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안다우룬디
Ruanda-Urundi루안다우룬디의 영토 | |||||||||||
---|---|---|---|---|---|---|---|---|---|---|---|
1916–1962 | |||||||||||
![]() 1935년 벨기에 식민지 제국(연두색) 내에서 그려진 루안다우룬디(진녹색) | |||||||||||
상황 | 벨기에 위임통치령 | ||||||||||
자본의 | 우섬부라 | ||||||||||
공통 언어 | 프랑스어(공식) 기타: 네덜란드어, 킨야르완다, 키룬디, 스와힐리 | ||||||||||
종교 | 가톨릭 (사실상) 또: 개신교, 이슬람 등 | ||||||||||
역사 | |||||||||||
• 벨기에 침공 | 1916년 4월 | ||||||||||
• 권한 생성 | 1922년 7월 20일 | ||||||||||
1926년 3월 1일 | |||||||||||
• 위임은 신뢰 구역이 된다 | 1946년 12월 13일 | ||||||||||
• 르완다 자치권 획득 | 1960년 10월 18일 | ||||||||||
• 부룬디 자치권 획득 | 1961년 12월 21일 | ||||||||||
• 독립성 | 1962년 7월 1일 | ||||||||||
통화 | 벨기에 콩고 프랑 (1916–60) 루안다우룬디 프랑 (1960–62) | ||||||||||
| |||||||||||
오늘의 일부 | 부룬디 르완다 |
후에 르완다-부룬디(프랑스어 발음: [ww uda u][a]undi])는 1916년부터 1962년까지 벨기에가 통치했던 독일령 동아프리카의 일부였던 식민지 영토였다.
이 지역은 제1차 세계대전의 동아프리카 전역 기간 동안 벨기에 콩고의 군대에 의해 점령되었고 1916년부터 1922년까지 벨기에가 군사 점령 하에 통치하였다.그 후 1922년 벨기에에 국제연맹 B급 위임통치령으로서 수여되었고, 제2차 세계대전과 리그 해체의 여파로 유엔의 신탁통치가 되었다.1962년 루안다-우룬디는 르완다와 부룬디의 두 독립 국가가 되었다.
역사
Ruanda와 Urundi는 아프리카 쟁탈전 이전에 오대호 지역에 있던 두 개의 분리된 왕국이었다.1894년, 그들은 독일 제국에 합병되었고 결국 독일 동아프리카의 두 구역이 되었다.두 군주국은 루안단 왕(므와미)과 함께 독일 간접 통치 정책의 일부로 유지되었다.Yuhi V Musinga는 노동력과 [1]자원을 대가로 부하 장관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기 위해 독일의 지원을 이용했다.
벨기에의 군사 점령(1916년-1922년)

제1차 세계대전은 1914년에 발발했다.독일 식민지는 원래 베를린 협약에 명시된 중립을 지키려고 의도되었지만, 곧 독일 동아프리카와 벨기에 콩고 사이의 국경에서 키부 호수와 탕가니카 [1]호수에서 전투가 벌어졌다.연합군의 동아프리카 캠페인의 일환으로 루안다와 우룬디는 [1]1916년 벨기에군에 의해 침략당했다.그 지역의 독일군은 규모가 작았고 수적으로도 크게 열세였다.루안다는 1916년 4월부터 5월까지, 우룬디는 1916년 6월에 점령되었다.9월까지 독일령 동아프리카의 상당 부분이 벨기에의 점령 하에 있었고, 남쪽은 키고마, 카레마, 동쪽은 타보라까지 모두 오늘날의 [1]탄자니아에 도달했다.루안다와 우룬디에서는 벨기에인들이 [1]국왕의 독재적인 행동에 반대하는 일부 시민들에 의해 환영을 받았다.우룬디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2]전쟁을 두려워하며 도망치거나 은신했다.탕가니카 호숫가에 살던 스와힐리 무역상 커뮤니티의 대부분은 벨기에 무역상들과 오랫동안 상업적 라이벌이었고 [3]보복이 두려워 키고마로 도망쳤다.점령한 영토는 벨기에의 군사 점령 정부(벨기에령 동아프리카 점령령)가 관리한 것으로 정치적 미래에 대한 최종 결정이 내려질 때까지 계속되었다.1917년 2월 벨기에군이 [citation needed]영국군에 의해 타보라 지역에서 철수 명령을 받은 것과 동시에 왕립국장이 이끄는 정권이 수립되었다.
