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베나 항공 548편
Sabena Flight 548![]() 사고 항공기와 비슷한 사베나 보잉 707-329 | |
사고 | |
---|---|
날짜 | 1961년 2월 15일 |
요약 | 확인되지 않은 이유로 인한 제어력 상실(기계적 고장 가능성) |
사이트 | 벨기에 브뤼셀 공항 인근 캄펜하우트 50°55′15″N 4°31′36″E / 50.9209°N 4.5268°E좌표: 50°55′15″N 4°31′36″E / 50.9209°N 4.5268°E/ 4 |
총 사망자수 | 73 |
총 부상자수 | 1 |
항공기 | |
항공기형식 | 보잉 707-329 |
연산자 | 사베나 |
등록 | OO-SJB[1] |
비행원점 | 뉴욕, 이들과일드 공항 |
목적지 | 브뤼셀 공항, 자벤템 |
입주자 | 72 |
승객들 | 61 |
크루 | 11 |
사망률 | 72 |
생존자 | 0 |
지상 사상자 | |
지상사망자 | 1 |
지상 부상 | 1 |
사베나 548편은 1961년 2월 15일 뉴욕시에서 벨기에 브뤼셀로 향하던 중 사베나가 운항하던 보잉 707-329편이었다[1]. 이 여객기는 이날 벨기에 브뤼셀 자벤템 공항에 접근하던 중 추락해 탑승자 72명 전원과 지상에서 1명이 숨졌다.[2][3] 사망자는 체코슬로바키아 프라하에서 열린 세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로 이동하던 미국 피겨 스케이팅 팀 전체가 포함되었다.[4][5] 충돌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가장 유력한 설명은 꼬리 안정장치를 조절하는 메커니즘의 고장이라고 생각되었다.[1]
이 사고는 보잉 707 여객기가 상용화된 지 28개월 만에 발생했다.[a] 그것은 여전히 벨기에 땅에서 일어난 가장 치명적인 비행기 추락사고로 남아 있다.[1]
사고
비행기에는 승무원 11명이 타고 있었다.[3] 루이스 램브레흐츠와 장 로이 두 조종사는 모두 전직 육군 조종사 경험이 풍부한 사람이었다.[6] 뉴욕에서 대서양 횡단 7시간 30분 동안 어떠한 어려움도 보고되지 않았다;[7] 비록 비행 승무원들이 착륙하기 약 20분 전에 브뤼셀 공항과 무선 연락을 잃었지만, 그 비행기가 특별히 문제가 있다는 징후는 없었다.[8]
맑은 하늘 아래, 약 10:00 브뤼셀 시간(CET; 09:00 UTC)[9]에 보잉 707기는 활주로 한계점 부근에 900피트(270m) 높이에서 전력이 증가되고 착륙 기어가 후퇴했을 때 20번 활주로에 긴 접근 중이었다.[5] 그 비행기는 브뤼셀 공항에 대한 마지막 접근을 취소해야만 했다. 왜냐하면 작은 비행기가 아직 활주로를 치우지 않았기 때문이다.[8] 707호는 공항을 선회하고 25번 활주로와 인접한 25번 활주로에 착륙을 시도했는데, 이 두 번째 접근법도 중단되었다.[6] 조종사들이 기계 오작동으로 정상적인 착륙을 하지 못하고 있는데도 필사적으로 착륙을 시도하는 등 항공기 조종권 다툼을 벌이는 것이 관측통들에게 분명해졌다.[6] 비행기는 비행장을 총 3회 선회했는데,[7] 그 동안 항공기가 1,500피트(460m)까지 올라가고 수직에 가까운 둑에 있을 때까지 뱅크 각도가 점차 높아졌다. 그 후, 그것은 날개를 평평하게 하고, 갑자기 위로 솟구치고, 속도를 잃고, 급커브를 그리며,[5] 공항에서 3km도 채 떨어지지 않은 10:05 CET (09:05 UTC)에서 땅으로 곤두박질쳤다.[1][7]
