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is is a good article. Click here for more information.

슬래시의 스네이크핏

Slash's Snakepit
슬래시의 스네이크핏
From left to right: Mike Inez, Eric Dover, Slash, Gilby Clarke and Matt Sorum
배경정보
기원.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미국
장르
활동년수
  • 1994 (1994)–1995
  • 1998–2002
레이블
의 스핀오프
과거회원슬래시
길비 클라크
에릭 도버
마이크 이네즈
맷 소럼
제임스 로멘조
브라이언 티치
조니 그리파릭
로드 잭슨
맷 라우스
라이언 록시
케리 켈리

슬래시의 스네이크핏(Snakepit)은 1994년 건스 앤 로지스기타리스트 슬래시가 결성한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 출신의 록 슈퍼그룹입니다. 종종 솔로 또는 사이드 프로젝트로 묘사되지만 슬래시는 스네이크핏이 모든 멤버들이 동등하게 기여하는 밴드라고 말했습니다. 밴드의 첫 번째 라인업은 슬래시, 그의 건즈 앤 로지스 밴드 동료인 드러머 맷 소럼과 기타리스트 길비 클라크, 그리고 앨리스 체인스의 베이시스트 마이크 이네즈젤리피쉬의 전 기타리스트 에릭 도버로 구성되었습니다.

그들의 데뷔 앨범인 It's Five Clock Somether는 1995년에 발매되었습니다. 지원 투어를 위해 슬래시는 다른 약속이 있는 이네즈와 소럼 대신 프라이드 글로리제임스 로멘조브라이언 티치를 영입했습니다. 그들은 게펜 레코드가 투어를 위한 재정적 지원을 철회하기 전에 미국, 유럽, 일본, 호주에서 공연을 했고 슬래시는 건즈 앤 로지스로 돌아왔고 슬래시의 스네이크핏은 해체했습니다.

1996년 Guns N' Roses에서 탈퇴한 후, 슬래시는 커버 밴드 슬래시의 블루스 볼을 만들었습니다. 1997년 투어를 마친 후, 슬래시는 블루스 볼의 베이시스트 조니 그리패릭에게 슬래시의 스네이크핏의 새로운 라인업을 구성하는 것에 대해 접근했습니다. 새로운 라인업은 슬래시(Slash), 그리패릭(Griparic), 가수 로드 잭슨(Rod Jackson), 기타리스트 라이언 록시(Ryan Roxie), 드러머 맷 로(Matt Laugh)로 구성되었습니다. 그들은 2000년에 "Ain't Life Grand"라는 제목의 두 번째 앨범을 녹음하고 발표했는데, AC/DC를 지원하는 투어와 그들의 헤드라인 투어가 이어졌습니다. 투어를 위해 Keri Kelli는 앨범이 완성되고 떠난 Ryan Roxie를 대신하여 그룹에 합류했습니다. 그러나, 마지막 공연 이후, 슬래시는 밴드 멤버들의 약속 부족으로 스네이크핏을 해체했습니다. 그 직후, 슬래시는 2002년에 드러머이자 동료인 건즈 앤 로지스 멤버 맷 소럼함께 벨벳 리볼버를 결성했습니다.

역사

포메이션 (1993-1994)

Use Your Illusion I and Use Your Illusion II 앨범을 지원하는 2년 반의 월드 투어 후, [1][2]건스 앤 로지스의 기타리스트 슬래시가 로스앤젤레스로 돌아왔습니다.[2] 그는 곧 자신의 집인 호두 하우스를 팔고 멀홀랜드 드라이브로 이사했습니다.[3] 그는 그의 차고 위에 스네이크핏(The Snakepit)[4]이라는 별명을 가진 작은 홈 스튜디오를 지었고 투어 동안 그가 작곡한 노래의 데모 작업을 시작했습니다.[3][5] 슬래시는 건스 앤 로지스 밴드 동료이자 드러머인 맷 소럼과 함께 데모 작업을 했습니다. 이후 기타리스트 길비 클라크앨리스 체인스의 베이시스트 마이크 이네즈가 합류하여 대부분의 밤을 방해하고 녹음했습니다.[3][5] 슬래시는 건스 앤 로지스 가수 액슬 로즈의 데모를 맡았는데, 그는 나중에 다음 건스 앤 로지스 앨범에 사용하고 싶어했습니다.[3][4][5][5] 그들은 건즈 앤 로지스가 활동을 중단했던 [6]그 해인 1994년까지 12곡의 노래를 녹음했습니다.[4]

