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샘

Salivary gland
침샘
Blausen 0780 SalivaryGlands.png
세 개의 주요 침샘이 짝을 이룹니다.
세부 사항
시스템.소화기 계통
식별자
라틴어침샘
메쉬D012469
TA98A05.1.02.002
A05.1.02.013
TA22798
FMA9597 95971, 9597
해부학 용어

포유류침샘을 통해 타액을 생산하는 외분비선이다.인간은 세 쌍의 주요 침샘과 수백 개의 작은 [1]침샘을 가지고 있습니다.침샘은 장액, 점액, 혈청(혼합)으로 분류할 수 있다.

장액 분비물에서 분비되는 단백질의 주요 유형[2]녹말을 말토스와 포도당으로 분해하는 효소인 알파-아밀라아제이고, 점액 분비물에서 분비되는 주요 단백질은 [1]윤활제 역할을 하는 뮤신이다.

사람에서는 [3]매일 1200~1500ml의 타액이 생산된다.침의 분비(침)는 부교감 자극에 의해 매개된다; 아세틸콜린은 활성 신경 전달 물질이며 분비선의 무스카린 수용체와 결합하여 [3][4]침의 증가를 이끈다.

네 번째 침샘 쌍인 욕조샘은 2020년에 발견되었는데, 그 위치 때문에 이름이 붙여졌고, 토러스 튜브리우스 앞과 위에 위치해 있다.그러나 한 연구에서 나온 이 결과는 아직 [5]확인되지 않았다.

구조.

침샘 : 1번 이하샘, 2번 턱밑샘, 3번 혀밑샘

침샘은 아래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이하선

개의 부갑상샘은 인간의 [6]하악돌기를 감싸고 있는 주요 침샘이다.이것들은 침샘 중 가장 큰 것으로, 침샘삼키는 을 촉진하기 위해 침을 분비하고 [7]녹말의 소화를 시작하기 위해 아밀라아밀라아제는 녹말의 소화를 시작합니다.그것은 알파-아밀라아제(프티알린으로도 [8]알려져 있음)를 분비하는 장액 형태의 샘이다.그것은 이하선을 통해 구강으로 들어간다.분비선은 하악골의 후부와 측두골유축돌기의 전방에 위치한다.어떤 이원성 병변도 얼굴 [8]표정과 관련된 근육의 활동이나 힘을 잃게 하기 때문에 그들은 다른 잎들을 노출시키면서 얼굴 신경 가지의 해부에 임상적으로 관련이 있다.그들은 [7]구강에서 전체 타액 함량의 20%를 생산한다.유행성 이하선염은 이하선 [9]감염에 의해 발생하는 바이러스 감염이다.

턱밑샘

턱밑샘은 아래턱 아래에 위치한 한 쌍의 주요 침샘으로,[6] 이복근보다 우수합니다.분비물은 장액과 점액의 혼합물로, 하악하관 또는 [7]와톤관을 통해 구강으로 들어갑니다.구강 내 침의 약 70%는 턱밑샘에서 생성되지만,[7] 턱밑샘보다는 훨씬 작습니다.이 분비선은 보통 목의 촉진을 통해 느껴질 수 있는데, 이는 겉으로 보이는 경부 부위이고 둥근 공처럼 느껴지기 때문이다.그것은 목젖 위(후두 돌출부)에서 약 두 손가락 위, 턱 아래 약 2인치 간격으로 위치해 있습니다.

설하선

설하샘은 혀보다 아래, 턱밑샘보다 앞에 위치한 한 쌍의 주요 침샘이다.[6]분비물은 주로 점액질이지만 혼합샘으로 [8]분류된다.다른 두 개의 주요 분비샘과는 달리, 설하샘의 덕트 시스템에는 중간 관이 없고 대개 줄무늬가 있는 덕트도 없기 때문에 침은 리비너스 [8]덕트로 알려진 8-20개의 배설 덕트에서 직접 나옵니다.구강으로 들어가는 침의 약 5%는 이 [7]분비선에서 나온다.

