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루스티우스 루쿨루스

Sallustius Lucullus

살루스티우스 루쿨루스(Sallustius Lucullus, AD 89년 또는 93년 사망)는 서기 1세기 후반에 로마의 총독으로, 비록 그가 직접적인 후계자인지 아니면 그 사이에 또 다른 미지의 주지사가 있었는지는 분명치 않지만, 그나이우스 율리우스 아그리콜라의 뒤를 이어 정권을 잡고 있었다.루쿨루스는 에니그마(an enigma)로 묘사되어 왔는데, 그에 대해 유일하게 확실한 사실은 도미티아누스 황제가 자신의 이름을 딴 새로운 유형의 랜스를 허용했다는 이유로 그를 처형시켰다는 수에토니우스의 보고일 뿐이다.[1]

루쿨루스에 관한 그 이상의 것은 추측이나 추론이다. 예를 들어, 로마영국의 다른 알려진 주지사들도 모두 총독으로 임명되기 에 집정관이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85년부터 도미티안이 사망하기 전까지 모든 영사들이 알려져 있기 때문에, 그는 틀림없이 집정관이었을 것이다.그는 85년이다.셰퍼드 프레레는 몇 년도에 처형됐는지는 알 수 없지만, "그의 처형 가능성이 가장 높은 날짜는 89년이며, 가장 유력한 이유는 그가 그해 봄 탄압된 독일 상부의 공사인 새터니누스의 음모에 연루되었다고 생각했기 때문"[2]이라고 썼다.그러나 도미티아누스도 93년에 여러 가지 이유로 다수의 상원의원을 처형한 것으로 알려져 있어 그 역시 유력한 날짜다.

루쿨루스가 쿠노블린 왕(AD 40년)의 손자였을 가능성이 있고, 카투벨라니족 두 종족인 어무니우스(AD 43년 이후 사망)의 아들이었을 가능성도 있다.

에니그마

수에토니우스가 기록한 이야기 외에 그에 대해 확실한 것은 아무것도 알려져 있지 않다.이 이야기는 루쿨루스가 처형된 또 다른 이유를 가릴지도 모른다; 그렇게 알려진 것이 거의 없기 때문에 루쿨루스에 대한 여러 설이 생겨났다.

로날드 시메다명칭의 난이도에 주목하면서 89명의 질식 집정관인 푸블리우스 살루스티우스 블래수스와 루쿨루스를 식별할 것을 제안했다.[3]블레수스는 젊은 플리니와 여러 비문으로부터 알려져 있는데, 가장 두드러진 것은 액타 아르발리아인데, 액타에 공백이 있는 77년에서 91년 사이에 그들의 의식에서 그의 존재를 기록하고, 101년에 재개되면 블라수스는 행방불명이다.이것과 관련된 이유로 Syme는 두 사람을 동일인이라고 확인했다.그의 주장은 앤서니 버리[4] 에드워드 챔플린과 같은 후기 전문가들에 의해 받아들여졌다.[5]그러나 P. 코놀과 브라이언 존스는 아르발 브레트렌의 기록은 "도미티안 집권 전반기 동안 매년 로마에 존재한다는 기록을 남겼기 때문에 어떻게 그가 브리에 임명될 자격이 있을 만큼 프리토리아 직책에서 충분한 지방 경험을 얻을 수 있었는지는 알 수 없다"고 지적했다.태인, 황실 영사 지방."[6]

두 번째 이론은 본머스 대학의 마일즈 러셀 박사에 의해 제안되었다.새뮤얼 우드포드가 그의 비문 로마노-브리타니카룸 콘렐렉티오(1658)에 기록한 치케스터의 비문(비문)은 실루한 이후 살루스티우스 루쿨루스를 가리켜 가이우스라고 칭하고 그를 도미티아누스 황제의 프로레토리아 공관으로 묘사한다.1923년에 발견된 치체스터의 또 다른 비문은 "암미누스의 아들 루쿨루스"를 가리킨다.러셀은 이것이 같은 루쿨루스라고 주장하며, 그의 아버지는 로마 c. 40으로 도망친 쿠노벨리누스의 아들인 영국 태자 암미누스였다고 주장한다.그는 또한 치체스터 근처에 있는 피쉬본 로마 궁전은 흔히 주장하듯이 의뢰인티베리우스 클라우디우스 코기두부스를 위해서가 아니라 총독으로서 살루스티우스 루쿨루스를 위해 지어졌다고 주장한다.다른 고고학자들이 궁전의 건립 연대를 c. 73으로 잡았지만, 러셀이 지상 계획을 재해석하여 찾아낸 결과 92년 이후 궁전과 연대를 하게 되는데, 이 연대는 코기두부스보다는 루쿨루스와 일치할 것이다.[7]그러나, 다른 학자들은 러셀이 로마 총독에 새겨진 루쿨루스의 신원을 확인한 것에 반대한다.우드포드의 누락된 비문은 R. G. 콜링우드와 R. P. 라이트가 영국 로마 비문(1965년)에서 가짜로 일축했다. 도미티안의 언급은 의 담나티오 암기에 이어 공공 비문에서도 이름이 삭제된 것으로, 그의 비문에는 진실성이 없다고 주장하지만, 게다가 영국의 주지사들은 전직 청교도들이 아니었다.러셀이 두 번째 비문(CIL VII, 10)을 복원하면 로마식 명명 규약을 따르지 않는 텍스트가 생성되며, 비문이 속한 제단은 켈트족 왕자나 로마 총독의 자격이 없으며, 헌신자의 계급에 대한 언급은 생략한다.[8]

