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테로케이트

Schistocyte
말초혈액이 혈전혈소판성 자반증 환자에게 번진다. 전형적인 분열세포에 주석을 달았다.

분열세포 또는 정신분열체('분열된'을 위한 그리스식 슈리스토스, '홀로우' 또는 '세포'를 위한 키토스로부터)는 적혈구파편화된 부분이다. 슈리스토모세포는 전형적으로 불규칙한 형태, 들쭉날쭉하며 두 개의 뾰족한 끝이 있다.[1]

혈관 응고혈전성 미세항진증을 포함한 몇몇 미세항진병 질환혈전을 지나 이동하려고 할 때 적혈구를 절단하는 섬유소 가닥을 생성하여 분열구들을 만든다.

분열세포는 용혈성 빈혈 환자에게서 흔히 볼 수 있다. 그것들은 종종 기계적인 인공 심장 판막용혈성 유레믹 증후군, 혈전 혈소판성 자반증의 결과물이다.

혈액 속에 존재하는 과도한 분열세포는 미량 항진성 용혈성 빈혈의 징후가 될 수 있다.

외관

다른 형태의 포이킬로시토스와 비교한 슈리스토모세포.

분열세포는 다른 형태를 취할 수 있는 분열된 적혈구다. 삼각형, 헬멧 모양, 또는 가장자리가 뾰족한 쉼표 모양으로 볼 수 있다. 슈리스토모세포는 중심완화 부위가 없는 마이크로시즘성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보통 기형에는 변화가 없지만 수명은 정상 적혈구(120일)보다 낮다. 이는 비장의 대식세포에 의해 용혈되거나 제거될 수 있는 비정상적인 형태 때문이다.[2]

병리학

분열세포 형성은 정상적인 적혈구의 기계적 파괴(파편성 용혈)의 결과로 발생한다. 혈관에 손상이 생겨 응혈이 생기기 시작할 때 발생한다. 혈관의 피브린 가닥은 응고 형성 과정의 일부로 발생한다. 적혈구는 피브린 가닥에 갇히고 순전히 흐르는 힘 때문에 적혈구가 깨진다. 그 결과로 분열된 세포는 분열세포라고 불린다.[3]

슈리스토세포수

건강한 개인의 정상적인 분열세포 수는 <0.5%>이지만, 통상적인 값은 <0.2%>인 것으로 확인된다. 1% 미만의 분열세포 수는 혈전혈소판성 자반증에서 가장 많이 발견되지만, 이러한 질환에 대해서는 3-10% 범위 내에서 더 자주 발견된다. 분열세포 카운트가 <1% 그러나 정상 값보다 큰 것은 혈관 응고 확산이 암시되지만 절대 진단이 아니다. 치조세포 수의 기준은 말초혈액 얼룩에 대한 현미경 검사다.[4]

조건들

말초혈액 얼룩에 있는 슈리스토모세포는 미량항진성 용혈성 빈혈(MAHA)의 특징이다.[5] MAHA의 원인은 혈관응고, 혈전혈소판성 자반증후군, 용혈성-유전증후군, HELP 증후군, 심장판막 오작동 등을 전파할 수 있다. 대부분의 질환에서 분열세포는 피브린 형성과 적혈구의 끼임으로 인해 혈관의 혈류력에 의해 분열로 이어진다.[6]

전파된 혈관 내 응고

혈관 응고 또는 DIC가 전파되는 것은 패혈증과 심각한 감염, 악성, 산부인과 합병증, 대규모 조직 손상 또는 전신 질환을 포함한 특정 조건에 대한 전신적 반응에 의해 발생한다. 전파된 혈관 내 응고는 응고 폭포의 활성화로, 대개 조직 인자에 대한 노출이 증가하여 발생한다. 캐스케이드가 활성화되면 혈비 형성이 일어나 혈관 내 순환에 과도한 피브린 형성이 축적된다. 과도한 피브린 가닥은 적혈구에 기계적 손상을 입혀 분열세포 형성과 혈소판 형성 및 응고인자 소모를 초래한다. .5퍼센트와 1퍼센트 사이의 슈리스토세포 값은 대개 DIC를 암시한다.[7]

