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피 사리
Sari Hanafi![]() |
사리 하나피는 현재 미국 베이루트 대학의 사회학과 교수로 이슬람학 프로그램 강좌를 맡고 있다.[1]그는 국제 사회학회의 회장이며 또한 아이다파트:[2] 아랍 사회학 저널 (아랍어)의 편집장이기도 하다.[3]2018년에 하나피는 아랍세계에 대한 과학연구의 사회적 영향을 위한 포탈인 "아타르"[4]를 설립했다.
전기
시리아-팔레스타인 하나피는 공학을 공부했고 다마스쿠스 대학(1984년)에서 토목 공학 BS를 받았다.하나피는 이후 사회과학으로 옮겨 1987년 BA를 취득한 같은 대학에서 사회학을 공부했다.그 후 그는 스트라스부르 대학에 다녔고, 필립 브레튼의 감독으로 1989년에 석사학위를 받았다.1994년, 하나피는 마침내 파리의 Ecole des Hautes Etudes en Science Sociales에서 박사학위를 받았고, 거기서 그는 Les ingengénieurs en Syrie: Modernization, Technobureaucratie et identité라는 논문을 썼다.
아랍사회과학협의회(2015~2016년) 이사회 부의장을 지냈다.그는 Ecole des Hautes Etudes en Sciences Societies-Paris (사회과학 고급 연구 학교) (1994년)에서 사회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푸아티에스 대학교와 미그린턴 대학교에서 초빙교수/동료, 폰딩 메종 데스 사이언스 드 l'Homme(프랑스), 볼로냐 대학교와 라벤나(이탈리아) Chr.미켈센 연구소(베르겐노르웨이), 도하 대학원 연구소.하나피는 또한 카이로에 본사를 둔 프랑스 연구 센터인 Centre d'études et des des do documentation économicique et sociale(1994-2000년)의 수석 연구원이었다.그는 종교의 사회학, (강제) 이주의 사회학, 과학 연구의 정치학, 시민사회, 엘리트 형성 및 과도기적 정의에 관한 수많은 저널 기사와 책장의 저자다.그의 최근 저서로는 다음과 같다: 종교와 사회과학의 분열에 대처하는 것:
경력
푸아티에 대학교와 프랑스 미그린턴 대학교, 볼로냐와 라벤나 대학교, 노르웨이 버겐 CMI에서 초빙교수를 역임했다.하나피는 또한 2000년부터 2004년까지 팔레스타인 난민 및 디아스포라 센터(Shaml)[5]의 전 원장을 역임했으며, 1994년부터 2000년까지 카이로에 본부를 둔 프랑스 연구소의 선임 연구인 Centre d'études et des documentation économic juriidique et societye(CEDEJ)의 전 원장을 역임했다.
하나피는학문적연구 외에도 유엔,활동해 왔다 자문위원으로세계은행 등의.
수상
- 2014년 압델하미드 [6]슈만상
- 2015년 쿠웨이트 사회과학상
- 산마르코스 국립대학 명예박사(Honoris Cosa, 2019[7])
연구 주제
하나피는 폭넓은 연구 활동을 펼쳐 왔으며 지식생산, 종교담론, 교육과정, 이주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를 진행했다.이전에 그는 아랍 세계의 난민 캠프에 주로 초점을 맞췄다.그의 현재 전문 분야는 정치사회학, 지식사회학, 종교사회학의 영역을 포괄하고 있다.하나피의 연구 방법론은 주로 자연에서 민족학적으로 참여자 관찰 기법, 질적 인터뷰, 포커스 그룹 등을 포함하지만, 조사나 네트워크 분석과 같은 보다 양적인 측면도 포함한다.그의 구글 스콜라에서의 H-인덱스는 29로 사회학적으로 매우 높게 평가되고 있으며 그의 인용구는 5193 (모든 해 동안)과 3357 (2014년 이후)이다.[8]위와 같이 긴 작품들 외에도 그는 21편의 서평(이 중 5편이 2개 언어로 출판되었다)과 71편의 op-ed와 인터뷰는 주로 지역 신문과 지역 신문에 게재했으며, 아랍어, 영어, 프랑스어로 된 정책 보고서도 게재했다.