나팔관 침샘

욕조샘은 주로 점액샘과 배측 인두벽으로 열리는 비인두와 비강 뒤쪽에 위치한 네 번째 침샘 쌍으로 제안된다.분비선은 전립선 특이막 항원 PET-CT를 사용하는 네덜란드 과학자 그룹에 의해 발견된 2020년 9월까지 알려지지 않았다.이 발견은 3대 분비선의 회피에도 불구하고 방사선 치료 후 구강건조증을 설명할 수 있다.그러나, 한 연구에서 나온 이러한 연구 결과는 [10][5]확인되어야 한다.반면에, 여러 학제적인 과학자 그룹은 이 새로운 발견에 동의하지 않는다.그들은 작은 침샘의 축적이 [11]묘사되었다고 믿는다.

소침샘

약 800~1000개의 작은 침샘이 구강, 구강점막, 구강점막, 연구개, 경구개 측면부, 구강 바닥 또는 [13]혀의 근섬유 사이에 있는 구강점막 하점막[12] 내에 위치하고 있다.그것들은 직경이 1~2mm이고 주요 분비선과 달리 결합조직에 의해 캡슐화되지 않고, 단지 그것에 둘러싸여 있다.분비샘은 보통 작은 소엽에 연결된 많은 아시니를 가지고 있다.소침샘은 다른샘과 공통의 배설관을 가질 수도 있고 자체 배설관을 가질 수도 있다.분비물은 주로 점액으로 구강을 침으로 덮는 등 여러 가지 기능을 한다.구강건조증이 [12]있는 경우 틀니 문제는 때때로 작은 침샘과 관련이 있다.작은 침샘은 7번째 두개골 [13]또는 안면신경에 의해 신경화된다.

폰 에브너샘

Von Ebner분비선은 말단 구개 근처에 있는 혀의 등쪽 표면에 있는 유두 주위를 도는 수조에서 발견됩니다.그들은 지질 가수분해시작하는 순수한 장액액을 분비한다.그들은 또한 소화 [12]효소와 단백질의 분비를 통해 맛에 대한 인식을 촉진합니다.이러한 분비선의 배열은 유두의 측면에 늘어선 수많은 미뢰에 걸쳐 지속적으로 액체의 흐름을 제공하며, 맛보는 음식 입자를 분해하는 데 중요하다.

신경 공급

침샘은 직간접적으로 자율신경계부교감교감팔에 의해 신경화된다.부교감 자극은 침의 대량 흐름을 일으킨다.

  • 침샘에 대한 부교감 신경은 뇌신경을 통해 운반된다.부교감샘은 설인두신경([14]CN IX)으로부터 이 신경절을 통해 부교감 입력을 받는 반면, 턱밑 및 혀밑샘은 턱밑 신경([15]CN VII)으로부터 부교감 입력을 받습니다.이 신경들은 각각 IP3와 DAG 경로를 활성화하는 아세틸콜린과 물질 P를 방출한다.
  • 타액선의 직접 교감 신경 감응 신경절 이전 신경을 통해 신경절 후신이, 그리고 그것은 침샘의 선포와ductal 세포에β1-adrenergic 수용체에 의해 받은 방출 노르 에피네프린이라는, incr으로에서 가장 우수한 경추 신경절에 T1-T3는 시냅스 흉부 부분에서 열린다.e사이클릭 아데노신 일인산(cAMP) 수치에서 ase와 그에 따른 타액 분비 증가.이와 관련하여 부교감 자극과 교감 자극 모두 침샘 [16]분비물의 증가를 초래하며, 그 차이는 일단 교감 자극이 장액샘에 의해 생성되는 아밀라아제 분비물의 증가를 초래하는 이 침의 구성에 있다.교감신경계는 또한 분비선을 공급하는 혈관을 자극함으로써 침샘 분비물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쳐 α 아드레날린 수용체의 활성화를1 통해 혈관 수축이 일어나 침의 수분 함량을 감소시킨다.

