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학습
Service-learning![]() | 이 기사에는 여러 문제가 있습니다. 이를 개선하거나 토크 페이지에서 이러한 문제에 대해 논의할 수 있도록 도와주십시오. (이러한 템플릿 메시지를 제거하는 방법 및 시기 알아보기)
|

서비스 학습은 사회적 요구를 충족시키면서 실용적이고 진보적인 학습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학습 목표와 지역 사회 서비스를 결합하는 교육 접근 방식입니다.
서비스 학습은 지역사회의 긍정적인 변화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존재하는 지역 기관을 위해 교실 학습을 적용하기 위한 서비스 프로젝트에 학생(k-12, 고등교육)이 참여합니다.[1] 국가청소년지도자협의회는 봉사학습을 "학습목표 및/또는 내용기준을 충족시키기 위한 수업전략으로 사용되는 지역사회 발전을 위한 철학, 교육학, 모델"로 정의하고 있습니다.[2]
저자 Barbara Jacoby는 서비스 학습을 "학생들이 원하는 학습 결과를 얻기 위해 설계된 구조화된 성찰 기회와 함께 인간과 지역 사회의 요구를 해결하는 활동에 참여하는 경험적 교육의 한 형태"라고 정의합니다.[3]
서비스 학습은 체험 학습과 지역 사회 봉사를 결합합니다.[4]
유형학
로버트 시그몬(Robert Sigmon, 1994)이 정의한 바와 같이:
- 서비스 학습: 학습 목표는 기본이고 서비스 결과는 보조입니다.
- 서비스-학습: 서비스 결과는 기본적이고 학습 목표는 보조적입니다.
- 서비스 학습: 서비스와 학습 목표는 완전히 별개입니다.
- 서비스-학습: 서비스와 학습 목표는 동등한 비중을 가지며 모든 참가자들에게 서로를 향상시킵니다.
예
Robert Sigmon이 정의한 서비스 학습은 "학습 목표와 서비스 결과 사이에 균형이 있을 때 발생합니다."[5]: 72 다음과 같이 이 범주에 속하는 다양한 실습 학습 방법이 있습니다.
- 자원봉사: 자원봉사는 보상에 대한 기대 없이 자유 의지로 수행되는 봉사 행위이며 본질적으로 일반적으로 이타적입니다. (적어도 눈에 보이는 의미에서) 주요 수혜자는 일반적으로 학생에 의해 봉사되는 사람들입니다.
- 커뮤니티 서비스: 지역사회 봉사는 자원봉사와 상당히 유사하며, 주요 차이점은 "자원봉사 프로그램보다 더 많은 구조와 학생들의 헌신을 포함한다"는 것입니다.[5]: 74
- 인턴십: 인턴십은 학생들에게 다양한 분야의 일에 대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지만, 자원봉사나 지역사회 봉사와는 달리 학생들은 봉사 학습의 이러한 측면으로부터 더 측정 가능한 혜택을 얻습니다.
- 현장 교육: 인턴십과 같은 현장 교육은 일반적으로 학생에게 실질적으로 더 유익합니다. 현장 교육은 "학생들에게 공식 학업과 관련이 있지만 완전히 통합되지 않은 공동 ‐ 커리큘럼 서비스 기회를 제공하는" 프로그램을 포함합니다.
서비스 학습의 주요 목적은 서비스 제공자와 수신자 모두에게 상호 이익을 제공하는 동시에 제공되는 서비스와 획득한 학습에 동등한 중요성을 부여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교육적 접근은 자원봉사, 지역사회봉사, 인턴십, 현장교육 등 다양한 형태를 통해 봉사학습의 핵심가치를 구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각각의 경험은 학생과 봉사하는 지역 사회에 동등한 혜택을 주도록 설계되었으며, 이들 간의 구별은 주로 실현된 혜택의 유형성에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들은 또한 그 학생이 봉사할 뿐만 아니라 그것이 대인관계 기술이든, 미래의 분야에서의 업무 경험이든,[5] 또는 그들이 자신과 다른 사람들을 보는 관점의 변화이든 무엇인가를 배우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습니다.[6]: 25 서비스 학습은 또한 사회에 이익을 주는 지식 창출 기업보다는 사회 계층화의 문지기 및 재설정자로서 더 기능하기 위해 고등 교육에 대한 비판을 다룹니다. 봉사 학습을 통해 학생들은 지역 사회와 협력하여 평화와 사회 개선을 촉진할 수 있는 공공 참여 장학금([7]PES)을 받을 수 있습니다. 학생과 공동체의 상호성의 가치는 위계적이지 않은 관계를 통해 우선시되며, 그들은 협력적입니다.[8]
역사
서비스-학습을 위한 파트너십 구축에서 바바라 자코비는 서비스-학습이 "우리가 행동과 성찰의 조합을 통해 배운다고 믿는 존 듀이, 장 피아제, 커트 르윈, 도널드 숑, 데이비드 콜브를 포함한 학습에 대한 연구자와 이론가들의 작업에 기초한다"고 썼습니다.[9]
서비스 학습 프로그램은 지난 30년 이내에 빠르게 발전했습니다. 1995년부터 1997년까지 458개 대학이 LASHE(National Service's Learn and Serve Higher Education)로부터 보조금을 받았습니다. 이를 통해 과정당 평균 60명 이상의 학생에게 혜택을 주는 3,000개의 새로운 서비스 학습 과정을 개발할 수 있었습니다.[6]
1979년 로버트 시그몬(Robert Sigmon)은 비교적 새로운 용어가 여러 가지 다양한 자원 봉사 활동과 체험 교육 프로그램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10] 1960년대 후반, Sigmon은 남부 지역 교육 위원회(SREB)가 서비스-학습을 "공공 과제의 성취와 의식적인 교육 성장의 통합"으로 정의하는 서비스-학습 인턴십 모델을 대중화했다고 썼습니다.[10]: 9
미국 교육에서
1992년 메릴랜드 주는 고등학교 졸업을 위해 주 전체의 서비스 학습 요구 사항을 채택했습니다.[11] 같은 해 컬럼비아 특별구에서도 그러한 요구 사항을 채택했습니다.[12]
다른 많은 주에서는 서비스-학습/사회 봉사를 위해 졸업 학점을 허용하고 있습니다.[13]
방법들
- 대인 관계 학습: 학생들은 서비스 학습 프로젝트에 열정적인 관심을 전달함으로써 개인적 가치와 동기를 재 evaluate하고 지역 사회에 대한 연결과 헌신을 다집니다.
