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뮤얼 프리스칭 (II)
Samuel Frisching (II)새뮤얼 프리스칭 | |
---|---|
![]() 새뮤얼 프리스칭 (1638–1721) 요한 루돌프 후버가 그린 | |
태어난 | |
죽은 | 1721년 10월 23일 | (83)
직업 | 솔져 폴리티안 |
배우자 | 막달레나 폰 와이스 (1647-) |
아이들. | Y |
상위 항목 | 새뮤얼 프리스칭 (1605-1683) 수잔 롬바흐 |
새뮤얼 프리스칭(Samuel Frisching, 1638년 6월 27일 ~ 1721년 10월 23일)은 베른의 군인이자 정치가였다. 1715년과 1721년 사이에 그는 자유 제국주의 도시의 "슐트헤이스"로 활동했는데, 이 직책은 현대 도시 시장의 직책과 완전히 다르지 않다.[1]
인생
그의 부모님의 넷째 아들 사무엘 프리스칭은 버네즈 유수의 가문 출신이다.[2] 사무엘 프리스칭(de 이라고도 불리는 그의 아버지는 1668년부터 1682년 사이에 치안판사였으며 그 자신은 슐트헤이스(Schultheiss)를 지냈다.[2] 어린 새뮤얼 프리스칭은 베른에서 학교를 마치고 1656년에서 1657년 사이에 제네바에서 공부하기 시작했다. 1658년 스무 살이 아버지의 뜻을 무시하고 프랑스 스위스 근위대에 합류한 것은 그가 제네바에 있는 동안이었다.[1]
군인이었던 그는 Gravelines에서 전투에서 중상을 입어 지뢰 폭발로 매몰되는 것을 가까스로 피했다.[3] 그 후 영국, 스코틀랜드, 네덜란드, 독일을 순회하며 교육 여행을 계속했고, 그 후 그는 베른으로 돌아왔다. 그는 가족의 희망에 부응하여 이제 그의 도시에 봉사활동을 시작했다.[1]
1664년 베른 대평의회 회원이 되었고, 1685년 내평의회 회원으로 발전하였다. 이 자격으로 그는 일련의 준엄청난 임무를 맡겼다. 그 동안 그는 이미 1670년에 버그도프의 슐트헤이스로 재직하고 있었는데, 버그도프에서는 베른이 1384년부터 슐트헤이스를 임명할 자격이 있는 자치의 소도시였다. 1715년 그는 베른의 "슐테이스"로 임명되었다.
프리스칭은 시민행정에서의 복무와 병행하여 기회가 생긴 군생활도 계속하였다. 1712년, 지금 74세가 되었을 때 그는 제2차 빌메르겐 전쟁에서 군 사령관 니콜라스 드 디즈바흐와 그의 소위 장 드 사코나이 둘 다 빌메겐에서 중상을 입은 후 개신교 연합군을 지휘한 장군이었다.[3] 프리스칭은 1712년 7월 25일 임박한 패배를 승리로 바꾼 공로를 인정받고 있다.[3]
빌드 레거시
1705년과 1706년 사이에 프리싱은 엔지니어 건축가인 조셉 에이빌이 제공한 계획을 사용하여 그의 가족 집을 도시 준케랑가스에 크게 확장했다. 그 결과로 생겨난 "도시 궁전"은 이제 베아트리스-본-왓텐윌-하우스(Béatrice-von-Wattenwyl-Haus)로 알려져 있는데,[1] 남향의 인상적인 도시 저택으로, 때로는 시민적 기능을 위해 우리 시대에 사용되기도 한다.
사무엘 프리스칭 동상은 베른 ]에 있는 광동은행 본관 건물 전면 상층부 외관을 장식한 8개 동상 중 4번째다
가족
사무엘 프리스칭의 아들 중 한 명은 스위스 군 장교로 와텐윌 왕조의 수잔나 마르가레타 스튀를러와 결혼한 치안판사인요한 프리스칭 ]이다. 요한 자신은 1701년 베른 대평의회, 1721년 내평의회 소속이었다.
손자 루돌프 에마누엘 프리싱 [ 1698년–1780년)도 장교 겸 치안판사였다.
참조
- ^ a b c d Barbara Braun-Bucher (12 August 2003). "Frisching, Samuel". Historisches Lexikon der Schweiz, Bern. Retrieved 4 August 2015.
- ^ a b Emil Blösch (1878). ADB "Frisching, Samuel" Check
url=
value (help). Allgemeine Deutsche Biographie (ADB). Duncker & Humblot, Leipzig. p. 95 f. - ^ a b c R de Steiger (1864). Samuel Frisching. Chefs des anciens armées ou levées Bernoises. Imprimerie R.-F. Haller. p. 31. Retrieved 4 August 2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