추락 장소는 브뤼셀에서 북동쪽으로 4마일 떨어진 버그 인근 농경지(당시 독립된 자치단체, 오늘날 캄펜하우트의 일부)에 인접한 습지 지역이었다.[6][9] 목격자들은 비행기가 땅에 떨어지면서 폭발했고 화염에 휩싸인 잔해에서 짙은 검은 연기가 뿜어져 나오는 것이 목격됐다고 말했다.[7] 젊은 농부 테오 데 라에(Teo de Laet)는 추락지점 근처 들판에서 일하던 아마추어 사이클리스트가 비행기에서 떨어진 알루미늄 파편에 맞아 숨졌다. 또 다른 현장 근무자인 마르셀 라우워스도 날아온 파편에 맞아 다리 일부가 절단됐다.[6][10]
비행기가 착륙하면서 관찰하던 현지 신부 조셉 쿠이트 신부는 현장으로 달려갔으나 거센 불길에 밀려 뒤로 밀려났다.[9] 공항 구조차량이 거의 즉시 사고 현장에 도착했지만 비행기는 이미 활활 타오르는 불이었다.[6]
벨기에 왕 바우두인 1세와 그의 왕비 파비올라 여왕은 유족들에게 위로의 말을 전하기 위해 참사의[10] 현장을 누볐다. 그들은 시신을 집으로 이송하기 위해 왕실의 도장이 새겨진 참나무 관을 기증했다.[5]
미국 피겨스케이팅 대표팀 패배
1961년 미국 피겨 스케이팅 팀의 18명 전원이 목숨을 잃었고,[7] 가족, 프로 코치, 스케이팅 관계자 등 16명이 동행했다.[11] 그 사망자 중 nine-times 미국 여자 챔피언으로 변하면서 코치인 마리벨 Vinson-Owen와 그녀의 두 딸, 군림하는 미국 여자 챔피언 로렌스 오웬, 노인 16, 그리고 그녀의 20살짜리 여동생, 군림하는 미국 쌍 챔피언인 마리벨 Owen,[7][12]는 바가 큰데 이 1961년 미국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 콜로라도 Spri에서 금메달을 땄다.ngs ju2주 전에 로렌스 오웬은 죽기 이틀 [13]전 스포츠 일러스트레이티드 2월 13일자 커버스토리지를 장식했다.
마리벨 오웬의 짝꿍인 더들리 '더드' 리차드와 미국 남자 챔피언 브래들리 로드가 미국 아이스댄스 챔피언 다이앤 '디 디' 셔블룸, 래리 피어스와 함께 살해됐다. 미국 남자 은메달리스트 그레고리 켈리, 여자 은메달리스트 스테파니 웨스터펠드, 여자 동메달리스트 로드 리 미셸슨도 패했다.[14]
일부 국가 대표팀이 이미 2월 22일에 시작하기로 예정되어 있던 세계선수권대회를 위해 프라하에 도착했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미국팀의 엄청난 패배로 인해 이 대회는 취소될 수밖에 없었다.[11][15] 프라하의 대회 주최측은 당초 대회가 진행될 것이라고 확인했으나 국제빙상경기연맹(ISU)이 가장 적절한 행동방식에 합의하기 위해 여론조사를 실시했고,[16][7] 2월 16일 실시된 투표는 미국팀을 존중해 취소하는 쪽으로 진행되었다.[15] ISU 본부로부터 "44명의 미국 스케이트 선수와 관계자들의 비극적인 죽음을 고려하여 1961년 세계선수권대회는 개최되지 않을 것"이라는 전보가 날아왔다.[16] 프라하는 다음 해에 이 대회를 개최할 수 있는 기회를 얻었다.
여파
피겨 스케이팅 팀은 미국 전역에서 애도되었고 모든 전국 신문들이 그 이야기를 1면에 실었다.[17]
취임 한 달도 안 돼 대통령 존 F. 케네디는 백악관으로부터 "우리나라는 전 세계 사람들에게 즐거움을 가져다 준 재능과 은총의 큰 손실을 입었다"라고 쓴 애도 성명을 발표했다. 케네디 여사와 나는 이번 추락사고로 사망한 모든 승객과 승무원의 가족과 친구들에게 깊은 조의를 표한다."[17] 그는 특히 이 비극에 영향을 받았다; 페어 스케이트 선수 더들리 리처드는 대통령과 그의 동생 테드의 개인적인 친구였고, 그들은 매사추세츠 하이애니스 항에서 여름을 함께 보냈다.
