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프리메나 나프리메
S Vremena Na VremeS프리메나 나프리메 | |
---|---|
![]() 1990년대 S Vremena Na Vreme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 아심 사르반, 보이슬라브 주키치, 류보미르 닌코비치, 미오미르 주키치 | |
배경 정보 | |
기원. | 베오그라드, 세르비아, 유고슬라비아 |
장르 | |
액티브 년수 |
|
라벨 | Radio Krushevac, Jugoton, PGP-RTB, Studio B, ZKP RTLJ, PGP-RTS, ITM, Komuna |
과거 멤버 | 미오미르 주키치 보이슬라브 주키치 아심 사르반 류보미르 닌코비치 |
S Vremena Na Vreme(세르비아 키릴어: сввв s s s s s s s s s s s s s s s s s, 트랜스).From Time To Time)은 1972년 베오그라드에서 결성된 세르비아와 유고슬라비아의 록 밴드이다.S Vremena Na Vreme는 유고슬라비아 1970년대 어쿠스틱 록계의 선구자 중 한 명이며, 유고슬라비아 록계의 록 음악에 발칸 포크 음악 요소를 접목시킨 선구자 중 한 명입니다.
S Vremena Na Vreme은 Miki 주키치와 Vojislav "Koki" 주키치, 아심 사르반과 류보미르 "Ljuba" Ninkovi에 의해 결성되었으며, 네 명 모두 노래하고 통기타를 연주한다.1970년대 초 어쿠스틱 록 사운드로 인기를 얻었고 데뷔 앨범 S Vremena Na Vreme(1975)는 비평가들로부터 많은 찬사를 받았다.그들의 두 번째 앨범인 Pavilesjon G는 이 밴드가 일렉트릭 사운드로의 전환을 알렸다.앨범 발매 직후, 그 밴드는 활동을 중단했다.그들은 스튜디오, 라이브, 비디오 앨범을 발매하며 1993년에 재결합했고 1997년에 다시 해체했다.2013년, 이 밴드는 데뷔 40년 만에 두 번째로 재결합했다.
역사
초기 경력, 전국적인 성공과 결별(1972~1979년)
밴드가 결성되기 전에 미오미르 "미키" 주키치와 보이슬라브 "코키" 주키치 형제는 플루티스트 바네 자린과 함께 고등학교 밴드 푸폴찌에서 공연을 했다.그 밴드는 외국 록 [1]히트곡의 커버 공연을 했다.당시 미오미르 주키치는 발라드 "Sunchana strana ulice"를 작곡하여 현지에서 인기를 얻었다.[1]푸폴지의 활동 기간 동안, 보이슬라브 주키치는 음악 학교에서 클래식 기타 레슨을 받았고, 시인 밀젠코 주보르스키의 작사 작곡과 연극 [1]음악을 작곡했습니다.
동시에 아심 사르반은 세계 문학 [1]연구를 위해 믈라데노바크에서 베오그라드로 왔다.그곳에서 그는 류보미르 "류바" 닌코비치를 만났다.니코비치는 마스기라니 안젤리(가면천사), 펫 사운드스, 스푸크스(가면천사),[2] 사르반을 만났을 때 [1]싱어송라이터로 활동했다.그는 이미 그의 곡 "Slika" (그림)가 코르니 그루파에 의해 녹음되어 1970년에 [1]싱글로 발표되면서 작가로써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두었다.이 노래는 나중에 S Vremena Na Vreme에 의해 "Kao vreme ispred nas" ("Like the Time that's Coming")[1]라는 제목으로 녹음되었다.
주키치 형제, 사르반, 닌코비치는 당시 인기 있었던 라디오 프로그램 팁 [1]카바레의 라디오 베오그라드 스튜디오에서 유머러스한 노래를 녹음하기 시작했다.곧 그들은 밴드를 결성하기로 결정했다.라디오 베오그라드 스튜디오에서 녹음 기술자로 일했던 보반 페트로비치의 제안으로 그들은 그때까지 가끔 모였을 [1]뿐이었기 때문에 S Vremena Na Vreme (From Time to Time)라는 이름을 선택했다.