아랍 세계의 지식 생산
하나피는 아랍세계 지식생산(Knowledge Production)의 리가스 아르바니티스와 공동저작을 했다.임파서블 약속(2015년).이 책은 지식생산 분야의 세 학자가 알 무스타크발 알 아라비에서 다음과 같은 6개의 리뷰와 출판된 토론을 받았다.Antun Zahlan, Adnan al-Amin, Mustafa al-Teer.[9]이 책은 아랍 세계의 지식 생산 위기는 물론, 지식의 대중적 인식과 정책으로의 번역에 있어서의 문제점을 다루고 있다.이 책의 결과로, 하나피는 사회 문제에 대한 지역적, 지역적 숙고를 활성화하기 위한 시도로 학술적 작품의 아랍어 번역을 장려했다.하나피는 아랍 동양의 학자들이 세계적으로 출판되고 현지에서 소멸하거나, 국지적으로 출판되고 세계적으로 소멸하는 함정에 빠지는 것을 관찰해 이 두 트렌드 사이의 격차를 해소할 필요성을 강조해왔다.
정치 사회학:캠프의 관용성
하나피의 다른 연구 관심사는 정치철학, 정치사회학, 이민의 사회학을 포괄하고 있으며, 팔레스타인 난민과 디아스포라 등과 관련된 다른 문제들을 다루고 있다.이들 분야에서 루이빌 대학의 줄리 피트 교수는 2007년 기고문에서[10] 하나피가 해외 팔레스타인인들을 팔레스타인인 디아스포라로 개념화한 최초의 학자임을 인정했다.그가 캠프를 예외의 공간으로 개념화한 것도 같은 맥락에서 학계와 정책 작업에 폭넓게 인용됐다.또한 하나피는 IFI(Issam Pays Institute for Public Policy and International Affairs)에서 프로그램 '팔레스타인 난민 캠프의 정책과 통치'의 연구 책임자로 활동하며 이러한 공공성과 정책적 측면을 촉진시켰다.그의 임무는 레바논의 난민 캠프에 대한 지배구조 연구의 첫 번째 단계를 추적하는 것이었다.이 연구 프로젝트는 2009-2010년 아랍 동부에 있는 팔레스타인 난민 수용소의 권력, 주권, 우주 사이의 관계를 명확히 하기 위한 것이다.이 연구 프로젝트는 아랍어와 영어로 된 작업 논문을 포함하여 영어, 프랑스어, 아랍어로 된 많은 출판물을 만들었다.[11]하나피는 또 '빈곤도 평가와 레바논에 거주하는 팔레스타인 난민 대상 프로젝트'에 대한 다학제 연구팀에 참여했다.연구팀은 AUB 교수진(사회학자, 영양학자, 공중보건 전문가, 경제학자)으로 구성됐으며 경제학자 자드 샤반 박사가 단장을 맡고 있다.[12]
스파시오사이드의 개념
하나피는 '팔레스타인 영토에서 스파시오-시드(spacio-cide)를 설명하다'[13]라는 글에서 자신이 살아온 경험이 이른바 '스파시오-시드(spacio-cide)'처럼 느껴진다고 선언했다.그는 이스라엘 식민지 당국이 서안을 몇 킬로미터 평방미터의 면적 내에 사람들이 사는 아주 작은 반투스탄으로 변모시킨 제2의 인티파다 시대에 요르단강 서안(팔레스타인 점령지의 일부)에 살았다.그는 밀실 공포증을 느꼈다.이로 인해 그는 (푸코, 아감빈과 같은) 정치철학을 파고들게 되어, 그가 팔레스타인 땅에 포도를 깔고 있는 이스라엘의 일상적인 식민지적 관행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돕고, 팔레스타인 영토를 거의 살 수 없는 곳으로 만들게 된다.여기서부터 그는 스파시오사이드의 개념을 만들어냈다.하나피는 이스라엘의 식민지 프로젝트가 팔레스타인 사람들이 살고 있는 공간을 우선 목표로 하여 팔레스타인 인구의 필연적인 '자발적' 이전을 목적으로 하는 토지를 목표로 한다는 점에서 '스파시오 살인'이라고 주장한다.스파시오-사이드(spacio-cide)는 떠오르는 맥락과 팔레스타인 저항의 행동과 지속적으로 상호작용을 하고 있기 때문에 비록 역동적인 과정이긴 하지만 합리적인 통일성을 지닌 의도적인 이념이다.이 글은 군과 사법, 민간의 서로 다른 측면을 기술하고 질문함으로써, 식민지화 원리, 분리의 원칙, 그리고 군과 군을 중재하는 예외 상태라는 세 가지 원칙을 전개하는 체제를 통해 어떻게 스파시오-킬러 프로젝트의 실현이 가능해지는가를 살펴본다.e 겉보기에 모순되는 두 원칙
