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라니온
Silanion
플라톤, 실라니온 작품의 로마본(글립토텍, 뮌헨)
실라니온(그리스어: σιλανωωωω, gen. σιλανωωωω)는 기원전 4세기 동안 활동한 그리스 초상화-스컬프터 중 가장 잘 알려진 인물이었다.[1] 플리니 감독은 제113회 올림피아드, 즉 기원전 328~325년경(자연사, 34.51)에 플로리우트를 수여하고, 유명한 스승이 없었던 기록을 남겼다. 그러나 실라니온의 알려진 두 작품 중, 그의 이상화된 초상화 헤드는 페르시아의 미트리다테스가 아테네 아카데미를 위해 의뢰한 것으로,[2] 기원전 370년경이며, 그 중 이상화된 초상화 헤드의 경우, 살아남은 사본의 수가 위원회의 명성과 상관될 수 있다면, 이후 사본은 살아남는다. 둘 다 초상화 시대 이전에 삽호(기원전 6세기)가 살았던 이래 초상화가 아닌 단순한 이상형이다.[3] 플라톤의 가장 좋은 사본은 뮌헨의 글리토텍에 있다.[4]
실라니온은 시인 코린나의 '상'도 제작했다. 실라니온의 또 다른 '상'은 신화와 전설적인 영웅들을 불러일으켰다. 플리니에 의해 언급된 아킬레우스는 나중에 아레스를 대표하도록 각색되었고,[5] 똑같이 이상화된 테세우스는 플루타르크가 언급하였다.
실라니온은 비트루비우스(vi, 소개)가 언급하는 비율에 관한 논문을 썼지만, 그렇지 않으면 시대에 뒤떨어져 버렸다.
참조
- ^ 에두아르트 슈미트 (Eduard Schmidt, Archieologischen Jahrbuch, 47 (1932년) 246ff, 49 (1934년) 180ff.
- ^ 디오게네스 라에르티우스(3.25)에 따르면 프루시누스는 자신의 기념품에서 프루시누스를 신뢰하고 있다.
- ^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1911년 11월 11일, S.v. "실라니온", F.D. 라젠비, "다스 빌드니스 데어 삿호", 1967년.
- ^ 로마 카피톨린 박물관의 또 다른 사본; 더 많은 사본은 아테네의 국립 박물관에 있다.
- ^ 미국 고고학 저널인 S. 래티모어 "아레스와 영웅들의 머리들" 83.1 (1979년 1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