둥근손

Round hand
The Universal Penman, c. 1740–1741의 George Bickham's Round Hand 대본

라운드핸드(Round Hand, 역시 라운드핸드)는 1660년대 영국에서 시작된 필적서예의 일종으로 주로 작가 존 에어스와 윌리엄 밴슨이 주축을 이루었다. 금속의 유연성이 포인트의 좌우 반쪽이 가벼운 압력으로 분산되었다가 함께 뿜어져 나오는 금속으로 된 뾰족한 닙에서 파생되는 두껍고 얇은 스트로크의 미묘한 대조를 특징으로 하여 라운드 핸드의 인기는 급속도로 증가하여 표준으로 규정되었다.인쇄된 필기 매뉴얼의 발행을 거부하다

오리진스

르네상스 시대 동안, 사도 카메라의 글쓰기 대가들은 이탤릭체로 된 필기체를 개발했다. 1527년 로마의 자루 도중 사도 카메라가 파괴되자 많은 명인들이 남프랑스로 이주하여 르네상스 시대 이탤릭체 필기체를 새로운 대본인 이탤릭체 할레프리스타로 다듬기 시작했다.[1] 16세기 말에 이르러 이탤릭체 할레프리스타이탤릭체 필기체를 대체하기 시작했다. 이탈리아식 할레프리스타는 17세기 초에 프랑스식 로운드로 더욱 각색되었다.[1]

17세기 중반까지 프랑스 관리들은 다양한 수준의 기술과 예술성으로 다양한 수작업(스타일)으로 쓰여진 문서들로 넘쳐났다. 그 결과, 관계자들은 그러한 많은 문서들이 해독할 수 없는 것이라고 불평하기 시작했다.[1] 프랑스의 재무 통제관은 당시 프랑스 문예계의 거장들로부터 제안을 받았는데,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은 1650년 경에 의 레 에스시리튀르 금융가 등 이탈리아계 바스타드 단스 르르 자연(Les Escritures financier et Itillianne-bastarde dans leur leur naturel)을 출판한 루이 바보르 [fr이다.[1] 재무관리총국은 제안서를 검토한 후 모든 법률문서를 세 손으로 제한하기로 결정했다. 즉, 콜레, 론드, 그리고 때로는 바스타드라고 불리는 스피드핸드.[1]

영국에서, 에드워드 코커는 1640년대에 프랑스식 동전을 원작으로 한 카피북을 출판해왔다. 1680년대에, 존 에이어스와 윌리엄 밴슨은 영국식 둥근 손 스타일로 알려진 것을 더 다듬고 발전시킨 후에 그들의 버전의 로운드를 대중화했다.[1]

황금시대

이후 17세기와 18세기 후반에는 조지 빅햄, 조지 셸리, 찰스 스넬 등 영어 작문 거장들이 라운드핸드의 인기를 전파하는 데 일조하여 18세기 중반까지 라운드핸드 스타일이 유럽 전역으로 퍼져 대서양을 건너 북미로 건너갔다. 스넬 라운드핸드와 쿤스트러 스크립트는 이러한 필체를 바탕으로 한다. 찰스 스넬은 특히 다른 변종인 라운드핸드에 대한 반응으로 유명했는데, 대본에서 구속과 비례성을 강조하는 스넬 라운드핸드를 독자적으로 개발했다.[1]

참고 항목

참조

  1. ^ a b c d e f g Joyce Irene Whalley (c. 1980). The Art of Calligraphy, Western Europe & America.
  • 카터, 롭, 데이, 벤, 메그스, 필립 타이포그래픽 설계: 양식 및 통신, Second Edition. 반 노스트랜드 라인홀드, Inc: 1993 ISBN 0-442-00759-0.
  • 피들, 프레데리히, 니콜라스 오트, 버나드 스타인. 타이포그래피: 역사를 통한 유형 디자인 및 기법에 대한 백과사전 조사. 블랙 도그 & 레벤탈: 1998. ISBN 1-57912-023-7
  • 맥밀런, 닐 유형 디자이너의 A-Z. 예일 대학 출판부: 2006. ISBN 0-300-1151-7
  • 네스빗, 알렉산더 레터링 도버 출판사역사와 기법: 1998. ISBN 0-486-40281-9 도버판은 레터링(Lettering: Lettering)이라는 제목으로 1950년 프렌티스홀 주식회사에 의해 처음 출판된 작품의 요약 및 수정본이다. 디자인으로서의 레터링의 역사와 기법.
  • 헐리, 조이스 아이린 서유럽과 아메리카의 서예 예술. 1980.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