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그문트 조이스
Sigmund Zois
지그문트 조아 프리허르 폰 에델슈타인은 보통 지그문트 조아(Siga Zois, 전에는 슬로베니아어로 Cojs 또는 Cojz; 발음(Help·info)(1747년 11월 23일 – 1819년 11월 10일)는 카르니올란 귀족이자 자연과학자, 예술 후원자였다.그는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의 슬로베니아 땅에서 계몽주의 시대의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
가족
지그문트의 아버지 미켈란젤로 조이스(1694년–1777년)는 롬바르디[1] 출신의 상인으로서, 뤼블랴나로 이주하여 철과 지뢰를 다루는 데 상당한 재산을 모았다.그의 두 번째 결혼은 카푸스 폰 피켈슈타인 가문 출신의 카르니올란 귀족 여성과의 결혼이었다. 그는 1739년에 귀족이 되었고 1760년에 남작의 칭호를 받을 권리를 얻었다.그는 카르니올라와 카르스트 고원에 큰 땅을 소유하고 있었고, 지그문트는 그의 아버지의 저택 중 하나인 트리에스테에서 태어났다.[2]
조이스 어머니 쪽에 있는 카니올란 귀족 가문 카푸스 폰 피켈슈타인은 상 카르니올라에 있는 캄나 고리카에서 수세기 동안 살았던 번영한 가문이었는데, 그 집안은 아마도 12세기 이후, 중세 말기부터 철 주조장과 철광산을 소유해 왔다.마르쿠스 안토니우스 카푸스 폰 피켈슈타인 (1657–1717)은 소노라에서 예수회 선교사로 일했다.거기서부터 그는 비엔나에 있는 그의 친구들과 카르니올라에 있는 그의 친척들에게 편지를 썼다.이 편지들에서 그는 아리조나와 캘리포니아의 연구 탐험에 의한 발견을 묘사했고 생활 조건, 기후, 그리고 다른 세부 사항들을 묘사했다.마르쿠스 안토니우스의 조카인 카롤루스 카푸스 폰 피켈슈타인은 이탈리아의 유사 학원의 예시를 거쳐 1693년 류블랴나에 설립된 아카데미오페로소룸의 회원이었다.슬로베니아의 작가 겸 출판사인 블라디미르 카푸스 폰 피켈슈타인(1885~1943)도 카푸스 가문 출신이다.
교육
지그문트 조아는 여러 사립학교에 다닌 후 모데나의 뒤취에 있는 레지오(Reggio)로 옮겨 교육을 계속하였다.그는 여행을 하고 새로운 지인을 사귀는 것을 즐겼다.그러나, 그의 삶의 방식은 곧 통풍으로 인해 잘려나가게 되었는데, 통풍은 그가 평생 앓게 될 병이었다.사업을 보조하기 위해 류블랴나로 돌아온 뒤 가브리엘 그루버, 주세페 마페이 등과 함께 자연과학을 공부했고 1777년 아버지의 재산을 물려받았다.경제 주체들의 경영을 사촌에게 맡긴 그는 과학에 대한 강한 관심을 키워 1773년부터 1787년까지 류블랴나에서 해부학을 가르쳤던 발타자르 하케와 당시의 몇몇 슬로베니아 지식인들을 만나기 시작했다.
조이스 서클
1780년대 초 그의 루블랴나 저택은 슬로베니아 계몽주의의 중심에 있는 진보적 지식인들의 육성 센터가 되었다.쥬리 자펠즈와 블라예 쿠메르데즈(두 사람은 슬로베니아어로 성경을 출판), 안톤 토마히 린하트, 발렌틴 보드니크 (1793년부터), 제르네 코피타 (1803년부터)는 '조이스 서클'로 알려지게 된 가장 두드러진 회원이었다.조아는 그들의 후원자였고, 그들을 멘토링하고 그들의 문화적, 과학적 노력에 필요한 재정적 지원을 해주었고, 따라서 슬로베니아 계몽주의의 중심 인물이 되었다.그는 신파였고 그의 견해는 합리적이고 경험적이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프랑스 혁명에 강력히 반대하였고 레오폴트 2세의 온건한 계몽적 헌법주의를 지지하였다.
류블랴나에서는 조이스가 도로 건설, 식물원 및 (독일)극장(주주가 된 독일)의 설립과 후원, 리셀 도서관의 증설을 주도하고 후원하였다.그의 과학분야에서의 큰 헌신은 1783년 정란을 일으켰고 주아의 관리인들에 의해 억압된 그의 영지에 있는 농부들의 요구를 무시하는 데 대조를 이루었다.프랑스 혁명 후에야 그는 자신의 재산을 염려하여 신하들에게 의무를 명령했다.
