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마무라쇼오헤이
Shōhei Imamura이마무라쇼오헤이 | |
---|---|
![]() | |
태어난 | |
죽은 | 2006년 5월 30일 | (79세)
국적 | 일본인입니다 |
모교 | 와세다 대학 |
직업 | 영화 감독, 시나리오 작가, 제작자 |
년 활동 | 1951–2002 |
움직임 | 일본의 뉴웨이브 |
수상 | 팜도르 (1983년, 1997년) |
이마무라 쇼헤이(前村上海, 이마무라쇼오헤이, 1926년 9월 15일 ~ 2006년 5월 30일)는 일본의 영화 감독이었다.영화제작자로서 그의 주된 관심은 일본 사회의 하층부를 묘사하는 데 있었다.[1][2]21세기까지 계속 활동한 일본 뉴웨이브의 핵심 인물인 이마무라는 일본에서 온 감독 중 유일하게 황금종려상을 두 번의 황금종려상을 수상했다.
전기
초년기
이마무라는 1926년 도쿄의 중상류 의사 집안에서 태어났다.종전에 이어 잠시 동안 이마무라는 담배와 술을 파는 암시장에 참여했다.그는 와세다 대학에서 서양 역사를 공부했지만 연극과 정치 활동에 참여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을 보냈다.[1]그는 1950년 구로사와 아키라의 라쇼몬을 초기 영감으로 본 것을 인용, 전후 시대에 일본에서 가능한 새로운 표현의 자유에 대한 표시로 본다고 말했다.[3]
1951년 와세다 졸업과 동시에 이마무라는 쇼치쿠 스튜디오의 오즈 야스지로의 조수로 초여름이나 도쿄스토리 같은 영화에 출연하면서 영화 활동을 시작했다.[1]이마무라는 오주가 일본 사회를 묘사한 '그림-우편(Nigel Kendall)'[3]과 배우들의 경직된 연출에 불편함을 느꼈지만, 나중에 기술적 지식을 얻는다는 면에서 오주를 위해 견습생으로 이득을 봤다는 점은 인정했지만,[1] 오주가 일본 사회를 묘사했던 '그림-우편'(니겔 켄달)은 물론, 배우들의 경직된 연출로 불편해했다.[4]이마무라 감독의 영화들은 오즈의 영화와는 상당히 다른 스타일을 가질 예정이었지만, 이마무라 감독은 오주처럼 자신이 출연한 영화에서 특히 일본의 사회 요소라고 보는 것에 초점을 맞추게 되었다.그는 "일본인을 설명할 수 있는 유일한 사람이기 때문에 항상 일본인에 대한 질문을 하고 싶었다"고 말했다.그는 자신의 영화가 해외에서 인정받은 것에 대해 놀라움을 표하면서, 심지어 이해할 수 있을지 의심하기까지 했다.[3]
스튜디오 디렉터
이마무라는 1954년에 쇼치쿠를 떠나 닛카츠 스튜디오에 들어갔다.그곳에서 그는 가와시마 유조 감독의 조감독으로 일했는데, 그는 '공식'판(도날드 리치)에 반대하여 '비문명'인 무도덕적 주인공들과 함께 '진짜' 일본에 대한 관심을 공유했다.[5]또한 막부의 라스트 데이즈에서 가와시마의 태양에 각본을 공동 집필하였으며, 훨씬 후에 사요나라 다케 가 진세이 다라는 제목의 가와시마에 관한 책을 편집하였다.[6]
이마무라는 1958년, 가부키와 스트립테아제를 결합한 여행극단의 이야기를 다룬 「도둑맞은 욕망 니카쓰」에서 감독 데뷔를 했다(조나단 로젠바움(Jonathan Rosenbaum).[7]그는 프랭키 나가이 팝송을 원작으로 한 코미디인 니시 긴자 역, 블랙 코미디 '끝없는 욕망' 등 스튜디오가 자신에게 할당한 영화를 계속 연출했다.[8][9]"내 둘째 오빠"는 "유별나게 부드러운 영화" (알렉산더 자코비)가 가난한 광산촌의 자이니치 공동체를 묘사했다.[2]
1961년 그가 풍자한 피그 앤 군함스(Pigs and Biltons)는 훗날 이마무라가 항상 만들고 싶었던 영화라고 말한 것으로 요코스카에서 미군과 현지 지하세계의 암거래를 그렸다.[4]논란의 여지가 있는 영화의 성격과[10] 이마무라 감독의 제작 시간과 비용 초과 때문에 닛카츠는 이마무라가 2년 동안 다른 프로젝트를 감독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아 시나리오 집필에 전념할 수밖에 없었다.[11][11]그는 1963년 베를린 국제영화제 경쟁부문에서 보여준 곤충의 여인, 1964년 운홀리 욕망으로 이 공백기를 따라갔다.세 영화 모두 살아남은 여성 주인공들이 불운에도 끈기 있게 출연했다.이마무라는 미조구치 겐지의 <오하루의 삶>이나 나루세 미키오의 <떠다니는 구름>과 같은 영화에서 묘사되는 자기 희생적인 여성들을 싫어하며, "그 여성들은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다...나의 영웅들은 삶에 충실하다"[5]고 말했다.