- 실용적인 적용과 반성적인 지도: 학술 자료는 교실 밖에서 연습하고 시험을 볼 수 있습니다.[citation needed]
- 인지 발달: 서비스 학습은 복잡한 상황에서 수많은 문제를 다루기 때문에 학생들은 학생 평가에 추가적인 정보와 경험을 제공하는 맥락에서 비판적 사고와 문제 해결 기술을 사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습니다.[citation needed]
- 변신: 학생들 안에서 "새로운 방식으로 생각하고 새로운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 즉 기존의 선에 의존하지 않고 새로운 그림을 만드는 것"입니다.[citation needed]
- 효과적인 시민권과 행동 문제: 학생들이 자신의 공동체와 관련된 사회적 문제를 더 잘 이해하도록 돕습니다.[citation needed]
영향
- 개인 연결: 어떤 사람이 특정 주제나 원인에 대해 열정을 가질 때, 그 부분에 대한 도움을 개선하려고 노력함으로써 변화를 만들고 싶어할 가능성이 높습니다.[6]: 14–15 평생 학습자는 자신의 열정과 개인적으로 연결된 학생들로부터 발전합니다.
- 서비스 학습의 유용성: Eyler에 따르면 학생은 평생 동안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6]: 15–16
- 학습의 발전: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지식의 상당 부분은 스스로 소비하는 것이 아니라 교실에서 얻은 훈련과 일상생활에서 얻은 것입니다. 봉사 중에 달성된 모든 사고나 적극적인 발전은 학생과 학생의 주변 환경에 더 큰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습니다.[6]: 16–17
- 봉사학습의 변혁적 측면: 봉사에 참여한 학생들은 삶에 대한 다양한 사고방식과 접근방식을 개발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학생들의 사고 틀에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공동체를 변화시키는 서비스 학습 과정이 될 수 있습니다.[citation needed]
- 우리 지역사회에서 시민권 찾기: 학생들이 지역 사회에 봉사하고 영향을 미치는 동안 사회에서 자신의 역할을 찾을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학생들은 변화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으며, 이는 시민의식과 지역사회에 대한 적극적인 참여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citation needed]
요인들
서비스 학습에 대한 전국적인 연구를 수행한 Eyler와 Giles Jr.에 따르면 학생들에게 미치는 영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배치 품질, 기간 및 성찰이 포함됩니다.[6]: 54–56 [14] 최근의 표본 연구는 시민 태도와 기술 설문지를 사용하여 학부 공중 보건 교육 과정에서 서비스 학습의 이점을 평가했습니다. 전반적으로 학생들은 시민 태도와 기술이 증가했다고 보고했습니다. 그러나 좋지 않은 팀 역학을 보고하는 개인은 훌륭한 팀 역학을 보고하는 개인보다 일관되게 낮은 수준의 개선을 보고했습니다.[15]
배치품질
에일러와 자일스에 따르면, "배치 품질은 지역 사회 배치에 있는 학생들이 도전을 받고, 관찰자가 아닌 활동적이고, 다양한 일을 하고, 긍정적인 기여를 하고 있다고 느끼고, 중요한 수준의 책임감을 가지고 있으며, 현장의 감독자로부터 의견과 감사를 받는 정도를 의미합니다."[6]: 33 그들의 연구에 따르면, 배치 품질은 "개인적인 발전 결과", "리더십과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 그리고 지역사회, 교수진 및 다른 학생들과의 연결과 같은 것들에 측정 가능한 영향을 미친다고 합니다.[6]: 54–56
지속
서비스-학습에서 프로그램 품질의 중요성에서 에일러와 자일스는 "프로그램이나 일련의 경험은 발전적인 영향을 미치기 위해 충분히 긴 기간이 필요합니다."라고 말합니다.[14] Alexander W. Astin과 Linda J. Sax에 의해 이 견해가 확장되었습니다. 그들의 의견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에 전념하는 시간은 특히 시민 책임과 생활 기술 개발 분야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유형과 관련된 혜택을 넘어서는 추가적인 혜택을 수반합니다."[16]
