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 우호 동맹 상호 원조 조약
Sino-Soviet Treaty of Friendship, Alliance and Mutual Assistance서명된 | 1950년 2월 14일( |
---|---|
유효 기간 | 1979년 2월 16일 ( |
서명자 | |
파티들 |
The Sino-Soviet Treaty of Friendship, Alliance and Mutual Assistance (Russian: Советско-китайский договор о дружбе, союзе и взаимной помощи, simplified Chinese: 中苏友好同盟互助条约; traditional Chinese: 中蘇友好同盟互助條約; pinyin: Zhōng-Sū Yǒuhǎo Tóngméng Hùzhù Tiáoyuè), or Sino-Soviet Treaty of Friendship and Alliance for short, was a bilateral treaty of alliance,1950년 2월 14일 중화인민공화국과 소련 사회주의 공화국 연합 사이에 체결된 집단 안보, 원조 및 협력.이는 국민당 정부가 체결한 이전의 중-소 조약보다 우선했다.
이 조약은 마오쩌둥(毛澤東)의 외교정책 지령(사회주의 진영 편들기)과 스탈린의 동구권 영향력 확대에 대한 전략적 이념적 고려에서 비롯된 것으로, 중국 공산정권 수립과 냉전 대립을 배경으로 체결됐다.아시아. 중국 공산당 마오쩌둥 주석은 이 조약에 서명하기 위해 소련을 방문했는데, 그는 평생 중국을 떠난 단 두 번 중 한 번이었다.그 조약은 중·소 협력과 파트너십의 토대를 마련했다.그것은 중국에 안전 보장을 제공하고 양국간의 경제 협력의 범위를 증가시켰다.그러나 이 조약은 중-소 분단 기간인 1950년대 후반부터 1960년대 초반까지 중국과 러시아 사이의 관계가 급격히 악화되는 것을 막지는 못했다.
1979년 조약 만료 후 덩샤오핑은 중국이 아프가니스탄 철군, 몽골과 중-소 국경에서 군대를 철수시키고 베트남의 캄보디아 [1]침공 지원을 중단하는 등의 요구에 동의하지 않는 한 중국이 소련과 협상하지 않기를 바랐다.조약이 만료됨에 따라 중국은 제3차 인도차이나 전쟁에서 소련의 동맹국인 베트남을 공격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조약은 중국이 소련 동맹국들을 공격하는 것을 막았기 때문이다.
배경
얄타 협정
제2차 세계대전 말기에 스탈린은 전후 극동에서 소련을 위한 두 가지 전략적 목표를 확인했는데, 그것은 지정학적 영토 [2]안보를 보장하기 위해 외몽골의 중국으로부터의 독립과 차르주의 러시아의 세력권 회복이다.이를 위해 루스벨트, 스탈린, 처칠은 1945년 2월 11일 얄타 회의에서 소련이 국민당 정부를 [3]공산당에 관계없이 중국의 합법 정부로 인정하는 협정을 맺었다.미국으로서는 소련이 하루빨리 대일전쟁에 뛰어들어 국민당을 중국의 유일한 합법정부로 지지하기를 희망했다.그 대가로 미국은 소련이 국민당을 설득하여 외몽골의 소련 [4]법제를 인정하도록 도울 것이다.당시 국민당과 공산당의 관계는 매우 긴박했고, 장제스는 공산당과의 [5]갈등에 대처하기 위해 항상 미국과 소련에 도움을 청하는 경향이 있었다.따라서, 비록 어느 당 대표도 얄타 회의에 오지 않았지만, 루즈벨트는 여전히 중국의 문제를 포함하는 모든 조약은 국민당과의 우호관계 때문에 협정에 장쩌민의 승인이 필요하다는 것을 분명히 했다.그 후, 중국 국민당 정부에 소련의 조건을 받아들이도록 강요하기 위해, 소련 홍군은 중국 동북부에 대거 진출했고, 장제스가 이끄는 국민당 정부는 중소 [6]우호 동맹 조약에 합의할 수 밖에 없었다.
관심 수렴
이후 내전에서 공산당이 승리하면서 아시아와 극동의 양상을 근본적으로 바꿔 소련이 [7]대중국 정책을 재평가하고 조정하도록 강요했다.중국과 소련의 요구는 어떤 면에서는 공통적이고 상호적이었다.냉전의 국제 체제에서 미국 주도의 자본주의 세계에 대항하는 공산주의 블록의 힘을 강화하기 위해 스탈린은 CCP의 지도 아래 있는 중국을 동아시아에서 [8]소련의 세력권에 대한 미국의 침해를 견제하는 실행 가능한 파트너로 보았다.중국 공산당은 또한 통치를 공고히 하고 공산주의 정권을 [9]전복시키려는 미국의 시도를 억제하기 위한 투쟁에서 소련의 지원과 지원이 필요했다.비록 중국 공산당이 최후의 승리를 거두었지만, 전쟁으로 인해 많은 문제들이 남겨졌다.따라서, 중국은 재건, 경제 개발, 산업 생산에서 소련의 지원이 필요했다.게다가 중국과 미국 주도의 서방 진영 사이의 이념적 반대와 적대감은 소련과의 [10]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외교 관계 수립을 필요로 하는 서방의 지원을 받을 가능성을 배제했다.
