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연방 고속도로

Russian federal highways
러시아 연방 고속도로 지도
일반적인 러시아 고속도로 표지판(M8)

Russian federal highways (Russian: Автомобильные дороги федерального значения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tr. 아브토모빌니예도로기 연방의 노고 즈나체니야 로시스코이 페데라티시이; 불이 켜졌다. 러시아 연방에서 연방적으로 중요한 고속도로)는 러시아에서 연방 재산인 가장 중요한 고속도로다. 다음의 자동차 전용도로는 연방으로 지정되어 있다.[1][2]

  • 모든 고속도로
    • 모스크바를 인접국들의 수도와 러시아 연방의 행정 중심지로 연결하는 것. 이들은 국도 표지판에서 접두사 "M"으로 식별된다.
    • 국제 도로망의 일부인 경우: 유럽아시아, 국도 표지판과 동시에 사용되는 국제 노선 표지판에서 접두사 "E"와 "AH"로 식별된다.
  • 일부 고속도로
    • 러시아 연방 대상의 행정 센터를 서로 연결하는 것(국도 기호 "P", 즉 키릴 문자 "R")
    • 분기 및 브리징 도로(국가 접두사 "A"):
      • 주요 교통 노드와 특수 물체로 이어지는 도로에 접근하다.
      • 모스크바와 고속도로가 연결되지 않은 러시아 연방의 행정 중심에서 가장 가까운 바다와 강 항구와 국제 국경까지 도로를 이용할 수 있다.
      • 다른 연방 고속도로를 연결하는 것.

러시아에서 연방 고속도로는 두 가지 범주로 분류된다.

  • "모터웨이/Avtomagistral"(러시아어: марарарарарарарора, ав аара, ва орра)은 영어의 자동차 전용어인 자동차 도로와 같지 않다.
  • "기타".

지역적으로 중요한 도로

The local importance roads in Russia are designated with a letter prefix and a number as well as the OKATO (Общероссийский классификатор объектов административно-территориального деления, Russian classification on objects of administrative division) code for the region.

이러한 도로에는 다음과 같은 접두사가 사용된다.

  • P: 러시아 연방 행정 센터를 연결하는 연방 또는 지역적 중요도의 고속도로
  • A: 분기 및 브리징 도로:
    • 주요 교통 노드와 특수 물체로 이어지는 도로에 접근하다.
    • 모스크바와 고속도로가 연결되지 않은 러시아 연방의 행정중심지에서 가장 가까운 바다와 강 항구와 국제경계까지 도로를 이용할 수 있다.
    • 다른 연방 고속도로를 연결하는 것.
  • K: 지역적으로 중요한 다른 도로의 경우
  • N: 도시 간 중요 도로의 경우

네트워크 맵

러시아의 고속도로 대화형 지도

국제 고속도로

M56 "콜리마"
M54 "예니세이"
M10 "로시야"
M9 "발티야"