미세해부술

선체는 내부적으로 소엽으로 나뉜다.혈관신경에서 분비선으로 들어가 소엽으로 서서히 뻗어나간다.

아시니

분비 세포는 집단, 즉 가시나무에서 발견됩니다.각 진드기는 덕트 시스템에 연결된 선체의 말단에 위치하며, 선체의 각 소엽 안에 많은 진드기가 있습니다.각 진드기는 분비 세포에 의해 생성된 후 침이 침전되는 중앙 개구부인 내강을 둘러싼 입방체 상피 세포의 단일 층으로 구성됩니다.세 가지 형태의 아시니는 존재하는 상피세포의 종류와 생산되는 분비 생성물인 장액, 점막,[17][18] 점액으로 분류된다.

덕트

덕트 시스템에서 루미나는 인터컬레이션된 덕트에 의해 형성되며, 이들 덕트가 접합되어 줄무늬 덕트를 형성한다.이러한 배수는 글랜드의 엽 사이에 위치한 덕트(배간 덕트 또는 분비 덕트라고 함)로 배출됩니다.이것들은 대부분의 주요샘과 부샘에서 발견됩니다(설하샘은 [17]예외일 수 있습니다).

인간의 침샘은 모두 입에서 끝나며, 거기서 침은 소화를 돕는다.분비된 침은 존재하는 산에 의해 위에서 빠르게 불활성화되지만, 침은 또한 실제로 위산에 의해 활성화되는 효소를 포함하고 있다.

유전자 및 단백질 발현

약 20,000개의 단백질 코드 유전자가 인간의 세포에서 발현되고 이러한 유전자의 60%는 정상적인 성인 [19][20]침샘에서 발현된다.100개 미만의 유전자가 침샘에서 더 구체적으로 발현된다.침샘 특이 유전자는 주로 분비된 단백질을 암호화하고 인체의 다른 장기와 비교되는 유전자입니다; 침샘은 분비된 유전자 중 가장 높은 비율을 가지고 있습니다.PRB1PRH1과 같이 프롤린이 풍부한 인간 침 당단백질의 이종 계열은 발현 수준이 가장 높은 침샘 특이 단백질이다.타액의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다른 단백질의 예로는 소화 아밀라아제 효소인 AMY1A, 뮤신 MUC7 및 스타테린이 있으며, 이 모든 것은 타액의 특이적 특징에 대해 매우 중요하다.

에이징

침샘의 노화는 다음과 [21][22]같은 구조적 변화를 보인다.

  • 진드기 조직의 부피 감소
  • 섬유조직의 증가
  • 지방조직의 증가
  • 덕트 과형성 및 확장[21]

또한 침 내용에도 변화가 발생합니다.

  • 분비 IgE 농도 저하
  • 뮤신량 감소

그러나 타액 분비량에 대한 전반적인 변화는 보이지 않는다.

기능.

침샘은 침을 분비하는데, 이것은 구강과 전반적인 건강에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다.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습니다.

  • 보호: 침은 구강의 부드러운 조직과 단단한 조직 모두를 윤활하고 보호하는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뮤신은 모든 [23]점막 표면을 덮는 끈적끈적한 점탄성 물질인 점액의 주요 유기 성분입니다.
  • 버퍼링:일반적으로 침의 유속이 높을수록 클리어런스가 빨라지고 버퍼 용량이 높아지므로 충치로부터 더 잘 보호됩니다.따라서, 낮은 완충 용량과 함께 침 분비 속도가 느린 사람들은 [24]세균에 대한 침 보호 기능을 낮춥니다.
  • 박피 형성: 침은 치아 표면에 박피를 형성하여 마모를 방지한다.이 필름은 침에서 나온 뮤신과 프롤린이 풍부한 당단백질을 함유하고 있다.