조약의 이행에 대한 태도
그러나 양당 지도부는 조약의 내용과 이행에 대해 서로 다른 견해를 보였다.스탈린은 새로운 조약이 얄타 협정의 틀 아래 유지되기를 희망했다. 얄타 협정은 중국 [11]북동부 지역의 소련 기득권을 보장했다.반면 마오는 중국의 독자적인 대외 이미지를 확립하고 제국주의 열강에 의해 부과된 모든 불평등 조약을 폐지하는 데 몰두했다.중화인민공화국이 수립된 후 중-소 동맹 조약의 타결은 중국 지도자들이 외교 활동을 하고 결정을 내려야 하는 시급한 문제가 되었다.따라서 외교 문제에 대한 마오쩌둥의 첫 번째 고려사항은 스탈린과 직접 대화하고 새로운 중-소 조약을 체결하는 것이었다.
서명 이유
1945년부터 1949년까지 지속된 제2차 중일전쟁과 내전을 거치면서 새로 수립된 공산당 정권은 파괴적인 경제와 불안정한 사회정치 환경을 물려받았다.중소 우호 동맹 상호 원조 조약의 체결은 중국 공산당과 소련의 협력 관계를 구체화했다.중국의 목적은 국내 발전을 위한 소련의 경제적 지원을 확보하고 KMT 정부와 [12]소련 사이에 체결된 1945년 중-소 조약을 대체하는 것이었다.
중국 국내 상황
본토에서 KMT의 존재를 축출하는 성공적인 군사 작전에도 불구하고, 수년간의 장기전으로 인해 공산 정권은 파괴된 산업 기지를 갖게 되었고, 그 중 일부는 내전의 후반기에 KMT 공군에 의한 산업 중심지에 대한 심한 폭격으로 인해 야기되었다.예를 들어, 1949년 10월부터 1950년 2월 사이에 KMT 공군은 공산 지배 지역의 군사 및 산업 목표물에 대한 26번의 공습을 수행하였고, 그 중 1950년 2월 6일 상하이 폭격이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지역 산업에 큰 피해를 입혔고, 이로 인해 생산이 중단되었다.전력망 [13]사용.중앙당 지도부는 그들이 직면한 상황, 즉 재정 지원, 장비, 산업 플랜트뿐만 아니라 국가 경제와 산업 [14]생산을 지시, 관리, 재개할 수 있는 유능한 전문가가 부족하다는 것을 잘 알고 있었다.소련 외교관이자 마오쩌둥과 원조 협상을 책임지고 있는 공산당 정치국원 아나스타스 미코얀은 그의 중국 동지들이 정치적으로 정교하지만 경제 메커니즘과 [15]정보에 대한 정보는 매우 제한적이라고 보고했다.
군사적 우려 사항
대만의 군사 점령은 내전 후반기에 최우선 순위에 놓였고 공산당의 승리가 [16]불가피해 보였을 때 중국과 미국 사이의 주요 적대감이 되었다.그러나 대만을 점령하는 데 있어 중요한 장애물은 양안 군사작전에 필수적인 공군과 해군의 기능적 병력의 부족이었다.장제스(張-石)는 조약 체결 당시 대만으로 후퇴했지만 국민당은 여전히 인민해방군보다 공해군 우위에 있어 인민해군이 불리한 위치에 놓였다.중국 공산당의 목선들이 잘 갖춰진 KMT 기갑 전함과 맞닥뜨리고 상륙 부대는 공중 엄호 없이 싸워야 했던 구닝터우 전투에서 PLA가 패배한 것을 반영한다.요격할 수 있는 공군의 부족은 [17]CCP에 의한 대도시의 압수 이후 KMT의 산업 목표물에 대한 빈번하고 방해받지 않는 공습으로 이어졌고, 이는 국가 공군과 해군을 건설하는 데 있어 소련의 지원의 중요성을 높였다.
주더 총리는 협상 초기에 항공기 100대, 헬기 100~200대 40~80 폭격기 40~80대 구입, 중국 조종사 1000명,[18] 소련 인력 300명 훈련 등을 제안했다.마오쩌둥은 또한 대만에 대한 계획된 공격에 대한 소련의 공중 지원을 희망한다고 밝혔으나 미국이 개입할 [19]빌미를 제공한다는 이유로 스탈린에 의해 거절당했다.
한쪽으로 기울다
마오쩌둥은 1949년 7월 1일 발간된 인민민주독재론에서 대립적인 사회당과 제국주의 진영으로 나뉘어진 세계를 구상한 한쪽으로 치우친 외교정책 지령과 "방어책 위에 앉아 있는 것은 아니며 제3의 [20]길도 없다"고 분명히 했다.따라서 국내외의 암울한 상황과 위협에 직면한 마오쩌둥은 20세기 중반 냉전의 틀 아래 공산주의 통치를 공고히 함으로써 소련 편을 들고 사회주의 진영에 합류할 필요성과 이익을 보았다.그는 사회주의 진영 내에서의 협력을 마오쩌둥은 착취의 가식이자 수혜국에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미국의 의제라고 여겼던 마셜 계획과 대조적으로 국가의 발전에 대한 호의와 성실한 지원으로 인식했다.경제 원조를 통한 급속한 산업화 실현이 주요 목표 중 하나였고, 이는 1950년 [21]조약의 원동력이 된 소련의 경제 및 기술 원조의 필요성을 만들었다.