혈전혈소판성 자반증

혈전 혈소판 자반증 또는 TTP는 일차 혈소판 활성화에 의해 발생한다. 혈전 혈소판 자반증은 큰 폰 윌레브란트 인자의 양을 증가시켜 활성 혈소판에 부착하고 추가적인 혈소판 집적을 중재한다. 혈소판은 결국 제거되고 그에 따른 섬유소 가닥 형성이 남아 있다. 이러한 피브린 가닥은 혈류로부터의 스트레스와 함께 적혈구의 분열을 일으켜 분열세포 형성을 유도한다. TTP에서는 3~10% 사이의 분열세포 수가 일반적이지만, >1%는 병을 암시한다.[7]

용혈성유래증후군

용혈성-유전증후군 또는 HUS는 용혈성 빈혈증, 급성 신부전증(유전증), 혈소판감소증이다. HUS는 대장균 유혈설사와 특정 시가독성 변종에 의해 발생한다. HUS의 박테리아는 내피에 손상을 일으켜 혈소판 활성화와 마이크로톰비 형성을 초래한다. 적색 세포는 마이크로롬비의 피브린 가닥에 끼여 분열세포 형성을 유도하는 혈류의 힘에 의해 깎이게 된다.[7]

오작동하는 심장 밸브

누출되는 보철용 심장 밸브와 다른 심장 보조 장치는 미량 항진성 용혈성 빈혈과 혈소판성 빈혈로 이어질 수 있다. 보형물의 고압 구배를 통한 혈류에서 오는 힘은 적혈구의 분열과 분열로 이어지고, 분열세포 형성으로 이어진다. 이것은 드물고 약 3%의 환자에서만 발생한다.[6]

참조

  1. ^ ZINI, G.; d’ONOFRIO, G.; BRIGGS, C.; ERBER, W.; JOU, J. M.; LEE, S. H.; McFADDEN, S.; VIVES-CORRONS, J. L.; YUTAKA, N.; LESESVE, J. F. (2011-11-15). "ICSH recommendations for identification, diagnostic value, and quantitation of schistocytes". International Journal of Laboratory Hematology. Wiley. 34 (2): 107–116. doi:10.1111/j.1751-553x.2011.01380.x. ISSN 1751-5521. PMID 22081912.
  2. ^ Lesesve, Jean-Francois; Fenneteau, Odile; Zini, Gina (2014). "Schistocytes". Transfusion. 54 (6): 1459. doi:10.1111/trf.12523. PMID 24911907.
  3. ^ Bull, Brian; Kuhn, Irvin (1970). "The Production of Schistocytes by Fibrin Strands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tudy)". Blood. 35: 104–111. doi:10.1182/blood.V35.1.104.104. PMID 5412670.
  4. ^ Lesesve, J; Martin, M; Banasiak, C; Andre-Kerneis, E; Bardet, V; Lusina, D; Kharbach, A; Genevieve, F; Lecompte, T (2014). "Schistocytes in disseminated intravscular coagul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Laboratory Hematology. 36 (4): 439–43. doi:10.1111/ijlh.12168. PMID 24261329.
  5. ^ Tefferi, Ayalew; Elliott, Michelle A. (June 2004). "Schistocytes on the Peripheral Blood Smear". Mayo Clinic Proceedings. 79 (6): 809. doi:10.4065/79.6.809. PMID 15182097.
  6. ^ a b Schrier, Stanley. "Extrinsic nonimmune hemolytic anemia due to mechanical damage: Fragmentation hemolysis and hypersplenism". UpToDate.
  7. ^ a b c Suri, Mandeep. "Disseminated Intravascular Coagulation (DIC)". Fastbleep Medical Not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5-03-04. Retrieved 2014-12-08.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