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V 리드
SV Ried![]() | |||
풀네임 | 스포츠베레이니궁 리드 폰 1912 | ||
---|---|---|---|
설립됨 | 1912 | ||
그라운드 | 키인 소르겐 아레나, 리드 임 인크레이스 | ||
역량 | 7,680 | ||
회장 | 요한 윌밍거 | ||
관리자 | 로버트 이베르츠베르거 | ||
리그 | 오스트리아의 축구 분데스리가 | ||
2020–21 | 9일 | ||
웹사이트 | 클럽 웹사이트 | ||
|
SV 리드는 오스트리아 상부의 리드 임 인크레이스 출신의 오스트리아 협회 축구 클럽이다.이 팀은 7,680명의 수용력을 가진 경기장인 킨 소르겐 아레나에서 홈 경기를 한다.2016-17시즌 분데스리가에서 강등된 SV 리드는 2019~20 오스트리아 축구 2부리그 챔피언에 오른 뒤 상위권 2020-21 오스트리아 분데스리가에 복귀했다.스폰서십을 이유로 현재 클럽명은 SV군타마틱라이드다.
역사
1912년 5월 5일 스포츠베레니궁 리드로 결성되어, 1991년까지 상피오스트리아의 지역 리그에서 활동하다가 처음으로 전국 리그에 올랐다.SV 리드는 1995년 처음으로 오스트리아 축구 최고 수준으로 승격했다.
SV 리드는 1998년 오스트리아 컵에서 스투름 그라즈를 결승전에서 3-1로 꺾고 우승하면서 첫 메이저 영예를 안았다.2003년, 리드는 강등되었고, 최고 부서에서 8년간의 기간이 끝났다.두 시즌 후 리드는 분데스리가의 지위를 되찾아 2005년 5월 23일 카펜베르크에 3-2로 승리하면서 에르스테 리가의 챔피언이 되었다.다음 시즌(2005-06)에서 리드는 분데스리가에서 지금까지 4번째로 리그 최고 기록을 달성했다.그 다음 해 그들은 2위를 차지하며 부진이 되는 것을 한 번 더 개선하는데 성공했다.시즌 첫 3회 이후 강등권 싸움을 벌이는 듯했고 5주 동안 꼴찌에 갇혀 있었다.하지만 구단 경영진은 헬무트 크래프트의 감독 능력을 계속 신뢰하고 있어 결국 옳은 결정으로 판명될 것이다.시즌 2차 3차전에서 12경기 무패, 경기주 32~36일 최근 5경기 중 5승을 거두며 유럽축구연맹(UEFA)컵 1차 예선에서 구단의 최고 리그 2위와 1위 자리를 보장했다.
명예
- 수상자: 1997-98, 2010-11
- 2라운드: 1998-99
플레이어스
현 분대
- 2022년 1월 27일 기준
참고: 국기는 FIFA 자격 규정에 따라 정의된 국가 대표팀을 나타낸다.선수들은 둘 이상의 비FIFA 국적을 보유할 수 있다.
|
|
대출금외
참고: 국기는 FIFA 자격 규정에 따라 정의된 국가 대표팀을 나타낸다.선수들은 둘 이상의 비FIFA 국적을 보유할 수 있다.
|
회수번호
관리자 이력
클라우스 로이팅어 (1988년 7월 1일 ~ 1999년 5월 31일)
하인츠 호흐하우저(1999년 7월 1일 ~ 2000년 5월 31일)
헬무트 크론예거(2000년 7월 1일 – 2001년 4월 20일)
알프레드 타타르(2001년 4월 21일 ~ 2002년 3월 21일)
게르하르트 슈바이처(2002년 3월 26일 ~ 2003년 5월 13일)
클라우스 로이팅어 (interim) (2003년 5월 14일 – 2003년 5월 31일)
Petar Segrt(2003년 7월 1일 – 2003년 12월 31일)
Andrzej Lesiak(2004년 1월 1일 – 2004년 6월 30일)
하인츠 호흐하우저(2004년 7월 1일 ~ 2006년 5월 31일)
헬무트 크래프트(2006년 6월 1일 – 2007년 10월 22일)
토마스 바이센보크(2007년 10월 22일 – 2008년 4월 6일)
Michael Angerschmid (interim) (2008년 4월 9일 – 2008년 6월 30일)
게오르크 젤호퍼(2008년 5월 8일 – 2008년 7월 2일)
게르하르트 슈바이처 (interim) (2008년 7월 2일 – 2008년 7월 11일)
폴 그루도바츠(2008년 7월 11일 – 2012년 3월 19일)
게르하르트 슈바이처 (interim) (2012년 3월 20일 – 2012년 5월 31일)
Heinz Fuchsbichler (2012년 6월 1일 – 2012년 11월 6일)
게르하르트 슈바이처 (interim) (2012년 11월 6일 – 2012년 12월 9일)
Michael Angerschmid(2012년 12월 9일 – 2014년 5월 31일)
올리버 글라스너(2014년 6월 1일 ~ 2015년 5월 31일)
Helgi Kolviðsson (2015년 6월 1일 – 2015년 8월 16일)
폴 그루도바츠(2015년 8월 16일~2016년 6월 30일)
크리스티안 벤베넥(2016년 7월 1일 –)
유러피언컵 역사
Q = 적격 PO = 플레이오프
계절 | 경쟁 | 둥글다 | 나라 | 클럽 | 홈 | 멀리 | 골재 |
---|---|---|---|---|---|---|---|
1996 | UEFA 인터토토컵 | 그룹 4 | ![]() | 자그비 루빈 | 1–2 | ||
![]() | 실케보르 IF | 0–3 | |||||
![]() | 콘위 유나이티드 | 2–1 | |||||
![]() | RSC 샤를로이 | 1–3 | |||||
1997 | UEFA 인터토토컵 | 그룹 12 | ![]() | 이라크리스 살로니키 | 3–1 | ||
![]() | 플로리아나 | 2–1 | |||||
![]() | 메라니-91 트빌리시 | 1–3 | |||||
![]() | 모스크바 어뢰 | 0–2 | |||||
1998–99 | UEFA컵 위너스컵 | 1 | ![]() | MTK 부다페스트 | 2–0 | 1–0 | 3–0 |
2 | ![]() | 마카비 하이파 | 2–1 | 1–4 | 3–5 | ||
2001 | UEFA 인터토토컵 | 1 | ![]() | 위트 조지아 | 2–1 | 0–1 | 2–2 |
2006 | UEFA 인터토토컵 | 2 | ![]() | 디나모 트빌리시 | 3–1 | 1–0 | 4–1 |
3R | ![]() | 티라스폴 | 3–1 | 1–1 | 4–2 | ||
2006–07 | UEFA컵 | Q2. | ![]() | 시온 | 0–0 | 0–1 | 0–1 |
2007–08 | UEFA컵 | Q1. | ![]() | 네프치바쿠 | 3–1 | 1–2 | 4–3 |
Q2. | ![]() | 시온 | 1–1 | 0–3 | 1–4 | ||
2011–12 | UEFA 유로파 리그 | Q3. | ![]() | 브룬비 IF | 2–0 | 2–4 | 4–4 |
PO | ![]() | PSV | 0–0 | 0–5 | 0–5 |
외부 링크
- 공식 웹사이트
- UEFA에서 SV 리드를 받았다.COM
- EUFO의 SV 리드.DE
- SV Red Weltfussball.de
- SV Red at Football Squads.co.uk
- SV Red at National Football teams.com
- SV Red Football-Lineups.com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SV 리드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