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디어드 볼턴

Rudyerd Boulton
루디어드 볼턴
태어난(1901-04-05) 1901년 4월 5일
미국 펜실베이니아 비버
죽은1983년 1월 24일 (1983-01-24) (81)
기타 이름"루드"
교육암허스트 대학교
모교피츠버그 대학교
과학 경력
필드조류학
기관

울프리드 루디어드 볼턴(Wolfrid Rudyerd Boulton, 1901년 4월 5일 ~ 1983년 1월 24일)은 아프리카에서 광범위하게 활동한 미국의 조류학자였다.볼튼은 미국 자연사 박물관카네기 자연사 박물관에 자리를 잡고 아프리카 원정을 폭넓게 여행했다.그의 첫 번째 아내인 민족학자 로라 볼튼과 함께, 그는 아프리카 열대 새들의 울음소리를 녹음했다.볼튼은 2차 세계대전 당시 아프리카에 대한 지식과 해외여행 경험 때문에 전략서비스국(OSS)에 채용됐다.그는 맨해튼 프로젝트를 위해 벨기에 콩고로부터 우라늄 광석의 공급을 감시하는 일을 맡았다.볼튼은 1947년 중앙정보국(CIA)으로 이직한 뒤 1958년 사임했다.

볼튼은 1959년 셋째 부인과 함께 남부 로도시아로 이주해 아프리카 조류 연구를 장려하기 위해 자선단체인 아틀란티카 재단을 설립했다.이 재단은 CIA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았고 볼튼은 이후 로도디아의 중앙정보기구로부터 조직과의 연계를 놓고 인터뷰를 받았다.아틀란티카는 1965년 로도디아의 일방적 독립 선언 이후 자금 대부분을 잃었고 1978년 볼튼이 재단을 폐쇄했다.그는 짐바브웨에서 죽었다.

어린 시절과 경력

W. Rudyerd Boulton은 1901년 4월 5일 펜실베이니아 비버에서 태어났다.[1]그의 이름은 울프리드, 윌프레드 등으로 다양하게 붙여졌지만 일반적으로는 사용되지 않아 'W'로 알려져 있다.Rudyerd Boulton", "Rudyerd Boulton" 또는 "Rud".[2][3]그는 15세 무렵에 미국 조류학자 연합에 가입했다. 그는 평생 동안 회원으로 남을 것이다.[2]그는 Amherst College를 거쳐 피츠버그 대학교를 다녔고, 1924년에 이과 학사 학위를 받았다.[3]졸업 직후 볼튼은 미국 자연사 박물관 조류학과의 연구 보조원이 되었다.그는 아서 스타나드 버네이(Arthur Stannard Vernay)의 1925년 앙골라 원정에 참가했으며, 같은 해에 민족학자 로라 볼튼( Crayton)과 결혼했다.[3]

볼튼은 1926년 새의 부 큐레이터로 카네기 자연사 박물관으로 옮겼고, 1929년에는 사라 라반부르크 스트라우스 원정대(말라위, 우간다, 케냐)에 합류했다.이 과정에서 아내와 함께 아프리카 열대새들의 울음소리를 녹음한 최초의 기록을 세웠다.[3]볼튼은 1929-30년 카네기 박물관 아프리카 탐험대와 1930-31년 베르나이-랑 칼라하리 탐험대의 일원이기도 했다.[1][4]1931년 볼튼은 자연사 현장 박물관의 부 큐레이터로 임명되었고, 같은 해 랄프 퓰리처와 함께 앙골라 원정에 동행했다.[1][3]원정 중에 그는 아내를 기리기 위해 이름지었던 이전에 알려지지 않은 워블러의 종을 발견했다.[3]1933년에 그는 "새와 함께 여행"이라는 제목의 아동 책을 출판했다.[3]볼튼은 1934년 필드뮤지엄-스트라우스 원정대의 일원으로, 다카르에서 나이지리아거쳐 카메룬까지 12,900km를 여행했으며, 이후 파나마, 서인도 제도, 갈라파고스 제도로의 탐험에 참가했다.[3][1]볼튼은 1937년 새의 큐레이터로 승진하여 1946년까지 유지한 직책이다.[1][2]그는 1938년 아내와 별거했고 4년 후 상속녀, 시인, 예술 후원자이네즈 커닝햄 스타크와 재혼했다.[3]1948년에 그는 그의 연구 탐험에 대한 광범위한 영화 문서를 필드 박물관에 기증했다.[5]

OSS/CIA 경력

볼튼은 아프리카에 대한 지식과 해외 경험으로 1942년 당시 미국 정보기관이었던 전략서비스국(Office of Strategic Services)에 영입됐다.는 비밀 정보부의 아프리카 부서 부관으로 임명되었다.[3]볼튼은 1943년부터 주로 벨기에 콩고에서 입수한 맨해튼 프로젝트의 성공에 필수적인 우라늄 광석의 공급을 감시하기 위해 X-2 카운터 스파이 지부와 공동 프로그램을 공동 조율한 책임이 있다.[3]그의 경험에도 불구하고, Boulton은 주로 워싱턴 DC에 기반을 두고 있었는데, 1944년에 북아프리카를 방문하기 위해 출국한 단 한 번이었다.[3][1]전쟁 중에 아돌프 W. 슈미트는 후에 캐나다 주재 미국대사가 되었고, 그의 정보 장교 중 한 명으로 활동했다.[3]

