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로피사 트리메니

Scelophysa trimeni
청원숭이벌레
Scelophysa trimeni cropped.jpg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포트놀로스에서 아크토티스 데커렌을 먹고 있는 수컷 S. 트리메니
과학적 분류
왕국:
망울:
등급:
순서:
패밀리:
속:
종:
S. 트리메니
이항식 이름
셀로피사 트리메니
페링게이, 1885년
동의어

흔히 푸른 원숭이 딱정벌레로 알려진 스셀로피사 트리메니는 원숭이 딱정벌레 하위 종인 루텔리나에 속하는 스카라브 딱정벌레일종이다.

그것은 남아프리카, 특히 나마퀄란드 지역에서만 발견된다.다른 원숭이 딱정벌레와 마찬가지로 푸른 원숭이 딱정벌레는 특히 수컷의 강한 뒷다리에 특징적으로 움직일 수 있고 크기가 불분명하다.이 종의 수컷들은 작은 하늘색 비늘로 덮여 있는 반면 암컷의 비늘은 갈색이다.

푸른 원숭이 딱정벌레는 나마퀄란드 지역의 중요한 꽃가루 매개체인데, 특히 메셈브리아 국화와 일부 데이지 종은 주로 먹이를 주고 있다.

분류학

스켈로피사 트리메니스카라베이에과에 속하는 루텔리네 아과의 호플리니 부족스켈로피사 속에 분류된다.1885년 남아공 박물관의 관장을 18년간 지낸 프랑스의 저명한 곤충학자 루이 페링기에 의해 처음 묘사되었다.그는 이 종에 대한 자신의 묘사를 남아프리카 철학자회(현 남아공 왕립학회) 저널에 발표했다.또 다른 유명한 곤충학자 롤랜드 트리멘은 박물관장으로서 그의 앞에 선 페링게이의 동시대의 인물이었으며, 구체적묘사는 트리멘을 기리는 것으로 추정된다.이는 현재 접근이 불가능한 페링게이의 논문의 본문으로 확인될 수도 있다.[1][2]

1895년 체코의 곤충학자 안톤 프란츠 논프리트(Anton Franz Nonfried)는 그가 Scelophysa ornatissima라고 부르는 새로운 종에 대한 묘사를 학술지 '베를리네르 entomologische Zeitschrift(현재의 도이체 엔토몰로지체 지츠크리프트)'에 발표했다.그것은 나중에 S. trimeniS. ornatissima동의어가 된 것과 같은 종으로 결정되었다.[3]

형태학

푸른 원숭이 딱정벌레는 보통 9~11밀리미터(0.35~0.43인치)의 길이와 5밀리미터(0.2인치)의 넓이로 작다.남성과 여성은 전체 신체 사이즈에서 성적인 이형성을 거의 보이지 않는다.아주 작은 비늘이 중간과 뒷다리 쌍을 포함하여, 머리와 앞다리를 제외한 대부분의 몸을 덮고 있다.수컷의 비늘은 하늘색에서 하늘색까지 밝은 울트라마린이며, 아래쪽 비늘은 더 은빛이다.여성 착색제는 전체적으로 시에나 갈색이며, 갈색과 노란색-주황색 비늘이 혼합되어 있으며, 피기듐과 프로피기듐 근처에서 더 어두운 비늘 띠가 발견된다.검은 다리에는 굵고 검은 털이 몇 개 있다.촘촘한 짧은 회색빛부터 은백색의 고운 털까지 흉부와 복부의 여백을 덮고 있다.[2][4]

각 다리의 경골에는 하나의 경골 자극이 있다.타르살 발톱은 이중이고 불평등하며, 한 개의 약하고 가느다란 발톱이 더 크고 강한 발톱에 눌려 있다.뒷다리의 발톱은 특히 크다.수컷의 경우 뒷다리는 암컷보다 더 강하게 발달되어 있으며, 대퇴골, 경골, 타르시를 통해 붓고 튼튼하다.[2][4]

유충의 생김새에 대해서는 거의 기록되어 있지 않다.그들은 보통 대부분의 스카라브 딱정벌레의 유충을 일컫는 통칭인 흰갈비라고 알려져 있다.[4]

