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드나 (신상학)

Sedna (mythology)
Black sculpture of woman with fingers removed and a fish tail.
누발리악 알라리악이 조각한 세드나

세드나(이누크티투트: ᓴᓐᓇ Sanna, 이전 세드나 또는 Sidne)는 이누이트 신화에 나오는 바다와 해양동물의 여신으로 바다의 어머니 또는 바다의 여왕으로도 알려져 있다. 창조신화인 세드나의 이야기는 그녀가 어떻게 이누이트 지하세계인 애들리번을 지배하게 되었는지를 묘사하고 있다.

기타 이름

Sedna는 그린란드의 일부 지역에서 Arnakuagsak 또는 Arnaqquassaaq로 알려져 있다. 그녀는 웨스트 그린란드네리비크에서 사수마 아르나("깊이의 어머니") 또는 누리아죽(캐나다 북서령 케우아틴 구역)으로 불린다. 그녀는 때때로 대관식 걸프 지역[1] 출신의 코퍼 이누이트아르납갑파알루크("Big Bad Woman")와 타카나카납스탈루크 또는 타카나알루크(Igloolik)와 같은 다른 이누이트 그룹의 다른 이름으로 알려져 있다. 라브라도주 킬리니크에서는 "바다에서 사는 늙은 여자"로 일컬어졌다.[2]

신화

Sculpture of woman with fish tail, holding out her pigtails in both hands.
핀란드 국립 박물관에서 열린 세드나 조각상.

Sedna 전설의 두 가지 이상의 버전이 존재한다. 어떤 전설은 그녀를 이사라타잇소크라는 여신의 딸로 두고 있는 반면, 다른 전설은 그녀의 아버지만을 언급한다.[3]

한 전설에서 세드나는 크리에이터 신 앙구타의 딸인 거인으로 부모님을 공격하게 만드는 큰 굶주림을 가지고 있다. 화가 난 앙구타는 그녀를 바다로 데리고 나가 그의 카약 옆구리에 던져 버린다. 그녀가 옆구리에 매달릴 때, 그는 그녀의 손가락을 잘라내고 그녀는 지하세계로 가라앉아 깊은 곳의 괴물들의 지배자가 된다. 그녀의 거대한 손가락은 이누이트족이 사냥하는 바다표범, 바다코끼리, 그리고 고래가 된다.[4]

전설의 또 다른 버전에서, 그녀는 그녀의 아버지가 그녀를 위해 찾은 남자들에게 불만족스러워하고 그래서 개와 결혼한다. 그녀의 아버지는 이것에 화가 나서 그녀를 바다에 던지고, 그녀가 다시 배에 오르려 할 때 그녀의 손가락을 베어버린다. 그녀의 손가락은 최초의 물개가 되고 그녀는 강력한 바다여신이 된다.[2] 그녀가 화가 나면, 무당은 그녀를 위해 머리를 감고 빗기 위해 여행을 하고, 그 후 그녀는 달래지고 사냥꾼들에게 동물들을 풀어준다.[5] 다른 버전에서는, 그녀는 손가락이 부족해서 머리를 빗지 못하기 때문에, 무당이 그녀를 위해 머리를 빗어야 한다.[6]

넷실리크 지역에서는 눌리아유가 학대받는 고아였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어느 날 사람들은 그녀의 손끝을 잘라 그녀를 익사시키려고 시도함으로써 그녀를 제거하려고 했다. 하지만 손끝은 바다표범과 해마들로 [7]변했어 결국 눌리아육은 스컬핀과 결혼하여 바다에서 모든 바다 포유류를 지배하며 산다.

이 전설의 다른 버전들은 Sedna를 그녀의 마을의 사냥꾼들로부터의 결혼 제안을 거절하는 아름다운 처녀로 묘사한다. 무명의 사냥꾼이 나타나면, Sedna의 아버지는 그녀를 물고기의 대가로 아내로 주겠다고 동의한다. 세드나의 아버지는 세드나에게 수면제를 주고 절벽 위의 큰 둥지로 데려가는 사냥꾼에게 그녀를 주는데, 그의 진짜 형태는 위대한 새정신(까마귀, 풀마 또는 콕사우트/애완정령으로 다양하게 묘사된다)이다. 그녀는 새에 둘러싸여 일어난다. 그녀의 아버지는 그녀를 구하려 하지만, 새의 영혼은 화가 나서 큰 폭풍을 일으킨다. 자포자기한 심정으로 세드나의 아버지는 그녀를 격노하는 바다에 던진다. 카약에 매달리려다 손이 얼고 손가락이 떨어져 바다의 생명체가 된다. 그녀는 바다 밑바닥으로 떨어져 물고기 꼬리를 기른다.

