의 확장을 위한 길을 터주는 정책을 추구했다.
맥브라이드는 캐나다 전역에서 백인 여성이 득표를 하고 있던 시기에 대표적인 반유대 정치인으로도 정평이 나 있었다. 그는 여성에 대한 프랜차이즈 확대는 남성으로부터 너무 많은 권력을 빼앗을 것이라고 믿었다."[3]
참고 항목
참조
- ^ CC1 및 CC2 — British Columbia의 Submarge Fleet, CFB Esquimalt Navalt and History Museum 웹 페이지 Wayback Machine에 2009-06-26 보관
- ^ "Sapperton Schools Photos McBride-Sapperton Residents' Associ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5-02-14.
- ^ "New West district gets set to rename Richard McBride School". New West Record. Retrieved 2021-05-28.
외부 링크
- 인터넷 아카이브의 Richard McBride에 대한 작업
- 온라인 캐나다 전기 사전 전기
- 브리티시 컬럼비아: Estimate Times에서 현재까지의 E.O.S.의 Vol 4(생물학) 슐레필드와 F.W. 하우이(5-6페이지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