이데올로기
제국주의 서방 진영과 소련 주도의 사회주의 진영 중 하나를 선택할 때 마오는 이념적 [22]근접성 때문에 소련 편을 들었다."제국주의"와 "개입주의"가 내포된 마셜 계획과 대조적으로, 소련의 원조는 세계 프롤레타리아 혁명군의 국제적인 지원으로 프레임에 들어 있었다.중국과 소련의 형제관계는 사회주의 국제주의와 일관성 있는 이데올로기 체제를 구현해 조약 체결에 박차를 가했고, 스탈린에 따르면 중국의 가입은 자본주의 진영에 대항하기 위한 강력하고 단결된 사회주의 진영을 형성해 사회주의 국제공조를 구성했다.자본주의 [23]체제보다 진정한 통기 체제
네고시에이션 프로세스
네고시에이션의 서막
12월 6일, 마오쩌둥은 마오쩌둥의 정치 사상 비서인 천보다, 마오쩌둥의 개인 비서인 예실루오, 마오쩌둥의 안보를 책임지는 왕둥싱, 마오쩌둥의 통역인 [24]시쩌와 함께 기차를 타고 모스크바로 갔다.마오쩌둥과 스탈린의 첫 공식 교류가 16일 밤 크렘린에서 열렸다.마오쩌둥은 먼저 중국의 가장 중요한 관심사는 평화 확보라고 주장했다.중국은 경제를 전후 수준으로 회복시키고 나라를 [25]안정시키기 위해 3~5년의 평화가 필요했다.중국의 주요 이슈의 해결은 평화에 대한 전망에 크게 좌우되었다.마오쩌둥의 우려는 일본이 아직 회복 중이기 때문에 중국에 대한 외세의 직접적인 위협은 없다고 대답한 스탈린에게 좋은 반향을 불러일으켰다.미국을 포함한 대부분의 서구 국가들은 또 다른 전쟁을 하는 것을 꺼렸다.스탈린은 또한 양국이 협력하고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한다면 20년에서 25년, 혹은 [26]그 이상 동안 평화를 보장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따라서 이 견해는 당시 중앙위원회(CCP)의 입장과 일치한다.
보기 전환
마오쩌둥은 마오쩌둥의 도착 전인 1949년 7월 류사오치(劉qi also)도 제기한 1945년 8월 소련과 체결된 우호동맹조약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따라서 중국 공산당은 이 문제를 매우 중시했고 소련과의 새로운 조약 체결이 [27]마오쩌둥의 주요 목표 중 하나였다.반면 스탈린은 KMT와의 기존 조약이 효력을 유지하는 것을 선호했다.스탈린은 이 조약의 협정은 쿠릴 열도, 남부 사할린, 항구 아더 등의 얄타 협정에 의해 규제되었다고 주장했다.즉, 조약의 체결은 미국과 영국에 의해 승인되었기 때문에 조약의 어떤 점에서도 변경되면 미국과 영국이 [28]얄타에서 소련의 영토 이익이었던 쿠릴 열도나 남부 사할린에 관한 사항을 변경할 수 있는 지렛대를 갖게 될 것이다.마오쩌둥의 새로운 조약에 대한 열망에 대해 스탈린은 현행 조약을 실제로 바꾸면서 공식적으로 유지할 가능성을 언급했다.예를 들어, 소련은 여전히 아더 항에 군대를 주둔시킬 권리를 유보하고, 동시에 CCP가 제안한 대로 아더 항에 병력을 철수시켰다.마오쩌둥은 얄타회의의 적법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완곡하게 반응했지만 중국 사회에서는 국민당이 이미 패배했기 때문에 기존의 우호 동맹 조약이 그 목적과 의미를 상실했다고 믿었다.스탈린은 결국 [29]기존의 조약이 바뀔 것이라고 주장했다.
터닝 포인트
새로운 조약에 대한 요청과 유사하게, 마오는 스탈린으로부터 다른 거절도 받았다.그 중 하나는 PLA가 대만을 공격한 것을 지원하기 위한 군사 원조였다.스탈린은 소련의 군사 원조가 미국이 [30]개입할 빌미를 줄 것이라고 주장했다.스탈린의 70번째 생일을 축하한 후, 마오는 새로운 조약 체결에 대한 그의 입장을 더욱 강화했지만, 그가 받은 것은 스탈린으로부터 더 많은 거절이었다.마오에 따르면, 마오는 스탈린과 여러 차례 연락을 시도했지만, 크렘린은 마오에게 스탈린이 집에 없다고 말하고 대신 스탈린의 동료들과 마오를 주선하려고 했다.마오는 계속 [31]기다리기로 결심했다.스탈린에 의해 마오가 억류되어 있다는 소문이 비밀리에 퍼지면서, 양당은 마침내 그 소문을 해결하기 위해 행동하기로 합의했다.그들은 마오를 소련 언론 타스와의 인터뷰에 초대하기로 결정했다.이 인터뷰는 또한 마오쩌둥과의 조약 논의에 전환점이 되었다.