생태와 행동

Scelophysa trimeni는 남아프리카의 고유 지역이다.모든 원숭이 딱정벌레 종의 69%가 남아공에서 발견될 수 있고 98%가 고유종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이것은 놀랄 일이 아니다.S. trimeniNamaqualand의 모래와 해안 지역을 각각 선호한다. 예를 들어 KnersvlaktePort Nolloth와 같은.[2][4][5][6]

어른 푸른 원숭이 딱정벌레는 일반적으로 바탕에 점무늬가 있는 어두운 원반과 밝은 꽃잎이 있는 무향화 가운데에 무리를 지어 발견된다.그들은 꽃가루를 먹고, 머리를 디스크에 박고 탐색하며, 때로는 뒷다리의 타르살 발톱을 꽃잎에 걸면서 자신을 지탱한다.꽃가루는 밀도가 높은 세띠에 의해 입안으로 쓸려 들어간다.회합하는 행동 경향은 짝짓기를 위한 것으로, 수컷 딱정벌레는 윤기 있는 원반과 밝은 반점을 휴식 암컷으로 착각하기 때문에 점무늬가 있는 어두운 중심의 꽃을 선호한다고 제안한다.[4][6][7][8][9]

메셈브리아테움속 꽃은 아프리카 데이지종과 일부 헬리오필라과 마찬가지로 S.트리메니의 흔한 숙주들이다.방문했던 많은 종들에게, 원숭이 딱정벌레는 중요한 수분 매개체로서, 일어나는 수분작용의 대부분을 담당한다.[4][6]

유충은 식물의 잔해와 뿌리에 있는 흙에서 먹이를 먹는 것으로 추정된다.[4]

참조

  1. ^ Péringuey, L. (1881). "Xx.—First Contribution to the South-African Coleopterous Fauna". Transactions of the South African Philosophical Society. 3 (2): 74–149. doi:10.1080/21560382.1881.9526176.
  2. ^ a b c d "HOPLINIINÆ (Tribe: HOPLIINI Part 2)". Transactions of the South African Philosophical Society. 12: 806–894. 1901. doi:10.1080/21560382.1901.9525991.
  3. ^ Nonfried, A. F. (1895). "Coleoptera nova exotica". Berliner Entomologische Zeitschrift (in German). 40 (3–4): 281. doi:10.1002/mmnd.18950400302. Retrieved 2012-08-09.
  4. ^ a b c d e f g Picker, Mike; Griffiths, C. L.; Weaving, A. (2004). Field Guide to Insects of South Africa (2004 ed.). Struik. p. 204. ISBN 978-1-77007-061-5.
  5. ^ Colville, Jonathan F. (December 2009). "Understanding the evolutionary radiation of the mega-diverse Monkey Beetle fauna (Scarabaeidae: Hopliini) of South Africa" (PDF). Frontiers of Biogeography. 1 (2): 56–61.
  6. ^ a b c Ahrens, Dirk; Scott, Michelle; Vogler, Alfried P. (2011). "The phylogeny of monkey beetles based on mitochondrial and ribosomal RNA genes (Coleoptera: Scarabaeidae: Hopliini)". Molecular Phylogenetics and Evolution. 60 (3): 408–15. doi:10.1016/j.ympev.2011.04.011. PMID 21571081.
  7. ^ Johnson, SA; Nicolson, SW (2001). "Pollen digestion by flower-feeding Scarabaeidae: Protea beetles (Cetoniini) and monkey beetles (Hopliini)". Journal of Insect Physiology. 47 (7): 725–733. doi:10.1016/S0022-1910(00)00166-9. hdl:11427/6106. PMID 11356419.
  8. ^ Johnson, Steven D.; Midgley, Jeremy J. (2001). "Pollination by Monkey Beetles (Scarabaeidae: Hopliini): Do Color and Dark Centers of Flowers Influence Alighting Behavior?". Environmental Entomology. 30 (5): 861–8. doi:10.1603/0046-225X-30.5.861. S2CID 86774761.
  9. ^ Van Kleunen, M.; Nanni, I.; Donaldson, J. S.; Manning, J. C. (2007). "The Role of Beetle Marks and Flower Colour on Visitation by Monkey Beetles (Hopliini) in the Greater Cape Floral Region, South Africa". Annals of Botany. 100 (7): 1483–9. doi:10.1093/aob/mcm256. PMC 2759239. PMID 17951585.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