슬래시는 소럼, 클라크, 이네즈와 함께 스네이크핏 데모를 녹음하기로 결정했고,[7] 나중에 젤리피쉬 라이브 기타리스트 에릭 도버를 리드 보컬로 추가했습니다.[5][7][8] 도버와 녹음하기로 한 결정은 슬래시가 도버를 고용하기 전에 소럼의 승인을 구하지 않았기 때문에 슬래시와 소럼 사이의 의견 차이로 이어졌습니다.[8]

어디선가 다섯와 이별 (1994-1996)

슬래시와 도버는 Guns N' Roses 가수 Rose에 대한 그의 좌절감을 토로하기 위해 작사를 사용하여 슬래시와 함께 12곡의 모든 노래에 가사를 썼습니다.[8] 클라크는 "Monkey Chow"라는 곡을 앨범에[9] 기고했고, "Jizz da Pit"은 슬래시와 이네즈의 악기입니다.[9] 그들은 Conway Recording Studios와 The Record Plant에서[9] 마이크 클링크[8] 슬래시의 공동[9] 프로듀싱과 스티븐 톰슨마이클 바비에로 믹싱과 함께 앨범을 녹음했습니다.[9][10][11] 이 음반에는 더프 맥케이건("Beggars & Hangers-On"),[4][12] 디지 리드(Dyzy Reed)[12]가 키보드, 테디 안드레디스가 하모니카, 파울리뉴코스타가 퍼커션에 참여했습니다.[9] 슬래시의 형인 애쉬 허드슨이 앨범의 커버를 디자인했습니다.[4]

결과로 나온 앨범인 It's Five Clock Somether는 1995년 2월 게펜 레코드를 통해 발매되었습니다.[13] 이 앨범의 제목은 공항에서 우연히 들은 슬래시(Slash)라는 문구에서 따왔습니다.[4] 음반사의 주장에 따라, 이 음반은 슬래시가 자신의 이름을 사용하기를 원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더 스네이크핏 대신 슬래시의 스네이크핏이라는 이름으로 발매되었습니다.[4] 발매와 동시에 이 앨범은 빌보드 200에서[14] 70위, 영국 앨범 차트에서 15위를 기록했습니다.[4] "Beggars & Hangers-On"은 이 앨범의 첫 번째이자 유일한 싱글로 발매되었고,[15] 뮤직 비디오 또한 어거스트 야콥슨이 감독한 "Good To Be Alive"에서 촬영되었습니다.[8][16]

"게펜으로부터 "5시 어딘가에서 100만 장을 팔았고 수익을 냈기 때문에 제가 투어를 계속할 이유가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에 다른 다리를 예약하는 중이었습니다. 액슬이 다음 건즈 앤 로지스 음반 작업을 시작할 준비가 되어 있었기 때문에 저는 LA로 돌아갈 예정이었습니다. 그들은 내가 반대할 경우 스네이크핏에 대한 재정적인 투어 지원이 끝났다는 것을 분명히 했습니다."[17]

—Slash on Geffen pulling tour support.