초기에는 베오그라드 국립극장에서 공연된 루크레치아 보르자와 만드라케, 두로 살라지 극장에서 공연된 벨레슈케 제드네 아네, 212질에서 [1]공연된 네섬지보 이체 등 연극 음악을 주로 작곡했다.이 밴드는 또한 라디오를 위해 음악을 녹음했습니다; 라디오 베오그라드 아카이브에는 이 [1]밴드가 만든 100개 이상의 녹음이 있습니다.이 녹음 동안, 밴드는 발칸 포크 음악 요소를 록 음악에 도입했고 (유고 연방 밴드 중 최초로 그렇게 한) 전통 악기를 사용했으며 다양한 음악 [1]장르를 실험했다.주로 스튜디오에서 일하면서, 그들의 경력 첫 기간 동안 밴드는 라이브 [1]공연을 거의 하지 않았다.그러나 그들은 1972년과 1973년에 걸쳐 베오그라드 코슈트냐크 공원에서 열린 팝 마시나 멤버들이 주최한 콘서트와 1974년 BOOM 페스티벌에서는 더블 라이브 앨범인 "Odysej" (오디세우스)의 라이브 버전이 BOOM Pop Festival Lyubljana'[1]74에 등장했다.그들은 또한 여러 팝 뮤직 [1]페스티벌에 출연했다.1973년과 1974년 모두 오흐리드에서 [1]열린 유고슬라비아 라디오 페스티벌에서 최우수 오리지널 음악상을 받았다.
활동 초기 주키치 형제의 전 밴드메이트인 바네 자린, 드러머 니콜라 야거, 드러머 라티슬라브 젤마시(YU 그루파의), 키보디스트 슬로바 마르코비치, 베이스 기타리스트 데얀 페트코비치, 플루티스트 드라고슬라브 "디브 바스코비치" 네스보비치와 같은 다양한 음악가들과 협력했다.사르반과 미오미르 주키치가 군복무로 밴드를 잠시 결석하는 동안, 당시 드라마 전공 학생이었던 타냐 보스코비치, 고리카 포포비치, 릴랴나 드라기티노비치는 여성 가수로 [1]밴드와 함께 공연을 했다.이 기간 동안 밴드 멤버들은 야드란카 스토야코비치, 블라다 이 바즈카, 스르단 마르야노비치, 타마라, 네나드 파블로비치의 [3]앨범 녹음에 참여했다.그들은 또한 Kornelije Kovach가 작곡한 곡들의 음악을 녹음했는데, 이 곡들은 대중음악 [3]가수들이 연주했다.
S [3]Vremena Na Vreme은 1973년에 "Sunchana strana ulice"와 "Ponekad" (가끔)"라는 곡으로 첫 싱글을 발매했다."Ponekad"라는 곡에는 배우 마르코 [3]니콜리치가 한 독백이 수록되었다.이 싱글은 Radio Krushevac에 의해 발표되었고 청중과 언론의 관심을 끌었기 때문에, 이 밴드는 유고슬라비아에서 가장 큰 두 음반사 중 하나인 자그레브에 본사를 [4]둔 Jugoton과 계약을 제안 받았다.Jugoton을 위해 밴드는 "Chudno drvo" (이상한 나무)와 "Odisej"[5]로 싱글을 발매했다.싱글의 성공 후, 이 밴드는 두 개의 가장 큰 음반사 중 두 번째인 베오그라드에 기반을 둔 [6]PGP-RTB와 새로운 계약을 맺었다.당시 이 밴드는 이미 녹음한 같은 제목의 라디오 베오그라드 쇼에 기반한 텔레비전 베오그라드 쇼 팁 탑 카바레에 출연하기 시작했다.TV 출연은 전국적인 인기를 [7]끌었다.
1975년, 그 밴드는 그들의 데뷔 셀프타이틀 [1]앨범을 발매했다.대부분의 앨범 가사는 앨범 [3]녹음 마지막 날 밤 류블랴나의 투리스트 호텔에서 작성되었다.이 앨범에는 드럼에 Jager가, 팝 마시나 멤버인 Robert Nemecek이 베이스 [3]기타를 연주했다.S Vremena Na Vreme은 [8]10대 때 닌코비치가 작곡한 히트곡 "테마 클래시카", "나를 찾는", "우토치슈테", "비블리즈카 테마"를 시편 후반부에서 가져왔다.앨범, 특히 가사와 편곡은 비틀즈의 작품에서 부분적으로 영감을 받아 언론으로부터 [3]찬사를 받았다.
