록 어 리틀
Rock a Little록 어 리틀 | ||||
---|---|---|---|---|
![]() | ||||
스튜디오 앨범 | ||||
방출된 | 1985년 11월 18일 | |||
녹음된 | 1984–85 | |||
장르. | ||||
길이 | 45:20 | |||
라벨. | ||||
프로듀서 | ||||
스티비 닉스 연대기 | ||||
| ||||
Rock a Little의 싱글들 | ||||
점수 확인 | |
---|---|
원천 | 순위 |
올뮤직 | ![]() ![]() ![]() ![]() ![]() |
시카고 트리뷴 | (호감)[3] |
뉴욕타임스 | (호감)[4] |
사람 | (긍정적)[5] |
롤링 스톤 | (혼합)[6] |
Rock a Little은 미국의 가수이자 작곡가인 스티비 닉스의 세 번째 솔로 스튜디오 앨범이다.
1985년 말에 발매된 플리트우드 맥은 그들의 앨범 미라지(1982년) 이후 오랜 공백기를 보냈으며, 록 어 리틀은 2주 만에 20위 안에 들었다.이 앨범은 미국 빌보드 200에서 12위로 정점을 찍었고, 발매 한 달 만에 100만 장 이상의 판매고를 올려 미국 음반 산업 협회(RIAA)로부터 플래티넘 인증을 받았다.이 앨범은 또한 영국에서 10만 [7]장 이상의 판매량으로 골드 인증을 받았다.이 앨범은 1986년 미국에서 가장 많이 팔린 앨범 41위에 올랐지만 닉스의 이전 앨범인 벨라 도나(1981년)와 와일드 하트(1983년)에는 미치지 못했다.
록아리틀은 히트 싱글 "Talk to Me"와 "I Can't Wait" (미국 16위)를 프로듀싱했고 닉스의 라이브 쇼 "Has Anyone Ever Writed Anything You?" (미국 60위)의 메인 앵콜을 제작했다.네 번째 싱글 "Imperial Hotel"은 호주에서만 발매되었습니다.
앨범 이력
1983년의 멀티 플래티넘 앨범 The Wild Heart의 후속 프로젝트 녹화는 원래 1984년에 시작되었다."Running Through the Garden"과 "Mirror Mirror"를 포함한 선택된 곡들이 녹음되었다.하지만 닉스는 이 음반들을 폐기하고 오랜 프로듀서이자 로맨틱한 관심사인 지미 이오빈과 헤어졌고 1984년 말 현재 록 어 리틀 프로젝트로 인식되고 있는 작업에 착수했다."Running Through the Garden"은 2003년 플리트우드 맥 앨범 Say You Will에서 완성된 형태로 다시 등장할 것이다.
이 앨범은 녹음하는데 100만 달러가 들었다고 알려져 있으며 (그의 자서전에서 믹 플리트우드에 따르면) 이 가수의 경력에 있어 분수령으로 여겨진다.닉스의 보컬 스타일은 이전 녹음에서보다 두드러지게 허스키하고 비음적이다.마틴 페이지와 버니 토핀이 앨범 수록곡 "These Dreams"를 특별히 작곡했다는 것이 나중에 밝혀졌지만 닉스는 거절했다.그 후 이 곡은 밴드 하트에 의해 녹음되었고 1986년에 그들의 첫 번째 1위 히트곡이 되었다.톰 페티와 데이비드 A. 스튜어트는 또한 앨범의 "Don't Come Around Here No More"를 작곡했지만, 페티가 그녀를 위해 보컬을 하는 것을 들은 후, 그녀는 노래를 제대로 [8]할 수 없다는 생각에 거절했습니다.톰 페티와 더 하트브레이커스는 나중에 그들의 Southern Accents 앨범에 이 노래를 발표했다.
닉스는 앨범 발매 전에 "Battle Of The Dragon"을 포함한 다양한 곡들을 녹음했다.그녀의 앨범에 수록하기 보다는, 그것은 1998년 닉스의 3디스크 회고전 Engicted에 수록되었을 뿐만 아니라 American Anthem의 영화 사운드트랙에 수록되었다.이글스의 드러머이자 전 연인 돈 헨리와 듀엣곡인 "Reconsider Me"도 커팅룸 바닥을 보게 될 것이고, 록 발라드 "One More Big Time Rock and Roll Star"는 "Talk to Me" 싱글의 B면으로 밀려났다.
세션에서 폐기된 다른 많은 데모들은 빛을 보지 못했지만, "그레타"와 "사랑은 강처럼"을 포함한 몇몇 데모들은 닉스의 1994년 앨범인 "Street Angel"을 위해 먼지를 털었다."Thousand Days"라는 노래도 B쪽으로 밀려났다."거울, 거울"은 1989년의 "거울의 반대편"에서 다시 시도되었고, 1994년에 스트리트 엔젤에 포함되기 위해 다시 방문되었지만, 결국 오리지널 록 어 리틀 버전은 "블루 데님"의 카세트 싱글로 1994년에야 발매되었습니다.