하지만 얼마나 많은 시간이 충분합니까? J. Beth Mabry에 따르면, "학생들은 사람들에게 적절하게 노출되고 그들의 서비스 주소를 발행하기 위해 그들의 서비스 활동에 적어도 15시간에서 19시간을 소비해야 합니다."[17]
반사
봉사 학습 프로그램의 본질적인 특징인 성찰은 학생이 수행하는 비판적 사고의 기간입니다. 교육학을 옹호하는 많은 사람들에게 성찰은 학생에게 일어나는 학습을 상징할 수 있습니다. Janet Eyler와 Dwight E. Giles는 그들의 책 "서비스-학습에서 배우는 것은 어디에 있습니까?"에서 이 의견의 예를 제공합니다. 그들이 다음과 같이 말할 때: "학습은 단순히 독서와 강의를 통해 배운 것을 다시 말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행동과 성찰의 순환을 통해 발생합니다."[6] 또한 국가 서비스 학습 청산소는 성찰을 서비스 학습의 "핵심 구성 요소"로 간주합니다.[18]
서비스-학습에서 성찰의 역할의 중요성을 지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서비스와 학습 사이의 하이픈은 서비스의 물리적 행위가 일어난 후에 성찰 또는 "학습"의 핵심 역할로 연결됩니다.[19]
일부 고등 교육 프로그램은 서비스 학습 수업에 반영 요소가 필요합니다. 미네소타 대학교는 서비스 학습 수업에 필수적인 성찰 활동을 포함하는 기관 중 하나입니다.[20]
성찰은 개별적으로 할 수도 있고 모둠 활동으로 할 수도 있습니다. 인디애나주에 있는 Wartburg College는 그들의 웹사이트에 성찰 활동 제안 목록을 발표했습니다. 여기에는 다양한 유형의 저널링, 그룹으로서의 브레인스토밍, 인용문 사용, 에세이 및 논문 작성, 구조화된 수업 토론, 수업 발표 등이 포함되었습니다.[21]
효과적인 서비스 학습 프로그램에는 필요한 서면 반영도 포함됩니다. 글쓰기는 학생의 봉사학습 경험을 영구적으로 기록할 뿐만 아니라, 프로그램이 끝난 후에도 오랫동안 지속적으로 성찰할 수 있는 유용한 도구를 제공합니다. 필기 성찰 과제는 또한 학생들이 학습을 멈추고, 생각하고, 명확하게 표현할 것을 요구합니다. 이 평가는 학생들에게 놀라운 가치가 있습니다.[22]: 171–177
문화적 응용
아메리카 원주민 공동체에서
서비스 학습은 수많은 북미 원주민 커뮤니티를 포함한 다양한 문화 환경에 적용되었습니다. Guffey(1997)는 신뢰할 수 있는 서비스 학습이 부족의 앎과 가치 체계에서 시작되며, 이는 외부인이 서비스 학습 프로젝트를 강요해서는 안 된다는 것입니다.[23] 오히려 부족 공동체는 봉사하는 공동체 고유의 요구를 반영하는 프로젝트를 고안해야 합니다. 이는 단순히 서구화된 형태의 교육을 채택하는 것이 아니라 부족과 역사적으로 소외된 다른 공동체가 독특한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해야 한다는 매튜 플레처(2010)의 주장과 유사합니다.[24]
이 견해에 따르면 서비스 학습은 부족이 공동체의 요구를 해결할 수 있는 교육학적 틀을 제공합니다. Sykes, Pendley 및 Decon(2017)은 연구 대학의 파트너십에 포함된 부족 시작 서비스 학습 프로젝트의 질적 사례 연구를 제공합니다.[25] 이 사례는 봉사학습을 하는 학생들(부족 구성원이기도 했던)이 봉사를 통해 자신의 시민권에 대한 책임을 집단적으로 이해하게 된 과정을 되짚어 본다는 점에서 특이합니다. 게다가 부족 원로들은 부족 문화를 유지하고 성장시키는 데 있어서 젊은 시민들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서비스 학습은 문화 정체성을 탐구하는 수단이 될 수도 있습니다.
종교적 측면
에페시우스 6장 6절에 "눈으로 섬기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즐거워하는 것으로서 하나님의 뜻을 마음으로부터 행함으로써"라고 말합니다. 여기와 성경의 다른 곳에서는 봉사가 졸업하기 위해 일정 시간을 받는 것과 같은 어떤 물질적 이익을 위해서가 아니라 봉사 자체를 위해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쓰여 있습니다. 개념으로서의 서비스 학습은 졸업 및 기타 명예의 형태로 물질적 보상을 제공합니다.