고속도로 경로 길이 메모들
M1 모스크바 - 벨로루시와 국경에 있는 스몰렌스크(민스크, 브레스트, 바르샤바까지)
M2 우크라이나와의 국경까지 모스크바(하르코프, 자포로즈혜, 심페로폴, 세바스토폴로)
M3 모스크바 - 칼루가 - 브라이언스크 - 우크라이나와의 국경까지 세브스크(키예프에서 키예프까지)
M4 모스크바 - 보고로디츠크 - 예프레모프 - 예레트 - 자돈스크 - 로스토프-온-돈 - 크라스노다르 - 노보로스시이스크 2013년 6월 현재 전국 유일의 고속도로.
M5 모스크바 - 랴잔' - 펜자 - 사마라 - 우파 - 첼랴빈스크
M6 모스크바 - 탐보프 - 볼고그라드 - 아스트라칸 2018년 R22로 재설계
M7 모스크바 - 블라디미르 - 니즈니 노브고로드 - 카잔 - 우파
M8 모스크바 - 야로슬라블 - 볼로냐 - 아칸겔스크, 코스트로마 시 입구
M9 모스크바 - 라트비아 국경까지 볼로콜람스크
M10 모스크바 - Tver' - 벨리키 노브고로드 - 상트페테르부르크, Tver' 및 Nov 고로드 도시로 들어가는 입구 원래 핀란드 국경까지 운행되었다.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핀란드까지의 국경선은 2018년에 A181로 재설계되었다.
M11 모스크바 – 상트페테르부르크
M11 에스토니아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 세인트 피터버그(탈린에서) 2010년 A180으로 재설계
M12 모스크바-카잔 계획된
M13 브라이언스크 - 벨로루시와 국경에 있는 노보지브코프(고멜, 핀스크, 코브린) 2018년 A240으로 재설계
M18 상트페테르부르크 - 페트로자보츠크 - 무르만스크 - 노르웨이 국경까지 페청가 2018년 R21로 재설계
M19 노보샤흐틴스크 - 우크라이나와의 국경에서 M4 노선까지 Maisky (Kyiv에서 Poltava, Kharkiv) 2018년 A270으로 재설계
M20 상트페테르부르크 - Pskov - Pustoshka - 벨라루스와의 국경까지 네벨로 2018년 R23으로 재설계
M21 볼고그라드 - 우크라이나와의 국경에 있는 카멘스크-샤흐틴스키(Dnipropetrovsk, Chişinău) 2018년 A260으로 재설계
M23 로스토프-온-돈 - 우크라이나와의 국경에 있는 타간록(오데사, 하르키브까지) 2018년 A280으로 재설계
M25 노보로스시스크 - 케르치 해협(심페로폴로 연결) 2018년 A290으로 재설계
M27 Dzhubga - 압하지아/조지아(분산)와의 국경까지 소치(Baku, Tbilisi) 2018년 A147로 재설계
M29 크라스노다르 - 체첸 - 아제르바이잔과의 국경까지 다게스탄(바쿠까지) 2018년 R217로 재설계
M32 사마라 - 볼프 체르니고프카(Olto, Aktobe, Kyzylorada, Shymkent)와 국경을 맞대고 있다. 2018년 A300으로 재설계
M36 첼랴빈스크 - 카자흐스탄과의 국경에 이르는 트로이츠크(코스타나이, 카라간다, 발카시, 알마티) 2018년 A310으로 재설계
M38 옴스크 - 카자흐스탄과의 국경에 있는 체라크(파블로다르, 세메이, 마이캅차이) 2018년 A320으로 재설계
M51 첼랴빈스크 - 노보시비르스크(쿠르간, 이심, 옴스크 경유) 2018년 R254로 재설계
M52 몽골과 국경을 맞대고 있는 노보시비르스크 2018년 R256으로 재설계
M53 노보시비르스크 - 케메로보 - 크라스노야르스크 - 이르쿠츠크, 톰스크 시 입구 2018년 R255로 재설계
M54 크라스노야르스크 - 아바칸 - 몽골과의 국경까지 키질 2018년 R257로 재설계
M55 이르쿠츠크 - 울란우데 - 치타 2018년 R258로 재설계
M56 P258 - 야쿠츠크 - 마가단 2018년 A360 및 P504로 재설계
M58 치타 - 하바롭스크 2010년 R297로 재설계
M60 하바롭스크 - 블라디보스토크 2011년 A370으로 재설계

국도

키릴 р은 표지판에 사용된다.