사회학적 접근과 현재 연구
하나피의 사회학 접근은 2011년 이후 아랍의 반동으로 촉발된 변화에 크게 영향을 받았다.[14]이러한 반란은 많은 아랍 국가들에서 정치적으로 실패했을지 모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지 혁명을 일으키는 데는 성공했다.프랑스, 레바논, 시리아, 팔레스타인의 사회학 협회는 물론 지역 및 국제 협회의 회원이며, 지식의 생산에 대해 몇 년 동안 연구해 온 하나피는 사회학이 지역적 맥락에 고정되어 있는 한 사회학의 국제화를 믿는다.그리고 동시에 전통/모더니티, 동/서, 보편주의/콘텍스트주의 등 적대적 이항 분류를 경계하면서, 55명의 참가자로 구성된 대규모 국제회의(Socialogologies in Dialogue, 제4차 전국협회협의회 ISA회의)를 조직하여 a(2020)를 공동편집했다.하나피에게 있어서, 인권, 민주주의, 양성평등과 같은 몇몇 사회학적 개념들은 보편성을 주장한다.그러나 그는 어떤 개념이 보편화되기 위한 세 가지 조건을 설정한다: 첫째는 그것은 준 교차 문화적인 합의의 결과여야 하며, 단순히 유로-아메리카 문맥에 내재된 가치의 수출만이 아니라는 것이다.둘째, 텔레그래피적 개념이 아니라 집단적인 역사 학습 과정(일관적으로 개방적인)의 결과로서 그 의미와 규범성을 얻는 역사적 경험이다.셋째, 그것의 보편성은 상상의 개념 외에는 불가능하다; 수출할 모델이 아니라 일반적이고 유연한 개념이다.그가 우리의 근대성, 특히 지식생산성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식민지 이후의 이론이 유용하다는 것을 알게 된 반면, 지금 그의 접근법은 식민지 이후의 연구를 담화로서, 특히 그것이 아랍 지역에 어떻게 투영되어 왔는지를 비판하는 것이다.사회과학과 식민지 이후 연구의 교차점은 문제가 없었던 것은 아니며, 아랍 좌파의 일부 분야, 즉 식민주의를 단일한 시각으로 옹호하는 분야 내에서 증가하고 있는 위기를 반영하고 있다.그는 그러한 담론의 두 가지 특징을 반제국주의자와 반서방주의자의 지나친 방식이라고 강조한다.그는 이러한 식민지 이후의 접근방식은 그가 말하는 소위 반권위주의적 접근방식으로 칭찬받아야 한다고 제안한다.
하나피는 사회학이 우리 근대성의 모든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생태학적 과제를 해결하는 데 따르는 많은 가능한 길이 있지만, 반권위주의적인 접근법으로 식민지 이후의 접근법을 보완하고, 후세제 사회를 이론화하는 두 가지 방향의 글로벌 사회학을 지향한다.많은 기조연설에서 이를 논하는 것을 넘어 ISA 뉴스레터 글로벌 대화상자에 자신의 비전을 14개 언어로 된 짧은 기사(2000단어)[15]로 게재해 국제적으로 폭넓게 논의됐다.그가 받은 모든 논평을 고려하여 좀 더 심층적인 버전이 Current Sociology에 발표되었다.
현재 연구 그는 현재 주로 두 가지 주제를 다루고 있는데 첫째, '과학 연구의 사회적 영향'에 관한 잇삼요금연구소와의 연구를 통해 그 지역에서 사용되는 지식 생산과 지식에 관한 연구의 연속이다.이를 위해 2018년 3월 아랍세계(아타르)[4] 내/내 과학연구의 사회적 영향 포털을 출범시켰다.둘째, 그는 사회과학과 종교지식의 단절, 그리고 그것들이 공존하는 공간을 조사한다.그가 현재 여러 아랍 국가의 종교 담론과 교육과정에 대해 분석한 결과 종교를 포함한 다양한 선거구와 협력해야 할 시급한 필요성이 드러나고 있다.모로코, 요르단, 레바논에서 현장 작업이 진행되었다.그는 곧 그의 저서 "종교와 사회과학 사이의 파열 문제를 다룬다"를 출간할 것이다.아침이 곧 오나?노후드, 2021).
