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표: 64°13'28 ″N 12°37'31 ″E / 64.22444°N 12.62528°E / 64.22444; 12.62528

스노사

Snåsa
스노사 시
Snåsa kommune
Snåasen tjïelte
스나센헤르레드 (사적명)
View of Snåsa over Snåsavatnet
스노사바트넷에서 본 스노사 전경
Flag of Snåsa Municipality
Snåsa within Trøndelag
트뢴델라크 내의 스노사
Snåsa Municipality is located in Norway
Snåsa Municipality
스노사 시
Coordinates: 64°13′28″N 12°37′31″E / 64.22444°N 12.62528°E / 64.22444; 12.62528
나라노르웨이
자치주트뢴델라그
디스트릭트인헤라드
설립된1838년 1월 1일
작성자:포맨스캡스디스트릭트
행정중심지스노사
정부
• 시장(2019)아른트 아이나르 바르달(Sp)
지역
• 토탈2,342.66 km2 (904.51 sq mi)
• 육지2,145.70 km2 (828.46 sq mi)
• 물196.96 km2 (76.05 sq mi) 8.4 %
• 랭크노르웨이에서 23위
인구.
(2022)
• 토탈2,033
• 랭크노르웨이에서 277위
• 밀도0.9/km2 (2/sq mi)
• 변경(10년)
감소하다 −6.1%
디모닉스노스닝[1]
공용어
노르웨이식뉴트럴
사미형남사미
시간대UTC+01:00 (CET)
• 여름(DST)UTC+02:00 (CEST)
ISO 3166 코드NO-5041[3]
웹사이트공식 홈페이지

스노사(Snåsa) 도시 동 노르웨이어:ˈ òː ɑ스노세()는 노르웨이 트뢴델라그 주에 위치한 지방 자치체입니다. 그것은 인허레드 지역의 일부입니다. 스노사(Snósa)는 스노사(Snósa)의 행정 중심지입니다. 다른 마을로는 아글요르슈타트가 있습니다.

Snósa는 심각한 멸종 위기에 처한 남사미 언어의 마지막 거점 중 하나입니다.

2,343 평방 킬로미터의 자치체는 노르웨이의 356개 자치체 중 23번째로 면적이 큽니다. 스노사(Snósa)는 노르웨이에서 277번째로 인구가 많은 지방 자치체로, 인구는 2,033명입니다. 시의 인구 밀도는 평방 킬로미터당 0.9명이며 지난 10년 동안 인구는 6.1% 감소했습니다.[4][5]

일반정보

스노사 교구는 1838년 1월 1일에 설립되었습니다. 1874년 1월 1일, 스뇨사의 동쪽 구역(인구 1,015명)이 분리되어 리에른의 새로운 분리된 지방 자치체가 탄생했습니다. 이로 인해 스노사에는 2,235명의 주민이 거주하게 되었습니다. 스노사의 경계는 그 이후로 바뀌지 않았습니다.[6]

2018년 1월 1일, 노르트트뢴델라크 현에서 새로운 트뢴델라크 현으로 전환했습니다.

이름.

스노사(Snósa)는 고대 노르드어로 명명된 지방 자치체입니다. Sn ǫ). 이 이름은 "에 띄는 산" 또는 "떠오르는 바위"를 의미하는 sn ǫ(스노사바트네 호수의 안쪽 끝에 있는 베르그소센 산을 지칭하는 것으로 추정됨)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역사적으로 지방 자치제의 이름은 스나센(Snaasen)으로 표기되었습니다. 1917년 11월 3일, 왕실 결의안은 지방 자치제의 이름 철자를 스나사로 변경했습니다.[8] 1917년 12월 21일, 왕실 결의안1917년 노르웨이어 개혁안을 제정했습니다. 이 변경 전에는 스나사(Snaasa)라는 이름의 철자를 "aa"라는 디그래프와 함께 사용했고, 이 개혁 후에는 스나사(Snåsa)라는 이름의 철자를 사용했습니다.