이 재앙은 1950년대 내내 이 스포츠를 지배했던 미국 피겨스케이팅 프로그램에 심각한 타격을 주었다. 아주 최근에야 미국 피겨 스케이팅의 부회장이 된 프랭크 썸웨이는 미국이 피겨 스케이팅에서 세계적인 명성을 되찾으려면 최대 4년이 걸릴 것이라고 예측했다.[17]
1960년 올림픽 동메달리스트인 바바라 롤즈는 은퇴 후 꼭 나와야 한다고 느꼈고, 첫 아이를 낳은 지 8개월도 안 돼 1962년 미국 선수권대회에서 금메달을 땄다.[5] 동시에, 젊은 미국 피겨 스케이트 선수들 중 일부는 그 분야에서 경쟁하는 선배 스케이트 선수들이 부족했기 때문에 더 빨리 나아갔다. 스콧 앨런은 12살 때인 1962년 미국선수권대회에서 은메달을 땄고, 15살 생일인 1964년 동계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획득하며 역사상 최연소 올림픽 메달리스트 중 한 명이 되었다.[5] 1965년이 되어서야 미국은 세계선수권에서 다시 메달을 따기 시작했고,[15] 미국은 1968년 동계 올림픽까지 피겨에서 국제적인 명성을 되찾지 못했는데, 페기 플레밍은 여자 종목에서 금메달을, 팀 우드는 남자 종목에서 은메달을 땄다.
사망자 중에는 스케이팅 팀뿐 아니라 미국 최고의 감독들도 다수 포함돼 있어 이번 비극은 외국인 감독들을 미국으로 데려와 남겨진 공백을 메우는 간접적인 책임도 있었다. 브뤼셀 비행기에서 사망한 사람 중 한 명이었던 윌리엄 킵 미국 피겨스케이팅 대표팀 감독은 결국 1961년 가을 영국의 전 세계 챔피언 페어 스케이팅 선수 존 닉스와 교체됐다.[18] 이탈리아의 세계 동메달리스트 카를로 파시는 미국 피겨 스케이팅 프로그램의 재건을 돕기 위해 해외에서 이적한 또 다른 국제 코치였다.[5]
이 재앙으로 인해 미국 피겨 스케이팅 임원들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적용되는 명령을 내리게 되었다. 국제 대회로 여행하는 어떤 팀도 다시 함께 비행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을 것이다.[5]
조사
벨기에 정부는 즉각 사고 원인에 대한 전면적인 조사를 지시했고,[3] 벨기에 국가 당국과 미국 연방 항공국(FAA), 국제 민간 항공 기구(ICAO)가 수개월 동안 증거를 [6]샅샅이 뒤지며 조사를 벌였다.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에 대한 많은 추측들이 있었다; FBI는 심지어 테러의 가능성을 고려했다고 보도되었다.[5]
정확한 충돌 원인은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당국은 결국 비행 제어 장치 중 하나의 기계적 고장,[5] 아마도 날개 스포일러나 꼬리 안정기의 오작동일 것이라는 데 동의했다.[6] 비행 시스템 중 어느 것이 오작동했는지를 합리적 의심을 넘어 입증할 만한 증거가 부족했지만, FAA는 꼬리 스태빌라이저 조정 메커니즘이 고장 나 스태빌라이저가 "10.5deg 노즈 업 위치"[1]까지 달릴 수 있었다는 의견이었다.[1]
주목할 만한 피해자
1961년 프라하에서 열린 세계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로 향하는 치명적인 비행에는[5] 34명의 미국 피겨 스케이팅 선수단이 탑승하고 있었다. 피겨스케이팅 선수 18명에는 감독 6명, 팀 감독, 심판 2명, 심판 1명, 가족 6명이 동행했다. 주목할 만한 희생자는 아래에 열거되어 있다.[14][19][20][21]
- 숙녀분들.
