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주권

Right of abode

거주권은 특정 국가에서 개인의 출입국 통제로부터의 자유이다.거주권을 가진 자는 정부의 허가를 받지 않아도 입국할 수 있으며, 제한 없이 거주 및 근무할 수 있으며, (거주권이 취소되지 않는 한) 추방 및 추방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특정 국가에서 거주권을 가지기 위해서는 그 나라의 국민이어야 한다.그러나 일부 국가는 자격이 있는 비시민권자에게 거주권을 부여한다.이것은 일반적으로 말하는 토지권, 생존권 또는 거주권과 구별된다. 예를 들어, 국가의 영주권과 같은 사실상의 거주권은 일반적으로 있지만, 특정 상황에서 취소될 수 있다(사기 또는 국가 안보와 같은 매우 제한된 상황에서만 취소될 수 있는 시민권과 달리).예를 들어 범죄로 유죄판결을 받은 경우나 일부 국가에서는 장기간 결석한 경우, 그리고 많은 경우 그러한 사람들은 출입국 통제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EU, EEA 및 셴겐 협정

유럽경제지역(유럽연합과 아이슬란드, 리히텐슈타인, 노르웨이) 및 스위스 시민들은 고용허가증이나 비자가 필요 없는 참여국가로 여행, 거주 및 일할 수 있는 자유를 누린다.단, 임시국가로 인해 다른 국가에서 일할 수 있는 새로운 회원국의 시민권이 제한될 수 있다.이는 자유롭게 이동 거주할 수 있는 권리의 지침 2004/38/EC에 의해 정의된다.

그러나 다른 EU/EEA 주에서 살 권리는 절대적이지 않습니다.다른 EU/EEA 주에 거주하려면 취업, 구직, 학생, 또는 주최국의 사회 서비스에 부담이 되지 않도록 충분한 재원과 건강보험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주 정부는 또한 다른 EU/EEA 국가의 국민에게 일정 기간 후 당국에 자신의 존재를 등록하도록 요구할 수 있다.EU/EEA 국가는 다른 EU/EEA 국가의 국민들을 추방하고 공공정책, 공공보안 또는 공중위생을 이유로 그들에 대한 배제명령을 내릴 수 있다.예를 들어, 심각한 범죄를 저지르거나 복지에 의존하게 된 사람들은 추방될 수 있다.단, 이러한 제외명령 대상자는 EU 규정에 따라 최장 3년 후에 항소할 수 있어야 한다.어떤 경우에도 EU/EEA 주에서는 다른 EU/EEA 주(州)의 국적을 평생 제외할 수 없습니다.

다른 EU/EEA 주에서 5년간의 중단 없는 합법적 거주 기간을 완료한 EU/EEA 국적은 영구 거주 자격을 얻게 되며, 그 이후에는 더 이상 어떠한 조건도 적용되지 않으며, 복지 등 이전에 퇴거 사유가 되었을 수 있는 혜택을 신청할 수 있다.영주권은 2년의 공백이 있어야만 취소할 수 있다.

셴겐 협정

EU/EEA의 거의 모든 국가는 예외적인 상황에서 일시적으로 국경통제를 확립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지만 참여국 간의 국경통제를 폐지하는 셴겐협정에 서명한 국가의 그룹인 셴겐 지역에 속해 있다.EEA 국가들과 스위스는 셴겐 조약에 서명했다.몇몇 새로운 회원국은 아직 그것을 완전히 시행하지 않았다.

그러나 일부 유럽 국가는 모든 사람이 신분증이나 여권을 소지하도록 요구하며, 국적 증명은 보통 모든 회원국에 거주해야 한다.따라서 셴겐 협정은 국경을 넘는 사람들의 이동을 촉진하지만 거주권에는 실질적인 차이가 없다.

북유럽 여권 연합

북유럽 여권 연합북유럽 국가 시민들에게 여권이나 거주 허가 없이 다른 북유럽 국가를 자유롭게 여행하고 거주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한다.

걸프 협력 회의

걸프협력회의(GCC) 회원국 시민들은 GCC 전체에 걸쳐 거의 아무런 제한 없이 다른 GCC 국가에 거주하거나 일할 수 있는 권리를 포함하여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홍콩

대만

공통 출장 지역

CTA(Common Travel Area)는 영국, 아일랜드 공화국 및 영국의 주변 섬 영토로 구성됩니다.영국과 아일랜드 시민들은 여권과 최소한의 신분증 서류 없이도 CTA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며, 사실상 출입국 통제의 대상이 되지 않는다.양국 국민은 최소한의 제한으로 CTA를 통해 생활하고 일할 권리를 누린다.

