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글라스
Smart glass![]() | 이 글은 광고처럼 쓰인 내용을 담고 있다. (2018년 7월) (이 과 시기 |
스마트 글라스 또는 전환형 글라스(이 애플리케이션에서 스마트 윈도우 또는 전환형 창이라고도 함)는 전압, 조명 또는 열을 가할 때 광 전송 특성이 변경되는 글라스 또는 글레이징이다. 일반적으로 유리는 투명에서 반투명, 그 반대로 빛이 통과하도록 하는 것에서 일부(또는 모든) 빛의 파장을 차단하는 것으로 변화하며 그 반대도 변화한다. 스마트 유리는 스마트 필름 또는 전환 가능한 필름으로 라미네이트를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종종 유리, 아크릴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라미네이트를 사용한다.
또한 일부 유형의 스마트 필름은 자가 접착식 스마트 필름이나 특수 접착제를 사용하여 일반 창문을 스마트 유리로 변환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스마트 유리 기술로는 전자크롬, 광크롬, 열색소, 부유입자, 마이크로블라인드, 폴리머 분변 액정 소자가 있다.[1]
건물 외피에 설치하면 스마트 글라스는 기후 적응형 건물 껍데기를 만든다. 스마트 윈도우의 몇 가지 장점은 블라인드, 음영 또는 윈도우 트리트먼트의 필요성을 없앨 수 있다는 것이다. 스마트 유리는 자연광 조정, 자외선 및 적외선 차단, 광고 및 보안과 같은 많은 기능을 결합할 수 있다.
스마트 창문은 건물의 에너지 절약을 위해 스스로 난방이나 냉방에 적응하는 창문을 가리킬 수도 있다.[2][3]
역사
수분 민감성 때문에 이전 버전의 필름은 유리에 라미네이션으로 스마트 유리를 만드는 데만 사용되었다. 회사들은 라미네이션 비용을 추가하지 않고도 필름을 스스로 사용하기 위해 다양한 설치 방법을 계속 시도하고 있다.
적용들
전기 커튼
스마트 글라스는 창문을 통과하는 일조량을 조절해 건물 내 에너지 절약형 냉난방 등에 활용할 수 있다. 투명 또는 아지랑이 온도 조절 필름은 스마트 필름을 햇볕이 쨍쨍하고 실내 온도가 높을 때 아지랑이 상태로 만든다. 해가 쨍쨍하고 실내 온도가 낮으면 스마트 유리는 투명한 상태로 들어간다.
프라이버시
사무실에서:
- 회의실 유리 외장장치에 적용. 유리가 투명할 때는 객실 안이나 밖을 볼 수 있고 투명하지 않을 때는 투영 스크린으로 사용할 수 있다.
- 유리 커튼월의 에너지절약 기능
고급 주거지의 실내 장식:
- 조명 커버 유리 커튼, 햇살 하우스, 거실 및 욕실 칸. 유리는 사용하지 않을 때는 흐린 상태로 사생활을 보호하고 투명해질 때는 햇볕에 충분히 씻을 수 있다.
광고
제품 디스플레이 및 상업 광고:
- 유리 디스플레이 창은 투명하지 않을 때 제품을 보호하고 제품을 소개하는 투영에 사용할 수 있으며, 투명할 경우 매장 광고에 사용할 수 있다.
스마트 글라스는 광고용 매장 창문의 전환형 프로젝션 스크린으로 활용할 수 있다. 3세대 스마트 필름은[clarification needed] 전후방 투영에 모두 좋으며 투영된 영상을 양쪽에서 볼 수 있다.[citation needed]
기타 용도
기타 특별한 경우에 사용하는 용도는 다음과 같다.
- 휴게실 유리문은 사용하지 않을 때는 투명하고, 문이 닫히면 곧바로 흐린 상태로 바뀐다.
- 2층 유리바닥과 계단은 걸으면 뿌옇게 보이고 그렇지 않으면 투명하다.
- 병원에서 사용하는 프라이버시(예: 유아실과 중환자실 창문, 커튼 교체, 먼지 및 소음 감소)
- 무분진실과 청소실에 적용하면 스마트필름을 이용해 투명·비투명 전환이 가능하며, 실내를 드나드는 무분진 옷을 입어야 하는 고객 불편을 줄일 수 있다.
컬러스
새로운 세대의 스마트 유리 및 스마트 필름은 낮은 연무와 우유빛 흰색, 회색 및 파란색을 포함한다.
