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즈핏 스타디움
Roosevelt Stadium![]() 스타디움 입구 C. 1940 | |
![]() | |
풀네임 | 저지시티 루즈벨트 스타디움 |
---|---|
위치 | 댄포스 아베 & 뉴저지 1번 국도(현 뉴저지 국도 440호선) 뉴저지 주 뉴저지 |
소유자 | 저지 시 |
역량 | 24,000 |
필드 크기 | 좌측 – 330ft. 좌측 센터 – 377피트 센터 – 411피트 우측 센터 – 377피트. 오른쪽 – 330ft. |
표면 | 잔디 |
건설 | |
빌드됨 | 1936 |
열린 | 1937년 4월 23일 |
철거됨 | 1985 |
공사비 | 150만 달러 |
건축가 | 크리스티안 지글러 |
세입자 | |
브루클린 다저스 (MLB)(1956–1957, 15경기) 저지 시티 자이언츠 (IL) (1937–1950) 저지 시티 저시즈 (IL) (1960–1961) 저지 시티 인디언 (EL) (1977년) 저지 시티 A (EL) (1978년) |
루즈벨트 스타디움은 뉴저지 주 저지 시티의 드로이어스 포인트에 있는 야구 공원이었다. 1937년 4월에 개교하여 하이 미니어처 야구, 15개의 메이저 리그 야구 경기, 챔피언 권투 경기, 최고의 음악 경기, 1946-1983년에 열린 "꿈"으로 알려진 매년 챔피언 드럼과 나팔 군단 대회, 중요한 지역 고등학교 축구 그리고 심지어 축구 경기를 개최하였다. 1985년에 철거되었다.
역사
건설
1929년 6월 5일, 프랭크 헤이그 저지 시장은 5만 석 규모의 시립 경기장을 건설하여 500피트(150m) 길이, 400피트(120m) 폭의 저지 시립 경기장을 둘러싸는 계획을 발표했다. 그것은 50만 달러가 들 것으로 예상되었고 1930년 봄까지 지어질 것으로 예상되었다. 헤이그 시장은 1만5000석 규모의 상설 좌석 3만5000석을 추가로 확보할 계획이었다. 그것은 야구, 축구, 육상 경기, 복싱을 위한 다목적 경기장이 될 것이다.[1]
루즈벨트 스타디움은 마침내 1937년에 드로이어스 포인트에 있는 저지 시티 공항을 근거로 한 작업 진행 관리 프로젝트로서 건설되었다. 공항은 에디 어거스트 슈나이더에 의해 1935년부터 운영되었다.[2][3] 그것은 프랭클린 D 대통령을 위해 명명되었다. 그 뉴딜 기관의 저자 루즈벨트. 그것은 아트 데코 스타일로 디자인되었다.
야구장의 개장은 1937년 4월 22일로 예정되어 있었고, 1937년 인터내셔널 리그 시즌이 개막되었다. 헤이그 시장은 시의 학교와 직원들을 위해 반휴일을 선포했다. 뉴욕 자이언츠의 구단주 호레이스 스톤햄이 해리 무어 상원의원과 함께 오프너에서 열릴 것으로 예상되었다.[4] 비는 계획된 행사를 씻어내고 개막전은 헤이그 시장이 시구를 던지고 센이에게 시구를 하면서 4월 23일로 연기되었다. 무어와 구단주 호레이스 스톤햄이 야구장의 헌신에 동참했다.[5]
더 그레이트풀 데드는 루즈벨트 스타디움에서 6번의 콘서트를 열었다. 1972년 7월 18일, 1972년 9월 19일, 1973년 7월 31일, 1973년 8월 1일, 1974년 8월 6일, 1976년 8월 4일.[6]
스포츠
처음에 뉴욕 자이언츠의 국제 리그 계열사인 저지 시티 자이언츠의 홈 필드로 건설된 이 경기장은 후에 저지 시의 윌리엄 L로서 고등학교 축구에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디킨슨, 제임스 J. 페리스, 에이브러햄 링컨, 헨리 스나이더 고등학교와 시의 주요 교리학교인 허드슨 카톨릭과 세인트. 피터스 프렙, 특히 디킨슨과 세인트의 추수감사절에 모두 경기장을 이용했다. 피터가 그걸 팔았을 거야 1974년 9월, 디킨슨 고등학교가 허드슨 카톨릭에 22대 0으로 패했을 때, 고등학교 축구팀에 의한 뉴저지 주의 연패 기록을 세운 경기장이었다. 호크스의 공격은 쿼터백 스티븐 네리가 주도했고 하프백 토니 카발로와 디킨슨은 -2야드 돌진, 스티브 쿠치넬리, 레이 파렌테, 브루스 보크가 이끄는 허드슨 수비수 옆을 18번 패스했다. 네리, 보크, 파렌테, 쿠치넬리는 모두 허드슨 카톨릭 축구 프로그램의 명예의 벽에 헌액되었다. 저지 시티 주립 대학(현 뉴저지 시립 대학)은 1970년대 루즈벨트 경기장에서 금요일 밤 홈 풋볼 경기를 펼쳤다.