침상피질 내의 단백질(스태더린 및 프롤린이 풍부한 단백질)은 칼슘 [25]이온을 끌어들임으로써 탈염 작용을 억제하고 재염색을 촉진한다.

  • 치아 무결성 유지:탈염은 에나멜이 산의 존재로 인해 분해될 때 발생한다.이 경우 침의 완충 용량 효과(타액 유량 증가)가 탈염 작용을 억제합니다.침은 칼슘과 인산염 [26]미네랄로 에나멜을 강화함으로써 치아의 재미네랄화를 촉진하기 시작할 수 있다.
  • 항균 작용: 침은 침에 포함된 원소를 바탕으로 미생물의 성장을 막을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타액 속의 락토페린은 철분과 자연적으로 결합합니다.철분은 박테리아 세포벽의 주요 성분이기 때문에 철분을 제거하면 세포벽이 파괴되고, 이는 다시 박테리아를 분해한다.히스타틴과 같은 항균성 펩타이드는 칸디다 알비칸스트렙토코커스 뮤탄의 성장을 억제한다.타액면역글로불린A는 S. 뮤탄 등의 구강세균을 응집시켜 치석 [27]형성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 조직 복구:침은 응고 시간을 줄이고 상처의 [28]수축을 증가시킴으로써 연조직 회복을 촉진할 수 있다.
  • 소화: 침은 전분을 포도당, 말토스, 그리고 덱스트린으로 가수 분해하는 아밀라아제를 포함합니다.그 결과, 침은 [29]음식이 위에 도달하기 전에 소화가 좀 이루어지도록 해줍니다.
  • 맛:[30] 침은 혀에 있는 구강 점막을 통해 고형 입자가 녹아서 미뢰로 들어가는 용제 역할을 합니다.이 미뢰들은 작은 침샘이 [31]침을 분비하는 엽상 유두와 원주 유두에서 발견됩니다.

임상적 의의

침샘 시라덴염 만성염증 현미경사진)

시알결석증(타액결석 또는 결석)은 도관, 가장 일반적으로 턱밑 도관의 막힘을 유발하여 통증을 유발하고 [32]선체의 붓기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침샘 기능 장애는 건식증(입이 마르는 증상) 또는 침샘 기능 저하(타액 생성 감소)를 말합니다. 이는 삶의 [33]질에 대한 심각한 장애와 관련이 있습니다.두경부 방사선 치료 후 침샘 기능 장애는 예측 가능한 [33]부작용이다.타액 생성은 필로카르핀[34]세비멜린과 같은 시알리고그에 의해 약리적으로 촉진될 수 있다.그것은 또한 삼환식 항우울제, SSRI, 항고혈압제,[35] 그리고 다제약과 같은 소위 말하는 항시아고그에 의해 억제될 수 있다.Cochrane 리뷰는 국소 요법이 [36]구강건조 증상을 완화시키는 데 효과적이라는 강력한 증거가 없다는 것을 발견했다.

화학요법방사선요법포함한 암 치료는 침의 [36][33]흐름을 방해할 수 있다.방사선 치료는 침샘을 포함한 구강 점막의 손상으로 인해 영구적인 저칼륨을 유발할 수 있으며, 반면 화학 요법은 일시적인 [36][33]침샘 장애만 일으킬 수 있다.또한 양성 또는 악성 병변으로 인한 외과적 제거도 기능을 [37]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동종 골수 이식 후 이식편 대 숙주 질환은 구강건조증과 많은 작은 [38]점액질로 나타날 수 있다.타액샘 종양은 악성 [39]성장인 점막피질암을 포함하여 발생할 수 있다.

임상시험/조사

사이아그램은 침 덕트의 기능을 조사하고 셰그렌 [40]증후군을 진단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침 덕트의 방사선 대비 연구이다.

