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크룽파

Sukhrungphaa
루드라 싱하
수크룽파
스와르가데오
차오파
사우메스와라
자신의 궁정에서 디마사와 자얀티아 왕들의 오마주를 받는 루드라 싱하.
아홈 왕국의 제30대 왕
재위1696 CE ~ 1714 CE
선대수파트파아
후계자수탄파
태어난c.1665
죽은1714년 8월 27일 (만 49세)
북구와하티, 아홈 왕국 (오늘날 인도 아삼)
배우자.산디코이 보르푸칸의 딸들
파니푸칸의 딸
보르고하인의 딸들
쟁점.
이름들
스리 스와르가나라얀데바 루드라 싱하 니파티
하우스.퉁쿤기아
다이너스티옴 왕조
아버지.가다하르 싱하
어머니.조이모티 곤와리
종교힌두교의

수크룽파 또는 스와르가데오 루드라 싱하(Swargadeo Rudra Singha,c. 1665년 – 1714년 8월 27일)는 1696년부터 1714년까지 통치한 30대 아홈 왕입니다.그의 아버지 가다하르 싱하는 아삼을 무굴의 소요와 내부 음모로부터 해방시켰고, 이로써 루드라 싱하는 안정적인 영역과 정부를 물려받았고, 그의 아버지가 마련한 탄탄한 기반의 이점을 누리며 아삼을 인도의 일류 권력으로 변화시키기 위해 자신의 시간을 바쳤습니다.그는 네오-바이사바 종파에 대한 박해를 중단하고 사원, 몇몇 공공 작품들을 지었고, 예술, 문학, 문화를 후원했습니다.루드라 싱하는 아홈 건축의 진정한 아버지로도 유명합니다.[2]그는 전임자들의 고립주의 정책을 포기하고 당시 여러 국가들과 외교관계를 맺고 벵골과 광범위한 무역을 맺었습니다.

그는 행정 구조와 군대를 개조하고 인접한 추장국과 국가들, 자이나아스디마사스에 대한 공격적인 전쟁을 수행했고, 그들은 항복하고 봉신이 되었습니다.여러 요인들로 강화된 루드라 싱하는 이 지역의 통치자들의 연합을 구축하고 무굴 제국에 대항하는 거대한 복합군을 일으켰습니다.그는 구와하티에서 서쪽으로 진군하던 전날에 사망했고, 의 장남 시바 싱하가 그 뒤를 이었습니다.

그는 왕국이 권력과 영광의 절정에 이르렀던 아홈 왕들 중 가장 뛰어난 인물로 여겨집니다.루드라 싱하의 통치 기간 동안 아홈 귀족들은 그 어느 때보다 잘 조직되어 있었고, 소중한 봉건적 가치와 열망을 대변하는 왕의 뒤에 서 있었습니다.

군사작전

디마사 왕국 원정

디마사와 자인티아 왕국의 부속 지역을 포함한 붉은 선으로 아홈스의 영토를 묘사한 지도(c.1708).

아홈은 오랫동안 디마사들을 그들의 봉신으로 여겼습니다.디마사 왕들은 타피타-산치타의 지위를 받아들이기를 꺼려했습니다; 아홈의 패권을 인정하기 위해서 말이죠.1704~05년에 보내진 편지에서 디마사왕 타마드화즈가 과감하게 독립을 주장하고 마항까지 영유권을 주장하자, 이는 아홈왕을 크게 분노케 했습니다.반대편에 있는 홈들이 공세를 펼쳤습니다.1706년 12월, 디힝기아 데카 보르바루아 휘하에서 37,000명의 병력으로 이루어진 원정대가 동시에 두 개의 사단으로 나누어 시작되었고, 파니 푸칸 휘하에서 34,000명의 병력으로 단시리 루트를 통과하는 원정대였습니다.아홈의 전략은 양측에서 공격하여 어느 한 방향으로도 병력을 집중할 수 없게 하는 것이었습니다.[3][4]루드라 싱하는 직접 비스와나트 본부에서 원정대 전체를 지휘했습니다.[citation needed]

3월

통신을 유지하고 보급품의 전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디힝기아 데카 보르바루아는 그 길에 요새를 건설하고 주둔했습니다.이웃 나라 나가스는 아홈 보급품 호송대를 자주 약탈했습니다.미리 궁수들은 나가의 위협을 막기 위해 여러 요새에 효과적으로 배치되었습니다.나미라에 있는 바바우라의 부하들

