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나 마스 그룹

Sinar Mas Group
시나 마스
이전에시나르 마스 그룹(1938-2006)
유형사설
산업대기업
창시자에카 츠지프타 위자자
본부,
웹사이트www.sinarmas.com/en/

시나르 마스(간체 중국어: 金光集团, 전통 중국어: 金光集團, 핀인: Junguan Jituan)는 인도네시아에서 가장 큰 대기업하나이다.1938년에 결성되었다.[1]아시아펄프앤페이퍼, 팜유 생산업체 PT스마트 등 수많은 자회사를 두고 있다.나다니엘 필립 로스차일드가 설립한 주요 광산그룹인 아시아자원광물 PLC로부터 푸간토 위자자가 주도한 인수합병(M&A)[2]으로 베라우 석탄에너지를 인수했다.

시나르 마스는 인도네시아의 중국 재벌 에카 츠지프타 위자자(黄黄聪)가 설립한 회사다.

시나 마스 사업은 펄프 & 페이퍼, 부동산, 금융 서비스, 농업, 통신, 광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운영되고 있다.이들 기업은 인도네시아와 싱가포르 증권거래소에 상장돼 있다.

사업단위

후탄 타남 공업리 벵칼리스(Hutan Taman Industri Benkalis)는 벵칼리스 리젠시에 시나르 마스(Sinar Mas) 회사인 PT 아라라 아바디가 개발한 산업용재배지다.

비판과 논란

기본값

2001년 시나 마스의 자회사인 아시아펄프앤페이퍼(APP)는 140억 달러 규모의 채권과 대출에 대해 중단 조치를 취했고, 아시아 시장 역사상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여전히 가장 큰 채무 불이행인 이자 지급을 포함한 채무 상환을 중단했다.[5]2018년 8월 15일 반포레스트 마피아 연합은 2013년 2월 APP의 산림녹화 금지약속을 위반해 동칼리만탄의 APP 공급업체 2곳이 3만2천ha에 가까운 자연림을 개간했다는 내용의 보고서를 발간했다.[6]이에 앞서 APP와 그 펄펄우드 공급업체들은 이 지역에서 거의 30년 동안 삼림 벌채와 관련 파괴의 역사를 가지고 있었다.APP는 이에 따라 2007년 10월부터 산림경영협의회가 해체한 세계 3대 기업 중 하나로 남게 됐다.[7]2018년 9월 7일 세계자연기금(WWF)은 공개적으로 기업과 재무적 투자자들이 APP 및 제휴사와의 사업 관계를 종료할 것을 권고했다.[8]

시나르 마스는 2015년 APP 시나르 마스를 통해 기존에 진행했던 다양한 공공 역량 강화 프로그램 개발로 '데사 막무르 페둘리 아피(DMPA)' 프로그램을 선보였다.원래 DMPA는 회사 양허지역 주변의 산림과 토지의 화재와 침해를 완화하기 위해 시작되었다.그러나 개발 과정에서 DMPA의 역할은 보다 총체적이 되어 완화되었을 뿐만 아니라, 친환경 임업과 지역 내 테뉴어 분쟁을 근절함으로써 마을 주민들의 자급자족도 발전시켰다.[9]

베라우 석탄

Berau Capital Resources Pte는 2015년에 4억 5천만 달러 어치, 12.5% 보증된 선순위 담보권을 발행했다.PT 베라우 석탄에너지도 2017년 5억 달러어치 7.25% 보증어음을 발행했다.2015년 노트와 2017년 노트 모두 현재 디폴트 상태다.베라우 그룹은 2015년 7월부터 세계 석탄 가격이 두 배로 오른 상황에서 '솔직히 모욕적'이라고 표현된 용어들로 4차례의 합의/모라토리엄 절차를 별도로 가져왔다.[10]어떤 계획도 성공하지 못했다.[11]

환경 문제

시나마스 그룹의 야자유 생산 자회사인 스마트 트브크는 그린피스에 의해 인도네시아 열대우림삼림파괴를 초래했다는 비난을 받았다.[12]스마트 tbk는 이 같은 혐의를 조사하기 위해 보고르농업연구원 소속 연구원 2명의 도움을 [13]받아 콘트롤 유니온 인증BSI그룹을 선임했다.[14]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의 안개

시나르 마스는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에 위험한 수준의 스모그를 보낸 8개 회사 중 하나이다.그러나 회사측은 양허지역 내 산불이 발화를 일으킨 회사가 그 회사라는 뜻은 아니라고 말했다.시나르 마스는 2013년 이후 삼림 벌채에 관여하지 않았고 1997년 이후 불타기 정책을 펴고 있다.[15]