  • R-1: Brin-Navolok - Mirny - Kargopol' - Pesok - Prokshino, 11P-001로 재설계
  • R-2: 돌마토보 - 냥도마 - 카르고폴'
  • R-5: 볼로냐 - 비테그라 - 푸도즈 - 메드베즈혜고르스크, A119로 재설계
  • R-6: 체레포베츠 - 벨로조르스크 - 리핀 보르
  • R-7: 체크시노 - 토트마 - 니콜스크
  • R-8: 우스티유즈나 - 발다이
  • R-10:
  • R-12 "로타": 핀란드와의 국경까지 무르만스크, 47A-059로 재설계
  • R-18: Byelomorsk to rout R21 "Kola"
  • R-19: 페트로자보츠크 - 보즈네센예
  • R-20: A17번 국도 - 우크라이나와의 국경으로 가는 Dzhankoy
  • R-21 "콜라": 상트페테르부르크 - 페트로자보츠크 - 무르만스크 - 페청가 - 노르웨이와의 국경, 무르만스크 공항, 페트로자보츠크 공항 및 페트로자보츠크 공항의 입구; 구 M18
  • R-22 "카스피안": 카시라 - 탐보프 - 볼고그라드 - 아스트라칸, 탐보프, 사라토프, 엘리스타 도시로 들어가는 입구; 구 M6
  • R-23: 상트페테르부르크 - 프스코프 - 푸스토슈카 - 벨라루스 국경까지의 네벨; 구 M20
  • R-25: Syktyvkar - Yemva - Ukhta
  • R-37: Lodeynoye Pole - Vytegra, 41K-001 및 19K-013으로 재설계
  • R-56: 벨리키 노브고로드 - Pskov - Soltsy - Pokhov; 이전의 A116/1R-56
  • R-72: 블라디미르 - 무롬 - 아르자마
  • R-81: 키네슈마 - 엘나트 - 유례베츠 - 푸슈체 - 츠칼로프스크
  • R-84: Tver - Bezhetsk - Krasny Kholm - Vessegonsk - Ustyuzhna
  • R-85: 비슈니 볼로체크 - 막사티카 - 베제츠크 - 손코보
  • R-87: Rzhev - Selizharovo - Ostashkov
  • R-89: 오스타슈코프 - 볼고베르호비예
  • P-90: 도로 M1 "벨라루스" - Tver
  • R-92: Kaluga - Perremyshl' - Bellev - Orel
  • R-93: 메딘 - 콘드로보 - 칼루가
  • R-96:
  • R-98: 코스트로마 - 수디슬라블' - 마카르예프 - 만투로보 - 게오르기예프스코예 - 베르흐네스코예
  • R-100: 수디슬라블 - 갈리치 - 추흘로마 - 솔리갈리치
  • R-104: Sergiev Posad - Kalyazin - Uglich - Myshkin - Poshekhon'ye - Rybinsk - Cherepovets
  • R-105 "카시모프스코예 고속도로": 모스크바 - 카시모보
  • R-119: 올레 - 리브니 - 엘레트 - 리페츠크 - 탐보프
  • R-120: Orel - Bryansk - 스몰렌스크(Smolensk) - 벨라루스와의 국경, 스몰렌스크(Smolensk)의 입구; 구 A141
  • R-124: Shatsk - Sasovo - Pitelino - Kasimov, 61K-012로 재설계
  • R-125: 니즈니 노브고로드 - 랴즈스크
  • R-132 "금반지": 야로슬라블 - 코스트로마 - 이바노보 - 블라디미르 - 구스-크루살니 - 랴잔 - 미하일로프 - 툴라 - 칼루가 - 비야즈마 - 레제프 - 트베르 - 우글리히 - 야로슬라블; M3 "우크라이나"의 우회
  • R-134: 스몰렌스크 - Vyaz'ma - Zubtsov
  • R-137:
  • R-139: 벨료프 - 오도예프 - 툴라
  • R-152: 로스토프 - 이바노보 - 슈야 - 니즈니노브고로드
  • R-156: 니즈니노브고로드, 아르자마스사란스크
  • R-157: 우렌 - 샤르야 - 니콜스크 - 벨리키 우스티우그 - 코틀라스
  • R-158: 니즈니노브고로드 - 사라스크 - 사라토프
  • R-159: 니즈니노브고로드 - 크라스니예 바키 - 샤쿤야 - 야란스크
  • R-162: 라보트키 - 포레츠코에