독립영화제작자
1965년 이마무라는 자신의 제작사인 이마무라 프로덕션을 설립하였다.그의 첫 독립작품은 노사카 아키유키 감독의 소설 <포르노그래퍼>(1966년)를 자유 각색한 것이었는데, 이 작품은 오늘날 서양에서 그의 가장 유명한 영화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12][13]1967년 그는 사이비 문서인 'A Man Vaneses'를 따랐는데,[2] 이 책은 사라진 약혼자를 찾는 한 여성을 따라가다가 논픽션과 픽션의 경계를 점점 모호하게 만들었다.그의 1968년 영화 '신의 깊은 욕망'은 일본 남부의 섬에서 현대 사회와 전통 사회 사이의 충돌을 조사했다.이마무라 감독의 야심차고 비용이 많이 드는 프로젝트 중 하나로, 이 영화의 형편없는 흥행 성적은 더 작은 제작으로 후퇴하게 했고, 이로 인해 그는 앞으로 10년 동안, 종종 일본 텔레비전을 위해 일련의 다큐멘터리를 감독하게 되었다.[14]
전후 일본의 역사 술집 호스티스와 가라유키상이 말한 창녀 제작은 그가 좋아하는 주제 중 하나에 초점을 맞춘 두 가지 프로젝트였다.일본 사회의 변방에서 살아남는 강한 여성들.또 다른 두 명은 말레이시아와 태국의 일본인 전 군인들을 따라와 그들의 과거 전쟁 범죄에 대해 카메라로 공개적으로 말했다.[14]
이마무라는 연쇄살인범 니시구치 아키라의 실화를 바탕으로 1979년 '복수는 내 것이다'로 소설로 돌아왔다.두 편의 대규모 리메이크 작품이 그 뒤를 이었고, 막부의 마지막 날에 태양을 다시 상상한 에이자나이카(1981)와 기노시타 게이스케의 1958년 '나라야마의 발라드'를 재연출한 '나라야마의 발라드'(1983)가 그 뒤를 이었다.후자를 위해 이마무라는 1983년 칸 영화제에서 첫 황금종려상을 받았다.
흑비(1989)는 히로시마 폭격이 사건 발생 후 몇 년 후 가정에 미치는 영향을 그렸다.영화학자 알렉산더 자코비는 이 영화에서 거의 "오주처럼 조용한" 흔치 않은 것을 발견했다.[2]뱀장어(1997)는 이번에도 이마무라에게 황금종려상을 확보했는데, 이번에는 압바스 키아로스타미의 '체리의 맛'과 공유했다.
「장어」를 시작으로, 이마무라의 장남 다이스케 텐간이 마지막 감독 노력인 「11'09」01년 9월 11일(2002)에 이마무라의 안토 영화 출연을 포함한 영화 각본을 작업했다.2002년에 이마무라는 한국 영화 2009에서 역사학자의 역할을 맡았다.[15]
이마무라는 2006년 5월 30일 79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테마
자신을 문화 인류학자로 본 이마무라는 "난 지저분한 영화를 만드는 것을 좋아한다"[16] "인체의 하층부와 사회구조의 하층부의 관계에 관심이 있다...나는 내 자신에게 무엇이 인간을 다른 동물들과 차별화시키는지 묻는다.인간이란 무엇인가?계속 영화를 만들어 답을 찾는다.[17]
레거시
이마무라는 1975년 요코하마 방송영화 전문학교(요코하마 호소 에이가 센몬 가코)로 일본 무빙이미지연구소(日本語 image大學校)를 설립했다.[18]이 학교의 학생 시절, 미이케 다카시 감독은 1987년 이마무라 감독의 영화 제겐에서 조감독으로서의 첫 영화 학점을 받았다.[19]
필모그래피(선택됨
달리 언급된 곳을 제외하고 모든 영화는 감독으로 나온다.
영화들
- 1958: 도난당한 욕망
- 1958:니시긴자 역
- 1958: 끝없는 욕망
- 1959: 나의 둘째 형제
- 1961: 피그 앤 전함
- 1962: Foundry Town(공동 작성자만 해당)
- 1963년: 곤충의 여인
- 1964년: Unholly Despect
- 1966년: 포르노 작가들
- 1967년: 한 남자가 사라지다
- 1968: 히가시시나카이(작가와 프로듀서만 해당)
- 1968: 신의 심오한 욕망
- 1970: 술집 여주인이 말한 전후 일본의 역사
- 1976: The Youth Killer (제작자만 해당)
- 1979: 복수는 나의 것이다.