Sedna는 다른 버전의 새에게 납치되거나 속는다. 그리고 나서 그녀의 아버지는 그녀가 조류 생물이 없는 동안 감금되어 있는 떠다니는 얼음 섬에서 그녀를 구하기 위해 카약을 타고 떠난다. 그녀의 실종에 분노한 그 생물은 바다의 영혼을 불러 그를 돕는다. 바다 정령은 두 사람이 타고 있는 카약을 위치시키고 거대한 파도를 일으켜 그들을 죽인다. 그녀의 아버지는 이것이 성난 신을 달래줄 것이라는 희망으로 세드나를 배 밖으로 내던진다. Sedna는 카약에 매달리지만 그녀의 아버지는 그녀의 머리를 치기 전에 작은 도끼를 잡고 그녀의 손가락 세 개를 잘라낸다. 이 세 손가락은 각각 다른 종류의 물개가 된다. 세드나는 머리에 뇌졸중을 일으키며 자신이 살고 있는 해저로 내려가 바다의 동물들을 지휘한다.[8]

배핀 섬의 전통에서, 세드나는 폭풍우가 시작되었을 때 그녀의 가족과 카약을 타고 있었다. 그녀의 부모는 폭풍의 탓이라고 생각하고 그녀를 바다에 던져 버렸다. 그녀는 카약에 매달렸지만, 그녀의 아버지는 손가락을 잘랐다: 처음에는 팁, 다음에는 두 번째 너클, 그리고 마지막 너클. 그녀의 분리된 손가락이 바다 생물체로 변했다. Sedna는 동물들을 통제할 수 있게 되었다. 만약 인간이 그녀를 화나게 했다면, 그녀는 동물들이 사냥터에 오는 것을 막을 수 있었고, 그래서 기근을 야기시켰다.[9]

다양한 전설은 각각 세드나의 죽음에 대해 다른 합리성을 준다. 하지만, 각각의 버전에서, 그녀의 아버지는 그녀의 손가락을 잘라내면서 카약을 타고 바다로 그녀를 데려간다.[10] 각각의 버전에서 그녀는 먹이를 공급하기 위해 그녀의 호의에 의존하는 사냥꾼들의 예배를 받으며 바다 밑바닥으로 가라앉는다. 그녀는 일반적으로 복수심에 불타는 여신으로 여겨지고 있으며, 사냥꾼들은 사냥을 위해 바다 속 깊은 곳에서 바다 동물들을 풀어주기 위해 그녀에게 달래고 기도해야 한다.[11] 킬리니크에서는 사람들이 낡은 작살머리, 부러진 칼, 고기와 뼈 조각들을 제물로 바다에 던졌다.[2]

천문학에서

90377 세드나는 2003년 11월 14일 마이클 브라운(칼텍),[12] 채드 트루히요(제미니 천문대), 데이비드 라비노위츠(예일대)가 발견한 넵투니아 횡단 물체다.

참조

  1. ^ 리처드 G 콘돈, 줄리아 오기나와 홀만 엘더스, 북방 구리 이누이트(The Northern Copper Inuit) ISBN0-8020-0849-6)
  2. ^ a b c Jarvis, Dale Gilbert (2018). "Exploring the Legend of Sedna". Inside Labrador. Summer: 44–50.
  3. ^ Falkner, David E. (2020). "9". In Hubbell, Gerald R. (ed.). The Mythology of the Night Sky. Springer. p. 184. ISBN 978-3-030-47693-9.
  4. ^ Wardle, H. Newell (1900). "The Sedna Cycle: A Study in Myth Evolution". American Anthropologist. American Anthropological Association. 2 (3): 568–580.
  5. ^ Prokop, Carol Ann (1990). "Written in stone : a comparative analysis of Sedna and the Moon Spirit as depicted in contemporary Inuit sculpture and graphics".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p. 42. doi:10.14288/1.0098161.
  6. ^ Jarich Oosten; Frédéric Laugrand (2009). "Representing the "Sea Woman"". Religion and the Arts. 13: 480–481.
  7. ^ Prokop, Carol Ann (1990). "Written in stone : a comparative analysis of Sedna and the Moon Spirit as depicted in contemporary Inuit sculpture and graphics".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p. 46. doi:10.14288/1.0098161.
  8. ^ Prokop, Carol Ann (1990). "Written in stone : a comparative analysis of Sedna and the Moon Spirit as depicted in contemporary Inuit sculpture and graphics".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p. 45. doi:10.14288/1.0098161.
  9. ^ McMahon-Coleman, Kimberley (2006). "Dreaming an Identity between Two Cultures: The Works of Alootook Ipellie". Kunapipi. 28 (1): 108–125.
  10. ^ 오스본, 페이지 217
  11. ^ 츠차나, 22페이지
  12. ^ 켄 하퍼, 타이수마니: 역사/2004년 3월 15일 – Nunatsiaq 뉴스, 우주에서의 세드나

원천

  • 오스본, 메리 제인 여신의 로마자화. 일리노이 대학 출판부. 1998. ISBN 0-252-06655-3
  • 챠나, 카트리네. 변화하는 여성과 그녀의 자매들: 세계의 여신들에 대한 이야기. 2006년 홀리데이 하우스. ISBN 978-0-8234-1999-9
  • 모스, 존 조지. 메아리치는 침묵: 북극에 관한 에세이. 오타와 대학 출판부. 1997. ISBN 0-7766-0441-4
  • 앤드류스, 탐라 자연 신화 사전.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2000. ISBN 0-19-51367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