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다일

Second Dáil
제2다일
퍼스트 다일 제3다일
Flag of Ireland.svg
개요
입법기관다일 에이란
관할권아일랜드 공화국
회의장소더블린 맨션 하우스
용어1921년 8월 16일 – 1922년 6월 16일
선거1921년 아일랜드 선거
정부제2대 다일 정부
회원들128 + 52
첸 콤헤를레어인 맥닐
다일 에이어란 / 아일랜드 공화국 대통령에몬 데 발레라 (1921–22)
아서 그리피스 (1922년)
세션
첫 번째1921년 8월 16일 – 1922년 6월 8일

제2다일(이리쉬:안다라다일)은 1921년 8월 16일부터 1922년 6월 8일까지 소집된 다일 에이어란이다.1919년부터 1922년까지 다일 에레안은 자칭 아일랜드 공화국의 혁명 의회였다.제2다일은 1921년 선거에서 선출된 의원들로 구성되었으나, 신페인 의원들만이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다.1922년 1월 7일 64표 대 57표로 앵글로-이리쉬 조약을 비준하여 독립전쟁을 종식시키고 1922년 12월 6일 아일랜드 자유국가를 수립하였다.

1921년 선거

1919년 이후 1918년 총선에서 신 페인에 당선된 사람들은 하원기권하고 다일 에레안을 아일랜드 공화국의 의회로 설립했으며, 회원들은 스스로를 티치타이 다이라 또는 TD라고 불렀다.아일랜드 독립전쟁이 한창이던 1920년 12월, 영국 정부는 아일랜드의 별도 지역에 두 개의 홈 규칙 의회를 설립하여 분할을 제정하는 아일랜드 정부법을 통과시켰다.이 조항들은 신페인이 기권했던 1917년 아일랜드 협약에서 열린 논의에서 비롯됐다.1921년 5월, 북아일랜드의 하원과 남 아일랜드의 하원에 대한 첫 선거단일 양도 가능 투표로 치러졌다.1921년 5월 10일, 다일은 이달 말 두 지역에서 실시될 선거는 "다일 에레안 선거와 관련된다"[1]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남아일랜드 선거에서는 신페인당이 128석 중 124석을 차지했고, 더블린대를 대표하는 4석 중 독립연합당이 승리하는 등 모든 의석이 경쟁하지 않았다.북아일랜드 선거에서는 52석 중 울스터연합당이 40석을 차지했으며 신페인당과 국민당이 각각 6석을 차지했다.북아일랜드의 신페인당이 획득한 6석 중 5석은 남 아일랜드에서도 의석을 획득한 사람들이 차지했기 때문에 제2다일이 만났을 때 신페인 TD가 125석이었다.[n 1]

제2의 다일은 1921년 7월 11일 정오부터 효력을 발휘한 휴전을 위한 1921년 6월 22일 국왕 조지 5세의 제안에 호의적인 반응을 보였다.이것은 수개월에 걸친 조약 체결 절차가 진행되는 동안 거의 모든 전투원들에 의해 유지되었다.휴전협정은 1919년 9월 이후 처음으로 체포의 두려움 없이 다일이 공개적으로 만날 수 있도록 허용했다.

조약

제2차 다일 동안 아일랜드 공화국과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 영국 정부는 평화 협상을 열기로 합의했다.다일 에레안(Priomh Aire, 또는 문자 그대로 제1장관)의 대통령으로서 에에몬 데 발레라는 이 시기에 공화국에서 가장 높은 관료였지만 개념적으로는 정부 수반에 불과했다.1921년 8월, 협상에서의 지위를 강화하기 위해, 다일은 다일 헌법을 개정하여 에게 공화국의 대통령이라는 칭호를 부여했고, 그에 따라 그는 국가원수가 되었다.이 변경의 목적은 영국 공화당의 독트린에게 그 협상은 두 주권 국가들 사이에 영국 왕과 아일랜드 대통령이라는 그들의 국가 원수의 승인을 받은 대표들과 함께 이루어졌다는 것을 상기시키기 위함이었다.