영국 또는 아일랜드 시민 추방

다른 EU/EEA 국적자들과 달리, 영국으로 이주한 아일랜드 시민들에게는 무기한 체류 허가를 넘어서는 " 정착자 신분"이 부여된다.추방 자격이 있는 아일랜드 국민은 다른 EU/EEA 국민들보다 더 관대하게 취급되며, 의회가 "영국과 아일랜드 사이의 긴밀한 역사적, 공동체적, 정치적 유대관계"를 고려했기 때문에 범죄로 유죄판결을 받았을 때 자동적으로 추방절차를 밟지 않는다.el 영역"[1]따라서 아일랜드 시민들은 법원에서 양형 또는 그 추방이 공공의 [2]이익에 부합하는 예외적인 상황에서만 영국에서 추방될 수 있다.

아일랜드 법은 영국 시민들에게도 비슷한 보호를 제공한다.영국 시민들은 아일랜드로부터의 추방으로부터 사실상 면제되며, 이 규칙에는 예외가 있지만 법으로 외국인으로 취급되는 경우는 거의 없다.

영국의 영연방 시민

또한 영연방 회원국의 일부 국적은 영연방 시민으로 간주되며 영국을 포함한 다른 영연방 국가에서는 폐지와 투표권 등 다양한 권리를 가지고 있다.게다가 1984년 이전에 태어난 영국인들은 낙태권을 가지고 있다.

만약 어떤 사람이 영국인 어머니가 있고 1984년 이전에 태어났다면, 1971년 이민법 제2조 (1)(b)에 따르면 그들은 영국 시민권과 동일한 권리를 가진 것으로 간주된다.이러한 자에게는 자동적으로 폐기권이 부여되어 여권에 증명서가 발급됩니다.

1971년 이민법 제7조의 예외에 따라 영국에 장기 체류하는 아일랜드인 또는 영연방 시민은 영국에서 최소 5년의 거주기간으로 거주권을 가진 영국 또는 기타 영연방 시민과 마찬가지로 추방 면제를 받을 수 있다.이러한 예외는 영국에 [3]체류할 수 있는 허가를 가진 다른 국가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

영국의 해외 영토

모든 영국 해외 영토는 영국 시민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 시민들에게도 적용되는 자체 이민 통제를 운영하고 있습니다.이들 지역은 일반적으로 해당 지역에서 누가 소유권자 지위를 가지고 있는지를 규제하는 현지 이민법이 있다.

영국

캐나다

헌법에 따르면, 모든 캐나다 국민은 그 나라에 입국하고 체류할 권리가 있다.영주권자는 또한 어떠한 [4]지방이나 영토에서도 제한 없이 거주하거나 생계를 유지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받는다.이것은 영주권을 가진 유일한 외국인 시민이 되게 한다.그러나 영주권자들도 출입국관리 난민보호법에 따라 이 지위가 취소될 수 있다.

사실상의 거주권

많은 나라의 국적법은 외국 시민이 국적을 취득하지 않고 그 나라에 영주하는 것을 허용하고 있다.이 상태는 일반적으로 다양한 기준에 따라 신청 및 선택 후에 부여됩니다.호주, 캐나다, 뉴질랜드, 미국 등에서는 영주권을 가진 외국인 거주자에게 영주권자 지정의 법적 정의를 부여하고 있다.시민권의 모든 권리와 특권을 주는 것은 아니지만, 그러한 개인들이 자유롭게 출입할 수 있도록 하고, 시민들에게 제공되는 사회 프로그램과 다른 서비스들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이것은 법에 따라 철회될 수 있기 때문에 여전히 "사실상의" 거주권 형태로 남아 있다.

완전 영주권자

여기에는 시민권에 접근할 수 있는 경우가 포함됩니다.

  • 뉴질랜드는 호주 시민/영구 거주자에게 뉴질랜드 영주권을 부여합니다.
  • 영국과 아일랜드는 서로의 시민에게 자동 영주권을 부여한다.
  • Nordic Council(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 덴마크 및 아이슬란드) 국가 간에 완전한 영주권이 존재합니다.

장기간의 임시 거주자로서

이 경우 거주권은 있지만 완전한 시민권에는 접근할 수 없습니다.

  • 호주에 있는 뉴질랜드 시민들은 2001년부터 제한된 권리만을 부여한다.
  • EEA 회원국 및 스위스 국민(위의 경우 제외)
  • 미크로네시아 연방(FSM), 마셜 제도(RMI) 및 팔라우 공화국의 대부분의 시민은 미국에서 거주 및 근무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미국 시민과 그 배우자는 미국과 맺은 자유협정에 따라 이들 주에서 거주 및 근무할 수 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Westminster, Department of the Official Report (Hansard), House of Lords. "Lords Hansard text for 19 Feb 200719 Feb 2007 (pt 0001)". www.publications.parliament.uk.
  2. ^ https://assets.publishing.service.gov.uk/government/uploads/system/uploads/attachment_data/file/870578/HCB104-explanatory-notes-immigration-Bill-2020.pdf[베어 URL PDF]
  3. ^ 1971년 이민법 제7조
  4. ^ "Consolidated federal laws of canada, THE CONSTITUTION ACTS, 1867 to 1982". 7 August 2020.
  • 레너드, 토마스 M.: 개발도상국 백과사전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