  • R-175: Yoskar-Ola - 젤레노돌스크(Jelenodolsk)로 M7 "Volga" 노선, A295로 재설계
  • R-176 "비야트카": 체복사리 - 요카르-올라 - 키로프 - 시크티프카르, 키로프 시 입구; 구 A119
  • R-177 "포베틀루지": 니즈니 노브고로드 - 요스카-올라
  • R-178: Saransk - Sura - Ulyanovsk를 M5 "우랄" 경로로 이동, 73R-178 및 36P-170으로 Samara까지 계속.
  • R-179:
  • R-180: 사란스크에서 M5 "우랄" 경로로 이동
  • R-193: 보로네즈 - 탐보프
  • R-194: 오스트로고츠크행 A144번 도로 - 로소시 - 칸테미로프카
  • R-196: R194번 국도에서 포드고렌스키까지 M4번 국도
  • R-200: 고골리브카 - 수다 - 세메니크히브카 근방의 우크라이나 국경, 유럽 노선 E105유럽 노선 E38에서 세메니크히브카에서 쿠르스크까지 추가 미등록 부분
  • R-207: 펜자 - 발라쇼프 - 미하일로프카~ A260번 노선
  • R-208: 탐보프 - 펜자
  • R-209: Kirsanov - Penza; R208의 일부가 되었다.
  • R-215: 아스트라칸 - 코취베이 - 키즐랴르 - 마하흐칼라, 그로즈니 입구
  • R-216: 아스트라칸 - 리만; R215의 일부가 되었다.
  • R-216 "칼미치카": 아스트라칸 - 엘리스타 - 스타브로폴; 구 A154
  • R-217 "Kavkaz": Route M4 "Don" - Pavlovskaya - Vladikavkaz - Grozny - Makhachkala to the border with Azerbaijan (on to Baku), entrances to Maikop, Stavropol, Cherkessk, Vladikavkaz, Grozny, Makhachkala and Magas; former M29
  • R-221: 볼고그라드 - 엘리스타
  • R-224: 사마라 - 부술루크 - 오렌부르크
  • R-225: 사마라 - 부구루슬란
  • R-226: 사마라 - 엥겔스 - 볼츠키
  • R-226: 사마라 - 사라토프 - 볼고그라드
  • R-227: 시즈란 - 시고니 - 우솔리
  • R-228: 시즈란 - 사라토프 - 볼고그라드, 발라코보 원전 입구
  • R-229: 사마라 - 푸가체프 - 엥겔스 - 볼고그라드, 사마라 우회, 발라코보 및 고니 입구
  • R-231:
  • R-234:
  • R-239: 카잔 - 오렌부르크 - 카자흐스탄과의 국경까지 악불락, 카잔 공항 입구
  • R-240: Ufa - 오렌부르크, Ufa 웨스트 바이패스, 이전 R314
  • R-241:카잔 -울랴놉스크 -부인스크
  • R-242: 퍼머 - 에카테린부르크
  • R-243: 코스트로마 - 샤리아 - 키로프 - 파마
  • R-246: 부굴마 - 부굴루슬란 - 카자흐스탄과의 국경까지 부술루크
  • R-253: Maikop - Labinsk - Koreovsk, A160으로 재설계
  • R-254 "Irtysh": 첼랴빈스크 - 쿠르간 - 옴스크 - 노보시비르스크 - 전 M51
  • R-254: Maikop - Guzeripl' - 백인 주 생물권 보호구역, A159로 재설계
  • R-255 "Siberia": 노보시비르스크 - 케메로보 - 크라스노야르스크 - 이르쿠츠크, 톰스크 시 입구; 구 M53
  • R-256 "Chuysky Trakt": Novosibirsk - Barnaul - Gorno-Altaysk - 몽골과의 국경에 있는 Gorno-Altaysk, Barnaul 및 Gorno-Altaysk의 입구; 이전 M52
  • R-257 "예니세이": Krasnoyarsk - Abakan - Kyzyl - 몽골과의 국경; 이전 M54
  • R-258 "바이칼": 이르쿠츠크 - 울란우데 - 치타, 포드카메나야 및 울란우데 공항 출입구; 구 M55
  • R-263: 네프테쿰스크 - 젤레노쿰스크 - 미네랄니예 바디; A167의 일부가 되었다.