전기 전환식 스마트 글라스
다음 표에는 다양한 전기 전환식 스마트 글라스 기술의 개요가 나와 있다.
기술 | 전기 상태 | 전기가 없는 상태 | 댓글 |
---|---|---|---|
전자크롬 장치 | 전기 펄스는 광 전달을 변화시키는 데 사용된다. | 이전 상태를 유지함 | 다소 느림 |
폴리머 변위 액정 장치 | 투명 | 불투명 | 광 투과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
일시 중단된 입자 장치 | 투명 | 부분 불투명 | 광 투과 정도를 조정할 수 있다. |
마이크로 블라인드 | 불투명 | 투명 | 스위치 상태가 빠르고 UV 방사선의 마모를 잘 처리 |
전자크롬 장치
전자크롬 소자는 전압에 반응하여 광 전송 특성을 변경하여 통과하는 빛과 열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4] 전자크롬 창문에서는 전자크롬 물질이 불투명도를 바꾼다. 불투명도를 바꾸려면 전기가 터져야 하지만 일단 변화가 일어나면 도달한 특정 음영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전기가 필요 없다.[5]
1세대 전기크롬 기술은 선명한 상태에서는 노란색 주물을, 선명한 상태에서는 파란색을 띠는 경향이 있다. 다크닝은 가장자리에서 발생하여 안쪽으로 이동하며, 창 크기에 따라 수 초에서 수 분(20~30분)에 이르는 느린 공정이다. 새로운 전자크롬 기술은 투명한 상태에서 노란색 주물을 제거하고 보다 중립적인 회색 음영으로 틴팅하며 외부보다 고르게 틴팅하며 유리의 크기와 상관없이 틴팅 속도를 3분 이내로 가속화한다. 전자크롬 유리는 어두운 상태에서도 가시성을 제공하여 외부 환경과의 시각적 접촉을 보존한다.
전환금속 하이드라이드 전자크롬과 관련된 전자크롬 물질의 최근 발전으로 반사하이드라이드가 개발되어 흡수되기보다는 반사되어 투명성과 거울 같은 상태를 전환하게 되었다.
다공성 나노크리스탈린 필름의 최근 발전은 전자크롬 디스플레이를 만드는 것을 가능하게 했다. 단일 기질 표시 구조는 투명 도체(ITO 또는 PEDOT:PSS 등)로 수정된 기질에 서로 위로 인쇄된 여러 겹의 다공성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인쇄 층에는 특정한 기능 세트가 있다. 작동하는 전극은 이산화티타늄과 같은 양극성 다공성 반도체와 흡착된 크로모겐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크롬균들은 환원이나 산화 작용에 의해 색이 변한다. 패시브레이터는 전기적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이미지의 음성으로 사용된다. 절연체 층은 대비율을 높이고 작동 전극을 카운터 전극에서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카운터 전극은 높은 캐패시턴스를 제공하여 SEG 전극에 삽입/추출된 전하를 균형 있게 조정(및 전체 장치 충전 중립성을 유지)한다. 탄소는 충전 저수지 필름의 한 예다. 전도성 탄소층은 일반적으로 카운터 전극의 전도성 백 접점으로 사용된다. 마지막 인쇄 단계에서 다공성 모노리스 구조는 액체 또는 폴리머겔 전해액으로 과인쇄하여 건조시킨 다음 적용 요건에 따라 다양한 캡슐화 또는 외함에 통합될 수 있다. 표시장치는 일반적으로 30마이크로미터 또는 사람의 머리카락의 1/3 정도로 매우 얇다. 전도성 탄소층에 상대적인 투명 전도 기질에 전위를 적용하여 장치를 켤 수 있다. 이로 인해 작동 전극 내부에서 바이올로겐 분자(색소화)가 감소한다. 적용된 전위를 역전시키거나 방전 경로를 제공함으로써 기기가 탈색한다. 전기크롬 모노리스의 독특한 특징은 바이올로겐을 색칠하거나 표백하는 데 필요한 상대적으로 낮은 전압(약 1볼트)이다. 이는 흡착된 비올로겐/크롬균 표면의 전기화학적 감소를 추진하는 데 필요한 작은 과전위로 설명할 수 있다.
