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바네이스틸워터

Sibanye-Stillwater
시바네이스틸워터
유형공공의
JSE: SSW[1]
NYSE: SBSW[2]
산업채굴
설립됨2012년 11월
본부,
남아프리카 공화국
서비스 영역
남아프리카 공화국
주요인
닐 프론먼
(최고경영자
빈센트 마파이
(회장)
상품들백금
팔라듐
로듐
직원수
84,775 (2020)
웹사이트sibanyestillwater.com

시바니예 스틸워터는 남아프리카공화국(SA)과 미국(미국)의 플래티넘 그룹 금속(PGM)의 다양한 포트폴리오와 염기 금속 운영, 남아공과 미주 지역의 다양한 채굴 프로젝트를 공개하는 다국적 귀금속 채굴업체다.

역사

2012년에 골드 필드 리미티드는 자회사인 GFI 마이닝 남아공 독점 유한회사("GFIMSA")의 분배를 해제했고, 그 후 시바니예 골드 리미티드("시바니예 골드")로 개칭되었으며, KDC(이전의 Kloof)와 베아트릭스 광산뿐만 아니라 남아공 내 일련의 지원 사업체들로 구성되었다.[3]"[4]골드필즈 주주들은 각각의 골드필즈 주식에 대해 시바네에 대한 1주를 받았다."골드필드에서 시바네이로 이전한 남아공 광산 3개는 다음과 같다.

이 회사는 곧바로 2013년 골드원으로부터[5] 사업장을 인수하고 2014년 위츠골드 인수(번스톤 프로젝트)[6]를 성사시키는 전략적 성장 계획에 착수했다.

2016년 4월 아쿠아리우스 플래티넘의 올쉐어 오퍼와 함께 PGM 공간에 진출했다.[7](Kroondal, Platinum Mile, 짐바브웨 미모사 광산의 50% 지분 보유 및 다수의 탐사 프로젝트 포함), 앵글로아메리칸 플래티넘 리미티드로부터 러스텐버그 작전 인수).[8]

2017년 8월 30일 몬태나주 스틸워터 광산의 성공적인 매입에 이어 시바네예 골드 리미티드사가 시바네-스틸워터로 거래를 시작, 지역별로 사업을 재편성했다 -남아공과 미국.[9]

2019년 6월 시바네-스틸워터는 PGM 1위 업체인 영국 런던 론민 플렉을 인수했다.확대된 그룹은 세계 최대의 백금로듐 생산국이며 팔라듐의 최대 생산국 중 하나이며 사용후 PGM 촉매변환기 재료의 리사이클러 및 프로세서를 선도하고 있다.[10]

2021년 2월 이 그룹은 핀란드에 본사를 둔 유럽의 대표적인 리튬 프로젝트인 [11]Kelyber에 투자하고 제휴하면서 배터리 금속 산업에 진출했다.

그들의 2020년 연례 보고서에 따르면, 그 회사는 300만 온스의 PGM과 098만 온스의 금을 생산했다.[12]

2020년에는 주로 남아공에서 8만4775명을 고용했다.따라서, 시바네-스틸워터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4대 민간 부문 고용주 중 한 명이며 몬태나 주에서 가장 큰 산업 고용주다.[13]

시바네-스틸워터의 1차 상장은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요하네스버그 증권거래소(JSE)에 있다.회사는 2020년 2월 19일 재계약 시 티커 코드 JSE:SSW(기존 SGL)와 NYSE:SBSW로 거래한다.[14]

논란

마리카나 광부 파업(론민)

2012년 평화시위로 시작한 것이 학살로 이어졌다.마리카나 대학살[15] 2012년 8월 16일 남아프리카공화국 루스텐버그주 마리카나있는 론민 백금광에서 와일드캣(Wildcat) 공격을 하던 중 남아프리카경찰국(SAPS)이번 폭력사태는 아프리카민족회의(National Association of General Union, NUM)와 신흥 경쟁자인 광산노동자 건설노조(AMCU) 간의 반목과 폭력의 역사에서 비롯됐다.론민루스텐버그 인근 은카농에서 운영하는 마리카나 백금광산에서는 론민이 노동자들과 만나지 못하자 8월 10일 3000명의 노동자들이 이 일을 떠났다.[16]8월 11일 NUM 지도자들은 자신들의 사무실로 행진하던 NUM 조직원들에게 총격을 가했다고 한다.[17][18][19]남아공 언론에서는 광부 2명이 살해된 것이 노동자들 간의 노조 내 신뢰가 추락한 주요 원인으로 보도되었다.[17][20]당초 상반된 보도에도 불구하고 11일의 충돌은 이제 파업 기간 중 발생한 첫 폭력 사건으로 인정되고 있다.