비판적으로, 그 앨범은 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습니다. 메탈 해머(Metal Hammer)는 "누추하고 쇠락한 블루스 하드 록(...)이 새로운 영역을 개척합니다."[4]라고 말했습니다. 모든 음악 평론가 스티븐 토마스 얼와인(Stephen Thomas Erlewine)은 슬래시(Slash)의 기고문을 "매우 놀랍다"고 평했지만, "밴드의 아무도 곡을 쓰지 않은 것은 매우 유감스러운 일"이라고 말했습니다.[13] Entertainment Weekly의 Devon Jackson은 이 앨범을 "완화된 헤드뱅잉과 서던팅 블루스 록"[18]이라고 표현했고, 클래식 록 평론가 말콤 돔은 "음악적으로 무거운 기타 주도의 펑크 스타일의 팝 록이 많이 있는 느슨한 팔다리 음반"이라고 말했습니다.[4] 슬래시의 스네이크핏은 이 음반을 지원하기 위해 투어를 떠났던 [4][7][15]이네즈와 소럼을 대신하여 프라이드 글로리의 베이시스트 제임스 로멘조와 드러머 브라이언 티치가 투어를 중단하고 소럼이 건스 앤 로지스로 돌아오면서 투어를 중단했습니다.[4] 그들은 슬래시와 함께 미국, 유럽, 일본, 호주를[15] 순회하며 "몇 년 만에 처음으로 투어는 쉬웠고, 그의 밴드 동료들은 많은 재미와 드라마에 대한 낮은 평가를 받았고, 모든 공연은 로큰롤을 연주하는 것이었습니다"[17]라고 말했습니다. 투어의 또 다른 일정을 예약하는 동안, 슬래시는 게펜으로부터 로즈가 새로운 건즈 앤 로지스 앨범 작업을 시작할 준비가 되어 있으며 로스앤젤레스로 돌아올 것이라는 소식을 들었습니다.[17] 게펜은 슬래시의 스네이크핏이 곧 해체되면서 밴드 투어를 위한 재정적 지원을 요청했습니다.[17]

슬래시의 블루스 볼과 개혁 (1996-1999)

슬래시는 1996년 가수 액슬 로즈와의 음악적 차이로 [7][19]인해 건스 앤 로지스를 탈퇴했습니다.[7][20] 그가 떠난 후, 슬래시는 시크와 함께 2주간 일본 투어를 했고,[21] 영화 '커들링'의 사운드트랙을 작업했습니다.[22] 그는 나중에 블루스 커버 밴드에서 투어를 시작했는데, 이 밴드는 결국 슬래시의 블루스 볼이 되었습니다.[5][7][23] 슬래시 외에도 밴드는 테디 안드레디스, 기타리스트 바비 슈넥, 베이시스트 조니 그리파릭, 색소폰 연주자 데이브 맥클렘, 드러머 알비노 베넷으로 구성되었습니다.[7][23] 이 밴드는 부다페스트에서 열린 재즈 페스티벌의 헤드라인을 포함하여 1998년까지 투어를 계속했습니다.[7][23] 그들은 B.B.와 같은 다양한 아티스트와 밴드를 다룹니다., 스테펜울프, 오티스 레딩, 건스 앤 로지스와 초기 슬래시의 스네이크핏 소재.[7][23]

1997년 투어에 이어,[24] 슬래시는 Griparic에게 슬래시의 Snakepit의[23] 새로운 라인업을 형성하는 것에 대해 문의했습니다.[24] 그들은 대부분 알려지지 않은 가수들로부터 300개가 넘는 오디션 테이프를[23] 받으며 가수를 찾기 시작했습니다.[24] 1998년 초, 슬래시와 함께 녹음을 하던 노이즈웍스 스티븐스는 잠재적인 가수로 여겨졌습니다.[25] 하지만, 그는 솔로 활동을 계속하기 위해 호주로 돌아갔습니다.[25] 그들은 결국 Griparic이 슬래시를 위해 그의 테이프를 연주한 후 로드 잭슨(버지니아 기반 밴드 Ragdoll의 초기)을 선택했습니다.[26] 라인업을 완성한 사람은 앨리스 쿠퍼 출신의 기타리스트 라이언 록시와 앨리스 쿠퍼와 밴드 베니스 출신의 드러머 맷 로(Matt Laugh)였습니다.[4][5][7][27] 그들은 베벌리힐스에 있는 슬래시의 새로운 홈 스튜디오에서 리허설을 하고 녹음을 하기 전에 메이트 스튜디오에서 리허설을 시작했습니다.[25][27]

