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라 쿠플랜드

Sarah Coupland
세라 쿠플랜드 교수

사라 쿠플랜드는 호주 태생의 병리학자 겸 교수로 리버풀 대학교 병리학과의 조지 홀트 교수다.Coupland는 암의 분자유전학에 초점을 맞춘 활발한 임상과학자로, 특히 자궁 흑색종, 결막 흑색종, 안구내 및 안구외 림프종, CNS 림프종에 관심이 있다.쿠플랜드는 또한 영국 왕립 리버풀 대학 병원의 NHS 명예 컨설턴트 히스토패스 전문의도 맡고 있다.2006년부터 쿠플랜드는 리버풀 대학의 분자 및 임상 암 의학 학부에 기반을 둔 우베알 흑색종을 중심으로 한 다학제 종양학 연구 그룹을 운영하고 있다.[1][2]그녀의 연구실은 현재 번역의학연구소에 위치하고 있으며, 2014년 4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쿠플랜드는 또한 노스웨스트암연구센터 @UoL 소장이었다.[4][5]2019년과 2020년, 쿠플랜드는 병리학 웹사이트의 '병리학 파워리스트'에 모두 포함되었다.[6]

교육

쿠플랜드는 시드니에서 태어나 캔버라에서 자랐고 호주 뉴사우스웨일즈 대학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1988년 MBBS 의학 학사, 수술 학사 학위를 받았고 이후 시드니 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쿠플랜드는 경력 대부분을 유럽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2005년부터 리버풀 대학에서 학술 연구 기반의 임상의로 활동하고 있다.[7]

쿠플란드는 박사학위 수료 후 독일로 건너가 1995~2002년 베를린 FU 베를린 샤리테 대학병원에서 전문의 병리학 교육을 계속했으며 1994년 베를린 괴테 연구소에서 클라인 스프래치디플로어를 취득했으며, 수술 히스토리에서 파차르츠트('특수학자') 검사를 마쳤다.2002년 베를린 자유대학에서 그녀는 또한 외과적 조직병리학(Association of Scientific Organisopathology, Association)에서 하빌레이션 학위를 받았다.2005년 교수 논문).그 후 그녀는 2002-2005년 베를린의 차리테 대학 병원의 컨설턴트 병리학자로 임명되었다.2005년 그녀는 영국의료인의 공식 등록부를 관리하는 공공단체인 종합의사회에 등록했다.그녀는 2015년에 재등록했고 리버풀에 본사를 둔 병리학자로 2011~2016년 리버풀 티슈뱅크 이사로 재직했으며, 리버풀 대학교번역의학연구소 부대표로 아테나 SWAN 의제에 기여했다.

리서치

Coupland는 활발한 연구 협력자로서, 주요 조사관으로서나 공동 조사원으로서 모두 상당한 자금을 지원받았다.최근 Innovation UK의 지원으로 북방 (N6) 학술 병리 네트워크 디지털 병리학 (2019-2021), 북서부 암 연구소의 자금 지원 (2018-2020)의 전치성 우뇌 흑색종 (2018-2020)의 종양 면역 미세 환경 특성화 (2014-2021), 한때 갱신된 NWCR Program Grant (2014-2021)의 자금 지원 등이 있다.우리 NWCR상 DTP 박사과정 학생회.Coupland는 또한 EU에 본사를 둔 Horizon 2020, Fight for Sight, NIHR, MRC 계획으로부터 경쟁력 있는 연구 기금을 받아 총 350만 파운드의 PI, 1450만 파운드의 Co-I를 받았다.

