싼하자

Sanhaja
베르베르어를 사용하는 집단(베르베르 산하자, 제나탄 모자비테스 및 시위스 포함)의 분포

싼하자(베르어: Annag, pl. 아이나겐, 그리고 아나지, pl. Iẓnajen; Arabic: صنهاجة‎, Ṣanhaja or زناگة Znaga) were once one of the largest Berber tribal confederations, along with the Zanata and Masmuda confederations.[1] 알제리, 모리타니아, 모로코, 튀니지, 세네갈, 그리고 서부 사하라의 많은 부족들이 이 민족 이름을 지니고 있으며, 특히 베르베르 형식으로 여전히 이 민족 이름을 지니고 있다. 그 밖에 제나가, 즈나가, 산하자, 산하자, 산하자, 센하자가 있다.

역사

마라케치에서 열린 전국민속축제에 참가한 서부 사하라의 산하자 무용단

이슬람 종교가 도래한 후, 싼하자는 세네갈 강과 니제르 강까지 수단 국경까지 퍼져나갔다.[1]

사냐 베르베르스는 베르베르 인구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다. 9세기부터는 중부 아틀라스 산맥, 리프 산맥, 모로코의 대서양 연안, 쿠타마 등 산하자의 많은 부분이 알제리(카빌리아, 세티프, 알제리, 음실라)와 니제르 북부에도 산하자 부족이 정착되었다. 쿠타마는 북아프리카의 모든 나라와 중동의 일부를 정복하는 파티미드족의 제국을 창조했다.[2][3] 지르드족과 함마족의 싼하자 왕조는 12세기까지 이프리치야를 지배하고 마그레브 지역의 모든 나라에서 그들의 통치를 확립했다.

지르드족이 통치하는 동안 점령한 영토
파티미드의 기원과 정복

11세기 중반, 하지(순례지, 메카)에서 돌아온 싼하자 족장들이 신학자 이븐 야신을 초대하여 그들의 부족들 사이에서 설교하였다. 이븐 야신은 11세기 중반 알모라비드족의 연합으로 부족을 통합하였다. 이 연맹은 이후 모로코를 건국하고, 서부 알제리와 알안달루스(현재의 스페인의 일부)를 정복했다.[4]

알모라비드 왕국의 최대 범위, c. 1120

제나타 부족이나 싼하자 부족은 착취당한 반시세대의 농부와 어부들(제나가 부족이나 즈나가 부족)으로서, 또는 사회적 지위에 있는 사람들로서, 종교적인 (마 대략 또는 자위야) 부족으로서 역할을 계속하게 될 것이다. 비록 종종 Arabized 문화와 언어에, 그들은 Zenata 또는 Sanhaja는 베르베르족 인구는 지역에서 현재로부터 아랍 Maqil 각 지파의 그것은 결국Arab-descended 전사 계급이 17세기 Char'부바'전쟁에서 지배에 시달렸다 12세기 초에 도착하기 전에 후손이라고 믿고 있다.[5][ 믿을 수 없는 공급원인가?][ 죽은 링크]

According to Mercer, the words Zenaga or Znaga (from the Berber root ẓnag or ẓnaj, giving the noun Aẓnag or Aẓnaj with the additional masculine singular prefix a-, or Taẓnagt or Taẓnajt with the additional feminine singular circumfix ta--t, or Iẓnagen or Iẓnajen with the additional masculine plural circumfix i--en, or Tiẓnagen or Tiẓnajen with the 추가적인 여성 다원형 포경술 ti-en)은 아랍어로부터 제나타와 사냐자를 로마자로 왜곡한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

산하자 데 스레이르 부족과 리프에 있는 각각의 영토 지도

산하자의 후손들과 그들의 언어는 오늘날에도 미들 아틀라스 산맥, 동부 모로코, 북부 모로코(리프), 서부 알제리, 카빌리아, 카빌레 영토에서 발견된다.

제나가족은 구달라(최남단의 싼하자 부족) 출신으로 추정되는 집단으로 모리타니아 남서부와 세네갈 북부 일부 지역에 서식한다. 하지만 그들은 적은 인구다.[6]

참고 항목

참조

  1. ^ Jump up to: a b Nelson, Harold D. (1985). Morocco, a country study. Area handbook series. Washington, D.C.: The American University. p. 14.
  2. ^ 고대부터 21세기까지 아프리카의 외교정책과 외교, 제1권: 페이지 92
  3. ^ J. D.의 아프리카 역사 지도책 페이지: 페이지 11
  4. ^ 넬슨 15-16
  5. ^ http://lcweb2.loc.gov/cgi-bin/query/r?frd/cstdy:@field(DOCID+mr0052)
  6. ^ 의회도서관 "산하자 부족"

추가 읽기

  • 존 헌윅(edd), 서아프리카, 이슬람, 아랍세계: 바질 데이비드슨 페이퍼백을 기리는 연구
  • 존 머서(1976), 스페인 사하라, 조지 앨런 & 언윈 주식회사(ISBN 0-04-966013-6)
  • 앤서니 G. 파자니타(2006) 서부 사하라 역사사전 허수아비 프레스
  • 버지니아 톰슨과 리처드 애들로프(1980), 서부 사하라인. 분쟁의 배경, 반즈 & 노블 북스 (ISBN 0-389-2014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