인생의 대망과 두 번째 이별 (1999-2002)

밴드는 프로듀서 잭 더글러스[4][29] 함께 Ocean Way Recording을 시작했습니다.[30] 녹음에는 테디 안드레디스, 지미 자발라, 리 손버그 등이 참여했습니다.[30][31] 처음에 레이블은 2000년 2월 22일로 발매일을 [32]정하며 앨범에 대해 긍정적이었습니다.[33] 그러나, 슬래시는 인터스코프 레코드에 접힌 게펜으로부터 음반이 레이블이 제작한 음악의 종류가 아니라는 통보를 받고 음반을 다시[32] 구입하여 코흐 레코드와 계약을 체결했습니다.[34] 록시는 빅뱅의 전 멤버였던 워런트래트의 기타리스트 케리 켈리와 함께 밴드를[4] 탈퇴했습니다.[5][7]

In't Life Grand는 2000년[4][35] 10월 20일 Koch를[34][35] 통해 첫 번째 싱글로 "Mean Bone"을 발표했습니다.[36] 이 음반은 전작만큼 잘 팔리지 않았고,[4] 비판적인 반응도 엇갈렸습니다. Entertainment Weekly 리뷰어 Tony Scherman은 "슬래시의 연주는 여느 때와 마찬가지로 순식간에 선동되지만, 그 노래들과 편곡들은 진정한 기타 신의 것보다 더 가치 있는 Ratt의 하드 록 클리치들을 재활용합니다"라고 말했습니다.[37] 롤링 스톤의 롭 셰필드(Rob Sheffield)는 "훌륭한 기타리스트들은 훌륭한 밴드를 필요로 하며, 스네이크핏 친구들은 거의 기능적인 백업 피온이 아닙니다"라고 언급했습니다.[38] 올뮤직의 스티브 휴이(Steve Huey)는 "새 스네이크핏은 앨범이 빠르게 지나갈 때 많은 소음을 유발하고 멤버들 간의 강한 케미스트리는 즉시 분명하다"고 언급했습니다. 그러나 그는 작곡이 가장 큰 문제이며, "그것은 결코 견고한 수준 이상으로 올라가지 않으며, 너무 많은 트랙은 기껏해야 숫자만큼 단단한 바위(그리고 최악의 경우 보행자)"라고 말했습니다.[28] 이 밴드는 앨범이 발매된 지 두 달 만에 Koch에 의해 탈락했습니다.[39]

이 음반이 발매되기 전, 슬래시의 스네이크핏은 8월부터 9월까지 스티프 어퍼 립 투어에서 AC/DC를 지원했고,[34][35] 이어서 극장의 헤드라인 투어를 진행했습니다.[39] 그들은 AC/DC 투어의 겨울 다리에서 처음 두 번의 공연만 했습니다.[36] 병에 걸려 피츠버그의 한 병원에 입원한 후,[40][41] 슬래시는 의사로부터 폐렴으로 인해 요양하기 위해 집에 있으라는 명령을 받았습니다.[36] 이 때문에 2001년 초 슬래시의 Snakepit는 AC/DC 지원에서 손을 떼었습니다.[36] 슬래시는 나중에 그의 자기 제목 전기에서 실제로 수년간의 알코올과 약물 남용으로 인한 심장근병을 앓았고 심장이 파열될 정도로 부어올랐다고 밝혔습니다.[40] 제세동기를 장착하고 물리치료를 받은 후, 슬래시는 투어를 계속하기 위해 그룹으로 돌아갔습니다.[40][41] 그들은 이후 미국 투어 일정을 변경하여 6월 16일부터 7월 18일까지 공연을 하며 빌리 아이돌과 함께 세 번의 공연을 공동 진행했습니다.[41][42][43][41][44][40] 투어 후, 슬래시는 나머지 밴드가 집으로 돌아가기를 기다리며 투어 버스 안으로 숨었습니다. 그 후 그는 2002년 초에 발표한 발표에서 슬래시의 스네이크핏의 해체를 발표했습니다. 그는 특히 잭슨의 열악한 직업 윤리와 신뢰할 수 없는 점을 꼽았습니다.