  • R-285: 코추비 - 네프테쿰스크; A167의 일부가 되었다.
  • R-289: 프로클라드니 - 박산; A158의 일부가 되었다.
  • R-285: Kotchoube - Neftekumsk - 젤레노쿰스크 - 미네랄니예 보디
  • R-291: 키즐랴르 - 마하흐칼라; R215의 일부가 되었다.
  • R-291: 도로 M29 (Urvan') - Verkhnyaya Balkariya - Ushtulu; A154로 재설계
  • R-297: Alagir - Nizhniy Zaramag - South Ossetia; 2018년 A164의 일부가 되었다.
  • R-297: 블라디카브카즈 - 알라기르, A162로 재설계
  • R-297 "아무르": 치타 - 네버 - 스보보디니 - 아르카하라 - 바이오비드잔 - 하바롭스크, 블라고베셴스크 입구; 구 M58
  • R-298: Kardzhin - Alagir; A164의 일부가 되었다.
  • R-298: 쿠르스크 - 보로네즈에서 R22 "카스피해" 경로: 이전 A144
  • R-301: 블라디카브카즈 - A161로 재설계된 조지아와의 국경까지 니즈니 라르스
  • R-301: 블라디카브카즈 공항 입구
  • R-314: Ufa - 오렌부르크(Ufa 바이패스 포함), 2010년 R240으로 재설계
  • R-316: 스털리타막 - 벨로레츠크 - 마그니토고르스크
  • R-317: Birsk - Testuba - Satka
  • R-322: 이제프스크 - 사라풀
  • R-330: Shadrinsk to Rout P254 "Irytsh"
  • R-335: 오렌부르크 - 카자흐스탄과의 국경까지 일렉, A305로 재설계
  • R-336: 오렌부르크 - 오르스크
  • R-337: 사라 - 율디배보
  • R-344: Nyvta - Kudimkar, A153으로 재설계
  • R-351: 예카테린부르크 - 티우멘
  • R-352: 에카테린부르크 - 세로프
  • R-354: 예카테린부르크 - 샤드린스크 - 쿠르간
  • R-380: 노보시비르스크 - 카멘나오비 - 바르나울
  • R-384: 노보시비르스크 - 즈후라블리오보 - 레닌스크-쿠즈네츠크 - 케메로보 - 유르가
  • R-384-1: 레닌스크-쿠즈네츠크 - 노보쿠즈네츠크
  • R-400: 톰스크 - 마린스크
  • R-401: Tyumen - 로시노 공항
  • R-402: Tyumen - Yalutorovsk - 이심 - 옴스크
  • R-404: Tyumen - Tobol'sk - Khananty-Mansiysk, Surgut 입구
  • R-409 "예니세이스키이 트라크트": 크라스노야르스크 - 에니세스크, 04K-044로 재설계
  • R-418: 이르쿠츠크 - Ust-Ordynskiy, A332로 재설계
  • R-419: 노선 M53 "바이칼" - 브라츠크 - Ust'-Kut - 미르니 - 야쿠츠크; A331로 재설계
  • R-436: 울란우데 - 로마니브카 - 치타
  • R-437: 로마노프카 - 바그다린
  • R-438 "Barguzinskiy trakt": 울란우데 - 쿠룸칸
  • R-440 "Dzhidinskiy trakt": 구시노우조르스크 - 자카멘스크
  • R-441: 무코르시비르 - 비추라 - 캬흐타
  • R-447: 나홋카 - 라조 - 카발레로보
  • R-448: 라조 - 프레오브라제니예
  • R-449: 레소자보츠크행 A370번 국도 - 고르니예 클류치(A370번 국도)
  • R-454: 하바롭스크 - 콤소몰스크온아무르
  • R-455: 비로비잔 - 레닌스코예 - 데즈네보
  • R-456: 비로펠트 - 아무르제트
  • R-487: 유즈노사할린스크 - 오카
  • R-488: Yuzhno-Sakhalinsk - Korsakov; A391로 재설계
  • R-495: Yuzhno-Sakhalinsk - Kholmsk, A392로 재설계
  • R-504 "콜리마": 야쿠츠크 - 마가단; 전 M56 "콜리마"
  • R-600: 코스트로마 - 이바노보; 이전 A113
  • -: 유즈노사할린스크, 홀름스크