공공사회학
하나피의 공공사회학에 관한 연구는 중심적인 질문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어떻게 사회학이 학술지의 구조를 넘어서 중요할 수 있을까?하나피는 훌륭한 과학자들이 항상 인기 있는 것은 아니라고 생각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지역 사회에 학자들과 대학들의 더 큰 참여와 다양한 지식 정권을 인정하는 옹호자라고 말했다.이런 맥락에서 그는 에츠코위츠와 레이데스도르프의 산관관계의[16] 트리플 헬릭스 개념을 인용하지만 시민사회와의 연계가 실종돼 쿼드 헬릭스에게 자리를 내줬다고 말한다.시민사회는 그를 위해 대학 내에서 생산되는 지식을 활용하고 역사적으로 사회과학이 침투할 수 없었던 종교공간을 비롯한 공공영역에서 지식기반 논쟁을 일으키며 때로는 공공연히 적대시하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이러한 만남은 시민사회를 돕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대중과의 대화에 교수진 연구를 가져다 준다.따라서 그는 이러한 이중 대화와 의미 있는 대화가 이루어지는 상호 관계를 옹호하며, 공공 지식을 강화시킬 뿐만 아니라 연구 작업 자체를 풍부하게 하고 관련 연구 의제를 설정하는 데 도움을 주는 상호 학습을 촉진한다.그의 많은 연구 프로젝트들, 그리고 IFI 프로그램 '팔레스타인 난민 수용소의 정책과 통치'에 그가 참여한 것은 일종의 행동 연구였다.그곳에서 그는 "복합적 얽힘:아랍 세계의 전문적 사회학에서 공공사회학으로 옮겨간다."[17]이러한 사업을 통해 그는 팔레스타인 및 레바논 시민사회, 인기 위원회, 정파 등의 다양한 단체와 협력하여 주로 레바논과 아랍 동부에 있는 팔레스타인 난민 캠프의 지배구조를 개선하였다.또 다른 목적은 다른 형태의 지식 생산과 공공 사회학에 대해 많은 문제를 제기하는 것이었다.그가 설립한 아랍세계 과학연구의 사회적 영향 포탈(Portal for Social Impact for Scientific Research in/In/Athar)은 이런 점에서 중요한 도구였다.그는 팔레스타인 난민으로서 팔레스타인 난민 공동체에 힘을 실어주는 데 적극적이었다.그는 2010년 6월 27일 레바논에서 팔레스타인 시민과 사회경제적 권리를 위한 행진곡의 주요 조직자 중 한 명이었다.이번 행진은 모든 난민 수용소를 비롯해 알슈프 마운틴 등 레바논 지역에서도 5000여명이 참가해 베이루트의 레바논 의회로 향했다.그는 레바논, 점령 팔레스타인 영토, 시리아의 팔레스타인 난민 캠프에서도 자주 강연을 하고, 이들 커뮤니티에 무료 상담을 제공하고, 일부 조직 회의에 참석하여 힘을 실어주는 일에 참여한다.나아가 하나피는 2005년 월례 사회학 카페를 설립하여 레바논과 지역 생활과 관련된 중요한 문제에 대해 학생과 교수, 대중이 비공식적으로 토론할 수 있는 장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하나피의 연구는 네 가지 유형의 연구 활동(전문, 비판, 공공, 정책)에 초점을 맞췄지만, 그는 권위주의적인 정치 엘리트와 일부 종교 당국에 의한 사회 과학의 이중 위임에 의해 일이 난관에 봉착한다고 말한다.이를 설명하기 위해 그는 레바논의 팔레스타인 난민에 대한 민족학 연구(난민 수용소 내 정부성, 나흐르 엘-바레드 수용소 재건, 시민 및 사회경제적 권리)를 수행했다.그 결과는 국제 학술지뿐만 아니라 아랍어와 지역 신문에도 게재되었다.이는 레바논 당국과 팔레스타인 정파를 비난하는 동시에 다양한 측면에서 지역 논쟁을 촉발시켰다.이 연구는 레바논의 여러 지역에서 팔레스타인 난민 권리를 위한 대규모 시위가 뒤따랐다.게다가 그는 레바논의 차별적인 법을 바꾸기 위해 팔레스타인 협상팀에 참여했다.이 연구는 또한 팔레스타인 난민들의 사회 경제적 권리를 간과하는 일부 학자들을 비판했는데, 이것은 반환권을 훼손할 것이라고 주장했다.그 학자들은, 난민 수용소의 정치적 예외라는 명목 하에, 도시적인 예외적인 공간으로서 수용소를 비참하게 유지하는 것을 "귀화"했다.공공사회학과 정책사회학을 실천하는 것은 더 복잡한 형태의 전통적이고 유기적인 공공사회학으로 발전하기 전에 전문적인 연구로 영어와 프랑스어로만 출판하기 시작한 쉬운 기업이 아니다.여기서 그는 팔레스타인 난민과 같은 빈곤층에게조차 비판적 우위를 잃지 않고 어떻게 공공연구를 할 것인가 하는 또 다른 문제에 직면했다.그의 이야기의 교훈은 좋은 과학자들이 항상 인기가 있는 것은 아니다.