이별 후의 활동

슬래시의 스네이크핏이 해체된 후, 슬래시는 솔로 앨범 작업을 시작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46] 대신 그는 나중에 블랙 크로우즈의 드러머 스티브 고먼과 이름이 알려지지 않은 베이시스트와 함께 새로운 프로젝트를 작업했습니다.[47] 그의 전 건즈 앤 로지스 밴드 동료인 더프 맥케이건, 맷 소럼과 함께, 그들은 전 웨이스트 유스 기타리스트 데이브 쿠슈너와 전 스톤 템플 파일럿츠 가수 스콧 웨일런드의 합류에 따라 결국 하드 록 슈퍼 그룹 벨벳 리볼버가 되었습니다.[48] 그들은 2004년 [48]콘트라밴드, 2007년 리버타드에 이어 데뷔 앨범을 발표하고 [48]웨이랜드와 결별하고 2008년에 활동을 중단했습니다.[49] Velvet Revolver가 잠시 활동을 중단한 상태에서, 슬래시는 그의 데뷔 솔로 앨범 작업을 시작했습니다.[50] 슬래시2010년 3월 31일에 개봉되었으며 울프마더의 앤드류 스톡데일, 어벤지드 세븐폴드의 M. 섀도우, 키드 록, 오지 오스본, 알터 브리지마일스 케네디, 퍼기 등의 게스트가 다수 출연했습니다.[51] 앨범을 지지하는 그의 밴드는 케네디, 베이시스트 토드 컨스, 드러머 브렌트 피츠로 구성되었습니다. 또한 이전 슬래시 블루스 볼의 기타리스트 바비 슈넥도 포함되었습니다.[52]

음악 스타일

슬래시의 스네이크핏의 음악은 종종 남부 록의 요소를 가진 하드[4][28][37] 록 앤 블루스 록으로[4][12][28] 묘사되었습니다.[12][18] 이 밴드는 종종 슬래시의 솔로 또는 사이드 프로젝트로[12][13][53] 묘사되기도 했지만, 슬래시는 "모든 사람이 글을 썼고, 제 이름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모두가 동등한 의견을 받았습니다"라고 말하며 밴드라고 주장했습니다.[54] 롤링 스톤 리뷰어 J.D. 컨시딘은 첫 번째 앨범에서 건스 로지스와 슬래시의 스네이크핏의 차이점을 언급하며 "건스 앤 로지스는 일반적으로 멜로디를 노래의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취급하며, 스네이크핏에서 미끄러져 나오는 대부분의 부분은 연주를 강조한다"[12]고 말했습니다. 그는 가수 에릭 도버가 "하드락 프론트맨의 거친 강렬함을 전달한다"며 "장르의 가장 명백한 과잉을 피한다"고 언급했습니다.[12] "Good to Be Alive"에 대한 리프는 척 베리와 비교를 이끌어 냈고, 앨범의 음악성은 찬사를 받았습니다.[12] 올뮤직의 스티븐 토마스 얼와인(Stephen Thomas Erlewine)은 "슬래시가 훌륭한 기타리스트라는 주장은 거의 없다"고 말했습니다.[13] 스티브 휴이(Steve Huey)는 두 번째 가수 로드 잭슨(Rod Jackson)을 "80년대 팝 메탈의 블래스터와 얼굴 시대의 로드 스튜어트(Rod Stewart)의 조합"이라고 묘사했으며, 이는 그가 밴드 전체에 적합하다고 느낀 설명입니다.[28] 그러나 그는 슬래시의 기타 연주가 "길들여졌다"고 언급했고, 비록 "음울하고 오래된 하드 록의 팬들에게 분명히 어필할 수 있는, 여전히 통과할 수 있는, 노동자 같은 음반"이지만 음반의 주요 문제는 작곡이라고 말했습니다.[28] 클래식 록의 말콤 돔은 "최근에 'Been There Laste'가 오픈하는 순간부터 이곳에는 이전에 없었던 분위기가 있다"며, 아인트 라이프 그랜드가 "목적, 방향, 개성"을 보여줬다고 말했습니다.[4]