1921년 9월 14일, 다일은 영국 평화 회의의 전권 사절로서 아서 그리피스, 마이클 콜린스, 로버트 바튼, 에이몬 더그건, 조지 가반 더피의 임명을 비준했다.[2]다섯 명의 콜린스 중 유일하게 그리피스와 바톤이 내각의 일원이었다.이들 사절들은 결국 12월 6일 영-이리쉬 조약에 서명했다.휴전협정과 조약 체결 사이에 제2다일은 10일 동안만 앉아 있을 뿐, 그것에 이용 가능한 옵션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논의하지 않았다.조약에 대한 논쟁은 12월 14일에 시작되었고, 1922년 1월 7일까지 13일간 계속되었다.[3]그 날, 다일은 반대 57명에 찬성 64로 조약을 승인했다.[4]조약 논쟁은 신페인이 무엇을 성취하고 성취할 수 있다고 느꼈는지에 대한 최초의 공개 보고된 토론이었다.투표에서, 두 개 이상의 선거구를 대표하는 의원들은 각각 한 번만 투표할 수 있도록 허용되었지만, 이것이 결과를 바꾸지는 않았을 것이다.반 토의 소수민족인 데 발레라의 지도자가 대통령직에서 물러났고, 1월 9일 그의 상대인 아서 그리피스가 60 대 58의 투표로 대통령으로 선출되었다.[5]데 발레라가 다일의 초대 야당 대표가 되는 등 반(反) 투병대원들은 계속 다일의 참석을 했다.

조약에 명시된 비준은 "남아일랜드 하원에 앉도록 선출된 의원들을 위해 소집된 회의"에 의해 이루어졌다.다일 투표는 4명의 노조원이 불참하고 1명의 북아일랜드 회원이 참석했기 때문에 이를 충족시키지 못했다.1922년 1월 14일 노조원들이 참석한 별도의 회의와 반(反)TD들이 불참한 자리에서 필요한 승인이 나왔다.[6]1월 14일 회의에서 콜린스가 이끄는 임시정부도 승인했는데, 콜린스는 그리피스 다일 정부와 평행선을 달렸고, 회원도 중복되었다.이 모임은 남 아일랜드 하원 자체가 아니라 '참석하도록 선출된 의원들'에 불과했다.아일랜드 정부법 1920년 1월 14일 회의는 그리피스에 의해 소집되었고 참석한 회원들은 선서를 하지 않았다.[7]

Supersession 및 공화당 계속

조약의 조건에 따라, 제헌의회아일랜드 자유 국가가 1922년 12월 6일까지 발효될 헌법 초안을 선출할 예정이었다.임시정부의 책임을 묻기 위한 임시국회 역할도 하게 된다.이번 선거는 5월[8] 20일 제2다일의 결의와 5월 27일 임시정부의 선포에 따라 6월 16일에 치러졌다.[9]다일 결의안은 또한 남북전쟁으로 이어지는 조약의 분열을 막기 위한 헛된 시도로 콜린스와 데 발레라가 합의한 조약도 승인했다.[8]그 협약은 "다일과 신페인 조직의 양당 모두를 대표하는 제3의 다일을 위한 국가 연합 패널" 선거 때 체결될 예정이었다.[8]1922년 6월 8일, 제2다일은 "1922년 6월 30일 금요일로 떠났다".[10]이 조약의 협상가들은 제2다일이 6월 30일에 만나 제3다일을 공식적으로 후계자로 지명할 것으로 예상하였다.[11]임시정부 선언문은 1922년 아일랜드 자유국가법(협정)의 '규정에 부합하는' 선거(4월 웨스트민스터의회 통과)와 1922년 7월 1일 임시국회의 첫 회의를 위해 '1922년 7월 1일'을 명명할 것을 요구했다.[9]6월 28일 남북전쟁 적대행위가 발발했다는 것은 6월 30일 회의가 열리지 않았고 7월 1일 회의가 임시정부에서 9월 9일로 거듭 연기됐음을 의미한다.[9]그때쯤 콜린스와 그리피스는 죽었고 다일 정부와 임시 정부는 윌리엄 T에 의해 합병되었다. 코스그레이브9월 9일 회의의 서문은 5월 27일 선언문을 인용했지만 20일 결의안은 인용하지 않았다.[9]12월 6일 헌법과 자유국가가 발효되면서 임시정부는 자유국가의 집행위원회가 되고 임시국회는 자유국가의 오이라크타스(의회)의 하원이 되었다.남북 전쟁은 1923년 5월까지 계속되었다.