이 경기는 1956년 7경기, 1957년 8경기 등 브루클린에서 마지막 두 시즌 동안 브루클린 다저스에 의해 15경기 "홈" 경기에 사용되었다.[7] 이 경기는 부분적으로 브룩클린 자치구와의 협상 전술로서 에베츠 필드를 대체할 새로운 경기장을 추구하기 위해 열렸다.[8] 에베츠필드의 3만1497석과는 달리 2만4000석 규모에 그친 반면 루즈벨트 스타디움은 에베츠필드의 700석 대비 주차공간이 1만석이었다. 다저스의 협상은 수포로 돌아갔고, 팀은 1958년에 로스앤젤레스로 이적했다.[9]
It was also the home field of the Jersey City Giants, a farm team of the New York Giants in the Triple-A International League from 1937 to 1950, the Jersey City Jerseys of the IL in 1960 and 1961, the Jersey City Indians of the Double-A Eastern League in 1977 and, following a change in minor-league affiliation, the Jersey City A's of the EL in 1978.
1946년 4월 18일, 루즈벨트 스타디움은 몬트리올 로얄스를 상대로 저지 시티 자이언츠의 시즌 개막전을 개최하여, 로얄즈의 재키 로빈슨의 프로 데뷔전을 기념하였다. 로빈슨은 5차례 등판해 3점 홈런을 포함해 4안타를 쳐 4실점, 3타점, 14-1로 승리하며 2루 도루했다.
자이언츠는 1939년과 1947년에 IL에서 1위를 했지만 포스트시즌 플레이에서 페넌트를 따기 위해 나아간 저지 시티 팀은 없었다. 헤이그는 "리틀 자이언츠" 경기 개막식 티켓을 일상적으로 호객하며 2만 4천석만을 보유하고 있는 경기장에서 4만 석을 팔았다. 이 같은 불일치에 대한 질문에는 "남성실에 모인 군중들의 지옥"이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1940년, 헤비급 챔피언이었던 맥스 베어는 루즈벨트 스타디움에서 "투톤 토니" 갈렌토를 이겼다. 1948년 마르셀 세르단은 미들급 챔피언쉽 타이틀전에서 토니 제일을 물리쳤다. 1950년에 슈가 레이 로빈슨은 웰터급 타이틀을 방어했다.
1971년, 이 경기장은 NASL과 국제 축구 더블헤더를 유치하기 위해 선정되었다. 볼로냐가 웨스트햄 유나이티드를 만나는 동안 뉴욕 코스모스는 개막전에서 댈러스 토네이도를 치기로 되어 있었다. 일주일 뒤 산토스(브라질)는 볼로냐와 펠레가 발표할 예정이었다. 첫 더블헤더는 뉴욕 양키스타디움으로 정했지만 코스모스가 양키스와 맺은 계약은 악천후로 인해 야구에 위협이 될 경우 야구팀이 취소할 수 있는 '기상조항'을 허용했다.[10]
철거
1982년 11월, 저지 시의회는 경기장을 철거하는 투표를 했다.[11] 1985년에 마침내 철거되었고 1987년에 드로이어스 포인트라는 게이티드 커뮤니티가 그 자리에 문을 열었다.[12]
참고 항목
참조
- ^ "Jersey City Plans Stadium to Seat 50,000 As $500,000 Memorial to Her Soldier Dead". New York Times. 1929-06-06. p. 21.
- ^ "Jersey City to Get WPA Stadium Fund. Mayor Hague Reports Application for $800,000 Approved for Arena at Airport". New York Times. September 26, 1935. Retrieved 2007-08-21.
Mayor Frank Hague of Jersey City announced yesterday he had been informed that the Works Progress Administration had approved the city's application for an $800,000 grant to build a municipal sports stadium.
- ^ "Two In Plane Escape In Newark Bay Crash. Schneider, Ex-Transcontinental Record-Holder, And Student Pilot Rescued By Police". New York Times. May 16, 1935. Retrieved 2007-08-21.
Two aviators escaped with only minor bruises and a thorough wetting last night when their three-seat, open-cockpit biplane developed motor trouble soon after taking off from the Jersey City Airport and fell into Newark Bay 200 feet off Droyer's Point, Jersey City. The men were rescued by police, who went to their aid in a collapsible rowboat kept at the field. ... The plane [had] taken off at 7 pm [piloted] by Edward Schneider, 23 years old, of 209 Sip Avenue, Jersey City, former holder of the junior transcontinental plane record and manager of the airport since January 1, 1935.
- ^ Kingsley Childs (1937-04-22). "International League to Begin Fifty-Fourth Season Today; JERSEY CITY READY FOR GALA OPENING". New York Times.
- ^ Arthur J. Daly (1937-04-23). "JERSEY CITY EAGER TO SEE NEW CLUB; Opener, Put Back Because of Rain, Is Expected to Draw 30,000 Fans Today". New York Times. p. 26.
- ^ http://www.setlists.net/?검색=true&venue=루즈벨트+스타디움&city=&state=&month=&day=&years=&songs=&제출=검색
- ^ "Dodgers Ballparks". MLB.com. Retrieved 2011-09-03.
- ^ "Doby Hits 500 Foot Homer for Griffith Stadium Record". The Milwaukee Journal. May 26, 1949. Retrieved 2011-07-24.
- ^ Stout, Glenn; Johnson, Richard A. (2004). The Dodgers: 120 years of Dodgers baseball. Houghton Mifflin Harcourt. p. 206. ISBN 0-618-21355-4.
The Dodgers: 120 years of Dodgers baseball.
- ^ 1971년 6월 5일 우크라이나 주간지
- ^ Joseph Malinconico (1982-11-28). "ROOSEVELT STADIUM: GLORY FADING FAST". New York Times.
- ^ 짐 헤이그 "자이언츠 스타디움 작별인사" 유니언 시티 기자; 2010년 1월 10일; 페이지 10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스는 루즈벨트 스타디움 관련 매체를 보유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