기타 동물

어떤 종의 침샘은 단백질을 생성하기 위해 변형된다; 침샘 아밀라아제는 많은 조류와 포유류 종에서 발견된다.게다가, 독사, 길라 몬스터, 그리고 몇몇 독샘은 실제로 변형된 침샘이다.[35]곤충과 같은 다른 유기체에서는 침샘이 종종 비단이나 접착제와 같은 생물학적으로 중요한 단백질을 생산하는데 사용되는 반면, 파리 침샘은 유전자 [41]연구에 유용한 폴리텐 염색체를 포함하고 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a b Edgar, Michael; Dawes, Colin; O'Mullane, Denis, eds. (2012). Saliva and oral health (4th ed.). Stephen Hancocks. p. 1. ISBN 978-0-9565668-3-6.
  2. ^ Martini, Frederic H.; Nath, Judi L.; Bartholomew, Edwin (2012). Fundamentals of anatomy & physiology (9th ed.). Pearson Benjamin Cummings. ISBN 9780321709332.
  3. ^ a b James, Eleanor; Ellis, Cathy; Brassington, Ruth; Sathasivam, Sivakumar; Young, Carolyn A. (2022-05-20). "Treatment for sialorrhea (excessive saliva) in people with motor neuron disease/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The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5: CD006981. doi:10.1002/14651858.CD006981.pub3. ISSN 1469-493X. PMC 9121913. PMID 35593746.
  4. ^ Davies, Andrew N; Thompson, Jo (2015-10-05). "Parasympathomimetic drugs for the treatment of salivary gland dysfunction due to radiotherapy".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10): CD003782. doi:10.1002/14651858.CD003782.pub3. PMC 6599847. PMID 26436597.
  5. ^ a b Wu, Katherine J. (2020-10-19). "Doctors May Have Found Secretive New Organs in the Center of Your Head". The New York Times. Retrieved 2020-10-22.
  6. ^ a b c Bialek EJ, Jakubowski W, Zajkowski P, Szopinski KT, Osmolski A (2006). "US of the major salivary glands: anatomy and spatial relationships, pathologic conditions, and pitfalls". Radiographics. 26 (3): 745–63. doi:10.1148/rg.263055024. PMID 16702452.
  7. ^ a b c d e Nanci A (2018). Ten Cate's Oral Histology: Development, Structure, and Function (ninth ed.). ISBN 978-0-323-48524-1.
  8. ^ a b c d Holmberg KV, Hoffman MP (2014). "Anatomy, biogenesis and regeneration of salivary glands". Saliva: Secretion and Functions. Monographs in Oral Science. Vol. 24. pp. 1–13. doi:10.1159/000358776. ISBN 978-3-318-02595-8. PMC 4048853. PMID 24862590.
  9. ^ Hviid A, Rubin S, Mühlemann K (2008). "Mumps". Lancet. 371 (9616): 932–44. doi:10.1016/S0140-6736(08)60419-5. PMID 18342688. S2CID 208793825.
  10. ^ Valstar, Matthijs H.; de Bakker, Bernadette S.; Steenbakkers, Roel J. H. M.; de Jong, Kees H.; Smit, Laura A.; Klein Nulent, Thomas J. W.; van Es, Robert J. J.; Hofland, Ingrid; de Keizer, Bart; Jasperse, Bas; Balm, Alfons J. M.; van der Schaaf, Arjen; Langendijk, Johannes A.; Smeele, Ludi E.; Vogel, Wouter V. (2020-09-22). "The tubarial salivary glands: A potential new organ at risk for radiotherapy". Radiotherapy and Oncology. 154: 292–298. doi:10.1016/j.radonc.2020.09.034. PMID 32976871.
  11. ^ Guntinas-Lichius, Orlando; Ihrler, Stephan; Freesmeyer, Martin; Gühne, Falk; Kluge, Regine; Bräuer, Lars; Iro, Heinrich; Paulsen, Friedrich; Dietz, Andreas; Bechmann, Ingo (2020-11-16). "Gibt es eine neue Kopfspeicheldrüse? – Eher nicht!". Laryngo-Rhino-Otologie (in German). 100 (1): a–1307–3872. doi:10.1055/a-1307-3872. ISSN 0935-8943. PMID 33197955.