유니레버

유니레버는 2009년 12월 스마트 tbk가 용인할 수 없는 환경 관행에 관여하지 않는다는 충분한 증거를 제시하지 못했다는 우려 등을 들어 스마트 tbk의 팜유 구매를 중단했다.[16]다만 유니레버는 시나르 마스와 유니레버가 구성한 독립감사관이 산림파괴 혐의를 반증할 경우 팜오일 매입을 재개할 계획이다.[17]

네슬레

2010년 3월, 네슬레는 널리 퍼진 열대우림과 오랑우탄 서식지 파괴의 원인으로 보고된 시나르 마스로부터 야자유를 조달하여 대중의 평판 위기에 직면했다.[18]대중의 평판 재앙을 피하기 위해 네슬레는 시나르 마스로부터 야자석유를 조달하는 것을 막기 위해 재빨리 움직였다.시나르 마스가 독립 감사인을 선임해 이 문제를 조사한 후 네슬레는 위원회에 참여했으며 혐의가 소명되면 시나르 마스로부터 팜유 조달을 재개할 수도 있다.[19]2010년 8월 네슬레 회장 피터 브래벡-레마테는 자신의 회사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잘못되었다고 말했다.그는 "인도네시아에서 삼림파괴를 초래한 것은 네슬레의 야자유가 35만t이 아니라는 것은 잘 알고 있을 것"이라며 "식량을 바이오연료의 원천으로 삼으려는 정치적 결정"이라고 말했다.영국과 독일만 50만톤의 야자유를 소비했다고 그는 말했다.

아벤고아

2010년 5월 아벤고아 바이오에너지는 인도네시아 시나르 마스 그룹의 어떤 회사에서도 아벤고아의 환경·사회적 지속가능 정책을 완전히 준수한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을 때까지 원료 공급 업체에 팜유를 보이콧할 것을 요청했다.[20]

HSBC

2010년 5월 그린피스 캠페인의 초점은 HSBC로 옮겨가 시나 마스 주식 매각을 요구했다.[21]HSBC는 시나르 매스그룹의 팜유 계열사인 골든아그리리리리리소스 주식회사(이하 골든아그리리리리소스)가 자사 기후변화기금(Climate Change Fund)[22] 등 자산운용 펀드를 통해 지분을 보유하고 있음을 시인한 바 있다.이 은행의 윤리적인 임업 정책에 따르면, 이 은행은 2004년 6월 이후 자연림에서 전환된 농장에 대해서는 자금을 조달하지 않을 것이지만, 이 규정은 자산 관리 기금에는 적용되지 않았다.[23]

2010년 7월까지 HSBC는 그린피스에 그 주식들이 팔렸다는 것을 알리기 위해 편지를 썼다.[22]

까르푸

까르푸는 2010년 7월 시나르 마스를 납품업체로 떨어뜨렸다.[24]까르푸는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올해 중순부터 민간 라벨 제품에 대한 APP 공급 소싱을 추후 공지할 때까지 중단하기로 했다.까르푸 인도네시아의 헨드리 사트리오 대외통신부장은 서한에서 자카르타 포스트에 이렇게 말했다.[25]

버거킹

2010년 9월, 버거킹은 더 이상 시나 마스에서 팜 오일을 공급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이들은 성명을 내고 "컨트롤 유니온 인증(CUC)과 BSI그룹실시한 독립 검증 보고서에 대한 철저한 검토를 마친 이번 보고서가 시나르 마스의 팜유 생산의 지속가능성 관행과 열대우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타당한 우려를 제기했다고 본다"고 밝혔다. 이러한 관행은 기업의 책임 약속과 일관되지 않는다."[26]

마텔

2011년 6월 7일 그린피스마텔이 펄프와 종이 생산자를 바꾸도록 인지도를 높이고 장려하기 위한 글로벌 캠페인인 "바비, 끝났어"를 시작했다.[27][28]마텔은 시나 마스 그룹의 자회사인 아시아 펄프앤페이퍼에서 소싱한 종이를 제품 포장에 사용하며, 특히 바비 인형 라인의 포장에 사용한다.[29]

전시 & 컨벤션 센터

시나르 마스랜드콤파스 그라메디아 그룹과 함께 인도네시아 최대 컨벤션 및 전시장인 부미세르퐁 다마이 22ha의 땅에 ICE를 건설했다.[30]2012년 시작해 2016년 완공된 ICE는 10개 전시관과 컨벤션센터, 300실 규모의 호텔 등을 현장에 갖추고 있다.이 센터는 하루에 최소 20만 명의 방문객과 1만 명의 공연장을 수용할 수 있을 것이다.[31]

박애주의

최근 이 회사는 교육, 빈곤, 재생에너지에 초점을 맞춘 자선재단인 Eka Tjipta Foundation을 설립했다.인도네시아 기록박물관(MURI)의 자야 스프라나(Jaya Suprana)가 국내 최대 대기업 중 하나인 시나르 마스 산하 비영리 단체인 에카 츠지프타 재단에 '특정 기간 중 학부생에게 가장 많은 장학금을 주는 것'[32]이라는 내용의 수료증을 제시했다.

