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빈갈매기

Sabine's gull
사빈갈매기
아이슬란드의 어른
과학적 분류 Edit this classification
도메인: 진핵생물
왕국: 애니멀리아
문: 초르다타
클래스: 아베스
순서: 차라드리포름류
가족: 큰부리새과
속: 제마
침출수, 1819
종:
X. 사비니
이항명
제마사비니
(Sabine, 1819)
그린란드 서부 해안 멜빌 만 근처에 있는 사빈 제도
범위
사육
이주
비육종

사빈갈매기(/ ˈ ɪ/ SAY-bin)는 포크테일 갈매기 또는 제마로도 알려져 있는 작은 갈매기입니다. 제마속에 속하는 유일한 종입니다. 해안과 툰드라 지역에서 군락을 이루어 번식하며, 풀로 늘어서 있는 땅속 둥지에 두세 개의 점박이 올리브 갈색 알을 낳습니다. 사빈갈매기는 번식기 밖에서 원양성입니다. 주로 동물성 먹이를 다양하게 섭취하며, 적합한 작은 먹이는 무엇이든 먹을 것입니다.

분류학

사빈의 갈매기는 1819년 자연주의자 조셉 사빈에 의해 라루스 사비니라는 이항명으로 공식적으로 묘사되었습니다. Sabine은 북서쪽 통로를 찾기 위해 항해 중인 John Ross 선장과 동행했던 그의 형 Edward Sabine 선장이 수집한 표본에 대한 그의 설명을 기반으로 합니다. 이 새들은 1818년 7월 그린란드 서쪽 해안의 저지대 섬에서 번식하는 것으로 발견되었습니다.[2] 사빈갈매기는 1819년 동물학자 윌리엄 리치가 로스의 항해에 대한 부록에서 소개한 제마속포함된 유일한 종입니다.[3][4] 제마라는 속명은 의미가 없는 발명된 이름으로 보입니다.[5]

사빈갈매기는 일반적으로 단형 속을 포함하는 것으로 취급되며,[4] 속이 확대될 때만 라루스속에 포함됩니다.[6][7] 검은 부리와 횃불 꼬리는 갈라파고스제비꼬리갈매기와만 공유되기 때문에 갈매기 내에서 거의 독특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두 종은 종종 서로 가장 가까운 친척으로 여겨졌는데, 이 가설은 여러 행동과 생태학적 차이에 의해 배제되었습니다. 미토콘드리아 DNA 연구는 그들이 밀접한 관련이 없다는 것을 확인시켜주었고, 현재 사빈 갈매기의 가장 가까운 친척은 또 다른 북극 종인 상아 갈매기로 생각됩니다. 이 두 종은 대부분의 갈매기 종보다 더 오래 전인 약 2백만 년 전에 분리된 것으로 생각됩니다.[8]

지리적인 변화는 미미합니다; 알래스카에서 온 새들은 약간 어둡고 아마도 더 클 것입니다. 대부분의 권위자들은 인종을 인정하지 않지만, 몇몇 권위자들은 크기와 맨틀(뒷면) 색을 기준으로 4종을 인정합니다.[8] '세계의 새들 편람'은 4종의 아종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지명된 아종인 X. s. sabini는 캐나다 북극에서 그린란드까지 번식합니다. X. s. palaarearctic (Stegman, 1934)은 Spitsbergen에서 러시아 Taymyr 반도까지, X. s. chuktschorum (Portenko, 1939)은 러시아의 Chukotski 반도에서, X. s. woznesenski (Portenko, 1939)는 Anadyr 만에서 알래스카까지 발견됩니다.[9]

묘사

아이슬란드의 어른 비행기
스피츠베르겐의 피오르 트리그함나를 날아다니는 사빈 갈매기

사빈의 갈매기는 작은 갈매기입니다. 길이는 27~33cm(10+1 ⁄ 2~13인치), 무게는 135~225g(4+3 ⁄ 4~7+15 ⁄ 16온스)입니다. 날개는 길고 가늘며 뾰족하며 너비는 81~87cm입니다(32~34+1 ⁄2인치). 끝이 노란색인 검은색인 이 지폐의 길이는 약 2.5cm입니다.

이 종은 눈에 띄는 날개 패턴을 통해 식별하기 쉽습니다. 성체는 등과 날개 덮개, 검은색 1차 비행깃, 흰색 2차 비행깃을 가지고 있습니다. 흰 꼬리가 갈려 있습니다. 수컷의 두건은 번식기에 어두워집니다. 어린 새들은 비슷한 삼색 날개 패턴을 가지고 있지만 회색은 갈색으로 대체되고 꼬리에는 검은 말단 띠가 있습니다. 청소년들은 완전한 성체 깃털을 얻기까지 2년이 걸립니다. 사빈의 갈매기는 갈매기를 위한 특이한 털갈이 패턴을 가지고 있습니다. 갓 태어난 새들은 가을 내내 어린 깃털을 유지하고 겨울에 월동하는 곳에 도착할 때까지 첫 겨울 깃털로 털갈이를 시작하지 않습니다. 성충은 봄이 오기 전 봄에 털갈이를 완전히 하고, 월동지로 돌아온 후 가을에 부분 털갈이를 하는데, 이는 갈매기의 일반적인 패턴을 뒤집는 것입니다.[10] 그들은 매우 높은 음조와 삐걱거리는 소리를 냅니다.[6]

