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소울 오케스트라

Salsoul Orchestra
살소울 오케스트라
기원.뉴욕, 뉴욕
장르댄스, 소울, 디스코,
활성 연도1974–1983
레이블살소울 레코드
과거 멤버빈센트 몬태나 주니어 (사망)
로니 베이커 (사망)
고든 에드워즈
바비 엘리
데니스 해리스
Norman Harris (사망)
래리 워싱턴 (사망)
얼 영

살소울 오케스트라는 뉴욕 시 레이블 살소울 레코드의 많은 활동을 위한 세션 음악가들의 후원 밴드였으며, 1975년과 1982년 사이에 자신의 이름으로 여러 히트 싱글과 앨범을 녹음했습니다.

역사

이 오케스트라는 1974년에 결성되었고 1982년에 해체되었습니다.그들의 음악은 필라델피아 소울, 펑크, 라틴, [1]디스코의 요소들을 특징으로 했습니다.살소울 오케스트라는 필라델피아 음악가 빈센트 몬태나 주니어에 의해 50명의 멤버를 포함하고 살소울 레코드를 위해 창조되고 지휘되었습니다.몬태나는 1978년까지 골드 셀러 [2]크리스마스 앨범을 포함하여 오케스트라의 모든 트랙에서 작사, 편곡, 지휘, 프로듀싱, 연주했습니다.

살소울 오케스트라는 처음에 프로듀서 케니 갬블과 레온 허프와의 재정 문제로 인해 살소울로 이사한 필라델피아 인터내셔널MFSB의 많은 원래 멤버들로 구성되었습니다.다른 멤버들은 리치 패밀리와 존 데이비스와 몬스터 오케스트라로 공연을 시작했습니다.필리의 MFSB를 포함하여 많은 대형 디스코 오케스트라들이 비슷한 시기에 인기를 얻었습니다.어떤 사람들은 Vincent Montana와 함께 일했던 Salsoul Orchestra와 MFSB 사이에 많은 유사점이 있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반대로 살소울 오케스트라는 현악기 기반의 사운드에 가까웠고 MFSB는 5개의 색소폰으로 조금 더 큰 밴드였습니다. 몬태나에서는 이 색소폰이 제대로 들리지 않았고 그는 바리톤 색소폰을 제외하고 살소울의 라인업에서 제외했습니다.이 오케스트라의 가장 큰 차트 싱글은 1976년에 표준 "Tangerine" (팝 #18, R&B #36)과 같은 [3]해 후반에 "Nice 'N' Naasty" (팝 #20, 팝 #30)의 재작업 버전이었습니다.

몬태나가 살소울을 떠날 때, 오케스트라는 필라델피아의 시그마 사운드 스튜디오에서 주로 프로듀서 버니 시글러와 함께 마지막 앨범을 녹음했습니다.이 오케스트라의 마지막 세 앨범은 패트릭 애덤스와 톰 몰튼을 포함한 지역 세션 연주자들과 프로듀서들과 함께 뉴욕에서 녹음되었습니다.

오케스트라의 트랙 "Love Break (Ooh I Love It)"은 50 Cent의 "캔디샵"과 Eric B&Rakim의 "Payed in Full"과 같은노래에서 샘플링되었습니다.또한 마돈나의 "Vogue"는 트랙의 샘플을 사용했는데, 이 샘플을 포함한 것은 나중에 마돈나에게 유리하게 끝난 소송의 주제가 되었습니다.

1977년 12월 24일부터 1986년까지 소련 TV 게임에서 "살소울 3001"(리하르트 슈트라우스의 "Alsprach Zarathustra"에 기초한 인트로 시퀀스)이 사용되었습니다. 어디서? 언제?

디스코그래피

스튜디오 앨범

연도 앨범 피크 차트 위치 레코드 레이블
미국
[4]
미국
R&B

[4]
할 수 있다
[5]
1975 살소울 오케스트라 14 20 47 살소울
1976 나이스앤나스티 61 23
크리스마스 졸리스 38
1977 마법의 여행 61 51
쿠치쿠치 (with 차로) 100
1978 옐로 브릭 로드 117 52
당신의 사랑은 얼마나 깊나요
1979 스트리트 센스
얼마나 높은 방법 201
1981 크리스마스 졸리스 2세 170
1982 히트 잇 업
해당 영역에서 차트화되지 않았거나 릴리스되지 않은 기록을 나타냅니다.

컴필레이션 음반

연도 앨범 절정 레코드 레이블
미국
[4]
1978 최고의 디스코 히트곡:멈추지 않는 춤을 위한 음악 97 살소울
1994 앤솔로지
2005 앤솔로지 서스드
2010 솔 오케스트라 이야기: 35주년 기념 컬렉션 홈 선
해당 영역에서 차트화되지 않았거나 릴리스되지 않은 기록을 나타냅니다.

싱글즈

연도 제목 피크 차트 위치
미국
[4]
미국
R&B

[4]
미국
댄.

[4]
할 수 있다
[5]
NL
[6]
영국
[7]
1975 "난 널 포기할 수 없어" (with 플로이드 스미스)
솔허슬 76 44 4
1976 "" 18 36 21 21
"당신에게 딱 맞는 사이즈" 88 76
"Nice'n' Naasty" 30 20 3 87
1977 "리치 맘보" 99
"짧은 반바지" 106
"Get away" 33 3
"Run Away" (롤레타 할로웨이 피쳐링) 84
"불의 마법의 새"
"조금 더 가까이서 춤을 춰요" (with 차로) 104 18 44
"즐거운 크리스마스 되세요"
1978 "웨스트 사이드 인콰이어트" /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 (메들리) 68 13
"여유로운 여행"
"지붕 위의 피들러" (메들리)
"페퍼 병장의 론리하츠 클럽 밴드"
리틀 드러머 보이
1979 《비 온 뒤의 태양》
"스트리트 센스" 40
"212 북12"
"How High"(코냑 피쳐링) 105 66 21
1981 "데크"
1982 "(사랑을 위해) 시간을 내세요" 52 46
"Seconds"(롤레타 할로웨이 피쳐링) 22
1983 오, 사랑해요 (러브 브레이크) 19 83
해당 영역에서 차트화되지 않았거나 릴리스되지 않은 기록을 나타냅니다.

참고 항목

레퍼런스

  1. ^ Bush, John. "Artist Biography". AllMusic. Retrieved September 28, 2021.
  2. ^ Whitburn, Joel (2000). Top Pop Singles 1955–1999. Record Research Inc. p. 429. ISBN 0-89820-139-X.
  3. ^ "The Salsoul Orchestra Top Songs / Chart Singles Discography". Music VF. Retrieved September 28, 2021.
  4. ^ a b c d e f "US Charts > Salsoul Orchestra". Billboar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29, 2014.
  5. ^ a b "CAN Charts > Salsoul Orchestra". RPM.
  6. ^ "NL Charts > Salsoul Orchestra". Dutch Charts. Retrieved December 4, 2021.
  7. ^ "UK Charts > Salsoul Orchestra". Official Charts Company. Retrieved February 21, 2016.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