메이저 웍스
하나피는 팔레스타인 디아스포라와 난민들의 정치경제사회학, 이민의 사회학, 초국가주의, 과학연구의 정치학, 시민사회와 엘리트 형성, 과도기적 정의에 관한 수많은 저널 기사와 책장의 저자다.
엄선된 도서
- 베이나 알라만 Rijal al-a’mal al falastiniyyin fi al-shatat wa bina al qayan al falastini (Between Two Worlds: Palestinian Businessmen in the Diaspora and the Construction of a Palestinian Entity) (1996) two editions: Cairo, Dar al-Mostaqbal al-arabi, & Ramallah: Muwatin (Palestinian Institute for the Study of Democracy), January (Arabic).
- 라 시리 데 잉게뉴르. 원근법 비교 이집트 (1997) 파리 : 카르탈라.
- 엔트레 듀스 몬드스. Les homme d'affectiniens et la construction de l'entité cairo : CEDEJ.
- 디아스포라 (1998) 예루살렘에 있는 팔레스타인의 비즈니스 디렉토리: 빌라디 (영어, 프랑스어, 아랍어로)
- Hona wa honaq : nahwa tahlil lil ‘alaqa bin al-shatat al-falastini wa al markaz (Here and There: Towards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lestinian Diaspora and the Center) (2001) Ramallah : Muwatin, Jerusalem : Institute of Jerusalem Studies (distribution Beirut : Institute of Palestine Studies)
- (에드). 국경을 넘고, 경계를 옮김: 팔레스타인의 딜레마(2008) 카이로 프레스 소재 미국 대학.
- 아디 오피르와 미할 조반니와 S.하나피 (에드)포함 제외의 힘: 점령당한 팔레스타인 영토에서의 이스라엘 통치 구조 (2009) 뉴욕: Zone Books.이 책은 AUB에서 레바논 정부가 채택한 이스라엘-이스라엘 불매운동이라는 레드라인을 깬 이후 몇 가지 문제를 일으켰다.
- Knudsen과 S.하나피 (에드스)팔레스타인 난민: 레반트의 정체성, 공간, 장소(2010) 루트리지
- 아침이 곧 오나?노후드 센터)
- 아랍 세계의 지식 생산:임파서블 약속.(R과 함께)아르바니트(Arvanitis) (아랍어로 베이루트어:COUSE 및 영어로, Routrege -2016)
- 구호와 작업에서 인간개발로: UNRWA와 60년 후의 팔레스타인 난민. (L Takkenberg, L Hilal과 함께 편집) (Routelge- 2014)
- 포함 제외의 힘:점령당한 팔레스타인 영토에서의 이스라엘 통치 구조 (A로 편집)Ophir & M. Givoni, 2009) (영어 및 아랍어)(NY:Zone Book; Beirut:인과응보), 팔레스타인 세계화된 엘리트들의 출현:기부자, 국제기구 및 지역 NGO(L과 함께)타버, 2005년) (아랍어 및 영어); 푸부아르 등 협회 단스 르 몽데 아라베(S. Bennéfissa, 2002년 편집) (파리:CNRS).