후원

시나 마스 그룹은 인도네시아 농구 국가대표팀의 후원자였다.

참조

  1. ^ "Sejarah Eka Tjipta Widjaja Bangun Kerajaan Bisnis Sinar Mas". Detik Finance. 2019-01-27.
  2. ^ ""Fuganto Widjaja, Sinar Mas: a new start in Indonesia"". Financial Times. 2015-08-30.
  3. ^ http://markets.ft.com/research/Markets/Tearsheets/Business-profile?s=SMAR:JKT
  4. ^ http://www.smart-tbk.com
  5. ^ ""A Notorious Name Returns to the Bond Markets"". Wall Street Journal. 2018-02-09.
  6. ^ ""APP and APRIL violate zero-deforestation policies with wood purchases from Djarum Group concessions in East Kalimantan"" (PDF). Auriga.or.id. 2018-08-15.
  7. ^ "Asia Pulp and Paper (APP)". Forest Stewardship Council.
  8. ^ ""WWF advisory to buyers and investors of the Sinar Mas Group/Asia Pulp & Paper (SMG/APP)"". Wwf.panda.org. 2018-09-07.
  9. ^ "APP Sinar Mas village program gets govt's appreciation". Jakarta Post. 2017-12-14.
  10. ^ "Coal Prices".
  11. ^ "Release of Claims Against 3rd Parties in Schemes of Arrangement" (PDF). Rajah & Tann Asia. March 2018.
  12. ^ "Caught Red-Handed: How Nestlé's Use of Palm Oil is Having a Devastating Impact on Rainforest, The Climate and Orang-utans Greenpeace International". Greenpeace.org. 2010-03-17. Retrieved 2014-02-26.
  13. ^ "SMART Appoints Control Union Certification and BSI Group to Verify Greenpeace Reports" (PDF). Smart-tbk.com. 1 April 2010. Retrieved 2014-02-26.
  14. ^ "SMART Refutes Allegations Made on Greenpeace Website" (PDF). Smart-tbk.com. 5 July 2010. Retrieved 2014-02-26.
  15. ^ "Company blames haze crisis on illegal activities". The Jakarta Post. 1 October 2015.
  16. ^ "Unilever takes stance against deforestation Media centre Unilever Global". Unilever.com. Retrieved 2014-02-26.
  17. ^ "Unilever to resume buying CPO if Sinar Mas cleared". Reuters. 7 April 2010.
  18. ^ Tabacek, Kai (18 March 2010). "MIC: Guardian Sustainable Business, Palm oil (environment)". The Guardian. London.
  19. ^ "Nestlé committed to traceable sustainable palm oil to ensure no-deforestation Nestlé Global". Nestle.com. 2010-04-13. Retrieved 2014-02-26.
  20. ^ "News :: News Archive :: 2010 :: May" (Press release). Abengoa.es. 2010-05-10. Retrieved 2014-02-26.
  21. ^ "HSBC forest policy has loopholes you could drive a bulldozer through Greenpeace UK". Greenpeace.org.uk. 2013-12-28. Retrieved 2014-02-26.
  22. ^ a b Maung, Zara (8 July 2010). "MIC: Guardian Sustainable Business, Palm oil (environment)". The Guardian. London.
  23. ^ Maung, Zara (21 May 2010). "Greenpeace links HSBC climate change fund to deforestation". The Guardian. Retrieved 20 April 2016.
  24. ^ "Carrefour drops products from Indonesia's APP". Reuters. 7 July 20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2 July 2010.
  25. ^ "Sinar Mas reels from PR woes as Carrefour ends deals". The Jakarta Post. 2010-07-07. Retrieved 2014-02-26.
  26. ^ "Burger King drops palm oil supplier linked to Borneo rainforest destruction". Mongabay.com. 2 September 2010. Retrieved 2014-02-26.
  27. ^ [1] 2011년 6월 10일 웨이백 머신보관
  28. ^ Sarah Anne Hughes (2011-06-08). "Greenpeace protests Barbie at Mattel headquarters". The Washington Post.
  29. ^ "How Sinar Mas is Pulping the Planet" (PDF). Greenpeace.org. Retrieved 2014-02-26.
  30. ^ Mimi Hudoyo. "New Indonesia Convention Exhibition centre to boost space by 25%". TTGmice. TTGmice.com. Retrieved 27 April 2015.
  31. ^ [2] 2011년 10월 26일 웨이백 머신보관
  32. ^ "Eka Tjipta Foundation receives MURI Award". The Jakarta Post. 2010-07-30.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