대부분의 스마트 필름 유형은 스마트 필름을 작동시키기 위해 고전압(예: 110VAC)이 필요하므로 이러한 유형의 스마트 필름은 유리를 만질 수 있는 사용자에게 전기적 안전을 제공하기 위해 유리, 아크릴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라미네이트에 밀폐해야 한다.[citation needed]
폴리머 변위 액정 장치
고분자분해 액정 장치(PDLC)에서는 액체 결정체가 용해되거나 액체 중합체로 분산된 후 고형화 또는 경화된다. 폴리머가 액체에서 고체로 바뀌는 동안, 액정은 고형 폴리머와 양립할 수 없게 되고 고형 폴리머 전체에 물방울을 형성한다. 경화 조건은 "스마트 윈도우"의 최종 작동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물방울의 크기에 영향을 미친다. 전형적으로 폴리머와 액정의 액체 혼합물은 투명하고 전도성 물질의 얇은 층을 포함하고 있는 유리나 플라스틱의 두 층 사이에 놓이게 되며, 따라서 폴리머의 양생에 따라 스마트 윈도우의 기본적인 샌드위치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이 구조물은 사실상 콘덴서다.
전원 공급기의 전극은 투명한 전극에 부착된다. 인가된 전압이 없는 상태에서 액체 결정체가 물방울에 랜덤하게 배열되어 있어 스마트 윈도우 어셈블리를 통과할 때 빛이 산란된다. 이것은 반투명하고 "우유한 흰색"의 외관을 초래한다. 전극에 전압을 가하면 유리의 두 투명 전극 사이에 형성된 전기장이 액체 결정체를 정렬시켜 빛이 매우 적은 산란으로 물방울을 통과해 투명한 상태가 된다. 투명도는 인가 전압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이것은 낮은 전압에서 소수의 액체 결정만이 전기장에 완전히 정렬되기 때문에 대부분의 빛이 산란된 상태에서 빛의 작은 부분만 통과하기 때문에 가능하다. 전압이 증가함에 따라 정렬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는 액정이 줄어들어 빛이 덜 산란하게 된다. 틴트와 특수 내부층을 사용할 때 통과하는 빛과 열의 양을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시 중단된 입자 장치
부유 입자 장치(SPD)에서는 로드와 같은 나노 스케일 입자의 박막 라미네이트를 액체에 매달아 유리나 플라스틱 두 조각 사이에 두거나 한 층에 부착한다. 전압이 인가되지 않으면 매달린 입자가 무작위로 정리되어 빛을 차단하고 흡수한다. 전압이 인가되면 매달린 입자들이 정렬하여 빛이 지나가게 한다. 필름의 전압에 따라 부유 입자의 방향이 달라져 유리의 틴트와 전달되는 빛의 양이 조절된다. SPD를 수동으로 또는 자동으로 "조정"하여 통과하는 빛, 섬광 및 열의 양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마이크로 블라인드
마이크로 블라인드는 인가 전압에 반응하여 통과하는 빛의 양을 조절한다. 마이크로 블라인드는 유리 위에 얇은 금속 블라인드로 되어 있다. 그것들은 매우 작아서 사실상 눈에 보이지 않는다. 금속층은 자석 스퍼터링에 의해 침전되고 레이저나 석판화 과정에 의해 패턴화된다. 유리 기판은 투명한 전도성 산화물(TCO) 층의 얇은 층을 포함한다. 얇은 절연체는 압연 금속층과 TCO 층 사이에 전기 분리를 위해 침전된다. 인가된 전압이 없으면 마이크로 블라인드를 굴려 빛이 통과하도록 한다. 압연된 금속층과 투명한 전도성 층 사이에 전위차가 있을 때, 두 전극 사이에 형성된 전기장은 압연된 마이크로 블라인드가 늘어나 빛을 차단한다. 마이크로 블라인드는 전환 속도(밀리초), UV 내구성, 맞춤형 외관, 트랜스미션 등 여러 장점이 있다. 마이크로 블라인드는 국가연구회의(캐나다)에서 개발된다.스마트 글라스용 마이크로 블라인드
관련 기술 분야
스마트 글라스라는 표현은 더 넓은 의미로 해석할 수 있는데, 빛이나 온도 같은 환경 신호에 대응하여 빛 전송 특성을 변화시키는 글레이징도 포함한다.
- 다른 유형의 유리는 다양한 색채 현상을 보여줄 수 있다. 즉, 광화학 영향에 기초하여 유리는 빛(광채색), 온도(열채색), 전압(전채색)과 같은 환경 신호에 대응하여 빛 전달 특성을 변화시킨다.