남북전쟁 중 데 발레라와 다른 공화당의 이론가들은 제2다일이 계속적인 아일랜드 공화국의 합법적인 의회로서 존속하고 있다고 주장했다.반면에, 웨스트민스터 시스템에서 국회의 총선거 그리고 새로 선출된 회원들의 다음 회의 앞서 간 용해는 새 의회의 시초가 될 것으로 간주된다, 이번 전당 대회 explicitly[n2]은 제1차 Dáil 제2차 Dáil로 전환하는 것이, 은연중에 이 전환 조항 May–Ju에서 합의에 의해 깨졌다.ne 1922.[11][14] 두 경우 모두 TD는 오래된 다일이 해체되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연속성 위반을 경계하고자 했지만, 예상된 선거는 악화되는 보안 상황 때문에 발생하지 않았다.명시적인 권한 이양이 일어나지 않았다는 사실 때문에 공화당은 제2의 다일이 존속하고, 새 제헌의회/임시 의회가 불법이며, 그 이름인 "제3의 다일"은 잘못된 명칭이라고 주장할 수 있었다.[n 3]만약 제3다일이 불법이라면, 자유국가 헌법은 그것에 의해 제정되었고, 자유국가 그 자체였다.이를 근거로 해서, 치료 반대 TD들은 제3의 다일의 자리를 기권했다.계속되는 '제2의 다일'의 상징적인 비밀 회의에는 반(反)TD들이 참석했는데, 이 회의에는 1922년 10월 데 발레라 휘하의 공화정부를 임명한 첫 번째 회의였다.[15]1924년 데 발레라는 1921년 선출된 제2다일 TD들의 줄어드는 숫자를 보충하기 위해 컴하일 디테아치를 결성했고, 신페인 기권론자들은 1922년과 1923년 총선에서 복귀했다.[16]T. Ryle Dwyer는 이것을 제2다일(Dail)을 de jure 권한으로, Comhairle na dTeachtai를 "de jure distactic" 권한으로, 자유주 오이라흐타스를 "사실적" 권한으로 인정하는 것으로 특징지었다.[16]

1925년 IRA 협약은 공화정으로부터 자체 육군평의회에 대한 충성을 철회했다.[15]제2의 다일 TD는 아일랜드 공화국에 충성을 맹세했고, 신 페인은 조약이나 자유 국가 헌법을 암묵적으로 또는 명시적으로 지지한 사람들을 이 선서를 위반하여 자리를 비운 것으로 간주했다.1926년 데 발레라는 신페인보다 더 실용주의적인 반대를 자유주(Free State Dail)에 참여하기 위해 피아나 파일을 설립했고, 이듬해 당은 자유주(Free State Dail)에 들어가 기권을 포기했다.[15]Fianna Fail TD Sean Lemass는 1928년 3월에 그것을 "약간 입헌적인 정당"이라고 묘사했다.[17]데 발레라는 1932년에 정권을 잡았고 1937년에 국민투표에 의해 채택새로운 헌법을 제안하여, 국가의 합법성에 대한 남아있는 의구심을 스스로 만족시켰다.1938년 12월, 제2다일을 마지막 합법적인 다일 집회로 계속 간주하고, 다른 모든 생존 회원들이 충성의 맹세를 함으로써 자격을 박탈당했다는 1921년 선출된 사람들 중 7명이, 선 러셀 휘하의 IRA 육군 평의회와의 회의에 모여, 자신들이 믿고 있는 권한에 대해 서명했다.새로운 다일이 다시 한번 32개 카운티의 모든 아일랜드 사람들에 의해 민주적으로 선출될 수 있을 때까지 다일 에일란 정부는 육군 평의회에 회부되었다.[n 4]이에 따라 IRA 육군평의회는 스스로를 아일랜드 공화국의 합법적인 정부로 인식했다.1969-70년 공식 신페인, 1986년 임시 신페인당은 기권을 포기하고 현대 아일랜드 국가의 정통성을 점진적으로 사실적으로 인정하기 시작했다. 더 작은 공화당의 신페인당은 제2의 다일이 마지막 합법적인 아일랜드 입법부라는 견해를 유지하고 있다.

