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S 애버딘
SS Aberdeen![]() 오카나간 호수의 SS 애버딘, 1895년 | |
역사 | |
---|---|
캐나다 | |
이름 | 애버딘[1] |
네임스케이크 | 제7대 애버딘 백작(1870-1916)과 캐나다 총독(1893-1898) 존 해밀턴 고든 |
소유자 | 캐나다 태평양 철도 |
경로 | 펜틱톤에서 오카나간으로 착륙 |
빌더 | B.C. 철공소생술 및 심폐소생술 |
시작됨 | 1893년 5월 22일 |
가동중 | 1893 |
서비스 중단 | 1919년 12월 31일 |
운명 | 헐은 35달러에 팔렸다. |
일반적 특성 | |
클래스 및 유형 | 스턴휠러 |
톤수 | 544.0 |
길이 | 146.2피트(44.6m) |
빔 | 29.9피트(9.1m) |
깊이 | 6.8피트(2.1m) |
SS 애버딘은 캐나다 태평양 철도 회사가 위탁한 기선이었다. 오카나간 호에서 최초의 심폐소생술 증기선이었으며, 1893년부터 1919년까지 오카나간 착륙에서 펜티콘으로 승객과 화물을 운반했다.[2] 애버딘은 오카나간 호수를 따라 처음으로 공동체를 연결시켜 오카나간 계곡에 새로운 시대를 만들고 브리티시 컬럼비아의 경제와 내륙의 정착을 크게 도왔다.[3]
건설
애버딘은 심폐소생술(심폐소생술)의 의뢰를 받아 슈스와프·오카나간 철도 노선을 오카나간 랜딩에서 펜티콘으로 연장했다.[4] 윌리엄 코넬리우스 반 혼 대통령은 1892년에 건축을 승인했다. 이 배는 덴마크의 조선업자 존 F에 의해 설계되었다. 스테펜과 건설업자 에드윈 G. 맥케이가 기선의 건설을 감독했다. 오리건주 포틀랜드의 호레이스 캠벨은 이 엔진을 설계했는데, 이 엔진은 B.C.에 지어졌다. 아이언웍스. 심폐소생술로 몬트리올에 보일러를 만들었다. 애버딘은 1902년까지 나무를 태웠는데, 그때 그녀는 석탄 버너로 개조되었다.[2]
애버딘을 건설하고 유지하기 위해 버논 근처에 오카나간 랜딩이라는 조선소가 건설되었다.[5] 오카나간 랜딩은 후에 SS 오카나간, SS 나라마타, 시카무스와 같은 많은 배에 사용되었다. 애버딘의 건설은 또한 몰딩, 목재, 부속품을 공급하는 것과 같은 지역 사업을 위한 일을 제공했다.
애버딘은 전형적인 서부 디자인의 선미 바퀴벌레였고, "1893년 북서부에 상륙한 가장 완성된 내륙 기선"[6]이라고 불렀다. 그녀는 146.2피트(44.6m)의 가로 세로 29.9피트(9.1m)의 높이였고, 홀드 깊이는 6.8피트(2.1m)의 높이였다. 그녀의 승객 용량은 250명, 화물 갑판 용량은 200톤(180톤)이었다.
1층 갑판에는 보일러, 기계, 화물, 승무원 숙소가 8개씩 들어 있었다. 화물 갑판 앞쪽에는 살롱 갑판으로 통하는 계단이 있었는데, 앞에는 흡연실과 사무실의 뒤쪽, 그리고 여분의 방이 있었다. 식당 살롱은 양쪽에 11개의 스태테로움이 늘어서 있는 가운데 있었다. 스튜어디스 방, 팬트리, 여자 화장실과 캐빈도 살롱 갑판에 있었다.[5] 그러나 애버딘이 발사되었을 때 캐빈들은 완성되지 않았다. 마지막 도료와 금박 박리가 적용되기까지 목공예는 1년이 걸렸다. 장교 숙소는 기찻집 뒤에 있었다.[7]
크루
애버딘의 첫 번째 선장은 J 선장이었다. 포스터, 전 코스터 라이너 아일랜더의 친구. R. 윌리엄스는 1등 항해사, H. 포셋은 사무장, W.B. 쿠손은 최초의 기술자였다. 주목할 만한 선장은 애버딘의 선원으로 처음 합류한 조셉 위크 선장이었다. 이후 SS 요크와 애버딘을 지휘한 뒤 시카무스의 마지막 대장이 되었다.[7]
이름
애버딘은 제7대 애버딘 백작인 존 캠벨 고든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그는 버논 근처에 있는 큰 콜드스트림 목장을 소유하고 있었고 1893년 캐나다 총독으로 임명되었다.