- 액정은 열방성 상태일 때 온도에 반응하여 빛 전달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다.
- 다양한 금속이 조사되었다. 얇은 Mg-Ni 필름은 가시 투과율이 낮고 반사적이다. H2 가스에 노출되거나 알칼리성 전해액에 의해 감소하면 투명해진다. 이러한 변화는 수산화 마그네슘 니켈의 형성 MgNiH에24 기인한다. 영화는 구성의 변화를 촉진하기 위해 Ni와 Mg의 별도 목표로부터 분리되어 만들어졌다. 단일 표적 d.c. 자석론 스퍼터링은 결국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전자크롬 산화물의 증착에 비해 상대적으로 간단하므로 보다 저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로렌스 버클리 국립 연구소는 새로운 전이 금속이 더 저렴하고 반응성이 낮다고 판단했지만, 동일한 품질을 포함하고 있어 비용을 더욱 절감했다.
- 텅스텐 경량 이산화 바나듐 VO2 코팅은 온도가 29°C(84°F) 이상 상승할 때 적외선 빛을 반사해 높은 주변 온도에서 창문을 통한 햇빛 전달을 차단한다. 이산화 바나듐은 비교적 낮은 온도에서 반도체와 금속 간 전환을 거친다. 이러한 전환은 물질을 전도 특성에서 절연 특성으로 변화시키고 결국 유리의 색상은 물론 투과 특성까지 변화시킨다. 일단 코팅이 이러한 변화를 겪게 되면 적외선 스펙트럼을 걸러냄으로써 절연체가 열을 얻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6]
이러한 유형의 글레이징은 수동으로 제어할 수 없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모든 전기 교환형 스마트 윈도우는 각각 온도계나 광센서와 통합하여 온도나 밝기에 반응하여 광 전송 특성을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
사용 예

멜버른의 유레카 타워는 건물에서 3m(10ft) 떨어진 곳에 방문객들이 투영된 유리 큐브를 가지고 있으며, 지상 300m(984ft) 가까이 매달려 있다. 들어가면 큐브가 건물 가장자리 위로 이동하면서 유리가 불투명하다. 일단 가장자리 위로 완전히 뻗으면 유리가 투명해진다.[7]
보잉 787 드림라이너는 기존 항공기의 풀다운 윈도우 음영을 대체한 전자크롬 창을 탑재했다.[8]
나사는 새로 개발된 오리온과 알테어 우주선이 경험하는 열환경 관리를 위해 전자크롬을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스마트 글라스는 페라리 575M 슈퍼아메리카를 포함한 일부 소형차에서 사용되었다.[9]
ICE 3 고속열차는 객실과 운전석 사이에 전자색 유리 패널을 사용한다.
워싱턴 기념물의 엘리베이터는 승객들이 기념비 안에 있는 기념석을 볼 수 있도록 스마트 글라스를 사용한다.
암스테르담 무섬플레인 광장에 있는 시 화장실은 문이 닫힐 때 빈 노점의 탑승 상태를 쉽게 판단할 수 있도록 스마트 글라스를 갖추고 있으며, 탑승 시 사생활 보호를 위해 스마트 글라스를 갖추고 있다.
봄바디어 운송은 싱가포르 부킷 판장 LRT 노선에서 운행 중인 봄바디어 이노베이션ia APM 100에 지능형 온블러 창구를 탑재해 열차가[10] 이동하는 동안 승객들이 아파트 안을 들여다보는 것을 방지하고 플렉시티 2 경전철 차량에 스마트 글라스 기술을 적용한 창구를 제공할 계획이다.[11]
중국 휴대폰 제조업체 원플러스는 전자크롬 유리창 뒤에 후면 카메라가 놓인 휴대전화를 시연했다.[12]
도쿄의 공중화장실은 점유된 화장실 문이 잠길 때 이 기술을 사용한다.[13]
대중문화에서
- 1982년 영화 '블레이드 러너'는 해리슨 포드가 연기한 릭 데커드가 거짓말탐지기 방식의 테스트를 시행해 숀 영이 그린 '레이첼'이 복제 로봇으로 알려진 유기농 로봇인지를 판별할 수 있도록 스마트 유리를 조기에 묘사한 장면을 담고 있다.