디마사 왕국의 홈 원정
위치
결과

홈승리

  • 디마킹은 아홈의 지배권을 받아들입니다.
준주
변화들
아홈스에 할양된 자무나 강까지의 영토
지휘관과 지도자
루드라 싱하
디힝기아 데카 보르바루아
파니푸칸
타마르드와즈 나라얀
관련 단위
홈킹덤 디마사 왕국

총:71,000
보바루아의 군대: 37,000명

파니푸칸의 군대: 31,000명
알 수 없지만 훨씬 작음

요새는 방어자들을 물리치고 도망가게 만들었습니다.디요아와 렝구리아 사이에서 나가스는 디마사 가문에 합류하여 아홈의 쌀꾼들을 많이 죽였습니다.식량 공급의 안전과 포획된 요새의 강화를 위해 추가적인 강화가 보내졌습니다.[citation needed]

보르바우라의 군대는 활기차게 전진했습니다.디마사스 사람들은 라티에서 타랑으로 도망쳤고, 거기서 하조랄룽 요새로 피신했습니다.그들은 마주친 후 도망쳤고 보르바우라의 군대는 빈 요새를 점령했습니다.그리고 보루아군마이방으로 적을 추격하여 1707년 2월 중순에 요새를 점령했습니다.마이방에서는 전쟁 전리품을 많이 얻었습니다.[citation needed]

파니푸칸의 경로는 라하, 살가온, 람부르, 다르마푸르, 데메라, 나데렝을 거쳐 마이방까지 이어졌습니다.정규 도로가 없었기 때문에 군대는 울창한 밀림을 뚫고 길을 가야만 했습니다.점령된 데메라에 3,000명의 수비대가 남아 있었고, 다른 장소들은 약탈당했고, 322명의 포로가 잡혔습니다.그러던 중, 파니푸칸은 바바루아에 의한 마이방 점령을 알게 되었고, 왕에게 마이방에 대한 소식을 알렸습니다.아홈군의 우세한 전력은 침략을 물리치지 못한 카차리스를 압도했습니다.마이방을 점령한 후 왕은 카스푸르로 진격하여 디마사 왕을 체포하라고 명령했습니다.그러나 마이방에서 군대는 병든 기후 때문에 큰 고통을 겪었고 보르바루아를 포함한 많은 사람들이 병에 걸렸습니다.보급품이 부족했습니다.활기를 대신한 행동이 캠프를 장악했습니다.파니푸칸과 다른 지휘관들은 카스푸르까지 진군하라는 명령을 받았지만, 보급품이 부족하고 많은 병사들이 사망했기 때문에 더 이상 진군할 수 없었습니다.남아 있던 병사들도 마이방의 해충성 기후에 시달리고 있었습니다.그러나 그에 따라 카스퍼에 파견된 부대는 마이랑담에 진을 치고 있었습니다.거기에서 세 명의 사신이 디마사라자로 보내져서, 아홈 왕에게 복종하게 하였습니다.[5]

활과 창으로 무장한 홈 기병대입니다.

한편, 왕은 병든 병사들과 함께 보르바우라를 데메라로 데려오라고 명령했는데, 지금은 중병인 보르바루아는 켈레무 수용소에서 데메라로[6] 돌아오는 도중에 사망했습니다.이때 루드라 싱하는 원정을 포기하기로 결심하고 군대에 귀환 명령을 내렸습니다.[citation needed]

돌아가다

1707년 3월, 왕은 마이방의 벽돌 요새를 허물고, 그곳의 집들을 불태우고, 그의 성공을 기념하기 위해 13피트 높이의 기둥을 세운 파니푸칸을 떠올렸습니다.강력한 수비대가 남아있는 데메라에는 요새가 만들어졌는데, 비가 내리면서 질병과 사망으로 인해 왕이 철수해야 했습니다.아홈의 진군에 겁을 먹은 탐라드바즈는 비크람푸르로 도망쳐 자인티아 왕국의 왕 람 싱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긴급한 요청을 보냈습니다.[7]

자인티아 왕국 원정

탐라드와즈는 비크람푸르로 도망쳐 위트에 자인티아의 왕 람 싱에게 도움을 청하는 긴급 호소문을 보냈습니다.