합의 완료
1950년 1월 2일 스탈린은 마침내 마오쩌둥과 조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화를 시작하기로 합의했다.마오쩌둥은 3가지 제안을 내놓았다: 새로운 조약의 체결, 두 나라가 이전 조약에 관한 문제에 대해 합의했다고 주장하는 양국의 공식 발표, 그리고 마지막으로 새로운 [32]조약이 필요 없는 양국 관계 선언의 서명.마오쩌둥은 첫 번째 제안을 분명히 선호했는데, 그는 이것이 정치적으로, 특히 다른 제국주의 강대국들과의 대결에서 양국 모두에게 큰 이익을 가져다 줄 것이라고 주장했다.소련 측의 승인 후, 양당은 저우언라이의 모스크바 [33]도착을 주선했다.
저우언라이 총리는 1950년 1월 20일 중국 협상대표단과 함께 모스크바에 도착했다.일련의 준비 끝에, 협상은 1월 22일 저녁에 마침내 이루어졌다.소련 측 참가자는 스탈린, 몰로토프, 말렌코프, 미코얀, 비신스키, 페도렌코이며, 중국 측 참가자는 마오쩌둥, 저우언라이, 리푸춘, 왕자샹, 천보다, 시제(328쪽)[34]였다.이 협상은 1945년 8월 14일 우호 동맹 조약이 새로운 조약으로 대체될 필요가 있다는 합의에 도달했다.양측은 또한 포트 아더 문제에 대해 합의를 보았고 스탈린은 포트 아더에서 군대를 철수하기로 합의했다.그러나 양측은 중국 창춘철도에 대한 완전한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스탈린은 1945년 CCR 협정 기간을 단축하는 데 동의했지만 철도 운영을 중국에 넘기고 [35]중국 자본의 몫을 늘려달라는 중국의 요청을 거절했다.
조약 초안은 1950년 1월 23일 소련 측에서 중국 측에 처음 전달됐다.즉시 저우언라이는 저녁에 [36]중국 어음으로 화답했다.1950년에 체결된 중소 우호 동맹 상호 원조 조약에는 침략 방지, 평화와 안전을 위한 국제 행동, 원조 조항, 동맹 금지 조항, 일본과의 별도 협상 포기 조항, 협의 조항, 경제 및 문화 협력 조항이 포함되어 있다.도움.양측은 조약의 존속 기간이 30년간 [37]유지되어야 한다는 데 합의했다.조약, 협정, 메모는 1950년 2월 14일 [38]크렘린에서 정식으로 서명되었다.
조약 조건
일반 계약
제1조
일제의 부활을 막기 위해 한쪽에 대한 공격을 양쪽에 대한 공격으로 간주하는 집단 안보의 약속.양측은 침략과 전쟁에 직면했을 때 군사 및 다른 형태의 지원을 확대해야 했다.양 체약국은 국제 평화와 안보에 도움이 되는 협력 원칙을 준수하기로 약속했다.
제2조
서명국은 제2차 세계대전의 다른 동맹국들과 함께 일본과 평화협정을 체결해야 한다.
제3조
서명국은 상대방을 향한 연합과 동맹에 참여해서는 안 된다.
제4조
서명 당사자의 본질적 이익에 관한 주요 사안에 대한 상호 협의.
제5조
양당은 '동등한 권리, 상호 이익, 주권과 영토 보전에 대한 존중, 그리고 불개입'이라는 원칙을 고수하고 긴밀한 협력의 촉진, 경제적, 산업적 지원을 제공하기로 합의했으며 중국과 소련의 우호 강화를 위해 노력하기로 했다.
제6조
이 조약은 30년 동안 유효하게 되며, 만료 1년 전에 어떤 당사자도 이 조약에 이의를 제기하지 않을 경우 조약은 자동적으로 [39][40][41]5년 더 연장되어야 한다.
창춘철도, 아더항, 다롄항
양측은 일본과 평화조약이 체결될 때까지, 늦어도 1952년까지는 [42]창춘철도의 모든 권리와 관련 재산을 무료로 중화인민공화국에 반환하기로 합의했다.
소련은 일본과 평화조약을 체결하면 아더항 해군기지에서 군대를 철수시키고 1945년 이후 소련이 일으킨 건설 및 설치 비용은 중국 정부가 부담하게 된다.소유권이 넘어갈 때까지 [43]군사 업무를 감독하는 사후 순환 메커니즘을 갖춘 중소 합동 군사 위원회가 설치될 예정이었다.
다롄항의 소유권은 양당 대표들로 구성된 공동위원회 아래 소련이 임시로 [44][45]관리하던 관련 재산과 함께 중국으로 반환된다.
소련의 대중 차관
중국은 1950년 1월부터 철도와 산업 인프라, 장비, 재건 및 전쟁 [46][47]파괴로부터 복구하기 위한 자재 등의 형태로 연 6000만 달러, 연 1%의 금리로 총 3억 달러의 차관을 승인했다.
소련 전문가
소련 전문가는 중국의 기관, 산업, 조직에 파견되어 1년간의 고정 근무 기간으로 중국의 재건, 산업화, 경제 발전을 지원 및 조언하게 되었습니다.그들의 처우는 중국 기술자와 동등하게 받았습니다.소련 전문가의 여행비용, 지출, 숙박비, 임금 등은 중국 측이 부담하고, 소련 측의 갑작스런 전문가 소환으로 인한 비용은 소련이 [48]부담한다.