- 1981년: 에이자나이카
- 1983: 나라야마의 발라드
- 1987: 제겐
- 1989: 블랙 레인
- 1997: 뱀장어
- 1998년: 박사 아카기
- 2001: 붉은 다리 밑의 따뜻한 물
- 2002: 11'09"01 9월 11일 (편 "일본")
텔레비전
- 1971년: 말레이시아에서 돌아오지 않은 군인들을 찾아서
- 1971: 태국에서 돌아오지 못한 병사들을 찾아서
- 1972: 부부완의 해적
- 1973년: 무법자-마츠가 집으로 돌아오다
- 1975년: 가라유키상, 창녀 만들기
수상
- 1980년 일본 아카데미 올해의 영화상 및 감독상 - 복수는 내 것이다
- 1983년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 – 나라야마 발라드
- 1980년 일본 아카데미 올해의 영화상 – 나라야마 발라드
- 1989년 에큐메니컬 쥬리상, 특별상, 칸 영화제 기술대상 – 블랙 레인
- 1990년 일본 아카데미 올해의 작품상 및 감독상 – 흑비
- 1997년 칸영화제 황금종려상 - 뱀장어
- 1998년 일본 아카데미 올해의 감독상 - 뱀장어
참조
- ^ a b c d Kim, Nelson (July 2013). "Shohei Imamura". Senses of Cinema (27): 3–10. Retrieved 18 July 2015.
- ^ a b c d Jacoby, Alexander (2008). Critical Handbook of Japanese Film Directors: From the Silent Era to the Present Day. Berkeley: Stone Bridge Press. pp. 65–68. ISBN 978-1-933330-53-2.
- ^ a b c Nigel Kendall (14 March 2002). "All you need is sex. Japanese director Shohei Imamura tells Nigel Kendall the secret of life". The Guardian. Retrieved 3 August 2021.
- ^ a b Tessier, Max (1999). "Shohei Imamura interview". In Quandt, James (ed.). Shohei Imamura. Toronto International Film Festival Group. p. 58.
- ^ a b Richie, Donald (2005). A Hundred Years of Japanese Film (Revised ed.). Tokyo, New York, London: Kodansha International. pp. 183–191. ISBN 978-4-7700-2995-9.
- ^ Imamura, Shōhei (1991). Sayonara dake ga jinsei da: eiga kantoku Kawashima Yūzō no shōgai. Tokyo: Nōberu Shobō. OCLC 37241487.
- ^ Rosenbaum, Jonathan. "Stolen Desire". Chicago Reader. Retrieved 4 August 2021.
- ^ Kehr, Dave (1999). "The Last Rising Sun". In Quandt, James (ed.). Shohei Imamura. Toronto International Film Festival Group. pp. 71–73.
- ^ "Lights of Night, My Second Brother". Harvard Film Archive.
- ^ Berra, John (5 July 2011). "Pigs and Battleships". www.electricsheepmagazine.co.uk. Electric Sheep. Retrieved 15 July 2015.
- ^ a b Conversations between Shohei Imamura and critic Tadao Sato about The Insect Woman and Intentions of Murder, in: Pigs, Pimps, & Prostitutes: 3 Films by Shohei Imamura (DVD). The Criterion Collection. 2009.
- ^ Sklar, Robert (2002). Film: An International History of the Medium (2nd ed.). New York: Prentice Hall. p. 365. ISBN 978-0-130340498.
- ^ Keirstead, Thomas; Lynch, Deidre (1995). "Eijanaika: Japanese Modernization and the Carnival of Time". In Rosenstone, Robert A. (ed.). Revisioning History: Film and the Construction of a New Past.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p. 226.
- ^ a b "今村昌平TVドキュメンタリー傑作集 (Shohei Imamura TV documentary masterpiece collection)". Kawasaki Art Center (in Japanese). Retrieved 30 July 2021.
- ^ "今村昌平 (Imamura Shōhei)" (in Japanese). Japanese Movie Database. Retrieved 3 July 2008.
- ^ Botti, Salvatore (29 October 1999). "Pigs, Pimps, and Pornographers. Austin Film Society Free Cinema Series: Shohei Imamur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May 2006. Retrieved 1 June 2006.
- ^ "Modern Japan - Famous Japanese - Imamura Shohei". Japan-zone.com. 16 November 2006. Retrieved 31 December 2012.
- ^ 歴史と沿革 [History and Development] (in Japanese). Japan Academy of the Moving Imag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8 December 2012. Retrieved 31 December 2012.
- ^ "Catalogue The Masters of Cinema Series". Eurekavideo.co.uk. Retrieved 31 December 2012.
외부 링크
- IMDb에서 이마무라 쇼헤이
- "今村昌平 (Shōhei Imamura)". Kinenote (in Japanese). Retrieved 4 August 2021.
- "今村昌平 (Shōhei Imamura)". Kotobank (in Japanese). Retrieved 4 August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