벤치마크스재단에 따르면 이번 폭력은 지역 청년들의 취업기회 부족, 누추한 생활환경, 실업, 증가하는 불평등 등을 배경으로 불거졌다.[21]그것은 노동자들이 착취당했고 이것이 폭력의 동기가 되었다고 주장했다.노동자들의 낮은 임금과 비교했을 때 높은 이윤을 비판하기도 했다.

2014년 남아프리카 플래티넘 스트라이크(론민)

2014년, 5개월 동안 계속된 백금파업으로 인해 남아공 백금산업에서 4명의 [22]사망자와 6명의 칼부림,[23] 240억 랜드(225억 달러)의 매출 손실이 발생했다.2014년 1분기 남아프리카공화국의 GDP는 50년 만에 가장 급격한 광공업 생산량 감소(이 중 25%)로 인해 감소세로 돌아섰다.[24][25]2009년 이후 첫 위축이었다.[26]대부분의 근로자들은 이미 빈곤한 생활을 하고 있으며 약 110억 랜드의 임금을 잃었다.[27]

2018년 안전사고

2018년 1월, 악천후로 인한 정전으로 인해 거의 1000명의 광부들이 지하에 갇히게 되었다.이는 남아프리카 웰콤 근처의 베아트릭스 금광에서 발생했다.[28]갇힌 광부 중 일부는 사건 당일 구조됐고, 나머지 955명은 승강기 한 대에 전원이 복구돼 30시간여 만에 구조됐다.[29] 사건은 남아프리카공화국의 금속노조를 포함한 노동 조합으로부터 광산이 재개되기 전에 안전 문제를 해결하라는 압력을 받았다.[30]

2018년 사망자 수

2018년 초 남아프리카공화국의 광산 사망자 45명 중 20명이 시바니예 스틸워터에서 발생했다.당시 그네데 만타셰 광물자원부 장관은 "현재까지 45명의 사망자 중 20명이 한 회사 사람이라는 사실이 매우 우려된다"[31]고 개탄했다.몇 주 후에 또 다른 사망자가 보고되었다.[32]

2019년 파업

2019년에는 5개월간의 격렬한 파업으로 9명이 사망하고,[33] 주택 62채가 불에 탔으며,[34] 어린이들을 포함한 여러 명이 부상을 입었다.파업은 임금 분쟁으로 시작됐지만 노조간 폭력의 중심이 됐다.시바니예-스틸워터 대변인 제임스 웰스테드는 NUMAMCU 소속의 500명 이상의 광산 노동자들과 그들의 가족들은 상황이 너무 위험해서 대피해야 했다고 말했다.

탄소발자국

시바네예 스틸워터는 2020년 12월 31일 총 CO2e 배출량(직접 + 간접)을 6,433kt(-652/-9.2% y-o-y)로 보고했다.[35]아직까지 지속적으로 감소 추세에 대한 증거는 거의 없다.

시바네예 스틸워터의 총 CO2e 배출량(직접 + 간접) (킬로톤 단위)
2016년 12월 2017년 12월 2018년 12월 2019년 12월 2020년 12월
5,316[36] 6,402[37] 5,463[38] 7,085[39] 6,433[35]