자인티아 왕국의 홈 원정
위치
결과

결론이 나지 않음

  • 자인티아스는 아홈의 가신을 받아들이고 매년 공물을 바치는 것에 동의합니다.
호전적인 사람들
아옴 킹덤 자인티아 왕국
지휘관과 지도자
수랏 싱하 보르바루아
파타르 보르푸칸
람 싱
:44,000알 수 없지만 훨씬 작음

아홈군의 철수, 그는 Ram Singh에게 도움이 필요하지 않다고 말하면서 두 번째 메시지를 보냈습니다.람 싱은 이제 아홈족의 디마사 군대의 분산을 이용하기로 결정하고, 디마사 왕국의 소유권과 지배권을 얻기 위해 디마사 왕의 사람을 붙잡으려는 위험한 계획을 세웠습니다. 그는 우호적인 만남을 핑계로 탐라드화즈를 아내와 함께 붙잡아 자인티아 카피로 데려갔습니다.탈, 제인티푸르

아직 감금되어 있는 카차리 여왕은 '바이라기'를 통해 루드라 싱하에게 용서를 구하고 납치범에게 인도를 간청하는 메시지를 간신히 보냈습니다.Rudra Singh은 Ram Singh에게 Jagi의 Ahom 전초기지를 담당하는 Ahom 장교를 통해 탐라드바즈의 즉각적인 석방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보냈습니다.람 싱은 이를 거부했고, 루드라 싱은 자인티아스가 보급품을 위해 기거하고 있던 고바의 시장을 폐쇄했습니다.루드라 싱하는 자인티아 영토 침공에 대비했습니다.그는 원정을 위해 미사에 본부를 세웠습니다.그는 보르바루아 휘하의 군대와 보르푸칸 휘하의 군대 두 개 사단을 보냈습니다.[8]

3월

1707년 12월, 수랏 싱하 보르바루아는 43,000명의 병력과 지휘관을 거느리고 코필리 계곡과 디마사 지방을[9] 거쳐 잔티아푸르를 향해 진군할 예정이었습니다. 그리고 보르푸칸 휘하의 다른 사단은 바르카로이 진영에서 고바 루트로 진격했고, 그는 랑 왕과 부라고하인 휘하의 푸칸과 동행했습니다.다블라미리 부대와 데오다이 두 마리가 그와 동행하였습니다.고바에는 식량 보급을 위해 솔랄 고아인, 두왈리아 푸칸, 두왈리아 라즈코와가 주둔하고 있었습니다.

루드라 싱하에게 경의를 표하는 타마르드화즈 자인티아 왕 람 싱.

보르바루아는 삼파이에 쉽게 도착했고, 디마사 대표단은 이웃 나가 부족들이 두려워할 것이 없다고 장담했습니다.그는 비크람푸르로 가서 행군하는 동안, 미리 전령들을 보내 와서 경의를 표하는 사람들을 안심시켰고, 군대가 그들로부터 식량을 공급받을 필요가 없음을 기뻐했습니다.보르바루아는 디마사 마을을 유린하는 것을 막았고, 디마사 마을을 유린하는 것을 보장하고, 자인티아스에 맞서 그들을 돕기 위해 선물을 제공했습니다.

아홈의 군대가 물라굴에 도착한 후, 람 싱은 탐라드화즈와 그의 가족과 장교들을 항복하라는 명령을 받았습니다.사신들이 실헤트의 나왑으로 파견되어 임무의 목적을 알리고 우정을 다시 강조했습니다.

람 싱은 싸움을 준비했지만, 그의 현재 모험을 만류하려는 귀족들은 그가 무면허로 탈출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았습니다.그래서 그는 20마리의 코끼리의 호위를 받으며 항복을 하기 위해 보르바루아 진영으로 나아갔습니다.수용소 근처에서, 그는 말에 올라타도록 방치되어 있었습니다.인터뷰 후, 그는 돌아올 수 없었지만 보르바루아 가족에 의해 포로가 되었습니다.보르푸칸은 1708년 1월 20일 고바에 도착하여 선물로 고바 족장들을 회유했습니다.[10]행군 중이던 그의 군대는 여러 곳에서 가로들에 의해 괴롭힘을 당했습니다.길을 터주던 중에 가로스가 부하들을 공격했습니다.하지만, 그들은 총과 화살로 흩어졌습니다.그가 가기에서 오는 길은 고바, 아티트바가 라초르 언덕, 부리티카르 언덕, 바르파니 강둑, 파바나이를 거쳐 자인티푸르에 이르는 길이었습니다.어떤 전투에서, 자인티아스는 잘 해냈지만, 결정적인 순간에 수적으로 우세하고 힘과 지원군을 가진 아홈스에 의해 결국 최악의 상황에 처하게 되었습니다.또 다른 치열한 전투에서 아홈족은 자얀티아 지휘관 다수를 죽이고 그 중 12명과 병사 20명, 코끼리 20마리를 생포했습니다.[11]

이 전투 이후, 자인티아 왕은 1708년 2월 11일 디마사 왕과 그의 모든 동료들과 함께 보르바루아에게 항복해야만 했습니다.그 후 보르바루아보르푸칸은 다시 자이나 왕을 향해 진군을 시작했고, 자이나 왕은 그의 아들과 함께 보르바루아에게 항복했습니다.