2010년 9월 24일, 정부는 지방 자치체에 동일한 공식 남사미어 이름을 추가하는 결의안을 승인했습니다. 스나세.[11][12] 사미 언어 이름의 철자는 어떻게 쓰이느냐에 따라 바뀝니다. 단독 철자로는 Sn whenase라고 하지만, "Snåsa 시정촌"에 해당하는 사미어를 사용할 때는 Snåasentj ïelte라고 합니다.

국장

1994년 3월 17일에 국장이 수여되었습니다. 공식 블레이즈 "Azure, a lady-slipper ranch" (노르웨이어: I blåt ten gull marisko). 이것은 팔에 푸른 들판(배경)이 있고 전하가 여성용 난초(Cypripedium calceolus)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여성용 난초는 일반적으로 노란색을 띠는 오르(Or)의 촉을 가지고 있지만 금속으로 만든 경우 금을 사용합니다. 이 디자인은 지방 자치 단체에서 자라는 난초의 보급을 상징하기 위해 선택되었습니다. 이 특별한 꽃은 스노사에서 자라는 최소 15종의 난초 중 하나입니다. 이 팔들은 이븐 자를 스코글룬드가 디자인했습니다. 시의 국기는 국장과 같은 디자인입니다.[14][15][16][11]

교회

노르웨이 교회는 스노사 지방 자치제 내에 하나의 교구(sokn)를 두고 있습니다. 니다로스 교구에 있는 노르드인헤라드 프로스티(사슴)의 일부입니다.

스노사의 교회
교구(skn) 교회명 교회의 소재지 지은년도
스노사 스노사 교회 스노사 1200

지리학

스노사바트넷 호수 전경

스노사는 트론헤임 시에서 북동쪽으로 약 180킬로미터(110마일)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으며, 남동쪽으로는 스웨덴과 국경을 접하고 있습니다. 북쪽과 동쪽으로는 오버할라 시, 그롱 시, 리에르네 시, 서쪽과 남쪽으로는 슈타인커 시, 베르달 시와 접합니다. 이 나라에서 6번째로 큰 호수인 스노사바트네(Sn partlysavatnet)는 부분적으로 지방 자치 단체에 위치해 있습니다. 다른 호수로는 안드르j, 뱅스j, 그뢰닝엔, 홀데렌, 스토어외잉엔 등이 있습니다. 블뢰펠라-스키 æ커펠라 국립공원은 도시의 동쪽 대부분을 차지합니다.

정부

스노사(Snósa)를 포함한 노르웨이의 모든 지방 자치 단체는 초등 교육(10학년~10학년), 외래 의료 서비스, 노인 서비스, 실업 및 기타 사회 서비스, 구역 지정, 경제 개발 및 시 도로를 담당합니다. 시정촌은 선출된 대표자로 구성된 시의회에 의해 관리되며, 시의회는 시장을 선출합니다.[17] 지방 자치체는 트뢴델라그 지방 법원프로스팅 항소 법원에 해당합니다.

시의회

스노사의 시의회(Kommunestere)는 4년 임기로 선출되는 21명의 대표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의회의 당론은 다음과 같습니다.