- 1993년 영화 필라델피아는 로펌 한가운데에 있는 대형 회의실 3면에 유리벽이 있는 장면이 나온다. 제이슨 로바즈는 "창문에 부딪혀도 괜찮겠니?"라고 말하며 스위치를 던졌고, 모든 창문은 즉시 반투명해져서 아무도 톰 행크스의 성격을 해고하는 것을 볼 수 없게 되었다.[14]
- 1999년 게임 '디노 위기'에는 액정으로 만든 '방탄유리'가 있다. 주인공 레지나가 게임 마지막 부분에서 유리 패널을 묘사하는 것처럼 현재 '연기' 모드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당신은 그것을 꿰뚫어 볼 수 없다.
- 벤 애플렉이 연기한 잭 라이언이 펜타곤의 비밀의 방으로 안내되는 2002년작 영화 <The Sum of All Fears>에서 스마트 유리는 문이 닫히면서 희어진다.
- 스마트 글라스는 잭 바우어가 헤로인을 주사하면서 시야를 감추기 위해 서리가 내린 유리로 시야를 바꾼 텔레비전 시리즈 24의 세 번째 시즌에서 볼 수 있다.
- 스마트 글라스는 CSI 5화 '마이애미: 마이애미'에서 라이언 울프가 말하는 소위 '지능형 글라스'에 의해 방패막이 된 방 안에서 미성년자 음주를 폭로하기 위해 잠복근무하던 젊은 여성이 살해되는 장면으로, 문을 닫으면 유리 서리가 넘어져 불투명해진다. 이 에피소드는 2004년에 처음 방영되었다.
- 스마트 유리는 텔레비전 시리즈인 Lie to Me에서 Lightman Group 사무실의 질문/인터뷰 룸과 함께 스마트 유리 벽이 있는 더 큰 방 안에 있는 방 크기의 박스에 해당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벽은 대부분 하얗고 불투명해 보이지만 외부로부터 어떤 주제를 관찰하는 사람들을 드러내기 위해 선명하게 표현될 수 있다.
- 스마트 글라스는 2005년 비디오 게임 톰 클랜시의 스플린터 셀: 혼돈 이론에서 다섯 번째 미션인 "Displace International"에서 등장하여 주인공의 OCP 권총 부착으로 빠르게 ON/OFF 모드를 전환할 수 있었다.
- 영화 아이언맨(2008)에서는 크리스틴 에버하트 기자가 토니 스타크와 1박 2일 스탠드 후 깨어난 뒤 스마트 글라스가 상영됐다.
- 닐이 다니엘 리드에게 애버리가 배신할 계획이라고 말할 때, 화이트 칼라 시즌 1회 8화 "하드 셀"에서 스마트 글라스가 사용되고 있는 것이 보인다. 대니얼은 스위치를 넘기고 사무실 창문은 서리가 내려 애버리가 그들이 말하는 동안 안을 엿보는 것을 막는다.
- 스마트 글라스는 2012년 제임스 본드 영화 '스카이폴'에 출연해 라울 실바가 붙잡힌 뒤 M에게 모습을 드러냈다.
- The Real World: Austin의 화장실에서 스마트 유리를 사용했다.
- 딤머블 스마트 글라스는 2014년 영화 '캡틴 아메리카: 워싱턴 D.C.에 있는 쉴드 사무실에 있는 윈터 솔져
- 스마트 글라스는 2014년 하마다 다다시가 자신의 사무실에서 사용했던 애니메이션 영화 빅 히어로 6에 실렸다.
- 에인젤의 다섯 번째 계절에는 스마트 유리가 에인젤의 사무실 내부 벽에 선을 긋고, 에인젤의 책상 아래 스위치의 깜박임에도 서리가 내릴 수 있다.(허구의 흡혈귀 안전장치인 '네크로 성질의 유리'는 건물 외벽에 선을 긋는다.)
- 전자크롬 유리는 2016년 비디오 게임 Deus Ex: Humanity Dividated에서 널리 사용될 수 있다. EC 유리는 실내와 주변 환경 사이의 시야를 차단/차단 해제하는 데 자주 사용된다.
- 2018년 한국 드라마 '김비서가 왜 그럴까'에서 이영준은 비서 김미소를 껴안고 있었는데 갑자기 미소의 친구인 미스터 정, 김지아, 봉씨 세 명이 이씨 창문에서 그들을 보고 있었다. 미소는 그들이 감시당하고 있다는 것을 깨닫고 리모콘을 잡고 전극 유리를 작동시켜 그들이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는지 보지 못하게 했다.