1978년에 발매된 이 밴드의 후속 앨범인 Moj svet (My World)는 이 밴드의 7인치 [3]싱글곡으로 구성된 모음곡이었다.1978년과 1979년, 베오그라드 유스 센터에서는 아마추어 극장 Teatar Levo가 [3]공연한 연극 Rastibujilizovane Klejbezable에 이어 Bistro kod plave sove (Blue Owl Bistro)라는 제목으로 공연을 가졌다.1979년 3월, S Vremena Na Vreme는 폴란드 전역에서 성공적인 투어를 열었고,[3] 이 투어는 베오그라드에서 온 몇몇 아마추어 극장들과 함께 공연했습니다.같은 해 심포닉 록 밴드 타코와 함께 베오그라드 유스 [3]센터에서 유고슬라비아 최초의 4음 사운드 콘서트를 개최했습니다.
1979년, 밴드는 두 번째 스튜디오 앨범인 Pavilion G (Pavilion G)를 발매하여 일렉트릭 [3]사운드로의 전환을 알렸다.이 앨범에는 유고슬라비아 [3]펑크 록의 확장을 다룬 "Rock kritichar" (록 크리티차르)라는 곡이 수록되었다.앨범이 발매된 후, Vojislav Jukich는 군대를 갔다.그리고 부분적으로는 유고슬라비아의 새로운 음악적 경향과 새로운 웨이브 밴드의 [3]큰 인기 때문에 밴드 멤버들은 해체하기로 결정했다.
해체 후(1980~1992년)
밴드 활동 종료 후, 사르반은 Muzej Sarvan(Museum Sarvan)을 결성해 포크 음악 가수를 위한 곡을 썼고, 1984년에는 바클라바 밴드, 키보디스트 Laza Ristovski와 함께 녹음한 Asime, spasi me(Asim, Save Me)[3]라는 솔로 앨범을 발매했다.앨범의 대부분의 곡들은 닌코비치에 [3]의해 작사 및 프로듀싱되었다.류바 닌코비치는 라디오 베오그라드에서 사회자로 활동하기 시작했고, 브라다 얀코비치 "제트" (전 크리니 비제리 멤버)와 함께 밴드 튜넬을 결성하여 5장의 [3]앨범을 녹음했다.1985년, 닌코비치는 유고슬라비아의 라이브 [3]에이드에의 공헌인 YU Rock Misja에 참가했습니다.보이슬라브 주키치는 라도비치 [3]극장에서 공연된 가장 유명한 연극 음악을 작곡했다.
1983년, S Vremena Na Vreme는 스르단 카라노비치의 영화 Something in Between에 출연하기 위해 짧은 재회를 했다.이 영화에서 밴드 멤버들은 컨트리 [3]음악과 세르비아 포크 음악을 결합한 카파나 밴드를 연기했습니다.
1990년, Ninkovi와 Sarvan은 이 밴드의 가장 인기 있는 곡들 중 일부를 재녹음하여 Najeveci hitovi grupe S Vreme (밴드 S Vremena Na Vreme의 The Great Hits by the Breme)[3] 앨범에서 Luba & Asim으로 발매했다.1990년대 초, 닌코비치는 배우 밀로라드 만디치와 함께 베오그라드 어린이 쇼 S one strane duge (Over the Rainbow)의 라디오 TV에서 일했다.두 사람은 다수의 뮤지션과 함께 어린이 음악 앨범 S one strane duge를 [3]녹음했다.
재결합과 제2의 이별(1993~1997년)
사르반의 아이디어로 1993년 5월 베오그라드 유스센터에서 세르비아의 1960, 70년대 어쿠스틱 록계의 가장 유명한 음악가들이 모여 모금 [3]콘서트를 열었다.공연의 좋은 평판은 S Vremena Na Vreme 멤버들을 [3]재결합시켰다.그들은 1993년 11월 5일 사바 센타르에서 키보드 연주자 사사 로크너(바하가 이 인스트루토리), 베이스 기타리스트 바타 보자니치, 드러머 라트코 류비치치, 타악기 연주자 네나드 야누조비치가 밴드와 [3]함께 공연하는 컴백 콘서트를 열었다.이 콘서트는 또한 가수 스네자나 [3]얀드리치의 게스트 출연으로, 그녀의 전 밴드 선코크렛이 녹음한 곡 "Prvi sneg" (첫눈)를 불렀다.이 콘서트의 녹음은 비디오 앨범 S Vremena Na Vreme ujivo, Sava Centar 중편소설 1993(S Vremena Na Vreme Live,[3] 1993년 11월 Sava Centar)에 수록되었다.동시에 밴드는 1973년에 [3]녹음된 "Sunchana strana ulice"의 라이브 버전을 수록한 컴필레이션 앨범 "The Time that's Coming"과 "Na pochetku i na kraju"를 발매했다.1994년, "Sunchana strana ulice"라는 노래가 Komuna 컴필레이션 앨범 Sve smo moglimi: 유고슬라비아의 어쿠스틱 록 [9]밴드들이 부른 아쿠스티차르스카 무지카(We Can Have Done All: Acoustic Music).