  12. ^ a b c Nanci A (2013). Ten Cate's Oral Histology: Development, Structure, and Function (8th ed.). Elsevier. pp. 275–65. ISBN 978-0-323-07846-7.
  13. ^ a b Herring MJ, Fehrenbach SW (2012). Illustrated Anatomy of the Head and Neck (4th ed.). Elsevier/Saunders. ISBN 978-1-4377-2419-6.
  14. ^ Frommer J (1977). "The human accessory parotid gland: its incidence, nature, and significance". Oral Surgery, Oral Medicine, and Oral Pathology. 43 (5): 671–6. doi:10.1016/0030-4220(77)90049-4. PMID 266146.
  15. ^ Ishizuka K, Oskutyte D, Satoh Y, Murakami T (2010). "Multi-source inputs converge on the superior salivatory nucleus neurons in anaesthetized rats". Autonomic Neuroscience: Basic & Clinical. 156 (1–2): 104–10. doi:10.1016/j.autneu.2010.03.014. PMID 20435522. S2CID 25907120.
  16. ^ Costanzo L (2009). Physiology (3rd ed.). Saunders Elsevier. ISBN 978-1-4160-2320-3.
  17. ^ a b Bath-Balogh M, Fehrenbach M (2011). Illustrated Dental Embryology, Histology, and Anatomy. Elsevier. p. 132. ISBN 978-1-4377-2934-4.
  18. ^ Gilloteaux, J.; Afolayan, A. (2014). "Clarification of the terminology of the major human salivary glands: Acinus and alveolus are not synonyms". The Anatomical Record. 297 (8): 1354–63. doi:10.1002/ar.22950. PMID 24903594.
  19. ^ "The human proteome in salivary gland - The Human Protein Atlas". www.proteinatlas.org. Retrieved 2017-09-22.
  20. ^ Uhlén M, Fagerberg L, Hallström BM, Lindskog C, Oksvold P, Mardinoglu A, et al. (January 2015). "Proteomics. Tissue-based map of the human proteome". Science. 347 (6220): 1260419. doi:10.1126/science.1260419. PMID 25613900. S2CID 802377.
  21. ^ a b c Vissink A, Spijkervet FK, Van Nieuw Amerongen A (1996). "Aging and saliva: a review of the literature". Special Care in Dentistry. 16 (3): 95–103. doi:10.1111/j.1754-4505.1996.tb00842.x. PMID 9084322.
  22. ^ Kim SK, Allen ED (June 1994). "Structural and functional changes in salivary glands during aging". Microscopy Research and Technique. 28 (3): 243–53. doi:10.1002/jemt.1070280308. PMID 8068986. S2CID 12964266.
  23. ^ Tabak LA, Levine MJ, Mandel ID, Ellison SA (February 1982). "Role of salivary mucins in the protection of the oral cavity". Journal of Oral Pathology and Medicine. 11 (1): 1–17. doi:10.1111/j.1600-0714.1982.tb00138.x. PMID 6801238.
  24. ^ Comba, Allegra. "Saliva". flipper e nuvola. Retrieved 25 February 2018.
  25. ^ "Function of Saliva". Cariology. Retrieved 24 February 2018.
  26. ^ "6 Ways Saliva Protects Your Teeth". Sunningdale Dental News & Views. 2012-07-17. Retrieved 25 February 2018.
  27. ^ Taylor, John. "Immunity in the oral cavity". British Society for Immunology. Retrieved 25 February 2018.
  28. ^ Mandel, ID (February 1987). "The functions of saliva". Journal of Dental Research. 66 Spec No (66): 623–7. doi:10.1177/00220345870660S203. PMID 3497964. S2CID 23498530.
  29. ^ "Saliva". Science Daily. Retrieved 24 February 2018.
  30. ^ Nanci A (2003). Ten Cate's oral histology: development, structure, and function (6th ed.). Mosby. pp. 300–1. ISBN 978-0-323-01614-8.
