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드니 비커스타페
Rodney Bickerstaffe로드니 비커스타페 | |
---|---|
![]() 2015년 런던 러셀 스퀘어에서 열린 비커스타프 | |
제2대 국민연금공단 이사장 | |
재직중 2001–2005 | |
선행자 | 잭 존스 |
성공자 | 프랭크 쿠퍼 |
제2차 유니세프 총서기 | |
재직중 1996–2001 | |
선행자 | 앨런 진킨슨 |
성공자 | 데이브 프렌티스 |
전국공무원노동조합 총서기 | |
재직중 1982–1993 | |
선행자 | 앨런 피셔 |
성공자 | 폐지된 조직 |
노동조합 총회 의장 | |
재직중 1992 | |
총서기 | 노먼 윌리스 |
선행자 | 알렉 스미스 |
성공자 | 앨런 터핀 |
개인내역 | |
태어난 | 영국 런던 해머스미스 | )1945년 4월 6일
죽은 | 2017년 10월 3일 영국 런던 캠던 | (72)
배우자 | 앤 홀리스 (m.68년, 이혼)패트리샤 콜푸스 (m. 1973) |
아이들. | 4 |
모교 | 러더퍼드 공과대학교 |
직업 | 노동조합원 |
로드니 케반 비커스타페(Rodney Kevan Bickerstaffe, 1945년 4월 6일 ~ 2017년 10월 3일)는 영국의 노동조합원이었다. 당시 영국 최대 노동조합이었던 전국공무원노동조합(National Union of Public Workers)(1982~1993년)과 유니세(1996~2001년) 사무총장을 지냈다. 이후 영국국민연금협약(2001~2005)의 의장이 됐다.
조기생활과 교육
1945년 4월 6일 런던[1] 해머스미스에서 사우스요크셔에서 온 엘리자베스 비커스타페와 함께 블리츠 때 폭격을 심하게 받은 이스트 엔드의 위프스 크로스 병원에서 간호 훈련을 마치고 태어났다. 그녀는 아일랜드로 돌아와 모든 접촉을 끊은 더블린 출신의 목수와 잠깐의 로맨스를 가졌다.[2] 그녀와 그녀의 아들은 런던 동부에서 미혼모들의 집에서 3년 동안 살았다. 그 후 대가족 사이에서 돈캐스터로 이사했다. 그는 돈캐스터 문법 학교와 러더포드 공과대학의 사회학에서 교육을 받았다.[citation needed]
훨씬 후인 1990년대에, 그의 생부를 찾으려는 비커스타페의 탐구는 마침내 그의 어머니로 하여금 아버지의 가능한 행방을 밝히게 했다. 로드니는 그의 아버지 토마스 심슨이 1991년에 죽었다는 것을 알아냈지만, 비커스타프는 이후 아일랜드 이복형제 3명을 발견했다.[citation needed]
경력
비커스타페는 1966년 요크셔에서 전국공무원노동조합(NUPE)의 조직위원이 되었고, 그 직급을 거쳐 북부분과의 사단장으로 승진했다. 그리고 나서 그는 지방 정부, 대학, 물 산업에서 일하는 구성원을 책임지는 국가 공무원이 되었다. 1978-79년 '불만의 겨울' 기간 동안 그는 특히 정부 노동자들을 대신하여 호전적인 성격으로 유명했다; 일부 다른 노조원들은 마가렛 대처의 후속 선거의 책임을 그를 비난했다. 그런 비판에도 불구하고 그는 2006년 역사학자 타라 마르틴 로페스에게 "오늘도 다시 해야 한다면 다시 할 것"[3]이라고 말했다.
1981년 그는 NUPE 총비서로 임명되었다. 1993년 7월 NUPE, COHSE, NALGO가 합병해 유니세스를 만들자 비커스타페는 부사무총장이 되었다. 1995년 11월 총무비서관에 선출되어 1996년 2월 28일 취임하였다.
비커스타페는 대중적이고 눈에 잘 띄는 노조 지도자로, 공공서비스에 종사하는 직원과 국가 및 지역 내 사생활을 통해 민간으로 이전된 직원들에 대한 더 나은 권리와 더 공정한 대우를 요구했다. 공격적인 전술로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저임금 반대운동과 법정 최저임금 도입에 열의를 보였다. 2000년 노동당 회의에서 그는 소득이나 물가 중 어느 것이 더 높은가에 따라 연금이 상향 조정되도록 하기 위해 논란이 많았지만 성공적인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2004년 노동당 회의에서 토니 블레어는 기조연설에서 비커스타페를 언급했는데, 이때 그는 야유를 받았다. "난 그게 웃기다고 생각했다. 아무도 로드니 비커스타페를 야유하지 않는다." 라고 블레어가 나중에 말했다.
은퇴 후
2001년 유니슨에서 은퇴하고, 2001년 4월 잭 존스의 뒤를 이어 국민연금 총회 의장이 되었다. 이 기구는 영국의 수백만 연금 수령자들의 권리와 목소리를 옹호하고 더 나은 연금과 의료 서비스를 위한 캠페인을 벌이고 있다. 비커스타페는 2005년 국제공약에 집중하기 위해 물러났고 프랭크 쿠퍼의 뒤를 이었다. 그는 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에서 조직과 협력하는 글로벌 네트워크를 이끌었고 워 온 원망의 대통령을 지냈다. 그는 또한 그의 고인이 된 친구인 영국 노조원, 국제주의자 켄 길씨를 기념하기 위해 설립된 비자선적인 신탁인 켄길 기념 기금(Ken Gill Memorial Fund)의 이사장을 맡았다. 2007년, 그는 귀족을 거절했다.[3]
그는 모든 종류의 차별과 싸우는 데 관여했고, 인도 카스트 제도의 탄압에 반대하여 런던(영국)의 조직인 달릿 연대 네트워크의 후원자였다.[4]
명예
비커스타프는 킬 대학교, 허트포드샤이어 대학교, 셰필드 할람 대학교에서 명예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돈캐스터 메트로폴리탄 자치구에서 온 '구로 자유'도 있었다.
사생활
1968년 5월 18일 비커스타프는 앤 마거릿 홀리스와 결혼했다. 그 결혼은 곧 해산되었고, 1973년 7월 14일 비커스타페는 패트리샤 앤 콜푸스와 결혼했다. 그들은 4명의 자녀를 두었다.[5]
죽음
로드니 비커스타프는 2017년 10월 3일 런던 캠던의 마리 퀴리 호스피스(Marie Curie Hospice)에서 난소암으로 세상을 떠났다.[5][6]
참고 항목
참조
- ^ Routledge, Paul (16 December 1998). "Bickerstaffe hunts for a father and uncovers a family". The Independent. Retrieved 1 April 2014.
- ^ Seddon, Mark (3 October 2017). "Rodney Bickerstaffe obituary". The Guardi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October 2017. Retrieved 1 January 2022.
- ^ a b Lopez, Tara Martin (2014). The Winter of Discontent: Myth, Memory and History. Liverpool University Press. p. 195. ISBN 9781786941732.
- ^ 가디언지는 2022년 1월 1일에 접속한 "카스트 차별 법은 로드니 비커스타페에 대한 적절한 찬사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a b Morris, Pete (2021). "Bickerstaffe, Rodney Kevan (1945â€"2017), trade unionist and campaigner for a minimum wage".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doi:10.1093/odnb/9780198614128.013.90000380176. Retrieved 9 January 2022.
- ^ "UNISON pays tribute to former general secretary Rodney Bickerstaffe - News, Press release - News - UNISON National". Unison.org.uk. 3 October 2017. Retrieved 4 October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