1784년 조아는 프랑스의 지질학자 겸 광물학자 데오다트 그라테 드 돌로미외(Déodat Gratet de Dolomieu)의 방문을 받았다.[3]1797년부터 지그문트 조아는 휠체어를 이용했고 더 이상 류블랴나에 있는 자신의 저택을 떠나지 않았다.
지그문트 조아의 문학적 오퍼스는, 비록 그의 작품의 극히 일부분만이 보존되어 있을 지라도, 오페라를 위한 아리아에서부터 민속 음악을 위한 가사에 이르기까지, 많은 문학적 형식과 장르를 포함한다.고트프리드 아우구스트 버거의 시 레노레 번역은 완전한 실패로 간주되었고, 조이스 자신도 나중에 슬로베니아인이 그러한 문학적인 업적을 인정하기에는 "너무 평범하고 거칠다"는 결론에 도달했다.그는 불과 몇 십 년 후에 프랑스 프레셰렌에 의해 반증될 것이다. 그는 같은 시의 복잡하고 예외적인 번역을 가까스로 작곡했다.주아 역시 슬로베니아 문학비평의 아버지로 평가받고 있으며, 그의 문학평론 대부분은 발렌틴 보드니크와의 서신에서 찾을 수 있다.
당대 가장 부유한 카르니올란으로 여겨졌던 조이는 류블랴나에서 세상을 떠났다.그의 장례식에는 많은 군중이 참석했다; 오늘날까지, 장례식은 1912년 안톤 아슈커크의 장례식과 1917년 제인즈 에반젤리스트 크렉의 장례식과 함께, 이 도시에서 열린 가장 큰 장례식의 하나로 여겨지고 있다.
과학 및 수집 작업
조아는 특히 광물학자와 지질학자로 알려져 있었다.1795년, 그는 Triglav산 주변의 땅을 탐험하기 위해 두 개의 탐험대에 올랐다.1805년 아브라함 고틀롭 베르너는 광물 조아제를 묘사하고, 카린시아의 사알페에서 시료를 보내 준 조아의 이름을 따서 이름을 지었다.[4]그의 광물 수집품(약 5,000점)은 슬로베니아 자연사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5]
그는 또한 식물학과 동물학에도 관여했다.[6]그의 조류학 저술, 특히 노멘클라투라 카르니올리카는 카르니올라에 사는 대부분의 새들의 슬로베니아 이름들에 대한 최초의 기록을 담고 있으며 슬로베니아 조류학 명칭의 기초가 되었다.[7]그는 그의 동생인 식물학자 칼 조이의 작품을 지지했는데, 그는 무엇보다도 이전에 알려지지 않았던 카르니올란 꽃인 캄파눌라 조이시를 발견했다.
주문, 장식 및 메달
- 레오폴트 훈장 지휘관 십자가
슬로베니아에서 가장 높은 국가과학상은 물론 재능 있는 학생들을 위한 국가 차원의 장학금도 그의 이름을 따서 붙여졌다.
원천
참고 항목
참조
- ^ "Zois plemeniti Edelstein, Michelangelo (1694–1777)". Slovenski biografski leksikon. Retrieved November 28, 2017.
- ^ Stanko Janež (1971). Živan Milisavac (ed.). Jugoslovenski književni leksikon [Yugoslav Literary Lexicon] (in Serbo-Croatian). Novi Sad (SAP Vojvodina, SR Serbia): Matica srpska. p. 64.
- ^ Šumrada, Janez (2001). "Žiga Zois in Déodat de Dolomieu". Kronika: časopis za slovensko krajevno zgodovino [The Chronicle: The Newspaper for the Slovenian History of Places] (in Slovenian and English). Association of Slovenian Historical Societies, Section for the History of Places. 49 (1/2): 65–72. ISSN 0023-4923.
- ^ Flint-Rogers, Austin (1937).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Minerals. McGraw-Hill Book Company. p. 478.
- ^ "Zois Mineral Collection". National History Museum of Sloveni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April 2013. Retrieved 2 May 2012.
- ^ Gspan-Prašelj, Nada (2009). "Zois Žiga pl. Edelstein". In Vide Ogrin, Petra (ed.). Slovenski biografski leksikon [Slovene Biographical Lexicon] (in Slovenian). ISBN 978-961-268-001-5.
- ^ Tomaž, Jančar (1999). "Nomenclatura carniolica barona Žige Zoisa - ob 200. obletnici rokopisa" [Nomenclatura carniolica of baron Sigmund Zois – On 200th Anniversary of the Manuscript]. Acrocephalus (in Slovenian and English). Slovenian Society for the Protection and Study of Birds. 20 (94/96): 71–86.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지그문트 조이스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