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종
Seven Species
7종(헤브루: :בעתת ,,,,,, Shiv'at Haminim)은 이스라엘 땅의 특산물로 히브리 성경에 등재된 2곡과 5과일 등 7종의 농산물이다.
등재된 7종류는 밀, 보리, 포도, 무화과, 석류, 올리브(기름), 날짜(꿀) 등이다.[1][2] 그들의 첫 열매가 사원에서 유일하게 받아들일 수 있는 제물이었다.
역사

일곱 종은 이스라엘 자손의 먹이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나머지: 유대인) 이스라엘 땅과 유대교의 종교적 전통에 있다.
이러한 기본적인 음식에 대한 많은 언급은 성경에서 찾을 수 있다. 미쉬나는 7종의 첫 열매만이 제물로 예루살렘에 있는 신전에 올 수 있다고 말한다. 밀밭, 포도밭, 올리브 밭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이스라엘 경관의 두드러진 특징이다. 무화과, 올리브, 석류, 대추 등은 이스라엘 요리의 흔한 재료다.[3]
밀
고대 이스라엘 사람들은 밀과 보리를 모두 경작했다. 이 두 곡식은 성서 목록인 '이스라엘 7종'에서 가장 먼저 언급되며, 고대 이스라엘 요리에서 음식으로서의 중요성은 샤부오트 축제에서 보리 수확을 축하하고, 수코트 축제에서 밀 수확을 축하하는 일에서도 나타난다.[4]
보리
귀에서 나오는 거친 털을 가진 단단한 시리얼. 주로 양조 및 목축에 사용하기 위해 널리 재배되고 있다.
포도
포도는 신선하게 먹기도 하고 말리기도 했지만 주로 포도주 생산에 사용되었다.[5]
무화과
무화과는 이스라엘 땅에서 재배되었고 신선하거나 말린 무화과는 매일 먹는 식단의 일부였다. 말린 무화과를 준비하는 일반적인 방법은 무화과를 잘라서 케이크에 눌러 넣는 것이었다.[6] 무화과는 성경에 자주 언급된다([7]예: 사무엘 25:18, 사무엘 30:12, 연대기 12:41).
석류
석류는 주로 신선하게 먹었지만, 때로는 주스나 와인을 만드는 데 사용되거나, 신선한 과일이 제철이 아닐 때 사용하기 위해 햇볕에 말렸다. 그들은 아마도 이스라엘 요리에서 작은 역할을 했을 것이지만, 대제사장 옷자락과 사원의 기둥에 장식된 장식물로서 상징적으로 중요했고, 동전에 양각되었다.[8]
올리브
올리브색은 7종의 주요 원소였다. 올리브유는 음식과 요리에만 사용되었던 것이 아니라, 조명, 제물, 연고, 사제직이나 왕실직의 임명에도 사용되었다.[9]
날짜
대추는 싱싱하게 먹거나 말렸으나, 주로 "대추꿀"(davash temarim)이라고 불리는 두껍고 오래 지속되는 시럽으로 삶아 감미료로 사용했다. "우유와 꿀이 흐르는 땅"(예를 들어 출애굽기 3:8)에 대한 성경 참고문헌의 꿀은 데이트 꿀이다.[10]
유대 율법에서 날짜는 7종의 범주에 속하는 반면 벌꿀은 토라에서 언급되는 꿀의 종류였을 것이다. 탈무드가 쓰여질 무렵에는 이스라엘에서 꿀벌이 멸종되고 꿀 대신 날짜가 사용되었을 때, 텔 레호프의 발굴은 3000년 전 다윗 왕의 초기 철기 시대에 이스라엘에서 양봉이 행해졌음을 보여준다.[11]
토라에 있는 몇몇 설명에서도 꿀벌꿀이 고대 이스라엘에 존재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판례서에서 삼손은 사자의 사체에서 발견한 벌통에서 꿀을 채취한다. (주 14:8–9, 삼손의 수수께끼도 참조)
탈무드 해석
다양한 측정의 크기는 할라치 객체의 구체적인 양과 크기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테필린 끈의 최소 너비는 시나이에서 모세에게 주어진 율법에 의해 보리알만한 크기로 알려져 있다. 마찬가지로, 다른 과일들도 측정에 사용된다. 탈무드 학자들은 7종의 구절을 과일 크기를 이용한 모든 측정에 대한 힌트로 사용한다.
현대적 의의
7종은 전통적으로 유대인 '나무의 새해'인 투 비슈바트(Tu Bishvat)와 '부스의 축제(Festival of Buss)'인 수코트(Sukot)와 '주간의 축제(Festival of Weeks)'인 샤부오트(Shavuot)에서 먹는다. 할라카(유대법)에서는 다른 과일보다 더 중요하게 여겨지고, 그것을 먹고 나면 특별한 베라카(복음)가 낭송된다. 게다가, 그것들을 먹기 전의 축복은 빵을 제외한 다른 음식의 그것보다 앞선다. 이 7종들은 모두 오늘날 이스라엘 요리에서 중요한 재료들이다.
Deuteronomy 8:8이 눈에 띄게 새겨져 있다(Latin Vulgate 번역: 캘리포니아주 샌디에이고 발보아 공원에 있는 캘리포니아 타워 돔의 퀘아 피쿠스 et Malogranata et Oliveta Nascuntur, Terram Olei ac Mellis)에 있는 Terram Frumenti Hordei, ac Vinarum.
참조
메모들
- ^ Cooper 1993, 페이지 4–9.
- ^ "The Seven Species". Jewish Virtual Library. Retrieved January 22, 2016.
- ^ Zisling, Yael. "The biblical seven species". Gems in Israe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February 2015. Retrieved 22 January 2016.
- ^ 맥도날드 2008, 페이지 19-21.
- ^ 마크 2010 페이지 237.
- ^ 마크스 2010, 페이지 196.
- ^ 맥도날드 2008, 페이지 28~31.
- ^ 마크 2010, 페이지 479–480.
- ^ 맥도날드 2008 페이지 23-24.
- ^ 마크 2010, 페이지 153–154.
- ^ 이스라엘에서 발견된 고대 벌들은 토머스 H. Maugh II, 로스앤젤레스 타임즈 (2010년 6월 8일)에 의해 터키에서 왔다.
원천
- Cooper, John (1993). Eat and Be Satisfied: A Social History of Jewish Food. New Jersey: Jason Aronson Inc. ISBN 0-87668-316-2.
- Marks, Gil (2010). Encyclopedia of Jewish Food. Hoboken, New Jersey: Houghton Mifflin Harcourt. ISBN 0470391308. ISBN 9780470391303.
- Macdonald, Nathan (November 17, 2008). What Did the Ancient Israelites Eat?. Grand Rapids, Michigan: William B. Eerdmans Publishing Company. ISBN 0-8028-6298-5. ISBN 978-0802862983.
추가 읽기
- Anonymous; Suval, Yeshaya (Illustrator) (July 2, 2012). The Seven Species Coloring Book. Lakewood, New Jersey, U.S.A.: OK Playtime. ISBN 1560623780. ISBN 9781560623786.
- Kagan, Israel Meir; Feldman, Aharon; Orenstein, Aviel (Translator) (1989). Mishnah berurah: The Classic Commentary to Shulchan Aruch Orach chayim, Comprising the Laws of Daily Jewish Conduct Hardcover – Large Print. Mishnah Berurah. 2C (Hebrew-English ed.). Jerusalem Spring Valley, NY: Pisgah Foundation P. Feldheim, sole distributors. p. 183. ISBN 0873065026. ISBN 978-0873065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