참조

  1. ^ "Sibanye Stillwater Ltd Johannesburg Stock Exchange".
  2. ^ "NYSE". www.nyse.com.
  3. ^ 2012년 11월 29일, 시바네-스틸워터, 시바네-스틸워터 "회사 발표"2018년 4월 11일 회수.
  4. ^ 2013년 2월 11일자 파이낸셜타임스 민토, 롭 "골드필드와 시바네: 로우 스타트"2018년 4월 11일 회수됨.]
  5. ^ "Sibanye Gold acquires Cooke operations from Gold One". 21 August 2013.
  6. ^ "Joint announcement: Sibanye Gold to make a cash offer to acquire the entire issued ordinary share capital of Wits Gold and cautionary announcement". 11 December 2013.
  7. ^ "Sibanye Gold Agrees To Buy Aquarius Platinum For $294 Million". Kitco. 6 October 2015. Retrieved 13 May 2016.
  8. ^ (PDF) https://thevault.exchange/?get_group_doc=245/1477984626-SibanyetakesownershipoftheRustenburgPlatinumMinesandimplementsmanagementchanges_1Nov2016.pdf. {{cite web}}:누락 또는 비어 있음 title=(도움말)
  9. ^ 2012년 11월 29일, 시바네-스틸워터 "역사"2018년 4월 11일 회수.
  10. ^ MarketScreener. "Media release: Sibanye-Stillwater changes NYSE ticker symbol from SBGL to SBSW to highlight new corporate structure and diversified asset mix MarketScreener". Retrieved 2021-01-03.
  11. ^ "Keliber".
  12. ^ Sibanye-Stillwater, Financial Annual Report (2020). "Annual reports". Sibanye-Stillwater. Retrieved 2021-07-21.
  13. ^ Sibanye-Stillwater, Integrated Report (2020). "Annual reports". Sibanye-Stillwater. Retrieved 2021-07-21.
  14. ^ (PDF) https://thevault.exchange/?get_group_doc=245/1581407142-sibanye-stillwater-finalisation-scheme-internal-restructuring-11feb2020.pdf. {{cite web}}:누락 또는 비어 있음 title=(도움말)
  15. ^ "South Africa's Marikana mine closed by 'intimidation'". BBC News. 2012-08-27. Retrieved 2022-02-07.
  16. ^ "NUM: Lethal force ahead of Marikana shootings was justified". Mail & Guardian. 22 October 2012. Retrieved 23 October 2012.
  17. ^ a b Sacks, Jared (2012-10-12). "Marikana prequel: NUM and the murders that started it all". Daily Maverick. Retrieved 2022-02-28.
  18. ^ "South Africa: Marikana massacre – a turning point?". Links. 27 August 2012.
  19. ^ "NUM shot at us – witness". Independent Online. 2 October 2012.
  20. ^ "Marikana 20 years in the making". Business Report. 21 October 2012. Retrieved 23 October 2012.
  21. ^ "Lonmin an example of exploitation". www.iol.co.za. Retrieved 2022-02-07.
  22. ^ News, Taiwan (2014-05-13). "South Africa: 3 miners killed during strike Taiwan News 2014-05-13 17:42:01". Taiwan News. Retrieved 2022-02-07.
  23. ^ "Three workers killed amid platinum belt strike - NUM". The Mail & Guardian. 2014-05-12. Retrieved 2022-02-07.
  24. ^ "Union says wage deal to end South African platinum strike is imminent". Reuters. June 13, 2014. Retrieved June 29, 2014.
  25. ^ "Marcus warns on mine strike". Business Report. IOL. June 10, 2014. Retrieved July 1, 2014.
  26. ^ "South Africa hit by engineering strike". BBC News. 2014-07-01. Retrieved 2022-02-07.
  27. ^ Maylie, Devon (2014-06-23). "South African Platinum Miners Agree to End Strike". Wall Street Journal. ISSN 0099-9660. Retrieved 2022-02-07.
  28. ^ Batchelor, Tom (1 February 2018). "Nearly 1,000 miners trapped underground in South Africa". The Independent. Retrieved 3 February 2018.
  29. ^ Heiberg, Tanisha; Macharia, James (2018). "Workers trapped underground in South Africa gold mine rescued". Reuters. Retrieved 4 February 2018.
  30. ^ Motau, Koketšo (2 February 2018). "Numsa demands closure of Sibanye-Stillwater mine amid probe". Eye Witness News. Retrieved 4 February 2018.
  31. ^ "20 out of 45 mining deaths in 2018 have been at Sibanye-Stillwater mines: Mantashe". TimesLIVE. Retrieved 2022-02-07.
  32. ^ Cotterill, Joseph; Sanderson, Henry (2018-06-26). "Sibanye-Stillwater's safety record under fire". Financial Times. Retrieved 2022-02-07.
  33. ^ "Deadly cost of Sibanye-Stillwater gold miners' strike". The Mail & Guardian. 2019-04-30. Retrieved 2022-02-07.
  34. ^ "South Africa's mines minister calls on police to quell violence at Sibanye mine". Reuters. 2019-03-05. Retrieved 2022-02-07.
  35. ^ a b "Sibanye Stillwater's Annual Report for 2020Q4"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July 17, 2021. Alt URL
  36. ^ "Sibanye Stillwater's Annual Report for 2018Q4"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September 30, 2020. Alt URL
  37. ^ "Sibanye Stillwater's Annual Report for 2019Q4"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February 3, 2021. Alt URL
  38. ^ "Sibanye Stillwater's Annual Report for 2020Q4"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July 17, 2021. Alt URL
  39. ^ "Sibanye Stillwater's Annual Report for 2020Q4"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July 17, 2021. Alt URL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