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라 다르비

Sarah Darby
세라 다르비

태어난
사라 C. 다비
교육임페리얼 칼리지 런던(BSC)
버밍엄 대학교 (MSC)
런던 위생열대 의과대학(PhD)
과학 경력
필드역학
통계
기관옥스퍼드 대학교
래드클리프 의무실
세인트 토머스 병원 의과대학
국가방사선방호위원회
방사선 효과 연구 재단
논문Bayesian 접근방식 - 평행선 바이오애세이 (1977)
웹사이트www.ndph.ox.ac.uk/team/sarah-darby

사라 C. Darby FRS옥스포드 대학의학 통계학 교수다.[1] 그녀의 연구는 금연, 주거용 라돈으로 인한 폐암의 위험,[2] 초기 유방암 치료의 이로운 효과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3] 그녀는 또한 옥스포드 주 래드클리프 의무실에 있는 누필드 임상 의학부임상시험 서비스 부서(CTSU)와 역학 연구 부서에서 영국연구소의 수석 과학자다.[4][5]

교육

다비는 런던 임페리얼 칼리지에서 수학을, 버밍엄 대학에서 수학 통계학을 공부했다.[6] 그녀는 1977년 런던 위생열대 의과대학에서 박사학위를 이수했고, 그곳에서 그녀의 연구는 생물학적 측정 분석을 위한 베이시안의 접근법을 조사했다.[7]

직업 및 연구

박사과정을 거쳐 히로시마에 있는 세인트토머스 병원 의대, 국립방사선보호위원회, 방사선효과연구재단 등에서 근무하다가 1984년 옥스퍼드대학으로 옮겼다. 그 이후로 그녀의 가장 큰 문제는 영국연구였다.[6]

다비와 그녀의 팀이 방사선의 선량 간에 선형 관계를 우연히 마음에 유방 암 방사선 치료, 북카 렐리아에서 허혈성 심장 질환의 위험 시간에 배달되고,radiation-related 위험의 절대적인 크기 여성의 경우에 심장병의 위험성이 증가 이미에 커를 보여 주었다.[6][8]

그녀와 그녀의 팀은 또한 유방암 환자에 대한 방사선 치료의 편익의 절대적 크기를 추정했고 그들의 연구는 방사선 치료의 가능한 절대적 편익과 개별 환자의 절대적 위험을 비교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6] 따라서 어느 환자가 표준 방사선치료를 받을 수 있는지, 어떤 환자가 첨단 기법을 위해 고려해야 하는지, 그리고 어떤 환자가 방사선치료를 전면적으로 피해야 하는지를 평가하는 것이 이제 가능해지고 있다.[6][9]

다비가 연구한 다른 주제로는 주거용 라돈으로 인한 폐암 위험, 현장에서 덕트암 진단 후 침습성 유방암 위험, 젊은 층의 컴퓨터 단층촬영(CT) 이후 암 발생 위험 등이 있다.[6][10]

수상 및 명예

Darby는 1988년 왕립통계학회에서 동상으로 가이 메달을 수여받았다.[11] 그녀는 2019년에 왕립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다.[6]

참조

  1. ^ "UK Health Protection Agency entry". hpa.org.uk.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6-11-27.
  2. ^ Darby, S. C.; Whitely, E.; Howe, G. R.; Hutchings, S. J.; Kusiak, R. A.; Lubin, J. H.; Morrison, H. I.; Tirmarche, M.; Tomasek, L.; Radford, E. P.; Roscoe, R. J.; Samet, J. M.; Yao, S. X. (1995). "Radon and Cancers Other Than Lung Cancer in Underground Miners: a Collaborative Analysis of 11 Studies". JNCI Journal of the National Cancer Institute. 87 (5): 378–384. doi:10.1093/jnci/87.5.378. ISSN 0027-8874. PMID 7853419.
  3. ^ 사라 다르비는 유럽 퍼브메드 센트럴에서 출판했다.
  4. ^ Darby, Sarah C; Ewart, David W; Giangrande, Paul LF; Spooner, Rosemary JD; Rizza, Charles R; Dusheiko, Geoffrey M; Lee, Christine A; Ludlam, Christopher A; Preston, F Eric (1997). "Mortality from liver cancer and liver disease in haemophilic men and boys in UK given blood products contaminated with hepatitis C". The Lancet. 350 (9089): 1425–1431. doi:10.1016/S0140-6736(97)05413-5. ISSN 0140-6736. PMID 9371165. S2CID 20692603.
  5. ^ Darby, Sarah C.; Kan, Sau Wan; Spooner, Rosemary J.; Giangrande, Paul L. F.; Hill, Frank G. H.; Hay, Charles R. M.; Lee, Christine A.; Ludlam, Christopher A.; Williams, Michael (2007). "Mortality rates, life expectancy, and causes of death in people with hemophilia A or B in the United Kingdom who were not infected with HIV". Blood. 110 (3): 815–825. doi:10.1182/blood-2006-10-050435. ISSN 0006-4971. PMID 17446349.
  6. ^ a b c d e f g Anon (2019). "Sarah Darby". royalsociety.org. London: Royal Societ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9-04-24. 앞의 문장 중 하나 이상에는 royalsociety.org 웹사이트의 텍스트가 포함되어 있다.

    "동료 프로필 페이지에 '생물학'이라는 제목으로 게시된 모든 텍스트는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Royal Society 약관, 조건정책(자료 2016-11-11)

  7. ^ Darby, Sarah C. (1977). A Bayesian Approach to Parallel Line Bioassay. jisc.ac.uk (PhD thesis). London School of Hygiene and Tropical Medicine (University of London). OCLC 1124248683. EThOS uk.bl.ethos.452976.
  8. ^ Darby, Sarah C.; Ewertz, Marianne; McGale, Paul; Bennet, Anna M.; Blom-Goldman, Ulla; Brønnum, Dorthe; Correa, Candace; Cutter, David; Gagliardi, Giovanna; Gigante, Bruna; Jensen, Maj-Britt; Nisbet, Andrew; Peto, Richard; Rahimi, Kazem; Taylor, Carolyn; Hall, Per (2013). "Risk of Ischemic Heart Disease in Women after Radiotherapy for Breast Cancer" (PDF).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68 (11): 987–998. doi:10.1056/NEJMoa1209825. hdl:10616/41712. ISSN 0028-4793. PMID 23484825.
  9. ^ Darby, Sarah C; McGale, Paul; Taylor, Carolyn W; Peto, Richard (2005). "Long-term mortality from heart disease and lung cancer after radiotherapy for early breast cancer: prospective cohort study of about 300 000 women in US SEER cancer registries". The Lancet Oncology. 6 (8): 557–565. doi:10.1016/S1470-2045(05)70251-5. ISSN 1470-2045. PMID 16054566.
  10. ^ Mathews, J. D.; Forsythe, A. V.; Brady, Z.; Butler, M. W.; Goergen, S. K.; Byrnes, G. B.; Giles, G. G.; Wallace, A. B.; Anderson, P. R.; Guiver, T. A.; McGale, P.; Cain, T. M.; Dowty, J. G.; Bickerstaffe, A. C.; Darby, S. C. (2013). "Cancer risk in 680 000 people exposed to computed tomography scans in childhood or adolescence: data linkage study of 11 million Australians". BMJ. 346 (1): f2360. doi:10.1136/bmj.f2360. ISSN 1756-1833. PMC 3660619. PMID 23694687.
  11. ^ 영국 왕립통계학회 동메달, 맥튜터 수학기록보관소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