참고 항목

각주

  1. ^ 2개 선거구에 선출된 5명의 TD는 마이클 콜린스, 에몬 드 발레라, 아서 그리피스, 세안 밀로이, 어인 맥닐이었다.
  2. ^ 1921년 5월 10일, 제1회 다일은 '현월 중에 실시될 의회 선거는 다일 에이란 선거로 간주한다의'신기구가 대통령으로부터 소환되어 명령하는 즉시 현재의 다일은 자동 해산한다'는 결의안을 통과시켰다.[12]이에 따라 지난 8월 새로 복귀한 TD들이 처음 모였을 때 의장은 데 발레라에게 의장을 양보했고, 데 발레라는 "의장이 의장을 떠나는 순간까지 다일이 회기 중"고 말했다.새 다일은 지금 개회중이야."[13]
  3. ^ 그 협약의 결의안은 또한"어디 선거 열리지 않constituencies은 자신들을 현재의 대표로 표시할 계속"[8]드 발레라 제기한는 후보자는 아무 반대 없이 반환되었습니다만이 아니라 유권자 포함한 것과 같은 해석될 수 있지만 또한 북 아일랜드 constituencies 선거전에서기 위해서는 제외 대상이 말했다.그조약의 조항따라서 북아일랜드 TD들이 제3다일의 입국을 거부한다면, 그것은 그 협정을 위반하고 불법성을 증명할 것이다.[14]이 점은 시험해 본 적이 없다.[14]
  4. ^ 7명은 존 제이 오켈리, 조지 노블 플런켓, 윌리엄 스톡리, 메리 맥스위니, 브라이언 오히긴스, 톰 매과이어, 캐탈 무르차다였다.

참조

  1. ^ "Dáil Éireann debate - Tuesday, 10 May 1921 - PRESIDENT'S STATEMENT. - ELECTIONS". Houses of the Oireachta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August 2020. Retrieved 26 January 2019.
  2. ^ "Dáil Éireann debate - Wednesday, 14 Sep 1921". Oireachta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February 2019. Retrieved 1 February 2019.
  3. ^ "Find a debate". Oireachta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September 2020. Retrieved 1 February 2019.
  4. ^ "Debate on Treaty - Dáil Éireann debate". Oireachtas. 7 January 192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February 2019. Retrieved 1 February 2019.
  5. ^ "Election of President - Dáil Éireann debate". Oireachtas. 10 January 192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1 August 2019. Retrieved 1 February 2019.
  6. ^ "President's Statement - Dáil Éireann debate". Oireachtas. 28 February 192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February 2019. Retrieved 1 February 2019.
  7. ^ 1920년 아일랜드 정부법 2015년 9월 23일 웨이백머신, §11(2) 및 §18(2)에 보관됨
  8. ^ a b c d "National Coalition Panel Joint Statement". Dáil Éireann debates. Oireachtas. 20 May 192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October 2018. Retrieved 3 October 2018.
  9. ^ a b c d "Proclamations. - Summoning And Proroguing Of Parliament". Dáil Éireann debates. Oireachtas. 9 September 192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October 2018. Retrieved 3 October 2018.
  10. ^ "Motion Of Censure". Dáil Éireann debate. Oireachtas. 8 June 192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October 2018. Retrieved 3 October 2018.
  11. ^ a b Laffan, Michael (1999). The Resurrection of Ireland: The Sinn Féin Party, 1916–1923.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411. ISBN 9781139426299.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October 2021. Retrieved 3 October 2020.
  12. ^ "President's Statement. - Elections". Dáil Éireann debate. Oireachtas. 10 May 192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August 2020. Retrieved 3 October 2018.
  13. ^ "Prelude". Dáil Éireann debates. Oireachtas. 16 August 192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1 August 2019. Retrieved 3 October 2018.
  14. ^ a b c McCullagh, David (2017). De Valera Volume 1: Rise (1882–1932). Gill & Macmillan Ltd. ISBN 978071715584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October 2021. Retrieved 3 October 2018.
  15. ^ a b c Pyne, Peter (1969). "The Third Sinn Fein Party: 1923-1926; I: Narrative Account". Economic and Social Review. 1 (1): 29–50. hdl:2262/68788. ISSN 0012-998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October 2018. Retrieved 3 October 2018.
  16. ^ a b Dwyer, T. Ryle (1992). De Valera: the man & the myths. Poolbeg. p. 134. ISBN 9781853711800.
  17. ^ McMahon, Sean; O'Donoghue, Jo (2011) [2006]. "Slightly constitutional party, a". In McMahon, Sean; O'Donoghue, Jo (eds.). Archived copy. Brewer's Dictionary of Irish Phrase and Fable. Chambers Harrap. doi:10.1093/acref/9780199916191.001.0001. ISBN 978019991619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October 2018. Retrieved 3 October 2018.{{cite encyclopedia}}: CS1 maint: 타이틀로 보관된 사본(링크)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