제3의 이론은 코놀과 존스에 의해 제안되었는데, 이 루쿨루스를 히스파니아 배티카프로콘술이었던 루쿨루스와 해양생물의 제자 플리니 장로자연사(c. 77)를 집필할 당시, 이 루쿨루스를 확인하였다.[9]이 루쿨루스는 적절한 시기에 영국 총독으로 임명되기에 적절한 계급이었을 것이다.더구나 같은 사람은 아니지만 살루스티우스 블래수스는 루쿨루스의 친척이고, 블래수스는 토르티누스의 성공하지 못한 반란이 일어난 같은 해에 집정관에 임명되었기 때문에 루쿨루스의 처형은 토르티누스의 행동과는 아무런 관계가 없었다.[10]브라이언 존스는 도미티안에 대한 그의 연구에서 이 시나리오를 더욱 발전시킨다.그곳에서 존스는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루스가 다른 미지의 영국 전쟁으로 세 개의 왕관과 은색 창축으로 구성된 도나 군국아를 수상했다고 진술하고 있다. 그것은 예외적인 장식이며, 도미티아누스가 새터니누스의 반란을 진압한 사람에게 수여한 장식에 해당한다.존스는 다음과 같은 이론을 제안한다: 루쿨루스는 로마영국의 국경을 좀더 방어할 수 있는 남쪽으로 옮기려는 도미티안의 계획에 반대했다; 이러한 견해와 관련 행위는 카루스에 의해 보고되었다; 도미티아누스 황제는 이 반대를 반역행위로 보고, 카루스에게 관대하게 상을 받은 루쿨루스를 제거하라는 명령을 내렸다.[11]그럼에도 불구하고, 존스는 루쿨루스를 둘러싼 사건들의 재구성은 "투기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고 재차 강조한다.[12]

군사 활동

고고학은 84년 아그리콜라의 리콜 이후 몇 년 동안 로마의 군사활동의 일부를 우리에게 말해줄 수 있다.살루스티우스(혹은 그의 알려지지 않은 전임자가 존재한다면)는 피터 살웨이가 자신의 지배를 시작한 글렌 포츠를 건설함으로써 스코틀랜드에서 아그리콜라의 승리를 공고히 하려고 시도했을지도 모른다.아그리콜라가 건설한 스코틀랜드 남부 아르도흐달스윈튼의 요새는 80년대 후반에 대대적으로 재건되었고, 이 지역의 다른 군사 시설들의 개선의 증거는 스코틀랜드 로우랜드에 강한 주둔을 가리킨다.

그러나 인추틸은 이 무렵에도 버림받았고, 제국의 다른 곳에 있는 군대에 대한 요구는 살루스티우스가 먼 북쪽을 계속 지탱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인력을 거절했을 가능성이 높다.그러나 스코틀랜드 북부의 로마 감시자들 중 일부는 90년까지 점령되어 있었다는 고고학적 증거가 있다.

대체로 병력부족으로 살루스티우스가 스코틀랜드 북부에서 철수할 수밖에 없었지만 여전히 남쪽을 점령할 수 있도록 허용했을 가능성이 높다.

참조

  1. ^ 스에토니우스, 열두 개의 시저의 삶: 도미티아누 10.3
  2. ^ 프레, 브리타니아: 로마 영국의 역사, 개정판 (런던: Routrege, 1978), 페이지 141
  3. ^ 시메, 타키투스(Oxford: Clarrendon Press, 1958), 페이지 648
  4. ^ Birley, The Fasti of Roman Britain (Oxford: Clarrendon Press, 1981), 페이지 82f
  5. ^ 챔플린, "하드리안의 후계자", Zeitschrift für Papydricie und Epigraphik, 21 (1976년), 페이지 85f
  6. ^ 코놀과 존스, "살루스티우스 루쿨루스", 라토머스, 42 (1983), 페이지 629
  7. ^ 러셀, "로마 브리튼의 잃어버린 주지사", 현재 고고학 204(2006), 페이지 630-635; 러셀, 로마 서섹스, (스트라우드:Tempus, 2006);Sallustius Lucullus Archived 2006-09-08, Wayback Machine Roman-Britain.org
  8. ^ John Magilton, "RIB I, 2334: 치체스터의 비문이라고 주장됨", Britannia, 44(2013), 페이지 85-92
  9. ^ 장로 플리니티, 자연주의 역사학 9.48
  10. ^ 코놀과 존스, "살루스티우스 루쿨루스" 페이지 629-633
  11. ^ 존스, 도미티아누스 황제(런던: Routrege, 1992), 페이지 133f
  12. ^ 존스, 도미티안, 135페이지
정치국
선행자 영국의 로마 총독
84-c 89
알 수 없는
다음으로 알려진 타이틀 홀더:
오울러스 비시리우스 프로쿨루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