국익에 관한 논쟁
풍부한 천연자원으로 광대한 영토를 덮고 있는 중국은 소련에게 전략적으로 매우 중요했다.이에 따라 소련은 자본주의 진영과 극동방위에 맞서 사회주의 진영의 결속을 다지기 위해 중국 동북부 기득권을 중국 창춘철도와 항만 아더, 다롄의 귀환으로 구체화하면서 크게 양보했다.중-소 전략적 동반자 관계는 스탈린에게 딜레마였다.한편으로 동아시아에서 중국과 같은 신뢰할 수 있는 사회주의 동맹국을 지원하고 보유하는 것은 힘의 균형을 소련에 유리하게 만들고 공산주의 세계에서의 소련의 리더십을 강화시킬 것이다.반면 스탈린은 마오가 전쟁에서 회복된 후 소련의 의지를 거스르는 제2의 티토가 될 것을 우려했다.비록 3억 달러가 결국 실현되었지만, 그 협정은 소련과 동유럽 사회주의 국가들 사이에 체결된 협정보다 훨씬 더 엄격한 조건을 수반했다.예를 들어, 동유럽 국가들과 체결된 소련 조약은 "사용 가능한 모든 군사 및 기타 원조를 즉시 제공"하는 관점에서 언급되었다.그러나 스탈린은 가능한 모든 경제적 지원을 [49]제공하기 위해 원조협정을 개정하고 소련 전문가들에 대한 보다 엄격한 조건을 부과했다.또한 핵무기에 관한 기술 지원은 흐루쇼프 시대까지 연기되었다.마오쩌둥에 따르면, 한국전쟁이 끝난 후에야 중국은 소련의 신뢰를 얻었고, 더 많은 원조와 협력 그리고 156개의 프로젝트가 [50]뒤따랐다고 한다.
중국 측에서는 소련의 원조가 재건과 회복을 위한 가장 중요하고 실행 가능한 수단이었다.이에 따라 중국은 KMT [51]정부가 체결한 중-소 조약에서 인정된 외몽골의 독립과 원조 사이의 균형을 맞췄다.마오쩌둥은 또한 중-소 합작기업을 설립하는 것에 대한 불안감도 있었는데, 이는 어느 정도 소련의 온정주의와 불신을 상징한다고 믿었다.또한 소련 대출은 공짜가 아니었다.스탈린은 중국의 전략적으로 중요한 자원 잉여 생산 전량을 상환으로 소련에 팔 것을 요구했다.1954년부터 1959년까지 중국은 소련에 텅스텐 광석 16만 t, 구리 11만 t, 안티몬 3만 t, 고무 9만 t을 공급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양측 모두에게 이 조약의 이해관계를 고려할 때, 이들 중 어느 것도 최종 [52]합의를 방해하지 않았다.
효과와 유산
중국
조약에 규정된 대(對)소련의 대(對)중국 원조는 새로 수립된 공산당 정권의 생존을 보장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했으며 장기간의 전쟁 참화, 산업화, 중국 [53]근대화로부터 회복하는 데 기여했다.즉, 소련의 원조는 기술 전문지식과 장비, 자금, 인프라 건설 등의 물질적 형태의 지원으로 중국의 계획경제, 국유기업 및 다른 산업의 토대를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단기간에 소련 원조의 대량 유입은 경제 발전에 필수적인 자본 축적 기능을 대체하고 지식 및 기술 습득에 필요한 시간을 대폭 줄였으며, 이는 종종 몇 세대에 걸친 노동자들의 연습과 연구를 필요로 한다.또한 소련 주도의 사회주의 진영에 합류함으로써 중국은 경제 봉쇄, 자본주의 진영에 의한 400여 종의 상품 금수, 군사적 [54]위협 등의 효과를 상쇄할 수 있는 절실한 국제적 지지를 얻었다.
이 포괄적인 원조는 신생 국가의 산업 지형도 변화시켰다.조약 체결 이전에는 중국 산업의 약 70%가 19세기 서구 열강과 청나라 정부 사이의 무역이 이루어졌던 동남쪽 해안 지역에 집중되어 있었다.반면, 소련의 지원을 받은 프로젝트는 주로 중국의 동북부, 중부, 서부 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는 중국 산업의 공간적 분포를 최적화하고, 이전에 낙후된 내륙 지역의 경제를 촉진하고,[55] 중국의 산업화와 근대화를 전반적으로 촉진시켰다.
수입 소련 모델의 단점
소련의 원조는 경직되고 지나치게 중앙집권화된 권력구조와 계획경제였다.이념적 관점에서 시장 메커니즘의 긍정적인 역할을 인정하려는 어떠한 시도도 자본주의의 길을 택하는 것으로 보였다.자원 동원의 인상적인 능력, 대규모 산업 플랜트 건설, 생산 관리 및 조정의 열악한 메커니즘 사이에는 제도적 불일치도 있었다.스탈린 모델에 내재된 독특한 단점은 중국의 계획 경제에서도 드러났습니다.첫 5개년 계획 동안 급속한 산업화는 국방과 중공업을 불균형적으로 우선시하는 반면, 민간과 경공업의 중요성은 경시되고 [56]부속품이 되었다.