지미 이오바인은 원래 1984년에 앨범을 제작하고 데모 녹음 작업을 하기 위해 영입되었다.그러나 그는 녹음 세션 도중 닉스와 헤어지고 닉스가 앨범을 원하는 방향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주장했다.두 사람은 몇 년 동안 사귀어 온 것으로 나중에 밝혀졌다.닉스와 이글스의 멤버 조 월시는 이후 발라드 "Has Anyone Ever Writed Anything for You"를 제작했다.키스 올슨, 릭 노웰스, 닉스는 아이오빈이 떠난 후 직접 제작 업무를 맡았다.
1985년 11월 발매된 록 어 리틀은 매우 엇갈린 평가를 받았다.당시 닉스가 코카인에 중독되어 투어 공연을 방해했던 것과 결합되어 이 앨범은 닉스가 기대했던 판매량이나 차트 순위에 오르지 못했다.이 곡은 미국 빌보드 차트에서 60위로 진입했고, 결국 발매 9주 만에 12위로 정점을 찍었다.이 앨범은 톱 20에 13주를 포함, 빌보드 200 차트에서 35주를 보냈다.
뮤직비디오
"Talk to Me"와 "I Can't Wait"의 홍보 영상이 촬영되었다.1986년 I Can't Wait라는 제목의 6트랙 VHS 테이프가 여러 지역에서 출시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프로모션을 실시했습니다.
이번 발매는 같은 콘서트의 9곡 편집본인 White Wing Dov: Stevie Nicks Live의 VHS 릴리즈에서 잘라낸 닉스의 1981년 벨라 도나 투어 마지막 밤 "가죽과 레이스"의 라이브 솔로 공연을 포함시킨 것으로 유명하다.이 버전은 이 곡의 뮤직비디오로 사용되었고 1981년 MTV에서 재생되었다.
이 프로모션 중 5개는 Nicks의 2008년 컬렉션 Crystal Visions의 DVD 보충판 - The Very Best of Stevie Nicks에 포함되어 있지만, 라이브 버전의 DVD는 Fleetwood Mac의 Mirage Tour Concert 6개 비디오가 모두 포함되어 있지 않은 Fleetwood의 호주 출시뿐입니다.보너스 기능
관광
미국의 록 어 리틀 투어는 1986년에 시작되었고 콜로라도에 있는 유명한 레드 록스 앰피티어에서의 쇼로 끝이 났는데, 이 공연은 캡처되어 보통 'Live at Red Rocks'라는 제목으로 비디오로 공개되었다.닉스의 약물 남용의 증거는 공연과 보컬 모두에서 명백하지만, 이 쇼는 리샷 클로즈업, 삽입, 보컬 오버더빙으로 눈에 띄게 깔끔해졌다.비디오/DVD는 실제 세트리스트의 단축판으로서 57분 밖에 걸리지 않습니다.이 중 15분은 매우 긴 버전의 "Edge of Seventen"에 할애되어 있습니다.DVD 릴리즈에서는 이 내용이 조정되었습니다.
트랙 리스트
No. | 제목 | 라이터 | 프로듀서 | 길이 |
---|---|---|---|---|
1. | "기다릴 수 없어" |
| 4:37 | |
2. | "Rock a Little (Go Ahead Lily)" | 닉스 | 아이오빈 | 3:39 |
3. | '언니 허니' |
| 노벨스 | 3:50 |
4. | "I Sing for the Things" | 닉스 | 아이오빈 | 3:45 |
5. | 임페리얼 호텔 |
|
| 2:53 |
6. | '몇몇은 낯선 사람이 된다' |
| 아이오빈 | 3:30 |
No. | 제목 | 라이터 | 프로듀서 | 길이 |
---|---|---|---|---|
7. | "Talk to Me" | 채스 샌포드 |
| 4:10 |
8. | 악몽 |
| 노벨스 | 5:23 |
9. | '내가 너라면' |
| 노벨스 | 4:11 |
10. | "구어 없음" | 닉스 | 키스 올슨 | 4:14 |
11. | "누군가 당신을 위해 뭔가를 써준 적이 있나요?" |
| 노벨스 | 4:38 |
대체 버전 및 12인치 릴리즈
- "I Can't Wait"는 많은 지역에서 6시 록 버전으로 12인치 싱글로 발매되었지만, 영국 발매에는 5시 12분에 실행되는 앨범 트랙 "Rock a Little (Go Ahead Lily)"의 더 길고 다른 버전이 독점적으로 포함되어 현재 다른 발매에서는 제공되지 않는다.