인사

최종라인업
  • 슬래시 – 리드 기타 (1994-1995, 1998-2002)
  • 로드 잭슨 – 리드 보컬 (1998-2002)
  • 조니 그리파릭 – 베이스, 백 보컬 (1998-2002)
  • Matt Laugh – 드럼, 타악기, 백 보컬 (1998-2002)
  • Keri Kelli – 리듬 기타, 백 보컬 (2000-2002)
구회원

타임라인

디스코그래피

스튜디오 앨범

선택된 세부 정보 및 차트 위치가 포함된 스튜디오 앨범 목록
제목 앨범내역 피크 차트 위치
미국
[55]
AUS
[56]
AUT
[57]
할 수 있다
[58]
GER
[59]
NED
[60]
도 아니다
[61]
SWE
[62]
SWI
[63]
영국
[64]
5시 어딘가
  • 릴리스: 1995년 2월 14일
  • 라벨 : 게펜
  • 포맷: CD, LP, CS
70 26 15 19 19 19 27 11 15 15
인생은 웅장하지 않음
  • 릴리스: 2000년10월10일
  • 라벨 : 코흐
  • 형식 : CD
56 58 96 146

싱글즈

차트 위치가 선택된 싱글 목록
제목 연도 피크 차트 위치 앨범
미국
주된.

[65]
AUS
[56]
"베거 & 행거 온" 1995 21 85 5시 어딘가
"살아 있어서 좋아"
"최근에 그곳에 있었다" 2000 인생은 웅장하지 않음
"비열한 뼈"