2020-2023년 스노사 코뮌스테레
당명(노르웨이어) 의 수
대표자들
노동당 (아버이더 파티) 6
보수당 (Høyre) 1
중앙당 (Senter partiet) 8
사회좌파당 (소시알리스티스크 벤스트레파르티) 2
총 구성원 수:17
2016-2019 스노사 코뮌스테레
당명(노르웨이어) 의 수
대표자들
노동당 (아버이더 파티) 10
보수당 (Høyre) 1
중앙당 (Senter partiet) 7
사회좌파당 (소시알리스티스크 벤스트레파르티) 2
자유당 (벤스트레) 1
총 구성원 수:21
2012-2015 스노사 코뮌스테레
당명(노르웨이어) 의 수
대표자들
노동당 (아버이더 파티) 8
보수당 (Høyre) 1
중앙당 (Senter partiet) 8
사회좌파당 (소시알리스티스크 벤스트레파르티) 1
자유당 (벤스트레) 3
총 구성원 수:21
스노사 코뮌스테레 2008~2011
당명(노르웨이어) 의 수
대표자들
노동당 (아버이더 파티) 8
보수당 (Høyre) 1
중앙당 (Senter partiet) 9
사회좌파당 (소시알리스티스크 벤스트레파르티) 1
자유당 (벤스트레) 2
총 구성원 수:21
2004~2007년 스노사 코뮌스테레
당명(노르웨이어) 의 수
대표자들
노동당 (아버이더 파티) 7
진보당 (Fremskrits partiet) 1
보수당 (Høyre) 1
중앙당 (Senter partiet) 8
사회좌파당 (소시알리스티스크 벤스트레파르티) 1
자유당 (벤스트레) 2
지방 목록 스노사 (Bygdelist Snósa)1
총 구성원 수:21
스노사 코뮌스테레 2000-2003
당명(노르웨이어) 의 수
대표자들
노동당 (아버이더 파티) 8
보수당 (Høyre) 1
중앙당 (Senter partiet) 6
사회좌파당 (소시알리스티스크 벤스트레파르티) 1
자유당 (벤스트레) 1
로컬리스트 (Bygdelist)4
총 구성원 수:21
1996년 ~ 1999년 스노사 코뮌스테레
당명(노르웨이어) 의 수
대표자들
노동당 (아버이더 파티) 6
중앙당 (Senter partiet) 10
사회좌파당 (소시알리스티스크 벤스트레파르티) 1
자유당 (벤스트레) 1
지방 목록 스노사 (Bygdelist Snósa)3
총 구성원 수:21
1992~1995년 스노사 코뮌스테레
당명(노르웨이어) 의 수
대표자들
노동당 (아버이더 파티) 6
중앙당 (Senter partiet) 8
사회좌파당 (소시알리스티스크 벤스트레파르티) 2
자유당 (벤스트레) 1
지방 목록 스노사 (Bygdelist Snósa)4
총 구성원 수:21
1988~1991년 스노사 코뮌스테레
당명(노르웨이어) 의 수
대표자들
노동당 (아버이더 파티) 8
보수당 (Høyre) 2
중앙당 (Senter partiet) 8
사회좌파당 (소시알리스티스크 벤스트레파르티) 1
자유당 (벤스트레) 2
총 구성원 수:21
1984~1987년 스노사 코뮌스테레
당명(노르웨이어) 의 수
대표자들
노동당 (아버이더 파티) 7
보수당 (Høyre) 2
중앙당 (Senter partiet) 8
사회좌파당 (소시알리스티스크 벤스트레파르티) 1
자유당 (벤스트레) 3
총 구성원 수:21
1980~1983년 스노사 코뮌스테레
당명(노르웨이어) 의 수
대표자들
노동당 (아버이더 파티) 8
보수당 (Høyre) 2
중앙당 (Senter partiet) 7
자유당 (벤스트레) 4
총 구성원 수:21
1976~1979년 스노사 코뮌스테레
당명(노르웨이어) 의 수
대표자들
노동당 (아버이더 파티) 8
보수당 (Høyre) 1
중앙당 (Senter partiet) 10
사회좌파당 (소시알리스티스크 벤스트레파르티) 1
자유당 (벤스트레) 1
총 구성원 수:21
1972-1975년 스노사 코뮌스테레
당명(노르웨이어) 의 수
대표자들
노동당 (아버이더 파티) 10
중앙당 (Senter partiet) 9
자유당 (벤스트레) 2
총 구성원 수:21
1968년 ~ 1971년 스노사 코뮌스테레
당명(노르웨이어) 의 수
대표자들
노동당 (아버이더 파티) 10
보수당 (Høyre) 1
중앙당 (Senter partiet) 8
자유당 (벤스트레) 2
총 구성원 수:21
1964-1967년 스노사 코뮌스테레
당명(노르웨이어) 의 수
대표자들
노동당 (아버이더 파티) 10
중앙당 (Senter partiet) 9
자유당 (벤스트레) 2
총 구성원 수:21
1960-1963년 스노사 헤르츠 스타일
당명(노르웨이어) 의 수
대표자들
노동당 (아버이더 파티) 10
중앙당 (Senter partiet) 8
자유당 (벤스트레) 3
총 구성원 수:21
1956-1959년 스노사 헤르체르슈티레
당명(노르웨이어) 의 수
대표자들
노동당 (아버이더 파티) 10
농민당 (Bondepartiet) 8
자유당 (벤스트레) 3
총 구성원 수:21
1952~1955년 스노사 헤르츠 스타일
당명(노르웨이어) 의 수
대표자들
노동당 (아버이더 파티) 10
농민당 (Bondepartiet) 7
자유당 (벤스트레) 3
총 구성원 수:20
1948-1951년 스노사 헤르체르슈티레
당명(노르웨이어) 의 수
대표자들
노동당 (아버이더 파티) 9
농민당 (Bondepartiet) 7
자유당 (벤스트레) 4
총 구성원 수:20
1945-1947년 스노사 헤르체르슈티레
당명(노르웨이어) 의 수
대표자들
노동당 (아버이더 파티) 10
농민당 (Bondepartiet) 4
자유당 (벤스트레) 6
총 구성원 수:20
1938-1941년 스노사 헤르체르슈티레
당명(노르웨이어) 의 수
대표자들
노동당 (아버이더 파티) 8
농민당 (Bondepartiet) 7
자유당 (벤스트레) 4
로컬 목록 (로케일 리스터) 1
총 구성원 수:20
참고: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독일이 노르웨이를 점령했기 때문에, 1945년 전쟁이 끝난 후까지 새로운 지방 의회를 위한 선거가 실시되지 않았습니다.