"서비스 학습은 어디에 있나요?" Janet Eyler와 Dwight E. Giles Jr.는 "영적인 성장을 서비스 학습의 중요한 결과로 선택한 학생이 줄었지만, 20%는 그것을 그들이 배운 가장 중요한 것들 중 하나로 선택했고, 46%는 매우 또는 가장 중요한 것으로 선택했습니다. 그것은 많은 학생들에게 중요했습니다...어떤 사람들은 봉사를 종교적인 약속을 이행할 수 있는 확실한 기회로 여겼습니다."[6]: 36, 37
학문 분야에서의 활용
공학교육
많은 공학 교수진은 교육적 해결책이 수동적으로 지식을 흡수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이 지식과 지식의 노드 사이의 연결을 구성하는 보다 건설적인 접근 방식에 있다고 생각합니다. 교육자들은 봉사 학습을 공학 교육에서 구성주의를 구현하고 교수 스타일을 전형적인 공학 학생들의 학습 스타일과 일치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봅니다. 그 결과, 많은 공학 학교들이 서비스 학습을 그들의 커리큘럼에 통합하기 시작했고 이제 공학에서 서비스 학습을 전담하는 저널이 있습니다.[26]
혜택들
자기계발
학생들은 서비스 학습에 참여함으로써 개인 리더십 기술을 개발했다고 보고했습니다.[27] 서비스 학습은 또한 그들의 학문에서 의미와 목적을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6]
Janet Eyler와 Dwight E. Giles Jr.는 서비스 학습의 다섯 가지 주요 개인 성장 결과를 확인합니다. 자기 지식, 영적 성장, 다른 사람을 돕는 것에 대한 보상, 서비스에 대한 경력 혜택과 경력, 개인적 효능의 변화.[6]: 35–39 공동체 안에 있는 사람들에게 다가가고자 하는 의도로 공동체 안으로 나갈 때, 이 넓은 사회적 맥락은 자신을 더 명확하게 보게 합니다.[6]: 35
봉사 학습은 "시민 교육의 일환으로 시민 및 사회적 책임을 함양"했기 때문에 개인이 지역 사회의 더 나은 시민이 되도록 동기를 부여할 수 있습니다.[6]: 12 개인이 주변 사람들에게 봉사하는 것에 대한 지식을 습득함에 따라 그 지식을 지역 사회 문제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서빙하는 사람들은 처음으로 특정 사회 문제에 직면할 수 있으므로 세상에 대한 관점을 바꿀 수 있습니다. 그 이상으로 학생들은 현재 알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더 나은 문제 해결 능력을 개발하는 방식으로 변화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 학습 경험은 학생이 직면한 사회적 문제의 복잡성으로 뛰어들고 혁신적인 해결책을 개발하는 데 있어 촉매제가 될 수 있습니다.[20]
커뮤니티 상호작용
서비스 러닝의 위치 조사에 따르면, 설문 조사에 참여한 학생들 중 "40%는 다른 사람들과 함께 일하는 법을 배우는 것이 서비스 러닝에서 배운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라고 보고했고, 81%는 그것이 가장 중요하거나 매우 중요하다고 표시했습니다." 서비스 학습은 또한 지역 사회 내의 연결을 장려합니다. "서비스 학습의 위치?"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Learning and Service America에 대한 평가에서 서비스 참가자들은 동료들보다 일주일에 적어도 한 시간을 교수진과 교류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할 가능성이 높았습니다." 서비스 학습은 학생과 학습 방법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과 상호 작용하는 방법에도 엄청난 영향을 미칩니다.[6]: 45–52
고품질 배치는 서비스 학습 프로그램의 성공을 위한 열쇠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서비스 학습 시설이 지역 사회 내에서 광범위한 연결 네트워크를 가져야 합니다. 학생들은 자신이 봉사하는 시설과 긍정적인 관계를 맺어야 학습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22]: 167–170
다양성 인식
서비스 러닝은 학생들이 다양한 문화를 경험하고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서비스 학습에서 다양한 문화를 이해하는 것은 서비스를 완료하는 동안 종종 발생하는 상호 작용 때문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봉사 학습에 참여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 조사에 따르면 "57%가 자신의 민족 이외의 민족의 사람들과 함께 일할 수 있는 기회가 자주 있었다고 보고했습니다."[22]: 26
다양한 인종, 생활 방식 및 사회 경제적 지위를 가진 사람들과 함께 일함으로써 학생의 학습과 관용이 증가합니다.[citation needed] 다양한 학습 환경에서 봉사함으로써 학생들은 고정관념을 줄이고 문화적 감상력을 높일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이것은 학생이 더 광범위한 사람들에게 더 효과적으로 봉사하는 방법을 배우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22]: 177–178
봉사 학습의 목표 중 하나는 긍정적인 상호[22]: 26 작용이며 봉사 학습은 학생들이 다른 문화를 이해할 뿐만 아니라 그들의 공유된 인간성을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22]: 31
서비스 커뮤니티
서비스 학습은 더 많은 자원 봉사자의 존재에 기여하며, 이를 통해 조직은 더 많은[28]: 35–36 성과를 달성하고 더 많은 고객에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29]: 5 학생들은 조직에 이익을 주기 위해 자신이 보유한 특정 기술을 사용할 수 있으며,[30]: 49 새로운 아이디어, 에너지 및 열정의 원천이 될 수 있습니다.[31]: 33 대학 또는 대학과의 파트너십을 통해 조직은 새로운 지식에 접근할 수 있고 같은 학교와 파트너십을 맺은 다른 조직과 연결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습니다.[28]: 36
서비스는 공동의 목표나 목적을 향해 공동체를 전체적으로 하나로 모이게 합니다. 공동체 내에서 그리고 공동체 사이에서 봉사의 행동은 사회문화적 규범과 편견에 대한 도전을 제공합니다.[citation needed]