- "Have Anyone Ever Writed Anything?" 또한 영국에서 12인치 버전으로 발매되었고 "I Can't Wait"의 'dub' 록 버전이 5시 50분에 개봉되었다.
- "Talk to Me"의 모든 7인치와 12인치 앨범에는 닉스가 쓴 비앨범 트랙 "One More Big Time Rock and Roll Star"가 포함되어 있으며, 나중에 1998년 회고적 박스 세트인 "Enchanted"에서 약간 잘린 결말로 나타났다.
인사
- Stevie Nicks – 리드 보컬, 신시사이저 (8)
- Rick Nowels – E-mu 에뮬레이터 II (1), Oberheim OB-8 (1), Project-5 (1), 백보컬 (1, 8, 9, 10), 신시사이저 (2, 3, 4, 8), 기타 (9)
- 제이미 보안관 – PPG Wave (1) 프로그래밍 (1) 신스 문자열 프로그래밍 (2) E-mu 에뮬레이터 프로그래밍(3, 11)
- Bill Payne – 신시사이저 (2)
- Charles Judge – 신시사이저 (3, 4, 8, 9, 11), 어쿠스틱 피아노 (11)
- Benmont Tench –어쿠스틱 피아노 (4), 오르간 (5)
- Greg Philinganes – 키보드 (6), 신시사이저 (6), timpani (7)
- Chas Sandford – Ensoniq Mirage (7), 일렉트릭 기타 (7), 6현 기타 (7), 12현 기타 (7), 베이스 (7), 드럼 머신 (7)
- Bill Cuomo – 키보드 (10)
- Michael Landau – 기타 (1, 3, 6, 8, 9, 11)
- George Black – 기타(1, 3), 베이스(1), LinnDrum 프로그래밍(1), 백킹 보컬(1, 3, 8), 신스 베이스(3, 8), 드럼(8)
- Waddy Wachtel – 기타 (2, 10)
- Les Dudek – 기타 (3)
- Danny Kortchmar – 기타 (4)
- Mike Campbell – 기타 (5)
- Kenny Edwards – 베이스 (2)
- Bob Glaub – 베이스 (4, 5, 6)
- Mike Porcaro – 베이스 (10)
- Steve Jordan – 드럼 (2, 5, 6)
- 러스 쿤켈 – 드럼 (4)
- Andy Newmark – 드럼 (8, 9)
- Denny Carmassi – 드럼(10)
- Bobbye Hall – 타악기 (4)
- David Kemper – 탬버린 (9), 타악기 (11)
- 바니 윌렌 – 색소폰 (7)
- Sharon Celani – 백보컬 (1-10)
- Marilyn Martin – 백보컬 (1, 2, 3, 5, 6, 10)
- 로리 페리 닉스– 백보컬
- 마리아 비달 – 백보컬(1, 2, 7, 8)
- Carolyn Brooks – 백보컬 (11)
테크니컬 크레딧
- Dave Hernandez – 엔지니어 (1)
- John Koverek –엔지니어(1, 3, 8, 9, 11), 믹싱(11)
- Shelly Yakus –엔지니어(2, 4), 믹싱(2, 4, 5, 7)
- Gabe Veltri –오버더브 엔지니어(2, 7), 엔지니어(3, 5, 6, 8)
- Robert Feist –엔지니어(3, 9)
- David Leonard –엔지니어 (3)
- Don Smith – 오버더브 엔지니어(6), 믹싱(7)
- Chas Sandford – 엔지니어(7), 혼합(7)
- Gary Skardina –엔지니어 (9)
- Brian Foraker –엔지니어(10)
- Dennis Sager –엔지니어(10)
- George Black –혼합(1, 3)
- Jimmy Iovine – 믹싱 (1)
- Chris Lord-Alge – 믹싱 (1)
- Rick Nowels – 믹싱 (1, 3)
- Mick Guzauski – 믹싱 (6)
- Her roan Rojas – 믹싱 (8)
- Csaba Pectoz – 믹싱 (9)
- Keith Olsen – 믹싱 (10)
- Tom "Gondo" Gondolf – 추가 엔지니어
- Tom Swift – 추가 엔지니어
- John Agnello –어시스턴트 엔지니어
- Carol Cafiero – 어시스턴트 엔지니어
- Mark Corbrin –어시스턴트 엔지니어
- Dan Garcia –어시스턴트 엔지니어
- David Glover –어시스턴트 엔지니어
- Steve Hirsch –어시스턴트 엔지니어
- Glen Holguin –어시스턴트 엔지니어
- Jon Ingoldsby –어시스턴트 엔지니어
- 빌 잭슨– 어시스턴트 엔지니어
- Robin Laine –어시스턴트 엔지니어
- Ray Leonard –어시스턴트 엔지니어
- Paul Levy –어시스턴트 엔지니어
- Casey McMackin –어시스턴트 엔지니어
- Frank Pekoc –어시스턴트 엔지니어
- Alex Schmoll –어시스턴트 엔지니어
- Duane Seykora –어시스턴트 엔지니어
- Paul Wertheimer –어시스턴트 엔지니어
- Bruce Wildstein –어시스턴트 엔지니어
- Ernie Wilkens – 어시스턴트 엔지니어
- Barry Diament – 마스터링
제작 크레딧
- Debbie Caponetta – 프로덕션 코디네타
- Beth Jacobson – 프로덕션 코디네이터
- Nina King – 프로덕션 코디네이터