서비스
애버딘은 1893년 5월 22일 축제에 참가하기 위해 걸어서 또는 기차로 오카나간 착륙에 도착하는 군중들과 함께 발사되었다. 농부들과 정착민들, 상인들은 오카나간을 처음으로 연결하는 1급 현대식 증기선을 갖게 되어 기뻤다. 애버딘 이전에는 오카나간 호수에 있는 개인들에 의해 원시적인 교통수단만이 제공되었다. 작전은 작았고, 신뢰할 수 없었고, 지역의 발전을 도모하기에 불충분했다.[7] 애버딘은 주민 서비스를 대폭 개선했고 그녀와 경쟁할 만한 선박이 없어 사실상 호수에 대한 독점을 진행했다.
그녀는 펜틱톤에서 오카나간 랜딩까지 일주일에 세 번 왕복 여행을 했으며, 1월 중순에서 3월 사이에 운항이 중단되었고, 그 때 펜틱톤 기선이 일주일에 두 번 입항하게 된다. 나중에, 이것은 SS Fairview와 Greenwood에 의해 이루어졌다. 1907년 오카나간이 건설되기 전까지 애버딘은 월, 수, 금에 남쪽으로 달려 아침에 오카나간 착륙을 떠나 오후까지 펜티턴에 도착했다. 그녀는 펜틱톤에서 오카나간 랜딩으로 화요일, 목요일, 토요일에 달렸다.
초기에는 포경선이 원시적이고 여행자의 편의시설도 거의 없었지만 개선이 이루어졌고 사업도 늘어났다. 1890년대의 광산 개발은 대량의 교통량을 의미했다. Okanagan은 1900년대 초까지 과일 산업이 붐을 이루었고, 수출에 있어 기선은 필수적이었다.[8] 요크는 1902년 애버딘의 구호 기선으로 출범했다. 1904년이 되자, 늙어가는 애버딘이 호수의 교통을 감당할 수 없다는 것이 분명해지고 있었다. Okanagan은 1907년에 출범하여 애버딘을 대신하여 그녀를 화물 운송에 자유롭게 해주었다. 애버딘은 1916년에 은퇴했고 그녀의 선체는 35달러에 팔렸다.[7]
참고 항목
참조
- ^ Turner, Robert (1984). Sternwheelers and Steam Tugs. Sono Nis Press. p. 252.
- ^ a b "A Pictorial History of Kelowna BC". Kelowna BC. p. 4.
- ^ "The Story of Lake Boats in the Okanagan". SS Sicamou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4-08-02.
- ^ "1890: 1893 - S. S. Aberdeen". Lake Country Museum and Archives.
- ^ a b Turner, Robert D. (1947). The Sicamous and the Naramata: Steamboat days in the Okanagan. Victoria: Sono Nis Press.
- ^ Wright, E. W., ed. (1895). Lewis and Dryden's Marine History of the Pacific Northwest. Portland, OR: Lewis & Dryden Printing Company. p. 408.
- ^ a b c d Turner, Robert D. (1984). Sternwheelers and Steam Tugs: An Illustrated History of the Canadian Pacific Railway's British Columbia Lake and River Service. Victoria: Sono Nis Press.
- ^ Wilson, Wayne. Kelowna: one hundred years of history (1905-2005). Kelowna: Kelowna Publis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