에일러(Ayler)와 자일스 주니어(Giles Jr.)는 서비스를 배우는 학생들이 자신의 경험을 되돌아보면 다른[22]: 55 사람들을 돕고 가까운 개인적 관계를 발전시키는 데서 보상을 찾는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22]: 56
비평
1979년 로버트 시그몬(Robert Sigmon)은 서비스 학습을 "유토피아적 비전", "너무 까다롭고 비현실적"이라고 부르는 비판을 인정했습니다. [10]: 11 학술지 Academic Questions 2008년 봄호에 기고한 Towson University의 John Egger 교수는 서비스 학습이 실제로 유용한 기술을 가르치거나 문화적 지식을 개발하지 않는다고 주장했습니다. 대신, Egger는 서비스 학습은 주로 공동체주의 정치 이념의 주입을 포함한다고 주장했습니다.[32] Tulane 교수 Carl L. Bankston III는 봉사 학습을 의무화하는 자신의 대학 정책을 학생과 교직원 모두에게 대학 행정부가 지적 순응을 부과하는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Bankston에 따르면, 특정한 시민 참여 유형을 가치 있는 지역 사회 봉사로 식별함으로써 대학은 사회적 관점과 정치적 관점을 규정하고 있었습니다. 이는 다원적 사회에서 개인이 스스로 시민적 헌신을 선택해야 한다는 생각과 일치하지 않으며, 자유로운 아이디어 교환을 통한 진리 추구의 현장으로서 대학의 이상에 반한다고 주장했습니다.[33]
교직원과의 의사소통이 일관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조직이 자신의 역할과 학생들의 봉사사업에 대한 교직원의 역할을 항상 이해하지는 못합니다.[30]: 55–56 일부 기관의 대표는 교수진이 학생들에게 조직에서 허용되지 않는 프로젝트를 할당했다고 말했습니다.[28]: 37 또한 학생들이 봉사활동에 필요한 적은 시간은 조직과 고객에게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어떤 기관들은 학생들이 자원봉사를 하는 데 필요한 시간보다 더 많은 시간을 자원봉사 교육에 요구하고,[28]: 39 고객들과 개인적인 관계를 맺는 것은 도움이 되기보다는 오히려 더 상처가 될 수 있습니다.[30]: 52
일부 학자들은 봉사 학습 자체가 지역 사회에 거의 또는 전혀 이익이 없이 학생들에게 만족감을 줄 뿐이라고 주장합니다.[34] Eby는 전통적인 서비스 학습이 지역 사회 및 그 문제와 실질적인 관련이 없다고 주장합니다.[35] 사회적 문제의 근원을 다루지 않으면 학생들은 자신이 자원 봉사/봉사하는 지역 사회가 직면한 문제에 대해 진정한 이해를 얻지 못합니다.[34] 대신, 그들은 알게 모르게 시스템 기관의 볼모가 되어 권한을 사용하여 이러한 시스템을 "보존"할 것입니다.[34] 서비스 러닝은 대중화되었지만 사람들에게 덜 집중하고 개인의 "선행"에 더 집중합니다.[35] 서비스 학습에 대한 또 다른 비판은 이 분야에 대한 연구 초점이 대부분 학자들에 의해 이루어진 반면 지역 사회 주민과 조직은 논의에서 제외된다는 것입니다.[35] 이러한 지역사회 조직과 파트너들은 목소리 없이 남겨지고 학업과 서비스 사이에는 아무런 연관성이 없습니다. 중요한 서비스 학습이 새로운 부문으로 부상함에 따라 기존 서비스에 대한 이러한 몇 가지 비판이 해결되었습니다.
서비스-학습의 변화
eService-Learning
eService-Learning은 서비스 학습을 교육 과정에 포함시키는 온라인 과정이거나 서비스 학습 작업이 온라인으로 이루어지는 전통적인 과정입니다.[36]
COVID-19 팬데믹과 온라인 과정의 가용성으로 인해 서비스 학습이 점점 더 온라인으로 통합되고 있습니다.[citation needed] Faulconer의 연구를 바탕으로 네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37] 유형 I 서비스 학습에는 일부 유형의 현장 서비스를 포함하는 온라인 코스 커리큘럼이 있습니다. Type II eService-Learning은 온라인 서비스-Learning이 포함된 현장 과정입니다. Type III eService-Learning은 온라인 서비스와 혼합된 하이브리드(전통 형식과 온라인 형식)입니다. 유형 IV 서비스 학습(극한 서비스 학습)은 완전히 온라인 상태입니다.[38]
반사
온라인 성찰 과제는 온라인 토론 게시판을 포함한 여러 형식으로 완료할 수 있습니다. 이 형식을 통해 학생들은 강사의 질문에 따라 eService-Learning에 관한 동료들과의 토론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39] eService-Learning을 활용한 수업은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SNS)를 온라인 토론의 또 다른 형태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된 앱의 예로는 왓츠앱, 슬랙, 트렐로 등이 있습니다.
이점
시간이 지남에 따라 교육자들은 온라인에서 서비스 학습을 통합하는 것의 가치를 알게 되었습니다.[40] 학생들은 Zoom 및/또는 Google 채팅을 통해 비영리 기관 및 기타 이해 관계자와 만나 직접 협력할 수 있습니다. 봉사학습은 장애학생, 농촌학생 등 전통적인 교실에 있는 것이 어려운 학생들에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41] 학생들은 어느 지역에서나 서비스 학습 프로젝트를 완료할 수 있으며 자신의 커뮤니티에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닐슨(2016)은 온라인 서비스 학습(일명 e-러닝)이 학생들이 자신의 교육에 대해 책임을 지는 데 도움이 된다고 주장합니다.[42] 온라인 비즈니스 클래스에서 81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 따르면 "완성된 시간이 할당된 시간을 초과했으며 학생들은 자신, 대학 및 봉사한 비영리 단체에 대한 결과를 확인했습니다."(p. 80).[43] 35명의 학생들이 참여한 또 다른 연구는 e-러닝이 세계 시민권, 적응력 및 팀워크를 포함한 일반적인 기술의 발달을 촉진한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44]
서비스 학습을 위한 종합 실행 계획(CAPSL)
CAPSL 서비스 학습을 위한 프로그램이 주요 활동에 집중해야 하는 네 가지 구성 요소(기관, 교직원, 학생 및 지역 사회)를 식별합니다.