1946년 2월까지 볼튼은 비밀정보부의 아프리카 부서장이 되었고, 비록 박물관의 연구 동료로 남아있지만, 정부를 위한 일에 집중할 수 있도록 카네기 지부에서 사임해야 했다.는 1947년 OSS의 후계자로 중앙정보부가 설립되자 중앙정보부로 이관하였다.1952년 북아프리카에서 수행된 조류학 탐험대 볼튼은 CIA로부터 수술을 위한 자금 지원을 받았거나 그렇지 않다면 그의 아내에 의해 지원받았을지도 모른다.1957년 남부 로도시아와 앙골라로의 추가 탐험은 카네기 박물관의 자금 지원을 받았다.볼튼은 1958년 4월, 아내가 죽은 바로 그 해, CIA에서 사임했다.[3]

로데시아

볼튼은 1959년 4월 전 OSS 동료의 미망인 루이스 렘과 세 번째, 마지막 결혼식을 올렸다.[3]몇 달 안에 그 부부는 남부 로도시아로 이주했고 그곳에서 조류학자들, 특히 학생들이 아프리카의 새들을 연구하도록 장려하기 위한 자선 단체인 아틀란티카 재단을 설립했다.[2][1]Boulton은 McIlwaine 호수 근처에 농장을 가지고 있었는데, 이 농장은 1960년 12월에 Rodes National Gallery에 전시된 광범위한 미술품 컬렉션을 수용했다.[3]는 파블로 피카소, 마크 샤갈, 와실리 칸딘스키, 폴 클리의 작품을 포함하여 아틀란티카의 작품에 자금을 대기 위해 그의 미술품 중 일부를 팔았다.볼튼 부부는 이 단체에 자주 기부를 해 재산의 3분의 1을 전액 기부했고, CIA로부터 재정적인 지원도 받았다.이 재단은 냐츠타임 칼리지의 장학금을 후원하고 100여 개 교육 기관에 책을 기증했다.[3]

보울턴은 재단에서의 업무 외에도 로도시아 사이언스 뉴스의 편집장과 로도시아 과학 협회 회장을 맡고 있었다.1972년 로친바르 국립공원으로 조성된 루사카 남서쪽 지역의 초기 보존사업을 도왔고 영양식품으로 흰개미를 재배하는 실험도 했다.볼튼은 탄자니아칼라하리 사막으로 이동 연구소와 함께 원정을 수행했다.그 실험실은 그가 CIA를 위한 조사를 수행하는 데 사용했을지도 모르는 첨단 청취 장비와 지도 제작 도구를 포함했다.로데시아의 중앙정보국(CIA)은 볼튼의 CIA 연결과 첨단 장비에 대해 의심하고 있었고 그는 그들과 인터뷰를 했다.[3]

볼턴은 1965년 로도디아의 일방적 독립선언과 1967년 미국의 제재 도입에 따라 국제기금을 잃었다.그 결과 아틀란티카는 프로그램을 대폭 줄일 수밖에 없었다.루이즈가 할 수 있었다면 점점 고립되어 가는 로도시아를 볼튼족이 떠났을 것이 분명하겠지만, 그녀는 실명과 노쇠에 치여 24시간 보살핌을 받아야 했다.루이스는 1974년에 사망했고 2년 후 볼튼은 아틀란티카 폐쇄 과정을 관리하기 위해 미국으로 돌아왔다.그는 1978년 남은 자금을 로도시아 보존 신탁에 이체했다.아틀란티카 재산은 짐바브웨의 새로운 흑인 주요 정부(로디시아는 로데시아로 개명)에 의해 모잠비크 출신과 국내 출신 학생들을 교육하는 데 사용되었다.[3]

볼튼은 만년에 두 번의 뇌졸중을 겪었고 휠체어 사용자였다.[3]그는 1983년 1월 24일 짐바브웨에서 사망했다.[1]

아프리카 도마뱀붙이의 한 종인 Rhoptropus Boultoni는 Rudyerd Boulton을 기리기 위해 이름 지어졌다.[6]

참고 항목

참조

  1. ^ a b c d e f g h Shavit, David (1989). The United States in Africa – A Historical Dictionary. Westport, Connecticut: Greenwood Press. p. 26. ISBN 0-313-25887-2.
  2. ^ a b c d Traylor, Jr., Melvin A. (1986). "In Memoriam: W. Rudyerd Boulton" (PDF). The Auk. 103 (2): 420. doi:10.1093/auk/103.2.420. Retrieved July 31, 2016.
  3.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Jacobs, Nancy J. (2015). "Marriage, Science, and Secret Intelligence in the life of Rudyerd Boulton (1901–1983): An American in Africa". Kronos. 41 (1): 287–313. JSTOR 43859443.
  4. ^ "Field Museum News". January 1930. Retrieved May 6, 2020.{{cite web}}: CS1 maint : url-status (링크)
  5. ^ Boulton, Wolfrid Rudyerd. "Boulton Expedition Films (Reel 1)". Retrieved April 16, 2020.{{cite web}}: CS1 maint : url-status (링크)
  6. ^ Beolens, Bo, Watkins, Michael, Grayson, Michael(2011).에포넴 파충류 사전.볼티모어: 존스 홉킨스 대학 출판부.xii + 296 페이지ISBN 978-1-4214-0135-5("Boulton", 페이지 35).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