중·소 관계와 국제 체제
한편, 중소 우호 동맹 상호 원조 조약의 체결은 양측의 형제 관계에 기여했고,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자본주의 진영과 사회주의 진영 간의 힘의 균형을 바로잡았다.현대로 가는 길을 인도하는 자애로운 형님이라는 러시아인의 인식은 중국 사회와 정치 [57]담론에서 큰 인기를 끌었다.이 조약 조항은 또한 소련이 주도하는 공산권 내 결속을 강화하여 자본주의권과의 대립을 강화하였고, 중국의 권력 강화와 통치 [58]합법성에 크게 기여하였다.사회주의 국가에 대한 소련의 원조와 중국과 체결된 조약은 마셜 플랜과 트루먼의 Point Four Program을 통한 미국의 원조와 맞물려 소련이 중국의 새로운 공산주의 체제를 확보하는 데 성공한 냉전의 틀과 정신 아래 영향력 영역을 위한 거대한 권력 경쟁을 나타냈다.극동에 [59]대한 관심을 피하려고요
한편, 양측의 외교 교류에서 중국 지도자들은 종종 "농민의 도시 포위", "토지 혁명", "도시 내 비밀스럽고 개방적인 투쟁" 등 "마르크스주의의 신화"의 장점을 호소하였는데, 이는 중국 문맥에 입각하여 개작한 것이며, 정통과는 상당히 동떨어진 것이었다.마르크스-레닌주의에 대한 소련의 해석이것이 50년대 후반과 60년대 [60]초반 중-소 분단의 씨앗을 뿌렸다.Austin Jersild, 그의 중-소 동맹:'국제사'는 잠재적인 가부장적 소련의 조언 프로그램과 수년간의 상호작용이 의도하지 않은 소련의 개입에 대한 분노를 불러일으켰고, 이는 중국인들에게 제국주의를 [61]닮아 상기시켰다는 비슷한 관점을 제공한다.
「 」를 참조해 주세요.
- 중소 관계
- 중소 불가침 조약(1937년)
- 중소 우호 동맹 조약(1945년)
- 중소 분할(1956년-1966년)
- 중소 국경 분쟁(1969년)
- 2001년 중러 우호 조약
레퍼런스
- ^ Cheng, Joseph Y.S. (2004). "Challenges to China's Russian policy in early 21st century". Journal of Contemporary Asia. 34 (4): 480–502. doi:10.1080/00472330480000231. S2CID 153970302.
- ^ Ballis, William B. (1951). "The Pattern of Sino-Soviet Treaties, 1945-1950". The Annals of the American Academ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277: 171. doi:10.1177/000271625127700117. JSTOR 1030262. S2CID 143663913.
- ^ Heinzig, Dieter (2003). Soviet Union and Communist China 1945-1950 : the Arduous Road to the Alliance. Armonk: Taylor and Francis. p. 51. OCLC 929510021.
- ^ Heinzig. Soviet Union and Communist China 1945-1950 : the Arduous Road to the Alliance. p. 52. OCLC 929510021.
- ^ Heinzig. Soviet Union and Communist China 1945-1950 : the Arduous Road to the Alliance. p. 58. OCLC 929510021.
- ^ Elleman, Bruce A. (2019-08-30). International Rivalry and Secret Diplomacy in East Asia, 1896-1950. Routledge. p. 242. ISBN 9781317328155.
- ^ Ballis (1951). "The Pattern of Sino-Soviet Treaties, 1945-1950". The Annals of the American Academ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277: 173. doi:10.1177/000271625127700117. JSTOR 1030262. S2CID 143663913.
- ^ Heinzig. Soviet Union and Communist China 1945-1950 : the Arduous Road to the Alliance. pp. 318–319. OCLC 929510021.
- ^ Heinzig. Soviet Union and Communist China 1945-1950 : the Arduous Road to the Alliance. pp. 318–319. OCLC 929510021.
- ^ Heinzig. Soviet Union and Communist China 1945-1950 : the Arduous Road to the Alliance. p. 307. OCLC 929510021.
- ^ Elleman (30 August 2019). International Rivalry and Secret Diplomacy in East Asia, 1896-1950. p. 243. ISBN 9781317328155.
- ^ Zhou, Hong (2015), Zhou, Hong; Zhang, Jun; Zhang, Min (eds.), "Soviet Aid to China", Foreign Aid in China, Berlin, Heidelberg: Springer, pp. 57–106, doi:10.1007/978-3-662-44273-9_3, ISBN 978-3-662-44273-9, retrieved 2022-03-17
- ^ Zhou; Zhang; Zhang (2015). Foreign Aid in China. pp. 32–34. doi:10.1007/978-3-662-44273-9. ISBN 978-3-662-44272-2.
- ^ Lawrance, Alan (2013-09-30). China's Foreign Relations since 1949. London: Routledge. pp. 32–34. doi:10.4324/9781315018782. ISBN 978-1-315-01878-2.
- ^ Zhou; Zhang; Zhang (2015). Foreign Aid in China. p. 65. doi:10.1007/978-3-662-44273-9. ISBN 978-3-662-44272-2.