자인티아 영토와 디마사 영토의 합병

루드라 싱하는 포로가 된 왕들에게 자이나아 왕의 의복, 보석, 무기, 코끼리, 말과 함께 자이나아 왕의 보물을 군대에 나누어 가져오라고 명령했습니다.미르 주믈라 2세의 침공 당시 카스푸르로 도망쳤던 아홈의 신하들을 다시 데려왔고 보르바루아보르푸칸 휘하의 점령군이 자티아푸르에 주둔했습니다.카차리 왕국과 자인티아 왕국이 아홈 왕국에 합병되었음을 알리기 위해 사신들이 실헤트의 무함마드 파우즈다르로 파견되었습니다.[12]포로가 된 두 왕은 모두 아홈 왕 앞에 나와 아홈 왕에게 충성을 맹세했습니다.

퇴거 및 복귀

이러한 조치들은 바르 달라이, 카이람의 라자, 그리고 200개의 독립된 하시 마을의 주민들이 침략자들을 쫓아내기 위해 합류하도록 유도한 자인티아 귀족들을 매우 화나게 했습니다.자인티아스는 강한 군대에 의해 고바로 끌려가고 있어 그들을 구출하지 못했지만, 그들은 보르푸칸이 남긴 수비대로 8개의 요새를 공격하고 그 중 3개를 빼앗았습니다.자인테스바리 여신의 구리 이미지를 루드라 싱하에게 가져가던 분견대가 비행기에 올라 구조됐습니다.아홈 병사들은 공포에 사로잡힌 뒤 도망쳤고, 자인티아스에게 쫓겼습니다.루드라 싱은 부르고하인 휘하에 4천명의 병력을 포함한 증원군을 파견했습니다.공격을 받으면 흩어지고, 그 후 공격으로 되돌아오는 자이나아의 전략은 아홈족에게 결정적인 승리를 불가능하게 만들었습니다.보르바루아와 보르푸칸은 의심할 여지 없이 자인티푸르에서 지원군을 보냈지만, 비가 다가오자 적대적인 영토에 남아 있는 것은 현명하지 못하고 위험하다고 여겨졌고, 고바로 후퇴하기로 결정했습니다.아홈 사람들은 떠나기 전에, 잔티푸르 주민 천 명을 칼로 잡고, 주변 마을들을 파괴했습니다.[13]

캠페인의 포일 및 사상자

루드라 싱하는 원정의 궁극적인 실패를 위해 보르바루아와 바르푸칸을 처벌할 생각을 했으나 다른 귀족들의 중재로 사면했습니다.루드라 싱하는 자이나티아스에 맞서 진격할 의사가 없음을 나타내는 지휘관들을 엄중히 처벌했습니다.[14]

아홈족은 자인티아의 봉기 과정에서 고위 장교 12명을 포함해 2,366명을 잃었습니다.약 1,600명의 사람들, 주로 아사메 난민들이 카스푸르에서, 600명은 자인티푸르에서 왔습니다.원정 중에 대포 3문, 총 2,273정, 코끼리 109마리, 무함마드만, 아홈, 코흐, 자인트아 조폐국에서 은 1만 2천여 점과 금, 은 등의 각종 금속 기구들을 가져갔습니다.일부 경찰관들에 의해 유용된 보석류들은 발견 즉시 그들에 의해 방출되어야 했습니다.[15]