1995년, S Vremena Na Vreme은 스튜디오 앨범 Posle kraja (After the End)를 발매했다.이 앨범에는 베이스 기타의 바타 보자니치, 키보드의 사샤 로크너, 드럼의 체다 마쿠라, 페라 "요" 밀라디노비치, 그리고 "스파바즈"[3]의 마리자 미할로비치가 참여했다.같은 해 닌코비치와 마리자 미야즐로비치는 핑크 플로이드, 사이먼 & 가펑클, 롤링 스톤즈, 비틀즈, 그리고 다른 [3]아티스트들의 곡을 수록한 앨범 Zvuk tishine을 녹음했다.1996년 1월 30일 노비 사드의 스튜디오 M에서 열린 콘서트 S Vremena Na Vreme의 녹음은 NS Plus Unplugged 시리즈의 일부로서 1997년 여름 라이브 앨범 Unplugged에 수록되었다.이 앨범에는 밥 딜런의 곡 "Knockin' on Heaven's Door"[3]의 커버곡이 수록되어 있다.앨범이 발매된 후, 그 밴드는 다시 [3]한번 해체되었다.
이별 후(1997~2013)
닌코비치는 1996년부터 1997년까지 슬로보단 밀로셰비치 [10]정권에 반대하는 시위에 참가했다.1999년 동안, 닌코비치와 주키치 형제는 배우 고란 술탄노비치와 함께 "자 페밤 스보즈 블루즈"라는 카바레 쇼를 공연했다.공연은 블라디슬라프 페트코비치 디스, 밀라노 라키치, 마티야 베치코비치, 보라 도르제비치, 도르제 발라셰비치 등의 [3]시를 바탕으로 했다.2000년대 초 닌코비치는 가수 빌야 크르스티치가 이끄는 민족 음악 그룹 비스트릭 오케스트라에 합류했다.그는 그룹의 2000년 앨범[3] Bistrik을 제작했고 2002년에는 다큐멘터리 영화 Beloglavi sup – chovekov prijatelj (Griffon Vulture – Man's Friend)[11]의 음악을 작곡했다.
2003년, 사르반은 민족 음악 앨범 U potrazi za dobrim odgovorom을 발매했다.이 앨범에는 1990년대 세르비아 라디오 텔레비전 쇼 Radioica [3]zvuka에서 녹음된 곡들이 수록되어 있다.
2011년, Ninkovi치와 주키치 형제는 Svremenashi (From-timers)[12]라는 이름으로 재회했다.이 밴드는 2011 베오그라드 맥주 [13]페스트에서 공연을 했고, 11월 12일에는 크로아티아의 프로그레시브 록 밴드 드루기 나친과 함께 베오그라드 [14]유스 센터에서 콘서트를 열었다.
2차 상봉(2013~2020년)
2013년, S Vremena Na Vreme은 그들의 데뷔 싱글 "Sunchana strana ulice"의 발매 4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일리야 M. Kolarac 재단에서 콘서트를 위해 재회했다.이 콘서트는 5월 16일에 열렸으며, 드라고 흐리나레츠, 두샨 미하일로비치 "스피라"[15]와 드라고 포포비치가 게스트로 출연했다.콘서트 후,[16] 밴드는 라이브 공연을 계속했고, 그들의 콘서트는 세르비아에서의 COVID-19 대유행으로 끝이 났다.
2020년, 보이슬라브 주키치는 밴드의 [17]가사 책을 출판했다.
레거시
1989년, "Trazi mene"라는 노래는 유고슬라비아의 싱어송라이터이자 전 아즈라 지도자 브라니미르 "조니"[1] 슈툴리치가 그의 앨범 Balcanka Rapsodija에서 커버했다.2011년 슈툴리치는 공식 유튜브 [18]채널을 통해 "Sunchana strana ulice"의 표지를 공개했다.2012년, 세르비아 프로젝트 Laura 2000에 [19]의해 "Chudno drvo" (이상한 나무)가 리믹스되었다.