- Tim McDaniel – 프로덕션 코디네이터
- Glen Parrish –개인 매니저
- Michael Hodgson – 아트 디렉션, 디자인
- Tony McGee – 전면 커버 사진
- Herbert Worthington III – 후면 커버 사진, 내부 소매 사진
- Stevie Nicks – 핸드 인팅 사진
- John Reed Forsman – 추가 사진
차트
주간 차트
| 연말 차트
|
인증
지역 | 인정. | 인정 유닛/판매 |
---|---|---|
호주. | — | 100,000[20] |
영국(BPI)[21] | 골드 | 100,000^ |
미국(RIAA)[7] | 플래티넘 | 100만^ |
^ 출하량은 인정액만을 기준으로 합니다. |
레퍼런스
- ^ Allmusic.com 앨범 리뷰
- ^ 올뮤직 리뷰
- ^ Brogan, Daniel (1985-12-06). "Tom Petty And The Heartbreakers Move In Spirited Tracks". Chicago Tribune. Retrieved 2013-11-13.
- ^ Holden, Stephen (1986-02-09). "HIGH-GLOSS POP ALBUMS FLOURISH ONCE AGAIN".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2013-08-31.
- ^ "Picks and Pans Review: Rock A Little". People. 1985-01-13. Retrieved 2013-11-11.
- ^ 롤링 스톤 리뷰
- ^ a b "American album certifications – Stevie Nicks – Rock a Little".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America.
- ^ "Stevie revisits 'Don't Come Around Here No More' in Petty bio". StevieNicks.info. November 9, 2015. Retrieved November 10, 2019.
- ^ a b Kent, David (1993). Australian Chart Book 1970–1992. St Ives, NSW: Australian Chart Book. ISBN 0-646-11917-6.
- ^ "Top Albums/CDs – Volume 43, No. 23". RPM. 1986-03-01. Archived from the original (PHP) on 2016-03-06. Retrieved 2013-11-01.
- ^ "dutchcharts.nl Stevie Nicks – Rock a Little" (ASP). dutchcharts.nl (in Dutch). MegaCharts. Retrieved 2013-11-19.
- ^ "charts.nz – Stevie Nicks – Rock a Little" (ASP). Recording Industry Association of New Zealand. Retrieved 2013-11-198.
{{cite web}}
:날짜 값 확인:access-date=
(도움말) - ^ Salaverri, Fernando (September 2005). Sólo éxitos: año a año, 1959–2002 (1st ed.). Spain: Fundación Autor-SGAE. ISBN 84-8048-639-2.
- ^ "swedishcharts.com Stevie Nicks – Rock a Little" (ASP). Sverigetopplistan. Retrieved 2013-11-19.
- ^ "Stevie Nicks > Artist > Official Charts". UK Albums Chart. Retrieved 2013-09-08.
- ^ Allmusic – Rock a Little > 차트 & 어워드> 빌보드 앨범
- ^ "Album Search: Stevie Nicks – Rock a Little" (ASP) (in German). Media Control. Retrieved 2013-11-19.[데드링크]
- ^ "RPM Top 100 Albums of 1986". RPM. 1986-12-27. Retrieved 2013-11-13.
- ^ "Billboard.BIZ – Year-end Charts – Billboard 200 – 1986". billboard.biz. Retrieved 2011-11-17.
- ^ Barker, Glenn A. (15 November 1986). "Majors (Australia Spotlight)". Billboard. p. A-10. Retrieved 10 September 2019.
- ^ "British album certifications – Stevie Nicks – Rock a Little". British Phonographic Industry.형식 필드에서 앨범을 선택합니다.[ Certification ]필드에서 [Gold]를 선택합니다."Search BPI Awards" 필드에 Rock a Little 이라고 입력한 후 Enter 키를 누릅니다.
외부 링크
- 록 어 리틀 올뮤직
- Rock a Little at Rolling St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