참고문헌

  1. ^ Slash; Bozza, Anthony (2007). Slash. HarperCollins. p. 337. ISBN 978-0-00-725775-1.
  2. ^ a b Slash; Bozza, Anthony (2007). Slash. HarperCollins. p. 372. ISBN 978-0-00-725775-1.
  3. ^ a b c d Slash; Bozza, Anthony (2007). Slash. HarperCollins. p. 373. ISBN 978-0-00-725775-1.
  4.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Dome, Malcolm (2010), "Classic Rock presents Slash: The Serpent's Tale", Classic Rock, p. 120, ISBN 978-1-85870-318-3
  5. ^ a b c d e f g h Tinelli, Paul. "Slash's Snakepit Biography". AllMusic. Retrieved March 14, 2011.
  6. ^ Slash; Bozza, Anthony (2007). Slash. HarperCollins. p. 374. ISBN 978-0-00-725775-1.
  7. ^ a b c d e f g h i j k Huey, Steve. "Slash Biography". AllMusic. Retrieved March 14, 2011.
  8. ^ a b c d e Slash; Bozza, Anthony (2007). Slash. HarperCollins. p. 375. ISBN 978-0-00-725775-1.
  9. ^ a b c d e f It's Five O'Clock Somewhere (CD booklet). Slash's Snakepit. Geffen Records. 1995.{{cite AV media notes}}: CS1 maint: 다른 인용 AV 미디어(노트)(링크)
  10. ^ Slash; Bozza, Anthony (2007). Slash. HarperCollins. p. 166. ISBN 978-0-00-725775-1.
  11. ^ Slash; Bozza, Anthony (2007). Slash. HarperCollins. pp. 177. ISBN 978-0-00-725775-1.
  12. ^ a b c d e f g h Considine, J.D. (February 23, 1995). "It's Five O'Clock Somewhere by Slash's Snakepit". Rolling Stone. Retrieved March 14, 2011.
  13. ^ a b c d Thomas Erlewine, Stephen. "It's Five O'Clock Somewhere Review". AllMusic. Retrieved March 14, 2011.
  14. ^ "Slash's Snakepit Charts and Awards". AllMusic. Retrieved March 14, 2011.
  15. ^ a b c Slash; Bozza, Anthony (2007). Slash. HarperCollins. p. 376. ISBN 978-0-00-725775-1.
  16. ^ Garcia, Alex S (ed.). "mvdbase.com - Slash's Snakepit - "Good to be alive"". mdvbase.com. Retrieved June 8, 2011.
  17. ^ a b c d Slash; Bozza, Anthony (2007). Slash. HarperCollins. p. 381. ISBN 978-0-00-725775-1.
  18. ^ a b Jackson, Devon (June 22, 2007). "It's Five O'Clock Somewhere (1995)". Entertainment Weekly. Retrieved March 14, 2011.
  19. ^ Slash; Bozza, Anthony (2007). Slash. HarperCollins. p. 394. ISBN 978-0-00-725775-1.
  20. ^ Slash; Bozza, Anthony (2007). Slash. HarperCollins. pp. 386, 388, 391. ISBN 978-0-00-725775-1.
  21. ^ Slash; Bozza, Anthony (2007). Slash. HarperCollins. pp. 397. ISBN 978-0-00-725775-1.
  22. ^ Slash; Bozza, Anthony (2007). Slash. HarperCollins. pp. 399. ISBN 978-0-00-725775-1.
  23. ^ a b c d e f Slash; Bozza, Anthony (2007). Slash. HarperCollins. p. 404. ISBN 978-0-00-725775-1.
  24. ^ a b c "Slash: Making His Mark Without Guns". MTV. June 30, 1997. Retrieved March 14, 2011.
  25. ^ a b c Saidman, Sorelle (July 17, 2000). "INXS To Tour Down Under". MTV. Retrieved March 14, 2011.
  26. ^ Slash; Bozza, Anthony (2007). Slash. HarperCollins. p. 405. ISBN 978-0-00-725775-1.
  27. ^ a b Slash; Bozza, Anthony (2007). Slash. HarperCollins. p. 406. ISBN 978-0-00-725775-1.
  28. ^ a b c d e f Huey, Steve. "Ain't Life Grand Review". AllMusic. Retrieved March 14, 2011.
  29. ^ "Slash To Record With Jack Douglas; Duff McKagan Regroups". MTV. June 8, 1999. Retrieved March 14, 2011.
  30. ^ a b Ain't Life Grand (CD booklet). Slash's Snakepit. Koch Records. 2000.{{cite AV media notes}}: CS1 maint: 다른 인용 AV 미디어(노트)(링크)
  31. ^ "Ain't Life Grand Credits". AllMusic. Retrieved March 14, 2011.
  32. ^ a b Slash; Bozza, Anthony (2007). Slash. HarperCollins. p. 407. ISBN 978-0-00-725775-1.
  33. ^ Saidman, Sorelle (December 15, 1999). "Slash Says "Ain't Life Grand!"". MTV. Retrieved March 14, 2011.
  34. ^ a b c Slash; Bozza, Anthony (2007). Slash. HarperCollins. p. 408. ISBN 978-0-00-725775-1.