CAPSL은 또한 4개의 선거구(기관, 교직원, 학생, 지역사회) 각각에 대해 추구할 일련의 활동(계획, 인식, 프로토타입, 자원, 확장, 인식, 모니터링, 평가, 연구 및 제도화)을 파악합니다.
CAPSL은 고등교육에서 서비스 학습 프로그램 개발을 안내하기 위한 휴리스틱을 제공합니다. 각 셀의 실행은 로컬 조건에 맞게 조정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일반적이지만, 전체 CAPSL 모델에서 활동 시퀀스를 가져와 매트릭스의 모든 셀에 적용하기 위해 각 단계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법을 자세히 설명할 수 없습니다.[45]
중요한 서비스 학습
비판적 서비스 학습은 학생들이 자신의 학습 담론을 가지고 사회 발전과 다른 사람들의 복지를 위한 개인적인 경험에 연결하는 데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비판적 서비스 학습은 학생들이 자신을 "사회 변화의 주체"로 간주하고 서비스 경험을 사용하여 불의를 해결하고 대응하도록 강요합니다. 그들의 공동체"[34]라고 말했다. 이 부문의 주요 초점은 정치적, 사회적 권력 관계와 그것이 소외된 공동체가 직면하는 시스템적 불평등으로 어떻게 이어지는지를 다루는 것입니다. 목표는 학생들의 서비스를 학습 담론에 연결하는 것입니다. 비판적 서비스 학습은 학생들이 자신의 서비스가 이러한 지역 사회에서 어떻게 정치적, 사회적 변화를 일으키는지 스스로 질문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미첼에 따르면 중요한 학습 서비스 상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세 가지 접근 방식이 필요합니다. 소외된 사람들에게 권력을 재분배하고, 지역사회 구성원/파트너 및 교실에 있는 사람들과 의미 있는 파트너십을 구축하며, 영향력 있는 사회 변화를 만드는 관점을 통해 서비스 학습에 접근합니다.[34]
주목할 만한 사람들
Alexander Astin: Allan M. Cartter 저명한 고등 교육 명예 교수이자 협력 기관 연구 프로그램 및 고등 교육 연구소의 설립 책임자.[47] 공동 교과 활동에 대한 학생의 참여가 대학 성과에 어떻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설명하는 참여 이론을 형성했습니다.[48] Astin은 1998년 대학 선배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를 통해 서비스가 비판적 사고력을 크게 향상시킨다는 것을 입증했습니다.[49]
나딘 1세. 크루즈: 독립 컨설턴트로 일하고 있습니다.[50] 그녀는 필리핀에서의 일을 통해 봉사 학습의 대의에 대한 열정을 얻었습니다.[51] 이제 그녀는 전통적인 학계를 통해 삶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기술의 극히 일부만 배울 수 있다고 주장하는 봉사 학습의 옹호자입니다. 용기, 용서, 지구 관리와 같은 다른 기술은 다른 곳에서 배워야 합니다. 따라서 그녀는 봉사 학습과 지역 사회 참여를 권장하며, 이는 "현명한 사람들과 모범적으로 가르치는 사람들과 학습을 제공합니다."[52]
Andrew Furco: 미네소타 대학의 공공 참여 부총장과 교수입니다.[53] Furco는 서비스 학습에 두 권의 책을 포함하여 다양한 문헌을 제공했습니다. 서비스-학습: 다학제적 렌즈를 통한 교육학과 봉사-학습의 본질 그가 S. Billig와 공동으로 저술한 것.[54] 그는 참여 프로그램이 참여 대학과 다른 다섯 가지 이유를 제시합니다: "참여는 봉사활동과 다릅니다… 대학 정체성의 핵심에 있습니다… 파트너십에 초점을 맞추고… 그것은 제도적 변화에 관한 것이지… 그것을 위한 것이 아닙니다."[55]
제임스 킬스마이어: 봉사학습운동이 된 비영리단체인 전국청소년리더십협의회를 설립하였습니다.[56] Kielsmeier는 서비스 학습이 "자원 사용자, 수혜자 및 피해자"에서 "기여자, 기부자 및 지도자"로 젊은이들을 보는 방식에 변화를 수반한다고 주장합니다.[57]
참고 항목
참고문헌
- ^ Knapp, Timothy D.; Bradley J. Fisher (2010). "The Effectiveness of Service-Learning: It's not always what you think". Journal of Experiential Education. 33 (3): 208–224. doi:10.5193/JEE33.3.208.
- ^ "K–12 Service-Learning Standards for Quality Practice" (PDF). National Youth Leadership Council.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November 11, 2011. Retrieved November 11, 2008.
- ^ Jacoby, Barbara (1996). Service-Learning in Higher Education: Concepts and Practices. Jossey-Bass. ISBN 978-0787902919.
- ^ Perez, Shivaun (2000). "Assessing Service Learning Using Pragmatic Principles of Education: A Texas Charter School Case Study". Applied Research Projects. Paper 76. Texas State University.