제2차 및 제3차 자이나교 원정

한편, 아직도 아홈에 감금되어 있는 자인티아 왕 람 싱은 1708년 8월에 사망했습니다.그 달 말, 루드라 싱하는 람 싱의 아들 바르콘와르(왕세자)를 파견하여 자이나교로 보냈으나, 그는 전제조건으로 자이나교 귀족들의 개인적인 참석과 복종을 주장했으나 후자는 자제했습니다.루드라 싱하는 인내심을 잃고 고바와 코필리의 길을 따라 두 개의 사단을 파견하여 자인티아 왕국으로 다시 원정을 떠났습니다.아홈족은 몇몇 마을을 파괴하고 전리품을 획득함으로써 진격했습니다.이 장면에서 바콘 전쟁이 나타나 약탈을 중단하고 귀족들의 복종을 보장했습니다.지난 2년간 루드라 싱하는 서로 타협하고 자인티아의 바르콘와르 왕을 타피타-산치타의 봉신으로 선포했고 후자는 아홈의 지배를 인정하고 공물을 바치기로 합의했습니다.그러나 후에 바르콘 전쟁은 아홈의 봉신을 받아들이지 않고 공물을 바치는 것을 거부하여 루드라 싱하가 세 번째 원정을 하게 되었습니다.바르콘와르는 패배하여 14년 동안 투옥되었고 자이나티아스에 대한 경제 봉쇄가 이루어졌습니다.[16]

벵골 침공 제안

역사학자 수리야 쿠마르 부얀벵골 침공 제안의 목적을 다음과 같이 설명하려고 했습니다. i) 루드라 싱하 또한 힌두교도들이 처한 곤경에 대해 알고 있었습니다. ii) 그 자신은 자신에게 봉신 수장들을 위한 선물로 예복을 보낸 무르시드 쿨리 칸에게 굴욕을 당했습니다.[17] iii) 아사메 순례임스는 또한 인도의 힌두교 성지 방문에서, 특히 갠지스 강 순례와 관련하여, 무굴 장교들로부터 방해를 받았습니다.[18][19]

그리고 나서 그는 두 가지 목적, 즉 인도 동부에서 그들을 그들의 주권으로부터 몰아내고 서쪽으로 카라토야 강까지 그들의 영토를 확장하는 것을 목표로 무굴에 대한 새로운 전쟁을 위한 정교한 준비를 시작했습니다.1713년 랑푸르에서 열린 총회에서 루드라 싱하는 자신의 전임자들이 소유하고 있던 영토를 탈환하기 위해 다카와 랑가자라의 경계 사이에 놓여 있던 영토를 침공할 의사를 밝혔습니다.[16]

그는 아삼 외부의 힌두 라자들 사이에 의견을 만들려는 그의 계획을 신중하게 생각했고 또한 힌두스탄의 라자들의 연합을 조직하려고 시도했고 몇몇의 라자들과 자민다르들에게 메시지를 보냈는데, 이것은 벵골에서 무굴들을 제거하기 위해 트위프라(그리고 모랑, 바나-비슈누푸르, 나디야, 쿠치 베하르, 부르드완, 바라하나가르) 왕국을 포함했습니다.그는 그들의 종교적 정서에 호소했는데, 이는 그가 글을 썼던 트리푸라 라트나 마니키아 2세 왕에게 보낸 편지에서 알 수 있습니다.[20]그래서 그는 주도적으로 무굴족에 대항하는 힌두교 연합을 결성했습니다.

이것은 사람들 사이에서 매우 널리 퍼져서 무굴족의 적대적인 행동 때문에 베다에서 가르침을 받은 종교는 아무런 보호도 받지 못하고 있습니다.이를 위해서는 어떤 행동으로 이 상황을 타개하는 것이 옳은 일이라고 생각된다면, 우정을 가지고 있는 큰 인물과 상의한 후에 저에게 당신의 장점과 적성에 대해 자세히 써주시기 바랍니다.

[21]

예속된 자인티아스디마사.[22]군사적 지원을 약속했고, 앰버쿠치 베하르의 통치자들과 같은 인도의 몇몇 통치자들 또한 루드라 싱하의 계획에 따라 지원을 약속했습니다.

루드라 싱하는 그 후 그의 군대, 포병, 해군을 증강시켰습니다.지역 부담금은 최신 라인에 따라 교육을 받았습니다.그는 수많은 기병들을 기르며 코끼리들이 싸움에 견딜 수 있도록 훈련시켰습니다.이러한 준비 기간 동안, 그는 벵골 주민들이 자신의 패권을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벵골 주민들의 호의를 얻는 조치를 취했습니다.[23]그리고 나서 그는 구와하티를 향해 진격하여 모든 대포를 갖춘 4명의 라크인으로 구성된 군대를 동원했습니다.그러나 1714년 8월 27일 군주의 갑작스러운 죽음은 아무런 설명이 되지 않았고, 이 프로젝트는 후계자 왕인 시바 싱하에 의해 주어졌습니다.[16]

힌두교의 경향.

루드라 싱하가 1698년 시바사가르 조이사가르에 지은 조이돌, 1874년.

