샬마네세르 2세

Shalmaneser II

Salmānu-ašarēd II, inscribed mdSILIM-ma-nu-MAŠ/SAG, meaning "(the god) Salmānu is foremost," was the king of Assyria 1030–1019 BC, the 93rd to appear on the Khorsabad copy[i 1] of the Assyrian Kinglist, although he has been apparently carelessly omitted altogether on the Nassouhi copy.[i 2]

전기

슈뢰더의 에포닌 21 목록에는 살마누아샤르드 2세의 12년 동안과 그의 직계 후계자들이 전시되어 있다.[i 3]

최근 년 사이 언어학적으로 이 아닌 그의 이름으로 SILIM을 읽는 풍조가 나타났다.[1] 그는 아버지인 아슈르 나시르 아플리 1세의 뒤를 이어 아시리아 왕페스트에 따르면 12년 동안 통치했으며, 에포니엄 리스트(사진)의 심하게 훼손된 파편을 통해 확인되었다.[i 3] 리스트에 오른 12명의 임무관 중에서 처음 두 사람의 이름만이 실질적으로 보존되어 있는데, 첫 해에 에포니미를 차지한 살마누아샤르드 자신의 이름과 무슈의 이름뿐이다.아이디무샤브[] 12번째 항목인 샤 아르[ki si...]는 림무 "이후"(이전 이름)가 이 리스트를 복사한 원본이 이 장소에 결함이 있거나 사무실의 공백이 난기류와 일치함을 암시하는 것을 나타낸다.[2]

싱크로니스트 킹페스트에서[i 4] 그는 바빌로니아의 상대역인 B,t-Bazi 왕조의 Eulmash-Shakin-shumi (기원전 1004년–988년) 옆에 이름을 올렸는데, 이것은 아마도 당시 두 왕국의 고립을 반영하는 것 같지 않은 짝이다. 십중팔구 그는 나브슈마-리부르 (기원전 1033–1026년)와 심바르-시팍 (기원전 1025–1008년)과 동시에 군림했는데, 이들의 통치는 아라메인들에 의한 가뭄, 농작물 파동, 침입으로 특징지어져 기후변화의 압력으로 이주하였다. 후기 왕인 아슈르-다인 2세 (기원전 935–912년)는 살마누-아샤르드 자신이 이 부족 집단에 입은 손실을 다음과 같이 회상했다.

[아시리아, 나의 조상 아시리아]의 왕 살마누아샤르드 때부터 [아시리아 사람들이 …에 의해]를 멸망시키고 살인을 저질러 [모든] 딸들을 팔았다.[3]

이 이름으로 초기 왕을 지칭하지 않는 한, 또 다른 회고적 언급은 아마도 아슈르 나시르 아플리 2세의 비문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그것은 "나는 내 앞에 선 왕자인 앗시리아의 왕 살마누아샤르드(Salmanu-asharēd)가 아라미족이 강제로 점령한 나라이(그리고)의 땅을 수비했던 항구인 시나부(그리고)의 도시들을 압류했다."[3]와 관련이 있다.

몇몇은 그의 앞에 있던 살마누아샤르드 또는 그 뒤를 이은 세 사람 중 한 명일 수도 있기 때문에 그에게 확실하다고 여겨질 만한 비문은 거의 없다.[4] 믿을 수 있는 것 중 슈르, 스텔렌라이헤의 "스텔레"에서 나온 기념비적 비(14번)는 그의 족보를 제공하므로 신원확인을 할 수 있을 뿐 다른 것은 없다. '살마누아샤르드, 위대한 왕, 우주의 왕, 앗시리아 왕, 아슈르 나시르 적용(I), 앗시리아 왕, 앗시리아 왕, 앗시리아 왕, 앗시아드(IV)의 왕, 앗시리아 왕, 앗시아드(Ashyria)의 왕, 앗시리아 왕, 앗시아드(Asyria)의 왕'라고 적혀 있다. 절에는[i 5] 왕이 아슈르 사원에 기증한 백향목 발삼(담 에르니)의 양과 그 '임플레'가 적혀 있으며, 신격화된 강 티그리스 강 이디글라트에 향기를 대량으로 공급하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5] 신전의 거룩함을 위해 작곡된 이샤타르에 살마누아샤르드, 2세 또는 3세의 긴 헌신이 새겨져 있다.[i 6] 금과 은으로 된 원반에는 "살마누아샤르드"라는 이름이 새겨져 있으며 아마도 이 왕이나 그의 전임자를 대표할 수 있을 것이다.[6]

그의 아들, 잠시 군림하던 아슈르-니라르 4세, 그리고 그의 동생 아슈르-라비 2세가 뒤를 이었다.

비문

  1. ^ 호르사바드 킹리스트, 태블릿 IM 60017(발광 번호: DS 828, DS 32-54), iv 6-7.
  2. ^ 이스탄불 A. 116 (Assur 8836) 나수히 킹리스트.
  3. ^ Jump up to: a b Eponim List KAV 21, 태블릿 VAT 11254, iv.
  4. ^ 가장 싱크로나이티컬한 왕, 태블릿 발굴 번호. As 14616c, 첫 번째 간행물 KAV 216.
  5. ^ 사원의 기부금, KAV 78.
  6. ^ KAR 98.

참조

  1. ^ Karen Radner (1998). "Der Gott Salmānu ("Šulmānu") und seine Beziehung zur Stadt Dūr-Katlimmu". Die Welt des Orients. 29: 33–51. JSTOR 25683683.
  2. ^ M. T. Larsen (1974). "Unusual Eponymy-datings from Mari and Assyria". Revue d'Assyriologie: 21.
  3. ^ Jump up to: a b K. Lawson Younger (2007). "The LB/Iron Age Transition and the Origins of the Arameans". Ugarit at Seventy-Five. Eisenbrauns. pp. 159, 161.
  4. ^ Heather D. Baker (2008). "Salmānu-ašarēd II". Reallexikon der Assyriologie: Prinz, Prinzessin – Samug, Bd. 11. Walter De Gruyter. p. 581.
  5. ^ W.G. Lambert (1999). "Idiglat". In Edzard (ed.). Reallexikon der Assyriologie und Vorderasiatischen Archäologie: Ia – Kizzuwatna. Walter De Gruyter. p. 31.
  6. ^ A. K. Grayson (1972). Assyrian Royal Inscriptions, Volume 1. Otto Harrassowitz. p. 99. § 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