  31. ^ Matsuo, R (2000). "Role of Saliva in the maintenance of taste sensitivity". Critical Reviews in Oral Biology and Medicine. 11 (2): 216–29. doi:10.1177/10454411000110020501. PMID 12002816.
  32. ^ Rzymska-Grala I, Stopa Z, Grala B, Gołębiowski M, Wanyura H, Zuchowska A, Sawicka M, Zmorzyński M (July 2010). "Salivary gland calculi - contemporary methods of imaging". Polish Journal of Radiology. 75 (3): 25–37. PMC 3389885. PMID 22802788.
  33. ^ a b c d Riley, Philip; Glenny, Anne-Marie; Hua, Fang; Worthington, Helen V (2017-07-31). "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for preventing dry mouth and salivary gland dysfunction following radiotherapy".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7: CD012744. doi:10.1002/14651858.CD012744. PMC 6483146. PMID 28759701.
  34. ^ Wolff A, Joshi RK, Ekström J, Aframian D, Pedersen AM, Proctor G, Narayana N, Villa A, Sia YW, Aliko A, McGowan R, Kerr AR, Jensen SB, Vissink A, Dawes C (March 2017). "A Guide to Medications Inducing Salivary Gland Dysfunction, Xerostomia, and Subjective Sialorrhea: A Systematic Review Sponsored by the World Workshop on Oral Medicine VI". Drugs in R&D. 17 (1): 1–28. doi:10.1007/s40268-016-0153-9. PMC 5318321. PMID 27853957.
  35. ^ a b Romer AS, Parsons TS (1977). The Vertebrate Body. Holt-Saunders International. pp. 299–300. ISBN 978-0-03-910284-5.
  36. ^ a b c Furness, Susan; Worthington, Helen; Bryan, Gemma; Birchenough, Sarah; McMillan, Roddy (7 December 2011). "Interventions for the management of dry mouth: topical therapies".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12): CD008934. doi:10.1002/14651858.CD008934.pub2. PMID 22161442.
  37. ^ Psychogios, Georgios; Bohr, Christopher; Constantinidis, Jannis; Canis, Martin; Vander Poorten, Vincent; Plzak, Jan; Knopf, Andreas; Betz, Christian; Guntinas-Lichius, Orlando; Zenk, Johannes (2020-08-04). "Review of surgical techniques and guide for decision making in the treatment of benign parotid tumors". European Archives of Oto-Rhino-Laryngology. 278 (1): 15–29. doi:10.1007/s00405-020-06250-x. ISSN 0937-4477. PMID 32749609. S2CID 220965351.
  38. ^ Ogawa Y, Okamoto S, Wakui M, Watanabe R, Yamada M, Yoshino M, Ono M, Yang HY, Mashima Y, Oguchi Y, Ikeda Y, Tsubota K (October 1999). "Dry eye after ha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The British Journal of Ophthalmology. 83 (10): 1125–30. doi:10.1136/bjo.83.10.1125. PMC 1722843. PMID 10502571.
  39. ^ Nance MA, Seethala RR, Wang Y, Chiosea SI, Myers EN, Johnson JT, Lai SY (October 2008). "Treatment and survival outcomes based on histologic grading in patients with head and neck mucoepidermoid carcinoma". Cancer. 113 (8): 2082–9. doi:10.1002/cncr.23825. PMC 2746751. PMID 18720358.
  40. ^ Rastogi R, Bhargava S, Mallarajapatna GJ, Singh SK (October 2012). "Pictorial essay: Salivary gland imaging". The Indian Journal of Radiology & Imaging. 22 (4): 325–33. doi:10.4103/0971-3026.111487. PMC 3698896. PMID 23833425.
  41. ^ Sehnal F, Sutherland T (2008). "Silks produced by insect labial glands". Prion. 2 (4): 145–53. doi:10.4161/pri.2.4.7489. PMC 2658764. PMID 19221523.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