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피아 라티마누스

Sepia latimanus
브로드클럽 오징어
Broadclub cuttlefish sipadan.jpg
말레이시아 시파단에서 온 라티마누스
과학적 분류 edit
킹덤: 애니멀리아
망울: 몰루스카
클래스: 두족류
순서: 세피아목
패밀리: 세피과
속: 세피아
하위 게놈: 세피아
종:
S. 라티마누스
이항식 이름
세피아 라티마누스
동의어
  • 세피아 라피아나
    페루삭, 1835년
  • 세피아 모잠비차
    로슈브루네, 1884년
  • 세피아 헤라클레스
    필스브리, 1894년
  • 곰곰이세피아에클로가리아
    이레데일, 1926년
  • 세피아 해머리
    롭슨, 1928년

브로드클럽 오징어라고도 불리는 세피아 라티마누스안다만 해에서 동쪽으로 피지까지, 남쪽으로 호주 북부까지 널리 분포하고 있다.산호초에서 가장 흔한 오징어 종으로 수심 30m까지 서식한다.[3]

설명

브로드클럽 오징어는 세피아 아파마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오징어 종으로 맨틀 길이 50cm(20인치), 무게 10kg(22파운드)까지 자란다.[4]많은 두족류 동물들처럼, 이 넓은 클럽은 다양한 색깔과 질감을 보여준다.보통 그것들은 옅은 갈색이나 노란색으로 얼룩덜룩한 흰색 얼룩무늬가 있다.수컷은 때로 짙은 갈색을 띠며, 특히 구애와 교미 중에 특히 그렇다.팔에는 세로 방향의 흰색 띠가 있는데, 이는 확장되었을 때 넓은 흰색 반점으로 나타난다.어떤 팔은 머리까지 확장되는 세로 갈색 띠를 가지고 있다.등나무 맨틀은 때때로 작은 흰색과 갈색 반점이 있는 안장 마크를 가지고 볼 수 있다.등줄 맨틀은 또한 갈색의 가로 띠가 좁고, 굵고, 흰색이며, 가로 줄무늬와 반점이 있다.눈은 복측 여백 주위로 노랗고 지느러미는 흰색의 가로 줄무늬가 맨틀 위로 뻗어 있고 바깥 여백 주위로 좁고 흰 띠가 있다.

분배

세피아 라티마누스인도-태평양 지역에서 남부 아시아를 통한 대륙 해안선에 이어 서부 아프리카 동부 해안에서 일본 남부까지, 호주 북부, 산호해까지 광범위한 분포가 있다.남부 오스트레일리아와 마다가스카르의 기록은 오식일 가능성이 가장 높다.[1]

해비타트와 생물학

세피아 라티마누스는 산호초에서 발생하며 30m 깊이의 얕은 물에서 발견된다.서태평양에서는 1월부터 5월까지 앞바다와 오키나와 앞바다에 있는 샬로우에서 그 결과 알이 38~40일 만에 부화한다.그것은 일련의 리듬감 있는 색 띠로 구성된 표시장치를 사용하여 먹이를 매혹시키는 것으로 보이는 야행성 종이다.물고기와 갑각류를[4] 잡아먹으며 팔라에몽새우새우를 잡아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번식하는 수컷은 영역이며 산호 머리를 방어하는데, 전형적으로 포라이츠, 암컷은 수컷의 영역에서 짝짓기를 한 후에 알을 낳는다.그들의 구애는 매우 의식적이고 정형화되어 있으며, 그들의 사냥 행위와 마찬가지로 눈에 띄는 시각적 표시를 포함한다.수컷은 암컷을 다른 수컷으로부터 보호하면서 자주 암컷을 보호한다.수컷과 암컷이 머리를 맞대고 짝짓기를 하고, 수컷은 아래 암컷의 부칼막정조자를 입가에 놓는다.알을 낳고 난 후, 암컷이 알을 낳은 산호에서 알을 떼어내기가 매우 어렵다.새끼 오징어는 부화 후 맹그로브 잎을 흉내 내는 산호와 연관 산호 돌무더기 사이에 숨어들기 시작하며, 잎 구조를 줄기, 갈비, 검은 반점이 흩뿌려지는 모습을 흉내내는 색감과 자세.[4]

이름 지정 및 분류법

세피아 라티무스유형 표본뉴기니에서 수집되어 파리국립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6]이 종은 지리적 범위가 넓고 단일 종보다는 종 복합체를 대표할 가능성이 높지만 종 한계에 대한 평가를 위해서는 더 많은 분류학적 작업이 필요하다.[1]

세피아 라티마누스 색깔 변화.이 사진들은 단지 몇 초 간격으로 찍혔다.

참고 항목

참조

  1. ^ a b c Barratt, I.; Allcock, L. (2012). "Sepia latimanus".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2: e.T162505A904969. doi:10.2305/IUCN.UK.2012-1.RLTS.T162505A904969.en. Retrieved 20 November 2021.
  2. ^ Julian Finn (2016). "Sepia latimanus Quoy & Gaimard, 1832". World Register of Marine Species. Flanders Marine Institute. Retrieved 19 February 2018.
  3. ^ 노먼, M.D. 2000세팔로포드: 세계 가이드.콘치북스.
  4. ^ a b c 리드, A, P. 제렙 & C.F.E. Roper 2005.패밀리 세피과P. Jereb & C.F.E. Roper, Eds.세계의 두족류. 현재까지 알려진 종의 주석과 삽화가 있는 카탈로그. 제1권. 참돔과 세피오이드(Nautilae, Sepiae, Sepiolae, Sepiadariae, Idiosepiae, Spirulliae)가 있다.FAO 어업용 종 목록.제4권 제1권 로마, FAO 페이지 57–152.
  5. ^ 볼레츠키 S.V. & R.T. Hanlon. 1983.Cephalopod Molluss의 실험실 유지관리, 사육 및 배양에 대한 연구국립 빅토리아 박물관 회고록:1981년 3월 9-13일 호주 멜버른 세팔로포드의 생물학과 자원 잠재력에 관한 워크숍 진행, Roper, Clyde F.E., C.C. Lu &F.G.호치버그, 44장 147-187호
  6. ^ 최근 두팔로포다류 분류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