시장들

스노사의 시장들:[36][37]

  • 1837-1839: 옌스 라이닝
  • 1840–1843: 폴 올슨 그란
  • 1844-1847: 옌스 라이닝
  • 1848-1851: 보르트 라르센 뵈그세트
  • 1852-1859: 로렌츠 피터 엘스터
  • 1860-1861: 피터 뮤즈
  • 1862-1865: 베르텔 그라브뢰트
  • 1866년 ~ 1868년: 로렌츠 니콜라이 뵈그세트
  • 1868-1871: 토마스 콘래드 허쉬
  • 1872년 ~ 1873년: 피터 무우스
  • 1874–1875: 부툴프 브뢴슈타트
  • 1876-1883: 에릭 벨보 (V)
  • 1884-1887: 군네리우스 라센 (V)
  • 1888-1893: 닐스 무우스 (V)
  • 1894-1898: 올레 에겐 (V)
  • 1899-1901: 닐스 무우스 (V)
  • 1902-1907: 올레 에겐 (V)
  • 1908-1916: 로렌츠 보기(Rp)
  • 1917-1919: 요한 N. 브레데 (LL)
  • 1920–1922: Størker Jørstad (V)
  • 1922-1922: 아른 H. 파이브 (LL)
  • 1923-1925: 니콜라이 켄스타드 (Bp)
  • 1926-1928: 아른 H. 파이브 (V)
  • 1929-1934: 올라프 에겐 (BP)
  • 1935-1937: 에밀 모나 (Bp)
  • 1938-1945: 올라프 에겐 (Bp/NS)
  • 1945-1945: 에밀 모나(Bp)
  • 1945-1945: 피터 핀사스 (V)
  • 1946-1947: 존 비엠(Ap)
  • 1948-1948: 피터 핀사스 (V)
  • 1948-1951: 요하네스 고스모 (Bp)
  • 1952-1955: 존 비엠(Ap)
  • 1956-1963: 요하네스 고스모 (SP)
  • 1964-1967: 오스문트 그란데 (Sp)
  • 1968-1975: 아른 샌즈 (SP)
  • 1976–1987: Fridtjof Jørstad (Sp)
  • 1988-1989: 루드비히 룬드하임 (V)
  • 1990-1991: 아놀드 스킴스타드 (Ap)
  • 1992-1999: 아이슈타인 바달 (SP)
  • 1999-2003: Alfred Berget (Ap)
  • 2003-2015: Vigdis Hulstad Belbo (SP)
  • 2015-2019: 톤보그(Ap)
  • 2019-현재: 아른트 아이나르 바르달(Sp)

교통.