- 2013년 비디오 게임 Grand Traffic Auto V에서는 게임 온라인 모드에서 플레이어가 구입한 특정 건물을 '프라이버시 글라스'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참고 항목
참조
- ^ Baetens, R.; Jelle, B.P.; Gustavsen, A. (2010). "Properties, requirements and possibilities of smart windows for dynamic daylight and solar energy control in buildings: A state-of-the-art review". Solar Energy Materials and Solar Cells. 94 (2): 87–105. doi:10.1016/j.solmat.2009.08.021. hdl:11250/2473860.
- ^ "Scientists invent energy-saving glass that 'self-adapts' to heating and cooling demand".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Retrieved 19 January 2022.
- ^ Wang, Shancheng; Jiang, Tengyao; Meng, Yun; Yang, Ronggui; Tan, Gang; Long, Yi (17 December 2021). "Scalable thermochromic smart windows with passive radiative cooling regulation". Science. 374 (6574): 1501–1504. Bibcode:2021Sci...374.1501W. doi:10.1126/science.abg0291. PMID 34914526. S2CID 245262692.
- ^ Xu, Ting; Walter, Erich C.; Agrawal, Amit; Bohn, Christopher; Velmurugan, Jeyavel; Zhu, Wenqi; Lezec, J.; Talin, A.Alec (27 January 2016). "High-contrast and fast electrochromic switching enabled by plasmonics". Nature Communications. 7: 10479. Bibcode:2016NatCo...710479X. doi:10.1038/ncomms10479. PMC 4737852. PMID 26814453.
- ^ Mortimer, Roger J. "Switching Colors with Electricity". American Scientist. Retrieved 2 August 2018.
- ^ S. 시지스체프스키, R. 보겔, F. 비트너, E. 야쿠지크, M. 앤더슨, M. 펠라크시, A. 치네두, H.J.엔드레스, T. Hipke, "국소 공명 및 변형률 효과를 통해 생성되는 비절단 재료" Scientific Reports, vol. 10, no. 1, 2020. "지능형 열색소 윈도우", 화학 교육 저널. [온라인. 이용 가능: https://pubs.acs.org/doi/abs/10.1021/ed083p393?casa_token=zJ-zsaZpN04AAAAA%3AlgN2ih2sSofIpAKDIq3fo3Ol0D1TPwDoVlCvMNCk4_sEYisZftwRKD0-MPjpcdbqoAWsVOwB_D0AzoE. [접속: 10월 19일-2020년].
- ^ "Experience the terrifying Edge at Eureka Tower". Herald Sun. news.com.au. 29 April 2007.
- ^ "How The Magical Windows in Boeing's 787 Dreamliner Work". Gizmodo. 10 August 2011. Retrieved 2 August 2018.
- ^ McGrath, Jenny (7 August 2015). "Cooling down the house: A new smart glass could block both heat and light". Digital Trends. Retrieved 3 August 2018.
- ^ "Bombardier INNOVIA APM100 (C801), Singapore". SG Trains. 2015-07-2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5-07-23.
The Bombardier INNOVIA APM100 (C801) trains are Singapore's first variant of LRT cars, which operates on the 14 station Bukit Panjang LRT Line operated by SMRT Light Rail Ltd. They were first developed by Adtranz as the CX-100, which was later acquired by Bombardier Transportation and renamed in 2001.
- ^ "Bombardier to Feature Vision Systems' Nuance With SPD-SmartGlass From Research Frontiers at InnoTrans 2014 in Berlin, Germany". CNN Money. 2014-09-1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4-09-19.
This electronically dimmable window technology provides unsurpassed thermal insulation: SPD-SmartGlass substantially rejects solar heat from entering through windows. When compared to conventional automotive glass, Mercedes-Benz reported that the use of SPD-SmartGlass significantly reduced the temperature inside the vehicle by up to 18 °F/10 °C. This increases passenger comfort and reduces air conditioning loads, thereby saving fuel and reducing CO2 emissions.
- ^ "OnePlus Concept One: Details, Specs, Disappearing Camera" – via www.wired.com.
- ^ "Tokyo's Transparent Public Toilet" – via YouTube.com.
- ^ Ghostarchive 및 Wayback Machine에 보관:
추가 읽기
- Granqvist, Claes-Göran (2002) [1995]. Handbook of Inorganic Electrochromic Materials. Amsterdam: Elsevier. ISBN 9780444541635. OCLC 754957758.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스마트 글래스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