전쟁 중 독일군이 루안다인과 우루디안으로부터 노동력을 징집하는 관행을 시작했지만, 독일 정부는 지역 노동력을 유지하는 것이 논리적으로 어렵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이것은 제한적이었다.벨기에 점령군은 노동력 [4]징집을 확대했다; 2만 명의 남자들이 마헨지 공세의 짐꾼으로 징집되었고, 이 중 3분의 1만이 [5]집으로 돌아왔다.많은 사람들이 영양실조와 [6]질병으로 죽었다.새로운 노동 관행은 일부 지역 주민들로 하여금 독일인들의 [7]출발을 후회하게 만들었다.
국제 연맹 위임, 1922년 ~ 1946년

제1차 세계대전의 여파로 베르사유 조약은 독일 식민지 제국을 연합국들 사이에서 분열시켰다.독일령 동아프리카는 분할되었고 탕가니카는 영국에, 작은 지역은 포르투갈에 할당되었다.벨기에는 동아프리카에서 벨기에군이 이미 점령한 영토의 극히 일부에 불과했음에도 불구하고 루안다-우룬디가 할당되었다.당초 벨기에 외교관들은 앙골라의 포르투갈 영토와 교환해 콩고의 대서양 접근을 확대하기를 희망했지만 이는 불가능했다.1922년 7월 20일 국제연맹은 벨기에에 루안다-우룬디를 B급 위임통치국으로 공식 수여하였다.이 의무 체제는 벨기에에서도 논란이 [8]있었고 1924년까지 벨기에 의회에서 승인되지 않았다.식민지에 속했던 식민지와 달리, 권력은 이론적으로 스위스 [citation needed]제네바에 있는 연맹의 영구 위임 위원회(PMC)를 통해 국제적인 감독 대상이 되었다.행정적으로 위임은 음와미의 명목상의 지도하에 각각 루안다와 우룬디라는 두 개의 급여로 나뉘었다.우섬부라 시와 그 인접 마을은 센터 엑스트라 쿠튀미어로 별도로 분류되었고, 급여는 [9]지역별로 세분되었다.
벨기에 정부는 1926년부터 1931년 사이에 샤를 보이신의 통치 하에 루안다-우룬디에 적극적으로 관여하게 되었다.개혁은 면화와 [10]커피의 현금 작물 농업의 출현과 함께 촘촘한 도로망과 개선된 농업을 만들어냈다.하지만, 1916-1918년, 1924-26년, 1928–30년, 1943-44년의 흉작 이후 네 개의 주요 기근은 위임통치령 일부를 파괴했다.벨기에인들은 독일인들보다 특히 루안다에서 훨씬 더 영토에 관여했다. 벨기에인들이 영토를 개발하고 독립을 준비해야 한다는 위임 규칙에도 불구하고, 벨기에 콩고에서 행해진 경제 정책은 동쪽으로 수출되었다: 벨기에인들은 그 영토가 모국을 위해 이익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어떠한 개발도 그 영토에서 모아진 자금에서 나와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러한 자금은 대부분 그 지역의 비옥한 화산 [citation needed]토양에서 커피의 광범위한 재배에서 나왔다.
그들의 비전을 실행하기 위해, 벨기에인들은 토착 기관에 기반을 둔 권력 구조를 확장하고 통합했다.실제로, 그들은 투치족 지배층을 발전시켜 두 음와미의 전반적인 지배하에 있는 족장과 부계장 제도를 통해 대부분 후투족을 공식적으로 통제했다.벨기에의 행정가들은 투치족이 부분적으로 셈족의 후손이어서 순수한 [11]아프리카인으로 보이는 후투족보다 본질적으로 우월하다는 소위 하미트족 가설에 영향을 받았다.이런 맥락에서 벨기에 행정부는 순수 투치족 당국에 의해 통치하는 것을 선호했고, 따라서 인종적 관점에서 사회를 더욱 계층화했다.투치족 지배에 대한 후투족의 분노는 먼 식민지 [12]권력보다는 투치족 엘리트에게 집중되었다.무싱가는 1931년 11월 [13]불성실하다는 이유로 행정부에 의해 루안다의 음와미(mwami)로 쫓겨났다.그의 자리는 아들 무타라 3세 루다히가와로 대체되었다.