지역 노선

  • A-17: 케르치 - 페오도시아 - 드잔코이 - 심페로폴 - 알루시타 - 얄타
  • A-18: Dzhankoy - 우크라이나와의 국경에 아미안스크(Kherson, Nicolaev, Odessa)
  • A-100 "모자이스코에 도로": R90 노선 모스크바행
  • A-101: Moscow - Maloyaroslavetts - 벨로루시 국경까지 Roslavl (Bobruisk, Slutsk); 2018년 A130으로 재설계
  • A-102: 모스크바 - 류베르티 - 주콥스키 - 라멘스코예
  • A-103 "슈엘코프스코에 쇼세": 모스크바 - Shchelkovo, A107 노선, Shchelkovo 및 Star City 진입로
  • A-104: 모스크바 - 드미트로프 - 두브나
  • A-105: 모스크바 - 도메도보 공항; 이전 M4 노선 "돈"의 일부
  • A-105: "Rublevo-Uspenskoe shosse"; A106으로 재설계
  • A-106 "노보리즈스코에 고속도로": 루블보우센스코에 쇼세
  • A-107: A104번 도로 A104번 도로(모스크바 작은 순환 도로)
  • A-108: 드미트로프 - 드미트로프(모스크바 큰 순환도로)
  • A-109: Ilinskoe shosse (특별한 진입로 포함)
  • A-110: 세메놉스코에로 A108번 도로
  • A-111: M10 "러시아"를 연결하는 주 복합시설 "자비도보"
  • A-112: 체펠레보 - 벨랴미노보
  • A-113: Kostroma - Ivanovo, R600으로 재설계
  • A-113: 모스크바 주와 모스크바의 순환 도로
  • A-114: 볼로냐 - 티흐빈~P21 "콜라" 경로, 피칼레보 입구
  • A-115: 노바야 라도가로 가는 M10 "스칸디나비아"
  • A-116: Novgorod-Pskov (Pokhov, Soltsy); R56으로 재설계
  • A-117: 벨라루스와의 국경까지 오포치카
  • A-118: 성 주변의 벨트웨이 페테르부르크
  • A-119 "비야트카": 체복사리 - 키로프시 입구 시크티브카르; 2018년 P176으로 재설계
  • A-119: Medbezhygorsk - Pudozh - Vitegra - Vologda; 이전 R5
  • A-120: 키롭스크 - 음가 - 가치나 - 볼샤야 이즈호라(상트페테르부르크 남부 하프 링 로드)
  • A-121 "소르타발라": 상트페테르부르크 - R21 "콜라" 경로로 가는 소르타발라; 구 A129
  • A-122 "비보그 고속도로": 상트페테르부르크 A181번 도로
  • A-122: 도로 A114 – Ustyuzhna - Kresttsy - Yazhelbitsy - 벨리키예 루키 - 네벨
  • A-123: 젤레노고르스크 - 프리모르스크 - 비보그, 41A-082로 재설계
  • A-128: 상트페테르부르크 - Vsevolozhsk - Mor'ye, 41K-064로 재설계
  • A-129: 상트페테르부르크 - 소라발라
  • A-129: 상트페테르부르크 - 프리오제르스크 - 소르타발라 - 페트로자보드스크, A121로 재설계
  • A-130: 모스크바 - 말로야로슬라베츠 - 벨라루스와의 국경까지 로슬라블; 구 A101
  • A-131: A130번 국도에서 휴양지 '아크한겔스크'로, 가정집 '보스크레센스코'로, 요양원 및 휴양지 '데스나'로, 2013년 지정취소 후 주 소유로 이전
  • A-132: 스몰렌스크가 M1 "벨라루스"로 가는 길
  • A-133: Lipetsk to Route M4 "Don"
  • A-134: Voronezh에서 M4 "Don" 경로로 이동
  • A-135: 로스토프-온-돈(Rostov-on-Don)을 M4 "돈(Don)" 경로로 연결
  • A-136: Krasnodar를 M4 "Don" 경로로 이동
  • A-137: R21 - Tiksha - Ledmozero - Kostomuksha - 핀란드와의 국경까지
  • A-138: 무르만스크 - 스푸트니크 - 페청가; 현재 R22의 일부
  • A-141: Orel-Bryansk 고속도로에서 M3 "우크라이나" 노선; R120으로 재설계
  • A-141: 브라이언스크 - 스몰렌스크는 벨라루스(루드네프, 비테브스크)와의 국경으로 스몰렌스크, 스몰렌스크 시의 입구.
  • A-142: 트로스나 - 칼리노프카
  • A-143: 탐보프 - 모르샨스크 - 샤츠크
  • A-144: Kursk - Voronezh - Borisoglebsk를 M6 "Caspian" 경로로 연결, 2018년 R298로 재설계
  • A-146: 크라스노다르 - 베르흐네바칸스키
  • A-147: Dzhubga - 소치 - 조지아(아브하지아)와의 국경; 구 M27
  • A-148 "언더스터디 리조트 전망": A147번 국도 - 건설 중인 고속도로 소치
  • A-148: 도로 M27 (Adler) - Krasnaya Polyana, A149로 재설계
  • A-149: 애들러 - Krasnaya Polyana; 이전의 A148