선택된 저널 기사
- Hanafi, Sari (March 2013). "Explaining spacio-cide in Palestinian territory: Colonization, separation, and state of exception". Current Sociology. 61 (2): 190–205. doi:10.1177/0011392112456505. S2CID 145321717.
전문 협회 직위 및 회원 자격
- 2018— (회장) 국제 사회학 협회
- 2017— (회원국, 국제자문회의) 세계 중동학 총회(WOCMES)
- 2017— : (회원) 프랑스 사회학 협회
- 2016— : (기존 회원 및 부통령) 시리아 사회학 협회.
- 2016— : (이사회) 팔레스타인 사회학 및 인류학 협회.
- 2015—2017: (부회장) 아랍사회과학협의회.
- 2014—(부회장) 국제 사회학 협회(ISA)
- 2013— (자문위원)아랍사회과학모니터(ASSM), ACSS
- 2013— (이사회) 아랍 사회 과학 위원회.
- 2011—(국제 컨설팅 편집자 이사회 회원) 국제 사회 및 행동 과학 백과사전.
- 2010-2014: (집행위원)국제사회학협회(ISA)
- 2010년—2012년 : (Comité de suivi 회원) l'Francees du Proche-Oriented(IFPO)
- 2008—2016: (집행국 회원) 아랍 사회학 협회.
- 2005—: (회원) 레바논 사회학 협회
- 1994— : (회원) 국제 사회학 협회.
참조
- ^ "Islamic Studies". www.aub.edu.lb.
- ^ "Idafat Journal".
- ^ "ISA Presidents". International Sociological Association. Retrieved 2012-07-25.
- ^ a b "Atharportal". atharportal.net.
- ^ Brynen, Rex; El-Rifai, Roula (2007). Palestinian Refugees: Challenges of Repatriation and Development. IDRC. p. xiii. ISBN 9781552502310. Retrieved 8 October 2014.
- ^ https://www.shoman.org/en/programs/2/abdul-hameed-shoman-arab-researchers-award/
- ^ "Honorary Doctoral Degree from the National University of San Marcos granted to Professor Sari Hanafi". American University of Beirut Official Website. 2020-01-17. Retrieved 17 January 2021.
- ^ "Sari Hanafi - Profile". Google Scholar.
- ^ زحلان, أنطوان; حنفي, ساري; الأمين, عدنان; بشور, منير; الشريف, حسن. حلقةنقاشية حول كتاب: "البحث العربي ومجتمع المعرفة: رؤيةنقدية جديدة"(*) (PDF). مركز دراسات الوحدة العربية (in Arabic). مركز دراسات الوحدة العربية. Retrieved 21 February 2021.
- ^ Peteet, Julie (November 2007). "Problematizing a Palestinian Diaspora". International Journal of Middle East Studies. 39 (4): 627–646. doi:10.1017/S0020743807071115. JSTOR 30069491. S2CID 153450617. Retrieved 21 February 2021.
- ^ American University of Beirut. "Policy and Governance in Palestinian Refugee Camps" (PDF). AUB Official Website. Retrieved 21 February 2021.
- ^ Chaaban, Jad; Ghattas, Hala; Habib, Rima; Hanafi, Sari; Sahyoun, Nadine; Salti, Nisreen; Seyfert, Karin; Naamani, Nadine. "Socio-Economic Survey of Palestinian Refugees in Lebanon" (PDF). www.unrwa.org. Retrieved 21 February 2021.
- ^ Hanafi, Sari (2012). "Explaining spacio-cide in the Palestinian territory: Colonization, separation, and state of exception". Current Sociology. 61 (2): 190-205. doi:10.1177/0011392112456505. S2CID 145321717.
- ^ Bamyeh, Mohammad; Hanafi, Sari. "Special Issue: Arab Uprisings - 2015". International Sociological Association. Retrieved 1 April 2021.
- ^ http://globaldialogue.isa-sociology.org/global-sociology-toward-new-directions/
- ^ Leydesdorff, Loet; Meyer, Martin (October 2003). "The Triple Helix of university-industry-government relations". Scientometrics. 58 (2): 191-203. doi:10.1023/A:1026276308287. S2CID 14581478.
- ^ Hanafi, Sari (January 7, 2014). "Complex entanglements: Moving from policy to public sociology in the Arab world". Current Sociology. 62 (2): 197-208. doi:10.1177/0011392113514890. S2CID 1440741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