- ^ Lawrance (2013). China's Foreign Relations since 1949. pp. 34–35. doi:10.4324/9781315018782. ISBN 9781136572173.
- ^ Zhou; Zhang; Zhang (2015). Foreign Aid in China. p. 81. doi:10.1007/978-3-662-44273-9. ISBN 978-3-662-44272-2.
- ^ Heinzig (2015). The Soviet Union and Communist China 1945–1950: The Arduous Road to the Alliance. p. 277. doi:10.4324/9781315698984. ISBN 9781315698984.
- ^ Zhou; Zhang; Zhang (2015). Foreign Aid in China. p. 72. doi:10.1007/978-3-662-44273-9. ISBN 978-3-662-44272-2.
- ^ Zhou; Zhang; Zhang (2015). Foreign Aid in China. pp. 66–67. doi:10.1007/978-3-662-44273-9. ISBN 978-3-662-44272-2.
- ^ Lawrance (2013). China's Foreign Relations since 1949. pp. 15, 27–28. doi:10.4324/9781315018782. ISBN 9781136572173.
- ^ Foot, Rosemary (1991-09-01). "New light on the Sino-Soviet alliance: Chinese and American perspectives". Journal of Northeast Asian Studies. 10 (3): 16–29. doi:10.1007/BF03025071. ISSN 1874-6284. S2CID 150781845.
- ^ Zhou; Zhang; Zhang (2015). Foreign Aid in China. pp. 68, 77. doi:10.1007/978-3-662-44273-9. ISBN 978-3-662-44272-2.
- ^ Heinzig (2015). The Soviet Union and Communist China 1945–1950: The Arduous Road to the Alliance. p. 267. doi:10.4324/9781315698984. ISBN 9781315698984.
- ^ Heinzig (2015). The Soviet Union and Communist China 1945–1950: The Arduous Road to the Alliance. pp. 270–271. doi:10.4324/9781315698984. ISBN 9781315698984.
- ^ Heinzig (2015). The Soviet Union and Communist China 1945–1950: The Arduous Road to the Alliance. pp. 269–271. doi:10.4324/9781315698984. ISBN 9781315698984.
- ^ Heinzig (2015). The Soviet Union and Communist China 1945–1950: The Arduous Road to the Alliance. p. 271. doi:10.4324/9781315698984. ISBN 9781315698984.
- ^ Heinzig (2015). The Soviet Union and Communist China 1945–1950: The Arduous Road to the Alliance. p. 271. doi:10.4324/9781315698984. ISBN 9781315698984.
- ^ Heinzig (2015). The Soviet Union and Communist China 1945–1950: The Arduous Road to the Alliance. pp. 272–273. doi:10.4324/9781315698984. ISBN 9781315698984.
- ^ Heinzig (2015). The Soviet Union and Communist China 1945–1950: The Arduous Road to the Alliance. pp. 278–280. doi:10.4324/9781315698984. ISBN 9781315698984.
- ^ Heinzig (2015). The Soviet Union and Communist China 1945–1950: The Arduous Road to the Alliance. p. 287. doi:10.4324/9781315698984. ISBN 9781315698984.
- ^ Heinzig (2015). The Soviet Union and Communist China 1945–1950: The Arduous Road to the Alliance. p. 293. doi:10.4324/9781315698984. ISBN 9781315698984.
- ^ Heinzig (2015). The Soviet Union and Communist China 1945–1950: The Arduous Road to the Alliance. pp. 294–296. doi:10.4324/9781315698984. ISBN 9781315698984.
- ^ Heinzig (2015). The Soviet Union and Communist China 1945–1950: The Arduous Road to the Alliance. p. 328. doi:10.4324/9781315698984. ISBN 9781315698984.
- ^ Heinzig (2015). The Soviet Union and Communist China 1945–1950: The Arduous Road to the Alliance. pp. 333–337. doi:10.4324/9781315698984. ISBN 9781315698984.
- ^ Heinzig (2015). The Soviet Union and Communist China 1945–1950: The Arduous Road to the Alliance. p. 343. doi:10.4324/9781315698984. ISBN 9781315698984.
- ^ Heinzig (2015). The Soviet Union and Communist China 1945–1950: The Arduous Road to the Alliance. pp. 343–348. doi:10.4324/9781315698984. ISBN 9781315698984.
- ^ Heinzig (2015). The Soviet Union and Communist China 1945–1950: The Arduous Road to the Alliance. p. 364. doi:10.4324/9781315698984. ISBN 9781315698984.
- ^ Elleman (2019). International Rivalry and Secret Diplomacy in East Asia, 1896–1950. pp. 244–245. doi:10.4324/9781315657479. ISBN 9781315657479. S2CID 204426183.
- ^ Ballis (1951). "The Pattern of Sino-Soviet Treaties, 1945-1950". The Annals of the American Academ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277: 167–176. doi:10.1177/000271625127700117. S2CID 143663913.
- ^ Alan. China's Foreign Relations since 1949. pp. 30–31. OCLC 862613160.
- ^ Elleman (2019). International Rivalry and Secret Diplomacy in East Asia, 1896–1950. p. 246. doi:10.4324/9781315657479. ISBN 9781315657479. S2CID 204426183.