- ^ a b c d Furco, Andrew (October 2011). ""Service-Learning": A Balanced Approach to Experiential Education" (PDF). The INTERNATIONAL JOURNAL for GLOBAL and DEVELOPMENT EDUCATION RESEARCH: 71–76. Retrieved 4 September 2014.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Eyler, Janet; Giles Jr., Dwight E. (23 April 1999). Where's the Learning in Service-Learning (1st ed.). San Francisco, CA: Jossey-Bass. ISBN 978-0-470-90746-7.
- ^ Eatman, Timothy K.; Ivory, Gaelle; Saltmarsh, John; Middleton, Michael; Wittman, Amanda; Dolgon, Corey (April 2018). "Co-Constructing Knowledge Spheres in the Academy: Developing Frameworks and Tools for Advancing Publicly Engaged Scholarship". Urban Education. 53 (4): 532–561. doi:10.1177/0042085918762590. ISSN 0042-0859. S2CID 150220178.
- ^ Powell, Katrina; Takayoshi, Pamela (2003). "Accepting the Roles Created for Us:The Ethics of Reciprocity" (PDF).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54 (3): 394–422. doi:10.2307/3594171. JSTOR 3594171 – via JSTOR.
- ^ Lukenchuk, Antonina; Jagla, Virginia; Eigel, Matthew. "Service-Learning Faculty Manual" (PDF). National Louis University. Retrieved November 5, 2016.
- ^ a b c Sigmon, Robert (Spring 1979). "Service-Learning: Three Principles" (PDF). Synergist: 9–11. Retrieved November 5, 2016.
- ^ "Graduation Requirements". Maryland Department of Education.
- ^ "DCPS Community Service Guide 2011–2012" (PDF). District of Columbia Public Schools. Retrieved 7 November 2016.
- ^ "High School Graduation Requirement or Credit toward Graduation — Service-Learning/Community Service". Education Commission of the States (ECS). January 2014. Retrieved November 5, 2016.
- ^ a b Eyler, Janet; Giles Jr., Dwight (2013). Waterman, Alan S. (ed.). The Importance of Program Quality in Service-Learning. New York, NY: Psychology Press. p. 59.
{{cite book}}
:work=
무시됨(도움말) - ^ Chavez-Yenter, Daniel; Hearld, Kristine Ria; Badham, Amy; Budhwani, Henna (13 November 2015). "Service-Learning in Undergraduate Global Health Education: The Effect of Team Dynamics on Civic Attitudes and Skill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Research on Service-Learning and Community Engagement. 3 (1). doi:10.37333/001c.21578. ISSN 2374-9466.
- ^ Astin, Alexander W.; Sax, Linda J. (1998). "How Undergraduates are Affected by Service Participation".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260.
- ^ Mabry, J. Beth (1998). "Pedagogical Variations in Service-Learning and Student Outcomes". Michigan Journal of Community Service-Learning: 41.
- ^ "Service Learning: Reflection in Higher Education Service-Learnin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November 14, 2007. Retrieved November 22, 2013.
- ^ 아일러, 자넷; 자일스 주니어, 드와이트 E. (1999년 4월 23일). Learning in Service-Learning(1sted.)은 어디에 있습니까?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 Jossey-Bass. ISBN 978-0-470-90746-7.
- ^ a b "Reflection in service-learning classes". Center for Community-Engaged Learning. Retrieved June 2, 2016.
- ^ Robin R. Jones. "Service-Learning Reflection Activities" (PDF). Wartburg College.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September 5, 2012. Retrieved June 2, 2016.
- ^ a b c d e f g h Eyler, Janet & Giles, Dwight E. (2007). Where's the Learning in Service-Learning?. San Francisco, CA: Jossey-Bass.
- ^ Erickson, Joseph A.; Anderson, Jeffrey B. (30 November 1996). Learning with the Community: Concepts and Models for Service-Learning in Teacher Education. AAHE's Series on Service-Learning in the Disciplines. Stylus Publishing, LLC. ISBN 9781563770111.
- ^ results, search (30 May 2008). American Indian Education: Counternarratives in Racism, Struggle, and the Law. Routledge. ISBN 978-0415957359.
- ^ Sykes, Brent E.; Pendley, Joy; Deacon, Zermarie (22 June 2017). "Transformative learning, tribal membership and cultural restoration: A case study of an embedded Native American service-learning project at a research university". Gateways: International Journal of Community Research and Engagement. 10: 204–28. doi:10.5130/ijcre.v10i1.5334 – via epress.lib.uts.edu.au.
- ^ 국제 공학 학술지
- ^ Alexander W. Astin; Lori J. Vogelgesang; Elaine K. Ikeda; Jennifer A. Yee. "How Service Learning Affects Students". Digital Commons. Retrieved 15 June 2016.
- ^ a b c d Sandy, Marie; Holland, Barbara A. (Fall 2006). "Different Worlds and Common Ground: Community Partner Perspectives on Campus-Community Partnerships". Michigan Journal of Community Service Learning. 13 (1): 30–43. Retrieved 13 December 2014.
- ^ Barrientos, Perla. "Community Service Learning and its Impact on Community Agencies: An Assessment Study" (PDF). www.sfsu.edu. San Francisco State University. Retrieved 13 December 2014.
- ^ a b c Tryon, Elizabeth; Stoecker, Randy (September 2008). "The Unheard Voices: Community Organizations and Service-Learning". Journal of Higher Education Outreach and Engagement. 12 (3). Retrieved 13 December 2014.