앨범 S Vremena Na Vreme은 1998년 YU 100: najbolji albumi jugoslovenske lock i pop muzike (YU 100: 유고슬라비아 팝과 록 [20]음악 베스트 앨범)에서 유고슬라비아의 100대 대중 음악 앨범 목록 30위에 올랐다.
2011년, 「Moj svet」은, 레이블의 [21]설립 60년 동안 PGP-RTB/PGP-RTS에 의해서 발매된 60개의 명곡 중 하나인 「Radio 202」의 청취자에 의해서 조사되었습니다.
이 밴드의 9곡의 가사는 페타르 얀자토비치의 책 Pesme bratstva, detinjstva & potomstva: Antologija ex YU rok poezije 1967 - 2007에 실렸다. 전 YU 록 시집 1967~2007).[22]
음반 목록
스튜디오 앨범
- S Vremena Na Vreme (1975)
- 파빌리존 G (1979)
- 포슬레 크라하 (1995)
라이브 앨범
- 분리(1997년)
컴필레이션 앨범
- Moj svet (1978)
- Vreme ISPred nas (1993)
싱글
- '순차나 스트라나 울리스' / '포네카드' (1973년)
- '추드노 드르보' / '오디세이' (1973년)
- '포브라트나 카르타' / '다치키 라스타나크' (1974)
- '자나' / '타브나 노치' (1974년)
- "Kao vreme ispred nas" / "Kad budem stariji" (1974)
- '딕시 밴드' / '테마 자 샤르기주' (1975)
- "푸투예 카라반" / "프리차 사 이스토크네 스트란" (1977년)
- '모이 스벳' / '사베티 도브로즈 쿠치' (1977년)
- '우치닐라 예 프라부 stvar' / '스파바즈' (1978)
비디오 앨범
- S Vremena Na Vreme uzivo, Sava Centar 중편소설 1993 (1993)
레퍼런스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Janjatović, Petar (2007). Ex YU rock enciklopedija 1960–2006. Belgrade: self-released. p. 217.
- ^ Kajlovic, Vladimir (2007). Ljuba Ninković: S Vremena Na Vreme. Čačak: Legenda. p. 26.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ac ad ae af ag ah ai aj Janjatović, Petar (2007). Ex YU rock enciklopedija 1960–2006. Belgrade: self-released. p. 218.
- ^ Kajlovic, Vladimir (2007). Ljuba Ninković: S Vremena Na Vreme. Čačak: Legenda. p. 33.
- ^ Kajlovic, Vladimir (2007). Ljuba Ninković: S Vremena Na Vreme. Čačak: Legenda. p. 34.
- ^ Kajlovic, Vladimir (2007). Ljuba Ninković: S Vremena Na Vreme. Čačak: Legenda. p. 35.
- ^ Kajlovic, Vladimir (2007). Ljuba Ninković: S Vremena Na Vreme. Čačak: Legenda. p. 36.
- ^ Kajlovic, Vladimir (2007). Ljuba Ninković: S Vremena Na Vreme. Čačak: Legenda. p. 16.
- ^ sve moglimi: 디스코그스의 아쿠스티차르스카 무지카
- ^ Kajlovic, Vladimir (2007). Ljuba Ninković: S Vremena Na Vreme. Čačak: Legenda. p. 60.
- ^ Kajlovic, Vladimir (2007). Ljuba Ninković: S Vremena Na Vreme. Čačak: Legenda. p. 70.
- ^ 류바 닌코비치: "Svremenashi su analgetik kratkog dejstva", timemachinemusic.org
- ^ '스브레메나시', belgradebeerfest.com
- ^ "Drugi nachin i Svremenashi u DOB-u", b92.net
- ^ "Nezaboravan hiscurning beogradsk kvarteta – S Vremena Na Vreme i prijatelji", timemachinemusic.org
- ^ "S vremena na vreme na nastavlju tradiciju", timemachinemusic.org
- ^ "Alhemichari tananih dusha", Rockomotiva.com
- ^ Branimir Shtuliach, YouTube.com의 "SUNCANA STRANA ULICE"
- ^ "Preslushajte: Laura 2000 – Chudno drvo", popboks.com
- ^ Antonić, Duško; Štrbac, Danilo (1998). YU 100: najbolji albumi jugoslovenske rok i pop muzike. Belgrade: YU Rock Press. p. 25.
- ^ 60달러 202달러!
- ^ Janjatović, Petar (2008). Pesme bratstva, detinjstva & potomstva: Antologija ex YU rok poezije 1967 – 2007. Belgrade: Vega m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