분포 및 서식지

북극에서 번식하며 북아메리카 최북단과 유라시아에 걸쳐 원극성 분포를 보입니다. 가을에 남쪽으로 이동하는데, 대부분의 개체들은 남아메리카 서부의 태평양에서 훔볼트 해류의 차가운 바다에서 월동하는 반면, 그린란드와 캐나다 동부의 새들은 유럽의 가장 서쪽 가장자리를 통해 대서양을 건너 벵겔라 해류의 차가운 바다에서 월동합니다. 때때로 개개의 사빈갈매기는 미국 북동부 또는 유럽의 동쪽과 같은 다른 해안에서 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가을 폭풍 이후에 볼 수 있습니다.[11][12] 북미와 유럽, 심지어 시베리아의 내륙에서도 바다에서의 이동 외에도 '대륙간 이동'을 보인다고 할 만큼 자주 기록됩니다.[8]

사빈갈매기알

식사와 식사

사빈갈매기의 식단과 먹이 주기 기술은 계절과 서식지에 따라 다릅니다. 번식기에는 툰드라에서 다양한 민물과 육상 먹이를 먹습니다. 여기에는 곤충과 아마도 거미, 수생 곤충과 곤충 유충, 갑각류, 물고기와 어린 새와 알이 포함됩니다. 어린 새들과 알들은 기회주의적으로 그리고 드물게 받아들여지지만, 검은 돌돌, 긴팔원숭이, 그리고 심지어 다른 사빈갈매기와 거위의 알들도 포함할 수 있습니다. 곤충과 곤충 유충은 육상 및 수생 딱정벌레, 봄꼬리, 두루미, 모기, 갯지렁이, 꽃파리 있습니다.[8]

참고문헌

  1. ^ BirdLife International (2020). "Xema sabini".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20: e.T22694479A157413905. doi:10.2305/IUCN.UK.2020-3.RLTS.T22694479A157413905.en. Retrieved 19 November 2021.
  2. ^ Sabine, Joseph (1819). "An account of a new species of gull lately discovered on the west coast of Greenland". Transactions of the Linnean Society of London. 12 (2): 520–523 [522]. doi:10.1111/j.1095-8339.1817.tb00244.x.
  3. ^ Leach, William Elford (1819). Ross, John (ed.). A Voyage of Discovery made under the orders of the Admiralty in her Majesty's ships Isabella and Alexander, for the purpose of exploring Baffin's Bay, and enquiring into the probability of a North-West passage. London: John Murray. Appendix II, p. 57.
  4. ^ a b Gill, Frank; Donsker, David; Rasmussen, Pamela, eds. (July 2021). "Noddies, gulls, terns, skimmers, skuas, auks". IOC World Bird List Version 11.2. International Ornithologists' Union. Retrieved 1 December 2021.
  5. ^ Jobling, James A (2010). The Helm Dictionary of Scientific Bird Names. London: Christopher Helm. p. 410. ISBN 978-1-4081-2501-4.
  6. ^ a b Snow, D.W.; Perrins, C.M., eds. (1998). The Birds of the Western Palearctic (Concise ed.). ISBN 978-0198540991.
  7. ^ Hagemeijer, W.J.M.; Blair, M.J., eds. (1997). The EBCC Atlas of European Breeding Birds. London: Poyser. ISBN 0-85661-091-7.
  8. ^ a b c d Day, Robert H.; Stenhouse, Ian J.; Gilchrist, H. Grant (2001). "Sabine's Gull (Xema sabini)". The Birds of North America Online. Ithaca: Cornell Lab of Ornithology. doi:10.2173/bna.593. Retrieved 6 January 2011.
  9. ^ Burger, J.; Golchfeld, M. (1996). "Family Laridae". In del Hoyo, J.; Elliott, A.; Sargatal, J. (eds.). Handbook of the Birds of the World. Vol. 3: Hoatzin to Auks. Barcelona, Spain: Lynx Edicions. pp. 572–623 [621]. ISBN 978-84-87334-20-7.
  10. ^ Montevecchi, W; Stenhouse, I; Gilchrist, H (2001). "Reproductive Biology of Sabine's Gull in the Canadian Arctic" (PDF). The Condor. 103 (1): 98–107. doi:10.1650/0010-5422(2001)103[0098:RBOSSG]2.0.CO;2. S2CID 53364581.
  11. ^ del Hoyo, J.; Elliot, A.; Sargatal, J., eds. (1998). Handbook of the Birds of the World. Vol. 3. Barcelona: Lynx Edicions. p. 621. ISBN 84-87334-20-2.
  12. ^ Bull, John; Farrand, John Jr. (April 1984). The Audubon Society Field Guide to North American Birds, Eastern Region. New York: Alfred A. Knopf. ISBN 0-394-41405-5.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