그녀는 연구 활동 외에도 국제 기조 강연을 하며 수많은 국제 회의에 기여했다.그녀는 서비스에 그녀를 시야에서 Vice-Chair은'Ophthalmic 전기장 쓰기 그룹의 손', 7일 및으로서의 역할 포함한 국제 사회 Ophthalmic 병리(대통령 2011–present에서), 이 협회 연구소 비전과 Oph에서 멤버의 일원으로 그녀의 경력 대부분을 8일 Ed'ns AJCC/TNM 분류(2005년부터).를어원(ARVO) (및 부사장 2017~2018년)이며, ARVO Anatomy-Pathology-Oncology 그룹 & ARVO 이사회 멤버(2013~2018년)의 수탁자 역할을 해왔다.쿠플란드는 유럽병리학회(2013~2018), 유럽의료원종양학회(ESMO)의 '난치성 병리학 워킹그룹' 의장을 맡기도 했으며, 그곳에서 그녀는 '임상시험위원회'(>2015–현재)의 병리학 대표를 맡았다.그녀는 또한 점막 멜라노마 가이드라인 작성 그룹(2016-2018), Accela Merseyside National Awards (>2011–현재), 국립 연구소 CM-Path Workstream 4 – Molecular 기술, 디지털 병리학 (>2016–현재)에서도 근무했다.영국과 아일랜드 병리학회의 선출위원으로 교육훈련 분과위원회(2016~2019년)에서 활동했다.그녀는 WHO Eye Tumour Writing Group(2016-2018)의 위원이었다.그녀는 유럽 안과 종양학 그룹 (그리고 2008~2011년 장관, 2011~2014년 대통령)의 멤버였다.Coupland는 적극적인 환자 옹호자로 OcuMelUK 환자 지원 그룹과 NCRI 림프종 생물학 연구 서브그룹(2008~2011년 의장)의 일부다.과학출판과 장학금 면에서는 2016년부터 탐사 안과 시각과학 학술지 편집위원, 액타 안과부 편집위원(2014년 이후)으로 활동했으며 그라페 임상 및 실험 안과기록보관소 부편집장(병리학)을 지냈다.그녀는 "구강 면역학 및 염증"의 리뷰 에디터(2013~2018년)와 BMC 암의 편집위원(2010~2018년)을 역임했다.

수상

쿠플랜드는 여러 위원회와 자선단체에서 활동할 뿐만 아니라 특히 더 넓은 안과 질환 분야에서, 훈장을 받은 임상 병리학자로, 그녀의 과학성을 인정받아 수많은 상을 받았다.그녀가 가장 최근에 받은 상으로는 ARVO 실버 펠로우상(2012),[9] ARVO 골드 펠로우상(2014/5) 및 권위 있는 ARVO 공로상(2018)이 있다.[11]2018년에는 국제 안과병리학협회상 – 2018년, 가장 최근에는 2019년에는 왕립 안과병리학 우수상을 받았다.[13]인용문에는 '쿠플랜드 교수는 영국에서 뛰어난 뛰어난 안과 병리학자로, 안과 종양학 분야의 연구로 국제적으로 호평을 받고 있다.그녀는 그녀의 병리학 연구, 안구 종양의 분자 및 종양 서명의 개발, 치료법, 예후, 최적의 환자 치료법을 알려주는 증거를 제공함으로써 리버풀에서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안과 종양 서비스에 전달되는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그녀의 업적과 업적을 더욱 인정받아, 쿠플랜드는 2019년 병리학자 파워 리스트에 포함되었다.

쿠플랜드는 전 세계 대학에서 150개 이상의 초청 세미나를 개최했으며, 그녀는 20명 이상의 학생들에게 병리학 국제 훈련 펠로우십 감독관을 역임한 것 외에도 수십 명의 석사와 박사 과정 학생들의 감독으로 인정받고 있다.Coupland는 또한 20개가 넘는 유럽과 영국의 대학에서 외부 박사학위 심사관으로 활동했다.

출판물

그녀는 280개 이상의 동료 검토 출판물을 출판했으며, 스코퍼스 또는 구글 스콜라트에 따르면, 총 7,000개 이상의 인용문을 게재했다.[15]고도로 인용된 논문에는 오래 지속되는 중요한 첫 저자와 그에 상응하는 저자의 출판물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으며, 코플랜드와 같은 인용 고전들 또한 맥락막 우베알[18] 흑색종의 유전자형과 우베알 흑색종의 임상 하위종양에 대한 중요한 높은 영향의 연구에 기여했다.[19]그녀는 최근 동료들과 함께 우뇌 흑색종에 대한 표적치료 분야를 검토했는데, 여기서 그녀는 새로운 유형의 표적치료, 어쩌면 환자 특유의 치료법을 가진 환자들의 치료에 대한 신중한 낙관론을 논하고 있다.