  35. ^ a b c Mancini, Robert (July 14, 2000). "Slash Lands Slot On AC/DC Tour". MTV. Retrieved March 14, 2011.
  36. ^ a b c d Kemp, Rob (March 27, 2001). "Pneumonia Knocks Slash's Snakepit Off AC/DC Tour". MTV. Retrieved March 14, 2011.
  37. ^ a b Scherman, Tony (October 20, 2000). "Ain't Life Grand (2010)". Entertainment Weekly. Retrieved March 14, 2011.
  38. ^ Sheffield, Rob (October 12, 2000). "Ain't Life Grand by Slash's Snakepit". Rolling Stone. Retrieved March 14, 2011.
  39. ^ a b Slash; Bozza, Anthony (2007). Slash. HarperCollins. p. 409. ISBN 978-0-00-725775-1.
  40. ^ a b c d Slash; Bozza, Anthony (2007). Slash. HarperCollins. p. 410. ISBN 978-0-00-725775-1.
  41. ^ a b c d Wiederhorn, Jon (May 31, 2001). "Slash Back On Tour With All Guns Blazing". MTV. Retrieved March 14, 2011.
  42. ^ "Archive News". Blabbermouth.net. May 26, 200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8, 2012. Retrieved March 14, 2011.
  43. ^ "Archive News". Blabbermouth.net. June 8, 200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8, 2012. Retrieved March 14, 2011.
  44. ^ "Archive News". Blabbermouth.net. June 4, 200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8, 2012. Retrieved March 14, 2011.
  45. ^ 405
  46. ^ a b "SLASH'S SNAKEPIT Officially Over, Slash Pursues Solo CD, Izzy Collaboration". Blabbermouth.net. January 8, 2002.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8, 2012. Retrieved March 14, 2011.
  47. ^ Rosen, Steven (February 11, 2006). "Velvet Revolver: 'We're Straight Up F—kin? Rock'. Part 2". Ultimate Guitar Archive. Retrieved March 14, 2011.
  48. ^ a b c Loftus, Johnny. "Velvet Revolver Biography". AllMusic. Retrieved March 14, 2011.
  49. ^ "It's Official: VELVET REVOLVER Parts Ways With Singer SCOTT WEILAND". Blabbermouth.net. April 1, 200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4, 2008. Retrieved March 14, 2011.
  50. ^ Wall, Mick (2010), "Classic Rock presents Slash: What Friends Are For", Classic Rock, p. 11, ISBN 978-1-85870-318-3
  51. ^ "Slash album track by track". MusicRadar. March 4, 2010. Retrieved March 14, 2011.
  52. ^ Bosso, Joe (November 30, 2010). "Interview: Myles Kennedy talks Alter Bridge, Slash and Led Zeppelin". MusicRadar. Retrieved March 14, 2011.
  53. ^ Uhelszki, Jaan (October 10, 2000). "For Slash, Life After Guns Is Grand". Rolling Stone. Retrieved March 14, 2011.
  54. ^ Rosen, Steven (March 20, 2010). "Slash: 'I Needed To Do Something Where I Was A Captain Of My Own Ship'". Ultimate Guitar Archiv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6, 2012. Retrieved March 14, 2011.
  55. ^ "Billboard 200: Slash Chart History". Billboard. Retrieved January 2, 2017.
  56. ^ a b 호주(ARIA) 차트 최고점:
    • 상위 50개 피크:
    • 2010년 12월까지 100대 피크:
    • "베거 & 행거 온":
  57. ^ "Discographie Slash". austriancharts.at (in German). Hung Medien. Retrieved January 2, 2017.
  58. ^ "Top Albums/CDs - Volume 61, No. 4: Feb 27, 1995". RPM. Library and Archives Canada. July 22, 2014. Retrieved January 2, 2017.
  59. ^ "Discographie Slash". germancharts.de (in German). Hung Medien. Retrieved April 20, 2017.
  60. ^ "Discografie Slash". dutchcharts.nl (in Dutch). Hung Medien. Retrieved January 2, 2017.
  61. ^ "Discography Slash". norwegiancharts.com. Hung Medien. Retrieved January 2, 2017.
  62. ^ "Discography Slash". swedishcharts.com. Hung Medien. Retrieved January 2, 2017.
  63. ^ "Slash". hitparade.ch (in German). Hung Medien. Retrieved January 2, 2017.
  64. ^ "Chart Log UK: 1994–2010: DJ S – The System Of Life". zobbel.de. Retrieved January 2, 2017.
  65. ^ "Mainstream Rock: March 18, 1995". Billboard. Retrieved January 2, 2017.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