- 로드 리 미셸슨(17세), 1961년 미국 동메달리스트
- 로렌스 로촌 오언(16세), 1961년 미국과 북미 챔피언, 1960년 올림픽과 세계 팀원
- 스테파니 웨스터펠트(17세), 1961년 미국 은메달리스트
- 남자들
- 그레고리 켈리(16세), 1961년 미국 은메달리스트, 1961년 북미 동메달리스트, 1960년 세계 팀원
- 브래들리 로드(21세), 1961년 미국 챔피언, 1961 북미 은메달리스트, 1959년 월드 팀 멤버
- 더글러스 램지(16세), 1961년 미국선수권대회 4위 메달리스트
- 페어 스케이팅 선수
- 일라 레이 해들리(18세) / 레이 엘리스 해들리 주니어(17세), 1960년 올림픽과 세계 팀원, 1961년 미국 쌍쌍 은메달리스트
- 로리 장 히콕스 (15세) / 윌리엄 홈즈 히콕스 (19세), 1961년 미국 쌍쌍 동메달리스트
- 마리벨 예르사 오웬(20세) / 더들리 쇼 리차드(29세), 1960년 올림픽 팀원, 1961년 미국 페어 챔피언, 1961년 북미 은메달리스트
- 아이스댄서
- 도나 리 캐리어(20세) / 로저 캠벨(19세), 1961년 미국과 북미 은메달리스트
- 패트리샤 메이저 디넨(24세) / 로버트 디넨(23세), 1961년 미국 동메달리스트
- 다이앤 캐롤 셔블룸(18세) / 래리 피어스(24세), 1961년 미국 챔피언
- 코치
- 심판
- 다른이들
레거시
비극이 일어난 지 며칠 지나지 않아, 미국 피겨 스케이팅 집행위원회는 사베나 548편에서 목숨을 잃은 18명의 팀원과 그 수행원을 기리기 위해 1961년 미국 피겨 스케이팅 기념 기금을 설립했다.[22] 메모리얼 펀드의 임무는 유망한 젊은 피겨 스케이팅 선수들이 그들의 목표를 추구하고 그들의 잠재력을 최대한 개발할 수 있도록 재정적 지원을 함으로써 미국 피겨 스케이팅 프로그램의 재건을 돕는 것이었다.[5][6] 1961년 3월, 보스턴 가든 경기장에서 메모리얼 펀드를 위한 모금 행사가 열렸다.[15] 수년에 걸쳐, 수천 명의 미국 젊은 스케이트 선수들이 계속해서 성장하고 번창해 온 이 기금으로부터 혜택을 받았다.[5][15] 첫 번째 수혜자 중 한 명은 12세의 페기 플레밍이었는데, 그의 코치 윌리엄 킵은 비행기 사고로 사망했다. 플레밍은 1968년 동계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따면서 미국 피겨 스케이팅의 부활의 상징이 되었다.[23]
2011년 1월 노스캐롤라이나주 그린스보로에서 열린 2011 미국 피겨스케이팅 선수권대회 특별식에서 1961년 미국 피겨스케이팅 팀이 미국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5] 린다 해들리, 윌리엄 킵, 마리벨 빈슨-오웬, 다니엘 라이언, 에디 숄단, 윌리엄 스왈렌더 등 6명의 프로코치와 함께 18명의 팀원 전원이 입성했다.[21]
2009년 미국 피겨스케이팅은 1961년 피겨스케이팅 팀 패전 50주년을 기념해 장편 다큐멘터리 영화 RISE의 제작을 위탁했다.[24][25] 이 영화는 뉴저지 주 엥글우드의 에미상 수상 회사인 룩알리케 프로덕션에 의해 제작되고 감독되었다.[25] RISE는 2011년 2월 17일 미국 전역의 극장에서 단 하룻밤만 상영되었으며, 2011년 3월 7일 한 번의 앙코르 프리젠테이션이 있었다.[24] 이 영화의 수익금은 미국 피겨 스케이팅 기념 기금에 기부되었다.[6][25] 이 영화는 2011년 10월 22일 Bands 네트워크에서 상영되었다.
매사추세츠주 윈체스터에 있는 빈슨-오웬 초등학교는 사고로 숨진 마리벨 빈슨-오웬과 그녀의 두 딸을 기리기 위해 이름이 지어졌다.[26] 그것은 그레이터 보스톤의 상위권 학교들 중 꾸준히 순위가 매겨진다.[15]
추락 40주년 기념행사는 참극 현장과 [10]가까운 버그 캄펜하우트에서 5피트 높이의 석비가 공개되면서 기념비 제막으로 장식됐다. 2001년 2월 10일에 열린 제막식에는 지역 고관들이 참석했다.[6]
참고 항목
- 스포츠 팀 관련 사고 목록
- 아메리칸 에어라인 514편 – 보잉 707기의 첫 추락 사고
메모들
- ^ 보잉 707의 첫 여객기는 1958년 10월이었다. 707기 3대는 이전에 훈련이나 시험 비행 중에 추락했었다.
참조
- ^ a b c d e f g Ranter, Harro. "ASN Aviation Safety Database – Sabena Flight SN548 Accident Description". aviation-safety.net. Aviation Safety Network. Retrieved September 27, 2016.
- ^ "Jet Crash Wipes Out U.S. Skate Team". The Spokesman-Review. February 16, 1961. p. 20. Retrieved February 19, 2014.
- ^ a b c "The Brussels Tragedy". Flight magazine (online FlightGlobal archive). February 24, 1961. Retrieved February 15, 2011.
- ^ "Air Crash Fatal to 73 Is Probed – Jet's Plunge Kills Skaters". The Spokesman-Review. February 16, 1961. p. 1. Retrieved February 19, 2014.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Ford, Bonnie D. (2011). "Still Crystal Clear". ESPN. Retrieved February 19, 2014.