벨기에는 교육을 촉진하겠다고 동맹에 약속했지만, 가톨릭 선교와 대부분 개신교 선교에 보조금을 주지 않는 임무를 맡겼다.그 결과 가톨릭은 아프리카 인구로 급속히 확대되었다.엘리트 중등학교인 그루페 스콜레 다스트리다(Groupe Scolaire d'Astrida)는 1929년에 설립되었지만, 독립이 도래하기 직전인 1961년까지만 해도 100명 미만의 아프리카인들이 [citation needed]중등교육을 받았다.벨기에 신탁통치위원회 특별대표가 설명했듯이 이 정책은 저비용의 온정주의 중 하나였습니다. "진짜 일은 아프리카인의 본질에 변화를 주고, 그의 영혼을 변화시키고, 누군가 그를 사랑하고 매일 그와 접촉하는 것을 즐기는 것입니다.그는 자신의 경솔함을 고쳐야 하고, 사회생활에 익숙해져야 하며,[14] 타성을 극복해야 한다.
1946년 ~ 1962년 국제 연합 신탁통치령
국제연맹은 제2차 세계대전을 막지 못하자 1946년 4월 공식적으로 해산되었다.실질적인 목적을 위해 새로운 유엔(UN)에 의해 계승되었다.새 기구는 1946년 12월 루안다-우룬디에 대한 위임통치를 종료하고 "신뢰 영토"라는 새로운 지위로 대체하는 투표를 했다.감독하기 위해 PMC는 유엔 신탁통치 이사회로 대체되었다.과도기에는 벨기에인들이 독립을 위해 영토를 준비할 것이라는 약속이 수반되었지만, 벨기에인들은 그 지역이 자치권을 얻기 위해 수십 년이 걸릴 것이라고 느꼈고 그 과정이 일어나기 전에 충분한 시간이 걸리기를 원했다.
1961년 벨기에 정부는 공식적으로 루안다-우룬디를 르완다-부룬디로 [15]개명했다.
독립은 주로 다른 곳에서 행해진 행동의 결과였다.아프리카의 반식민지 민족주의는 1950년대 후반 벨기에 콩고에서 나타났고 벨기에 정부는 그들이 더 이상 그 영토를 통제할 수 없다고 확신하게 되었다.르완다 혁명(1959-1961)으로 왕정이 폐위된 루안다에서도 소요가 발생했다.Gregoire Kayibanda는 르완다에서 민족적으로 정의되고 지배적인 후투 해방운동당(Parti du Mouvement de l'Emanciption Hutu, PARMEHUTU)을 이끌었고, 동등한 국민진보연합(Union pour Le Progrés National, UPRONA HUTU)은 부룬디 균형에서 경쟁하려고 시도했다.1960년 6월 벨기에 콩고의 독립과 그에 따른 정치적 불안은 루안다-우룬디의 민족주의를 더욱 부추겼고 1961년 10월 부룬디의 황태자였던 루이스 르완가소르 UPRONA 지도자의 암살도 그 움직임을 멈추지 않았다.1961년 9월 르완다 왕국의 군주제 해체를 포함한 분주한 준비 끝에, 루안다-우룬디는 1962년 7월 1일 독립하여 르완다 공화국과 부룬디 왕국으로 전통적인 노선을 따라 해체되었다.두 나라의 정부가 완전히 분리되기까지는 2년이 더 걸렸고 부룬디 공화국이 선포되기까지는 2년이 더 걸렸다.
식민지 주지사
Ruanda-Urundi는 1926년 벨기에 콩고와의 행정 연합까지 왕립 커미셔너(Commissaire Royal)에 의해 관리되었다.그 후, 우섬부라(현재의 부줌부라)에 있는 총독(고베르뉴르)이 벨기에 콩고의 부총독(부고베르뉴르 게네랄) 직함을 겸임했다.Ruanda와 Urundi는 각각 주지사에 종속된 별도의 주민(réident)에 의해 관리되었다.
- 왕실 위원(1916년-1926년)
- 저스틴 말페이트(1916년 11월-1919년 5월)
- 알프레드 마르조라티 (Alfred Marzorati, 1919년 5월 ~ 1926년 8월)
- 주지사(1926~1962)
- 알프레드 마르조라티(1926년 8월 ~ 1929년 2월)
- 루이 포스티오(1929년 2월~1930년 7월)
- 샤를 보이신(1930년 7월~1932년 8월)
- 외젠 융거(Eugene Jungers, 1932년 8월~1946년 7월)
- 모리스 사이먼(1946년 7월~1949년 8월)
- 레오 페티용(1949년 8월 ~ 1952년 1월)
- 알프레드 마리 클레이스 보어트(1952년 1월~1955년 3월)
- 장 폴 해로이(1955년 3월 ~ 1962년 1월)
거주자 목록은 르완다의 식민지 거주자 목록 및 부룬디의 식민지 거주자 목록을 참조하십시오.