루드라 싱하는 임종에서 가다하르 싱하의 충고대로 사트라인들의 박해를 뒤집고, 마야마라 사트라의 사트라디카르인 차투르부예바를 포함한 사트라 선지자들을 이전 자리에 복직시켰습니다.[24]그는 가장 영향력 있는 브라흐마나 사트라디카르인 아우니아티 사트라, 하리데프로부터 시작을 받았습니다.그러나 그는 곧 슈드라 마한타스가 브라만을 시작하는 것을 금지하고 산카르데바에 의해 전파된 신조의 원칙에 완전히 반하는 시노드를 공포함으로써 바이사나바 진영에 불화를 일으켰습니다.[25][26]

루드라 싱하는 그의 치세 동안 네 명의 사트라를 인정했습니다.라자사트라 역의 아우니아티, 다킨팟, 가라무르, 쿠루아바히 등이 우대와 연공서열을 부여했습니다.[27]

샤크티즘 성향

말년에 그는 샥티즘에 경도되어 정통 힌두교인이 되겠다는 생각을 하였고, 벵골나바드위프에서 온 크리슈나람 바타차랴 냐야바기시를 초대하여 그를 종교적 안내자로 삼았고, 카마키아 사원의 경영을 맡기로 약속한 후에 그의 시작을 하기를 원했습니다.그러나 그가 도착한 후 그를 돌려보냈지만, 크리슈나람 바타차리야는 몇 번의 지진이 일어났을 때, 루드라 싱하가 그를 크리슈나람이라 부르는 신이 가장 좋아하는 사람으로 생각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차리고 분노하며 돌아갔습니다.하지만, 그는 임종 명령에 따라 아들들에게 자신의 시작을 하라고 충고했습니다.

문화활동 후원

루드라 싱하의 레페타 카타 구리 비문.

수도파 시절부터 산스크리트화 혹은 인도화는 탄력을 받아 루드라 싱하와 시바 싱하 정권 때 절정에 이르렀습니다.삭타 의식의 형식이든 에카사라나 다르마의 형식이든, 아홈족의 왕들은 점점 더 많은 양의 아리아니즘을 받고 있었습니다.

당시 물질적 조건의 도움을 받은 루드라 싱하는 그의 전통에 따라 더욱 힘차게 행동했습니다.이제, 네오-바이슈나이트 운동을 주도하는 봉건 세력의 세력을 키워가는 아홈 군주제를 공고히 하기 위해, 루드라 싱하는 인도의 다른 곳의 봉건 통치자들 사이의 친구들을 존경하고 그들의 연합의 장소를 확보하여, 아홈 지배 계급과 무굴족을 포함한 인도 지배 계급을 통합해야 했습니다.[29]

루드라 싱하의 라즈모후레(Rajmohuree of Rudra Singha, 발행일 사카 1619= 1697 CE)
가나샴 하우스

그는 무굴 드레스를 아홈 궁정에 소개했고, 브라만 소년들을 벵갈과 비하르의 학문의 중심지에서 공부하도록 보냈습니다.그는 지역의 예술과 문화를 후원하는 것을 잊지 않았습니다.그는 지역 민속 음악과 무용의 문화를 장려했고, 이를 위해 가얀 바루아 같은 장교들을 임명했습니다.처음으로 비후들을 궁궐 안뜰에서 축하하게 하고 7일 내내 여러 종류의 경기나 스포츠, 게임, 문화 공연[30] 등 다양한 공연을 조직한 사람은 바로 그였다고 합니다. 그는 스포츠와 게임의 진흥을 위해 훈련을 담당했던 센초와 바루아와 같은 사무실을 만들었습니다.매와 수탉의 훈련을 담당하는 쿠쿠라-초와 바루아.루드라 싱하는 갠지스 강에서 왕들의 유골을 담글 의무를 위해 엄선된 산야시스로 구성된 칸드라는 새로운 씨족을 만들었습니다. 그들을 고용했습니다.

그의 궁정에는 수많은 시인과 학자들이 있었습니다.그들 중 가장 주목할 만한 사람은 유명한 드라마 Sankha-Chura-Bandha를 작곡하고 Abhiyana Sukuntalam과 Brahma-Vaivrata Purana를 아사메어로 번역한 Kabiraj Chakravarty였습니다.[31]그는 다른 왕국들과의 교류를 장려했고 인도의 여러 지역에 있는 다른 왕실들에 대사들을 보냈습니다.그는 외교를 위해 특별히 Khaund, Kotoki, Bairagi, Doloi, Kakoti와 같은 공식적인 자리를 만들었습니다.그는 음악을 배우기 위해 델리로 사람들을 보냈고, 베다어와 산스크리트어 공부를 위해 브라만 소년들을 구루쿨로 보냈습니다.그는 새로운 수도 랑푸르에 궁전과 다른 건물들을 짓기 위해 외부에서 건축가들을 데려왔습니다.그는 아홈 코트에 무굴 스타일의 드레스를 소개했습니다.