  • A-151: 치빌스크 - 율리아놉스크
  • A-153: Nytva - Kudimkar; 이전의 1R-344
  • A-154: 우르반 - 베르흐냐야 발카리야 - 우슈툴루; 구 R291
  • A-154: 아스트라칸 - 엘리스타 - 스타브로폴 - 2018년 R216으로 재설계
  • A-155 "수쿠미 군사도로": 블라디카브카즈 - 카라차예프스크 - 돔베이 - 그루지야와의 국경 (아브카지아까지)
  • A-156: 레르몬토프 - 체르케스크, A165로 재설계
  • A-156: A155에서 국제휴양지 '아크히즈' 및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천체물리학전망대(A155 이전 지역)로의 진입도로
  • A-157:미네랄니예 보디 공항 - 키슬로보츠크
  • A-158: 프락클라드니 - 박산 - 엘브루스
  • A-159: Maikop - Guzeripl' - 백인 주 생물권 보호구역; 구 R254
  • A-160: Maikop - Ust-Labinsk - Koreovsk; 이전의 1R-253
  • A-161: 블라디카브카즈 - 조지아와의 국경에 있는 니즈니 라르스; 구 R301
  • A-162: 블라디카브카즈 - 알라기르; 구 R297
  • A-163: R217 "카브카즈" 노선 블라디카브카즈 공항
  • A-164: Kultuk - 몽골과의 국경까지 몬디; 2010년 A333으로 재설계
  • A-164 "트랜스캄": 카르진 - 알라기르 - 니즈니 자라마그 - 남오세티아 - 구 R297 및 R298
  • A-165: R297번 국도 "바이칼"(Ulan-Ude) - 몽골과의 국경까지 캬흐타; 2010년 A340으로 재설계
  • A-165: 레르몬토프 - 체르케스크; 구 A156
  • A-166: 중화인민공화국과의 국경에 있는 치타자바이칼스크; A350으로 재설계.
  • A-167: 코추비 - 네프테쿰스크 - 젤레노쿰스크 - 미네랄니예 보디; 구 R263 및 R285
  • A-180 "나르바": 상트페테르부르크 - 에스토니아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 이반고로드, 우스트루가 멀티모달 단지 입구; 이전 M11 "나르바"
  • A-181 "스칸디나비아": 상트페테르부르크 - 핀란드와 국경을 맞댄 비보리; M10의 이전 부분
  • A-181: A370번 국도 "우수리" – Rudnaya Pristan, 2018년 05N-100으로 재설계
  • A-182: A370번 국도 "우수리" - 코롤 - 카멘-리볼로프 - 투리 로그
  • A-183: A370번 국도 "우수리" - 야로슬라브스키 - 자리코보 - 코미사로보
  • A-184: 우수리스크 - 갈렌키 - 중화인민공화국과의 국경까지 리포브츠시
  • A-188: 우글로보예 - 아르템 - 포키노 - 나홋카
  • A-189: 라즈돌노에 - 바라바시 - 크라스키노 - 하산, 국경을 넘어 북한으로 들어간다.
  • A-212: Pskov - 이즈보르스크와 에스토니아 국경(리가까지)
  • A-215: Lodeynoe Pole - Vytegra - Prokshino - Plesetsk - Bryn-Navolok, 페트로자보드스크(카렐리아 내) 및 카르고폴 입구
  • A-216: 그바르데이스크 - 리투아니아 국경까지 네만(시아울리아이, 젤가바, 리구까지)
  • A-217: 칼리닌그라드 - 젤리노고르스크 - 파이오네르스키 - 스베트로고르스크 - 발티이스크 - 스베틀리 - 칼리닌그라드(프리모르스크 순환도로), 흐라브로보 공항, 젤리노그라드스크, 파이오네르스키, 스베트로고르스크 출입구
  • A-229: 칼리닌그라드 - 체르냐홉스크 - 네스테로프 - 리투아니아와의 국경(민스크, 빌니우스 행, M1 "벨라루스" 노선)
  • A-240: Bryansk - Bryansk - 벨라루스와의 국경(Homel, Pinsk, Kobrin); 이전 M13
  • A-260: 볼고그라드 - 우크라이나와의 국경에 있는 카멘스크-샤흐틴스키(키시네프 드니프로페트로프스크에 있음); 구 M21
  • A-270: 루트 M4 "돈" - 우크라이나와의 국경으로 노보샤흐틴스크(Kyiv, Poltava, Kyiv); 이전 M19
  • A-280: 로스토프-온-돈 - 우크라이나와의 국경에 있는 타간록(오데사, 하르키브까지); 이전 M23
  • A-289: Krasnodar - Slavyansk-na-Kubani - Temryuk to Route A290
  • A-290: 노보로스시스크 - 우크라이나와의 국경(심페로폴로)에 케르치, 카브카즈 항과 타만 항에 출입구, 이전 M25
  • A-291 "타브리다": 케르치 - 심페로폴 - 세바스토폴
  • A-295: 요카르-올라 - 젤레노돌스크(Jelenodolsk)로 M7 "볼가" 경로: 이전 1R-175
  • A-298: R208번 국도 - 사라토프 - 프리스탄노에 - 에르쇼프 - 오즈키 - 카자흐스탄과의 국경까지