- ^ Vernon, Andrea; Ward, Kelly (1999). "Campus and Community Partnerships: Assessing Impacts and Strengthening Connections". Michigan Journal of Community Service Learning. 6 (1). Retrieved 13 December 2014.
- ^ Egger, John (2008). "No Service to Learning: 'Service-Learning' Reappraised" (PDF). Academic Questions. 21 (2): 183–194. doi:10.1007/s12129-008-9057-7. S2CID 59038318.
- ^ Carl L. Bankston III (31 May 2016). "Modern Orthodoxies".
- ^ a b c d e Mitchell, Tania (2008). "Traditional vs. critical service-learning: Engaging the literature to differentiate two models". Michigan Journal of Community Service Learning 14.2. 14 (2): 50–65.
- ^ a b c Eby, John (1998). "Why Service Learning is Bad".
{{cite journal}}
: 저널 인용은 다음과 같습니다.journal=
(도움말) - ^ Strait & Sauer, Jean & Tim (2023). "Constructing Experiential Learning for Online Courses: The Birth of E-Service A lack of service-learning programs for online courses prompted the creation of e-service to provide experiential learning opportunities". Educause Quarterly: 62–65.
- ^ Faulconer, Emily (2021-04-03). "eService-Learning: A Decade of Research in Undergraduate Online Service–learning". American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35 (2): 100–117. doi:10.1080/08923647.2020.1849941. ISSN 0892-3647. S2CID 230540426.
- ^ Waldner, McGorry, & Widener, L, S, M (2010). "Extreme e-service learning (XE-SL): E-service learning in the 100% online course". Journal of Online Learning and Teaching. 6 (4): 839–851.
{{cite journal}}
: CS1 maint: 다중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 ^ Doulatabadi, M.; Yusof, S. M. (May 2016). "Sustained Quality Award Status in Developing Country: A Study on the Dubai Quality Award Recipients". 2016 International Conference on Industrial Engineering, Management Science and Application (ICIMSA). IEEE. pp. 1–5. doi:10.1109/icimsa.2016.7504036. ISBN 978-1-5090-1671-6. S2CID 25518080.
- ^ McGorry, Sue Y. (2012-06-23).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rvice Learninng Online". Online Learning. 16 (4). doi:10.24059/olj.v16i4.218. ISSN 2472-5730.
- ^ Bourelle, Tiffany (2014-10-01). "Adapting Service-Learning into the Online Technical Communication Classroom: A Framework and Model". Technical Communication Quarterly. 23 (4): 247–264. doi:10.1080/10572252.2014.941782. ISSN 1057-2252. S2CID 62234740.
- ^ Nielsen, Danielle (April 2016). "Facilitating Service Learning in the Online Technical Communication Classroom". Journal of Technical Writing and Communication. 46 (2): 236–256. doi:10.1177/0047281616633600. ISSN 0047-2816. S2CID 111627624.
- ^ McWhorter, Rochell; Delello, Julie; Roberts, Paul (2016-01-01). "Giving Back: Exploring Service-Learning in a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Education Faculty Publications and Presentations.
- ^ Marcus, Valerie Bukas; Atan, Noor Azean; Talib, Rohaya; Latif, Adibah Abdul; Yusof, Sanitah Mohd (2019-10-18). "Promoting Students' Generic Skills with the Integration of e-Service Learning Platform". International Journal of Emerging Technologies in Learning (IJET). 14 (20): 4–17. doi:10.3991/ijet.v14i20.11455. ISSN 1863-0383. S2CID 208107376.
- ^ Robert, G. Bringle; Julie A. Hatcher (March–April 1996). "Implementing Service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PDF). Journal of Higher Education. 67 (2).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2-01-18.
- ^ Kraft, Richard J. (February 1996). "Service Learning". Education and Urban Society. 28 (2): 131–159. doi:10.1177/0013124596028002001. ISSN 0013-1245. S2CID 143302144.
- ^ "Alexander Astin" (PDF). Curriculum Vitae. Retrieved 18 July 2018.
- ^ "Alexander Astin's Theory of Involvement". Student Development Theory. Retrieved 18 July 2018.
- ^ Eyler, Janet; Giles, Dwight E. Jr. (1999). Where's the Learning in Service-Learning? (1st ed.).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s. ISBN 0-7879-4483-1.
- ^ Thomas, Melissa. "About Nadinne Cruz". Carleton. Retrieved 18 July 2018.
- ^ McCaffrey, Meg. "Nadinne Cruz, renowned practitioner and advocate of service learning, to be involved in major Fairfield University initiative". Fairfield University. Retrieved 18 July 2018.
- ^ "TEDxPioneerValley - Nadinne Cruz - Education on Fire.mov". YouTube. Retrieved 18 July 2018.
- ^ "Faculty & Instructors". University of Minnesota. Retrieved 18 July 2018.
- ^ "Andrew Furco". The Taillores Network. Retrieved 18 July 2018.
- ^ Maynard, Meleah. "Awesomely Urban: A Conversation with Andrew Furco". University of Minnesota Alumni Association. Retrieved 18 July 2018.
- ^ "Founder". National Youth Leadership Council. Retrieved 18 July 2018.
- ^ "Service and schools -- partnership on purpose: Jim Kielsmeier at TEDxFargo". YouTube. Retrieved 18 July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