토목공사

  • 그의 어머니 조이모티 콘와리를 추모하기 위해 그는 4개의 둑을 포함하여 318 에이커 (1.29 킬로미터2)의 지역에 걸쳐 있는 인도에서 가장 큰 인공 탱크인 조이사가르 탱크를 팠습니다.
    십사가르의 조이사가르 호수
  • 1703년, 그는 시바에게 기도를 바치기 위해 조이사가르 탱크에서 탈탈가르로 가는 길인 보르두아르, 즉 정문 근처에 랑나트 돌을 지었습니다.
  • 랑가나트 돌 이전인 1703~04년에 파쿠와 돌(Fakuwa Dol)이라는 피라미드 모양의 절이 홀리를 축하하기 위해 지어졌습니다.
  • 가리사가르의 남당 돌다리와 카리카티아에서 티타보르로 이어지는 카리카티아 알리(Kharikatia Ali, 아사메어로 길이라는 )를 포함한 수많은 다른 건축 기념물과 구조물들이 그의 공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길이 60m, 폭 6.5m, 두께 1.7m의 돌다리인 남당대교는 1703년에 남당강 위에 세워졌습니다.그것은 아호메라 시대의 공학적인 솜씨와 기술을 보여주는 가장 좋은 예 중의 하나입니다.국도 37호선에 있는 이 다리는 지난 300년 동안 자랑스럽게 서비스를 제공해 왔습니다.

죽음.

루드라 싱하는 구와하티 수용소에 머무는 동안 위험한 질병에 걸렸습니다.그는 1714년 8월 27일 처음으로 병을 앓은 지 8일 만에 세상을 떠났습니다.그는 임종 때부터 다섯 아들 모두에게 연속적으로 왕이 되라고 명했습니다.

캐릭터와 유산

다사다난했던 17년에 걸친 그의 재임 기간 중 가장 두드러진 사건은 카차리 왕과 자이나아 왕과의 전쟁이었습니다.비록 문맹이었지만, 루드라 싱하는 기억력과 특출난 지성을 지니고 있었습니다.그는 가장 위대한 아홈 왕으로 여겨집니다.또한 그는 모든 부족들의 복종을 받았고, 티베트와 광범위한 무역을 맺었다고 전해집니다.전임자의 정책을 어느 정도 고립시켰던 정책을 버리고 양국 간의 교류를 장려하고 인도의 사절단을 파견했습니다.그는 외국의 풍습을 공부하고 그가 좋다고 생각하는 것들을 받아들였습니다.그는 벵골에서 많은 인공 기술자들을 수입했고, 또한 브라만을 위한 많은 학교들을 설립했습니다.[32]