- ^ Elleman (2019). International Rivalry and Secret Diplomacy in East Asia, 1896–1950. p. 246. doi:10.4324/9781315657479. ISBN 9781315657479. S2CID 204426183.
- ^ Elleman (2019). International Rivalry and Secret Diplomacy in East Asia, 1896–1950. pp. 246–247. doi:10.4324/9781315657479. ISBN 9781315657479. S2CID 204426183.
- ^ Elleman, Bruce; Kotkin, Stephen (2015-01-15). Manchurian Railways and the Opening of China: An International History: An International History. New York: Routledge. doi:10.4324/9781315702643. ISBN 978-1-315-70264-3.
- ^ Elleman (2019). International Rivalry and Secret Diplomacy in East Asia, 1896–1950. pp. 248–249. doi:10.4324/9781315657479. ISBN 9781315657479. S2CID 204426183.
- ^ Lawrance (2013). China's Foreign Relations since 1949. p. 15. doi:10.4324/9781315018782. ISBN 9781136572173.
- ^ Elleman (2019). International Rivalry and Secret Diplomacy in East Asia, 1896–1950. pp. 249–251. doi:10.4324/9781315657479. ISBN 9781315657479. S2CID 204426183.
- ^ Zhou. Soviet Aid in China. p. 74.
- ^ Zhou. Soviet Aid in China. p. 74.
- ^ Elleman. International Rivalry and Secret Diplomacy in East Asia, 1896–1950. p. 242.
- ^ Zhou. Soviet Aid in China. pp. 71, 77.
- ^ Foot. New Light on the Sino-Soviet Alliance: Chinese and American Perspectives. p. 18.
- ^ Zhou. Soviet Aid in China. pp. 99, 101.
- ^ Zhou. Soviet Aid in China. pp. 100–104.
- ^ Zhou. Soviet Aid in China. pp. 101–106.
- ^ Knight, John M. (2020-09-22). "Mandated internationalism: Sino-Soviet friendship 1949-1956". Twentieth Century Communism. 19 (19): 26–61. doi:10.3898/175864320830900536. S2CID 229012307.
- ^ Lawrance. China's Foreign Relations since 1949. pp. 27–28.
- ^ Zhou. Soviet Aid in China. pp. 73–76.
- ^ Zhou. Soviet Aid in China. p. 68.
- ^ "Review - The Sino-Soviet Alliance: An International History". E-International Relations. 2015-06-27. Retrieved 2022-03-17.
참고 문헌
- 발리스, 윌리엄 B.중-소 조약의 패턴, 1945-1950.미국 정치사회과학아카데미 277호, 제1호(1951년 9월): 167-76. https://doi.org/10.1177/000271625127700117.
- 쳉, 조셉 Y. S. "21세기 초 중국 러시아 정책에 도전"컨템포러리 아시아 저널 제34호(2004년): 480~502.
- Elleman, Bruce A. 2020. "1950년 2월 14일-중소련 우호 조약"「동아시아의 국제 경쟁과 비밀 외교」, 1896~1950. 제1호, 242-252.
- Elleman, Bruce A., Stephen Kotkin, Taylor & Francis eBooks A ~ Z.만주철도와 개국: 국제사.아몽크, 노스Y: M.E. Sharpe, 2010; 2009; 2015; . doi: 10.4324/9781315702643.
- 발, 로즈마리."중소 동맹에 대한 새로운 조명:중국과 미국의 시각"동북아학회지 제10호 제3호(1991년) : 16.
- 하인지그, 디터소련과 공산주의 중국 1945-1950:동맹으로 가는 험난한 길.초판아몽크, 노스Y: M.E. Sharpe, 2004; 1998; 2003; .https://doi.org/10.4324/9781315698984
- 기사, 존 M. "국제주의 의무화:1949-1956년 중-소 우방"20세기 공산주의 19, 19호 (최종): 26~60.https://web.s.ebscohost.com/ehost/pdfviewer/pdfviewer?vid=0&sid=e494e396-a147-4bcc-825d-52f5fc43f90e%40redis
- 로렌스, 앨런"PART I 중-소 우호의 시대 1945-55." 1949년 이후 중국의 외교 관계에서 39-87년: 패전.
- 리, 원희."리뷰 - 중-소 동맹:국제사" E-IR, 2015년 7월 11일.https://www.e-ir.info/2015/06/27/review-the-sino-soviet-alliance-an-international-history/
- 저우, 홍 2014년"중국에 대한 소련의 원조"중국의 대외원조는 57~106.베를린, 하이델베르크: 스프링거 베를린 하이델베르크.
추가 정보
- 페스코프, 유리극동문제(2010년) 38#1 페이지 100-115.
- Shen, Zhihua, SpringerLink(온라인 서비스) 및 SpringerLINK eBooks - 사회과학2020;2019;.중일관계의 짧은 역사, 1917-1991. 2020. ed.싱가포르: Springer Singapore.
- 보이보 & 자이창 (번역자) (1992) 중국 역사학자, 5:1, 57-62, DOI: 10.1080/104643X.11876887
- Lawrance, Alan, Taylor & Francis eBooks - CRKN, Taylor & Francis eBooks A~Z 및 CRKN MiL 컬렉션.공산주의 하의 중국.런던뉴욕;: Routledge, 1998; 2002; doi: 10.4324/97802030068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