참조

  1. ^ "Liverpool Ocular Oncology Group".
  2. ^ "North West Cancer Research Centre".
  3. ^ "Institute of Translational Medicine - University of Liverpool".
  4. ^ "North West Cancer Research".
  5. ^ "Molecular and Clinical Cancer Medicine - University of Liverpool".
  6. ^ "The Power List 2020 - Big Breakthroughs".
  7. ^ "Liverpool Ocular Oncology Group".
  8. ^ "The Ocular Melanoma UK patient support group".
  9. ^ "The Association for Research in Vision and Ophthalmology".
  10. ^ "The Association for Research in Vision and Ophthalmology".
  11. ^ "The Association for Research in Vision and Ophthalmology)".
  12. ^ "International Council of Ophthalmology Eye Pathology".
  13. ^ "The Royal College of Pathology Excellence Award".
  14. ^ "The Pathologist".
  15. ^ "Google Scholar".
  16. ^ Coupland S, Krause L, Delecluse I, Anagnostopoulos I, Foss HD, Hummel M, Bornfeld N, Lee WR, Stein, H (1998). "Lymphoproliferative lesions of the orbit and ocular adnexa: analysis of 112 cases". Ophthalmology. 105 (8): 1430–1441. doi:10.1016/S0161-6420(98)98024-1. PMID 9709754.
  17. ^ Damato B, Duke C, Coupland SE, Hiscott P, Smith PA, Campbell I, Douglas A, Howard P (2007). "Clinical cytogenetics in uveal melanoma: seven years experience". Ophthalmology. 114 (10): 1925–1931. doi:10.1016/j.ophtha.2007.06.012. PMID 17719643.
  18. ^ Damato B, Dopierala JA, Coupland SE (2010). "Genotypic profiling of 452 choroidal melanomas with multiplex ligation-dependent probe amplification". Clinical Cancer Research. 16 (24): 6083–6092. doi:10.1158/1078-0432.CCR-10-2076. PMID 20975103.
  19. ^ Robertson AG, Shih J, Yau C, Gibb EA, Oba J, Mungall KL, Hess JM, Uzunangelov V, Walter V, Danilova L, Lichtenberg TM, Kucherlapati M, Kimes PK, Tang M, Penson A, Babur O, Akbani R, Bristow CA, Hoadley KA, Iype L, Chang MT, Cherniack AD, Benz C, Mills GB, Verhaak RG, Griewank KG, Felau I, Zenklusen JC, Gershenwald JE, Schoenfield L, Lazar AJ, Rahman MH, Roman S, Stern MH, Cebulla CM, Williams MD, Jager MJ, Coupland SE, Esmaeli B, Kandoth C, Woodman SE (2017). "Integrative Analysis Identifies Four Molecular and Clinical Subsets in Uveal Melanoma". Cancer Cell. 33 (1): 204–220. doi:10.1016/j.ccell.2017.12.013. PMID 29316429.
  20. ^ Sacco JJ, Kalirai H, Kenyani J, Figueiredo CR, Coulson JM, Coupland SE (2018). "Recent breakthroughs in metastatic uveal melanoma: a cause for optimism?". Future Oncology. 14 (14): 1335–1338. doi:10.2217/fon-2018-0116. PMID 29741103.
  21. ^ Bailey FP, Clarke K, Kalirai H, Kenyani J, Shahidipour H, Falciani F, Coulson JM, Sacco JJ, Coupland SE, Eyers PA (2018). "Kinome-wide transcriptional profiling of uveal melanoma reveals new vulnerabilities to targeted therapeutics". Pigment Cell and Melanoma Research Oncology. 31 (2): 253–266. doi:10.1111/pcmr.12650. PMID 289723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