이슈 및 자손

참고 항목

메모들

  1. ^ "두 번의 죽음 영광스러운 루드라 싱하 왕은 1636년 13일 흑월 둘째 날인 일요일, 해가 지기 전에 프라하르에서 18년 6개월의 통치 끝에 세상을 떠났습니다."(부얀 2006:39) 대상 없음: 2006 (
  2. ^ Das, Bhaijan. "Historical Tourism: A case study of Sivasagar". {{cite journal}}:저널 요구사항 인용 journal=(도움말)
  3. ^ "Vernacular Historiography and North-East Literature: A Critical Reading of the Kachari Buranji – Rupkatha Journal on Interdisciplinary Studies in Humanities". rupkatha.com. Retrieved 5 February 2023.
  4. ^ (고괴이 2017:65)
  5. ^ (고괴이 2017:107-109)
  6. ^ Basu 1970, 페이지 58
  7. ^ 바수 1970, 페이지 59
  8. ^ (고고이 2017:109)
  9. ^ Basu 1970, 페이지 59-60
  10. ^ (고괴이 2017:110)
  11. ^ (고괴이 2017:111)
  12. ^ 바수 1970, 페이지 61
  13. ^ 바수 1970, 페이지 61
  14. ^ (고괴이 2017:51)
  15. ^ Basu 1970, 페이지 62
  16. ^ a b c 사르카르 1992, 페이지 282
  17. ^ "벵골의 페르시아 연대기에서, 리야즈-살라틴-트위푸라의 라자들, 쿠치 비하르, 아삼은 자신들과 통치 족장들을 불렀고, 힌두스탄의 황제에게 복종하며 고개를 숙이지 않았고, 자신들의 이름을 따서 동전을 주조했습니다.그러나 칸의 강력한 통치에 대해 들은 아삼의 라자는 상아, 사향, 악기, 깃털, 공작 깃털의 부채 등의 칸 의자와 팔키스를 제시하고 그의 복종을 제의했습니다.그러나, 적어도 무르시드 쿨리 칸이 아사메족이 행동하기를 원했던 방식을 보여주는, 이것은 동시대의 아사메족 기록에서 찾을 수 없습니다." (부얀 1938:200)
  18. ^ 부얀 1956, p. 201
  19. ^ "루드라 싱하 왕은 켈라트족을 사르가데오 루드라 싱에게 보내 아홈 군주가 모굴 정부에 종속되어 있다고 암시하는 벵골 총독 나왑 무르시드 쿨리 칸에게 극도로 화를 냈습니다.따라서 루드라 싱은 '힌두교의 적'으로 묘사된 모굴족에 대항하는 강력한 연합체를 조직하는 데 열정적이었습니다.모랑, 바나비슈누푸르, 나디야, 쿠흐 베하르, 부르드완, 바라하나가르, 트리푸라의 라자들에게 사절단을 파견하여 침략자들과의 싸움에서 그들의 지지와 협력을 구했습니다."(Chaudhuri 2016:26)
  20. ^ "예를 들어 국제법의 규칙이 막 구체화되고 휴고 그로티우스의 일이 광범위하게 받아들여지는 시기에 외교 사절단을 파견함에 있어 최고 수준의 의전이 유지되고 있음을 보여줄 사르가데오 루드라 싱하 아삼 통치자가 트리푸라 왕 라트나 마니키아에게 보낸 기밀 편지를 예로 들겠습니다.후에 생긴 공공성."(Chaudhuri 2016:27)
  21. ^ (부얀 1938:15)
  22. ^ 바루아 1985, p. 290
  23. ^ (부얀 1938:5)
  24. ^ (Baruah 1993:55)
  25. ^ (Baruah 1993:8)
  26. ^ (Baruah 1993:56)
  27. ^ (고고이 1986:100)
  28. ^ a b (Baruah 1985:294)
  29. ^ (Baruah 1985:292)
  30. ^ L.Gogoi, Ahom Jati aru Asamiya Sanskriti. p. 16.
  31. ^ (Baruah 1985:293)
  32. ^ (Gait 1906:181)
  33. ^ (Baruah 1993:286-7)

비빌로그래피

  • Gogoi, Lila (1986). The Buranjis, Historical Literature of Assam. the University of Michigan: Omsons Publications.</ref>
  • Bhuyan, Suryya Kumar (1956). Studies in the Literature of Assam. Lawyer's Book Stall.
  • Chaudhuri, Bikach (2016), "Tripura: A Peep into the Past", in Poddar, Satyadeo (ed.), History of Tripura: As Reflected in the Manuscripts, New Delhi: National Mission for Manuscripts, pp. 26–28
  • Baruah, S.L. (1985), A Comprehensive History of Assam, Munshiram Manoharlal
  • Sarkar, J. N. (1992), "THE MONARCHY AT ITS ZENITH", in Barpujari, H. K. (ed.), The Comprehensive History of Assam, vol. 2, Guwahati: Assam Publication Board, pp. 257–85
  • Devi, Lakshmi (1968). Ahom-tribal Relations- A Political Study. Lawyer's Book Stall. pp. 210–261.{{cite book}}: CS1 유지 관리: 위치 누락 게시자(링크)
  • Baruah, S. L. (1993), Last Days of Ahom Monarchy, New Delhi{{citation}}: CS1 유지 관리: 위치 누락 게시자(링크)
  • Gait, Sir Edward (1906) (1906). A History of Assam. Gauhati University: LBS Publications.
  • Gogoi, Khagen (2017). Ahom warfare evolution nature and strategy. Gauhati University.{{cite book}}: CS1 유지 관리: 위치 누락 게시자(링크)
  • Bhuyan, S K (1938). "Introduction". Tripura Buranji. Gauhati, Assam: Govt of Assam.
  • Basu, NK (1970). Assam in the Ahom Age, 1228-1826: Being Politico-economic and Socio-cultural Studies. Sanskrit Pustak Bhand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