  • A-300: 사마라 - 카자흐스탄과의 국경에 있는 볼샤야 체르니고프카(우랄스크, 아크티우빈스크, 키질오르다, 샤임켄트); 이전 M32
  • A-301 "조지아 군사도로": Beslan - Vladikavkaz - Nizhniy Lars to Georgia (Twbilisi)와 국경을 맞대고 있다.
  • A-305: 오렌부르크 - 카자흐스탄과의 국경까지 일렉(우랄스크까지); 이전의 1R-335
  • A-310: 첼랴빈스크 - 카자흐스탄과의 국경에 이르는 트로이츠크(코스타나이, 카라간다, 발하쉬, 알마티); 이전 M36
  • A-320: 옴스크 - 카자흐스탄과의 국경선(파블로다르, 세미팔라틴스크, 메이갑찌게이); 구 M38
  • A-321: 바르나울 - 카자흐스탄과의 국경까지 파블로프스크, 바르나울 공항 입구
  • A-322: 바르나울 - 카자흐스탄과의 국경에 있는 루브초프스크(Semipalatinsk); 구 A349
  • A-331 "빌유이": Tulun - Bratsk - Ust'-Kut - Mirny - Yakutsk; 이전 R419
  • A-332: 이르쿠츠크 - Ust-Ordynski - 2012년 지정 취소
  • A-333: Kultuk - 몽골과의 국경까지 몬디; 구 A164
  • A-340: 울란우데 - 몽골과의 국경까지 캬흐타; 구 A165
  • A-349: 바르나울 - 카자흐스탄과의 국경에 이르는 루브초프스크; A322로 재설계
  • A-350: 치타 - 중국과의 국경에 있는 자베이칼스크; 구 A166
  • A-360 "레나": 네버 - 야쿠츠크; 전 M56 "레나"
  • A-361: 중국과의 국경에 이르는 A360번 국도 "레나"
  • A-370 "우수리": 하바롭스크 - 블라디보스토크, 전 M60
  • A-371: 블라디보스토크 - 오스트로프
  • A-375 "보스토크": 하바롭스크 - 크라스니 야르 - 아리아드노에 - 추게프카 - 나홋카, 건설 중인 고속도로
  • A-376: 하바롭스크 - 리도가 - 바니노 - 콤소몰스크-온-아무르, 이전 08A-1
  • A-381: 나리안-마르 - 나리안-마르 공항
  • A-382: 두딩카 - 노릴스크(Alykel Airport)
  • A-383: 투라 - 투라 공항(고니)
  • A-384: 아나디르 - 아나디르 공항
  • A-385: Ust'-Palana - Palana 공항, 2011년 지정 취소 및 국가 소유로 이전
  • A-391: Yuzhno-Sakhalinsk - Korsakov; 이전의 1R-488
  • A-392: 유즈노사할린스크 - 홀름스크; 구 R495
  • A-393: 유즈노사할린스크 - 오카
  • A-401: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 항구 - 엘리소보 공항

도시 페트로파블롭스크캄차츠키, 아나디르, 두딘카, 나리안마르, 살렉하르트, 한티만시스크, 투라도시형 정착지에서 항구, 공항 및 철도역으로의 도로를 이용할 수 있다.

최근 추가 사항

  • 우파-오렌부르크 및 우파 서부 우회 (2008년 12월 24일 발행,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3]

참조

  1. ^ A February 7, 2007 order of the Russian Ministry of Transportation about highway ID numbers (Приказ Министерства транспорта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Минтранс России) от 7 февраля 2007 г. N 16 г. Москва "Об утверждении Правил присвоения автомобильным дорогам идентификационных номеров") (in Russian)
  2. ^ A Russian decree of December 24 1991 (RSFSR) about the list of federal highways, with subsequent amendments by the Russian Federation (Постановление Правительства РСФСР от 24 декабря 1991 г. N 62 "Об утверждении перечней федеральных дорог в РСФСР" (in Russian)
  3. ^ "Decree of the Government of the Russian Federation of December 8, 2008 N 920 Moscow "On Amending the Decree of the Government of the RSFSR of December 24, 1991 N 62"". Rossiyskaya Gazeta. 24 December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