The plane crash that killed the 1961 U.S. world championship figure skating team decimated families and the sport, but alongside grief came renewal.
- ^ a b c d e f g h i j k Warnes, Kathy. "Light and Radiance: Figure Skater Laurence Owen and Her Team". historybecauseitshere.weebly.com. Retrieved 29 August 2018.
- ^ a b c d e f g "'Ice Queen,' 17 other U.S. skaters killed". United Press International. February 15, 1961. Retrieved July 26, 2018.
- ^ a b Barron, Laignee (February 26, 2018). "In 1961 a Plane Crash Killed the Entire U.S. Figure Skating Team. Here's How the Tragic Legacy Lives On". Time. Retrieved September 13, 2018.
Something must have been wrong in the cockpit: for the last 20 minutes of flight, Pilot Louis Lambrechts did not contact Brussels Airport. He made a wheels-down approach, but went round again, possibly because a Caravelle jet was taking off. (from Feb. 24, 1961 issue of Time)
- ^ a b c "Brussels Nightmare In Blazing Sunshine: 73 Die In Plane Crash". Montreal Gazette. February 16, 1961. p. 1.
- ^ a b c "Monument crash Sabena Boeing B707-329 OO-SJB". luchtvaarterfgoed.be (in Dutch). December 31, 2005. Retrieved September 12, 2018.
- ^ a b Armour, Nancy (February 10, 2011). "US skating program rose from ashes of '61 crash". USA Today. Associated Press.
- ^ Grimsby, Will (February 16, 1961). "Visions of Skating Crowns Vanish in Brussels Tragedy". The Spokesman-Review. Associated Press. p. 13.
- ^ Heilman, Barbara (February 13, 1961). "Mother Set the Style: Pretty Laurence Owen is the most exciting U.S. skater but in her remarkable family she is just another champion". Sports Illustrated: 39.
- ^ a b "Cream of US Skating Ranks Wiped Out In Air Crash". Montreal Gazette. Associated Press. February 16, 1961. p. 26.
- ^ a b c d e f Swift, E.M. (February 21, 2011). "The Day the Music Stopped". Sports Illustrated: 70–75.
- ^ a b "Skating Cancelled". Ottawa Citizen. Associated Press. February 16, 1961. p. 1.
- ^ a b c Soong, Kelyn (February 20, 2018). "The terrible plane crash that devastated U.S. figure skating – and still shapes it today". The Washington Post. Retrieved September 15, 2018.
- ^ Kekis, John (November 14, 1995). "Still golden after all these years". The Free Lance–Star. Fredericksburg, Virginia. Associated Press. p. A7.
- ^ "List of Victims on Belgian Plane". Pittsburgh Post-Gazette. Associated Press. February 16, 1961. p. 23.
- ^ "World ended in fire for U.S. ice queen". Deseret News. UPI. February 15, 1961. p. 1A.
- ^ a b "U.S. Figure Skating Hall of Fame Members". World Figure Skating Museum & Hall of Fame. Retrieved September 12, 2018.
- ^ "The U.S. Figure Skating Memorial Fund". usfsa.org. February 15, 1961. Retrieved September 12, 2015.
- ^ Lutz, Rachel (February 1, 2018). "1968: Peggy Fleming takes home only U.S. gold medal from Grenoble". nbcolympics.com. Retrieved September 12, 2018.
- ^ a b "RISE at the 2011 Palm Springs International Film Festiva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February 16, 2011. Retrieved January 17, 2011.
- ^ a b c "U.S. Figure Skating: RISE". usfsa.org. Retrieved September 12, 2018.
- ^ "Vinson-Owen Elementary School". Winchester Public Schools (Massachusetts). Retrieved September 9, 2018.
추가 읽기
- Bushman, Patricia Shelley (2010). Indelible Tracings: The Story of the 1961 U.S. World Figure Skating Team. Stewart & Gray. ISBN 978-0-9846-0270-4.
- Cornetta, Kat (February 15, 2021). "60 years later, the worst day in US figure skating history is remembered". The Boston Globe. Retrieved March 21, 2021.
- Duffy, Bob (December 29, 2000). "Shattered Dreams: Potential for greatness of 18 skaters perished en route to Prague". The Boston Globe. p. E1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February 23, 2010.
- Nichols, Nikki (2006). Frozen in Time: The Enduring Legacy of the 1961 U.S. Figure Skating Team (First ed.). Clerisy Press, Emmis Books. ISBN 978-1-57860-2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