- 루안다의 왕 (아바미)
- 유히 5세 무싱가(r.武興家, 1896년 11월 ~ 1931년 11월)
- 무타라 3세 루다히가와(r.1931년 11월 ~ 1959년 7월)
- 키겔리 5세 Ndahindurwa(r.1959년 7월~1961년 9월)
- 우룬디의 왕 (아바미)
지도
- 루안다우룬디의 영토
「 」를 참조해 주세요.
- 부룬디의 역사
- 르완다의 역사
- 동아프리카 부흥 (1929-)
- 그루페 스콜레아 다스트리다(1929년 설립)
레퍼런스
인용문
- ^ a b c d e 1914-1918 온라인 백과사전 2016.
- ^ Chrétien 2016, 단락 55~57.
- ^ Chrétien 2016, 73~75항
- ^ 2016년 제86항, 90항
- ^ Chrétien 2016, 89항
- ^ 2016년 크리스마스, 91항
- ^ 2016년 크리스마스 92항
- ^ William Roger Louis, Ruanda-Urundi 1884-1919(Oxford U.P., 1963).[page needed]
- ^ 와인스타인 1976, 페이지 238
- ^ 2015년 페더슨, 페이지 256
- ^ "Hamitic myth that led to Genocide in Rwanda". The New Times Rwanda. 2014-02-23. Retrieved 2021-01-17.[더 나은 소스 필요]
- ^ 피터 랭포드, "르완다 대학살의 길:르완다 식민지 이후의 국가가 말살 프로젝트를 조직하고 촉발하는 능력의 기원.남북전쟁 제7권 n.3호
- ^ 2015년 페더슨, 페이지 253-5.
- ^ Mary T. Duarte, "Ruanda-Urundi에서의 교육", 1946-61, 역사학 (1995) 57#2 페이지 275-84
- ^ 와인스타인 1976, 페이지 247
인용된 작품
- Chrétien, Jean-Pierre (2016). "La guerre de 1914-1918 au Burundi. Le vécu local d'un conflit mondial". Outre-Mers (in French). 1 (390–391): 127–151. doi:10.3917/om.161.0127.
- Pedersen, Susan (2015). The Guardians: The League of Nations and the Crisis of Empire.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19-957048-5.
- Samson, Anne (2016). "Ruanda and Urundi". 1914-1918 Onlin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First World War. Retrieved 28 January 2019.
- Weinstein, Warren (1976). Historical Dictionary of Burundi. Metuchen: Scarecrow Press. ISBN 9780810809628.
추가 정보
- Chrétien, Jean-Pierre (2003). The Great Lakes of Africa: Two Thousand Years of History (English trans. ed.). New York: Zone Books. ISBN 9781890951344.
- Gahama, Joseph (1983). Le Burundi sous administration Belge: la période du mandat, 1919-1939 (2nd rev. ed.). Paris: Karthala. ISBN 9782865370894.
- Louis, William Roger (1963). Ruanda-Urundi 1884-1919. Oxford: Clarendon Press.
- Newbury, Catharine (1994). The Cohesion of Oppression: Clientship and Ethnicity in Rwanda, 1860-1960.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ISBN 9780231062572.
- Rumiya, Jean (1992). Le Rwanda sous le régime du mandat belge, 1916-1931. Paris: Éd. L'Harmattan. ISBN 9782738405401.
- Vijgen, Ingeborg (2005). Tussen mandaat en kolonie: Rwanda, Burundi en het Belgische bestuur in opdracht van de Volkenbond (1916-1932). Leuven: Acco. ISBN 9789033456213.
- Botte, Roger (1985). "Rwanda and Burundi, 1889-1930: Chronology of a Slow Assassination".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frican Historical Studies. 18 (2): 289–314. doi:10.2307/217744. JSTOR 217744. PMID 11617204.
- Des Forges, Alison (2014). Defeat is the Only Bad News: Rwanda under Musinga, 1896-1931. Madison: University of Wisconsin Press. ISBN 9780299281434.
외부 링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