유럽 고속도로 E6가 스노사바트네 호수의 북쪽에 있는 지방 자치 단체를 통과하고 노들랜드 선이 호수의 남쪽을 따라 달립니다. 이 열차는 요르슈타트 역스노사 역에 정차합니다.

트리비아

주목할 만한 사람들

Jens Rynning, Snåsa
  • 옌스 라이닝(Jens Rynning, 1778–1857) 노르웨이의 성직자이자 공교육 옹호자로, 링사커와 스노사에서 성직자로서 그의 직장 생활을 보냈습니다.
  • 노르웨이계 미국인 루터교 목사 베른트 율리우스 무우스(1832년 스노사 – 1900년)가 성(聖)의 설립을 도왔습니다. 미네소타 노스필드 올라프 칼리지
  • 피더 팔스타드(Peder Falstad, 1894년 스노사 ~ 1965년)는 미국의 스키점프 선수로 1932년 동계 올림픽에 참가했습니다.
  • 아른 산드네스(Arne Sandnes, 1924년 ~ 2016년)는 정치인이자 스노사 시의회 의장입니다.
  • 요랄프 제르스타드(Joralf Gjerstad, 1926년 ~ 2021년)는 "따뜻한 손을 가진 사람"으로 알려진, 자신을 확인한 심령술사이자 검증되지 않은 신앙 치료사입니다.
  • Geir Högsnes (1950년 Snósa - 2009년) 노르웨이의 사회학자, 학자
  • 오제 틸둠(Jon Ozge Tyldum, 1968년 ~ )은 노르웨이의 전직 바이애슬론 선수입니다.
  • 안데르스 아이데(, 1971년 ~ )는 노르웨이의 크로스컨트리 스키 선수로 1998년 동계 올림픽에 참가했다.

미디어 갤러리

참고문헌

  1. ^ "Navn på steder og personer: Innbyggjarnamn" (in Norwegian). Språkrådet.
  2. ^ "Forskrift om målvedtak i kommunar og fylkeskommunar" (in Norwegian). Lovdata.no.
  3. ^ Bolstad, Erik; Thorsnæs, Geir, eds. (26 January 2023). "Kommunenummer". Store norske leksikon (in Norwegian). Kunnskapsforlaget.
  4. ^ Statistisk sentralbyrå. "Table: 06913: Population 1 January and population changes during the calendar year (M)" (in Norwegian).
  5. ^ Statistisk sentralbyrå. "09280: Area of land and fresh water (km²) (M)" (in Norwegian).
  6. ^ Jukvam, Dag (1999). "Historisk oversikt over endringer i kommune- og fylkesinndelingen" (PDF) (in Norwegian). Statistisk sentralbyrå.
  7. ^ Rygh, Oluf (1903). Norske gaardnavne: Nordre Trondhjems amt (in Norwegian) (15 ed.). Kristiania, Norge: W. C. Fabritius & sønners bogtrikkeri. p. 273.
  8. ^ "Norsk Lovtidende. 2den Afdeling. 1917. Samling af Love, Resolutioner m.m". Norsk Lovtidend (in Norwegian). Kristiania, Norge: Grøndahl og Søns Boktrykkeri: 1057–1065. 1917.
  9. ^ "Norsk Lovtidende. 2den Afdeling. 1917. Samling af Love, Resolutioner m.m". Norsk Lovtidend (in Norwegian). Oslo, Norway: Grøndahl og Søns Boktrykkeri: 1000. 1917.
  10. ^ Den Nye rettskrivning : regler og ordlister (in Norwegian). Kristiania, Norge: Den Mallingske Boktrykkeri. 1918.
  11. ^ a b Store norske leksikon. "Snåsa" (in Norwegian). Retrieved 5 August 2011.
  12. ^ "Samisk parallellnamn for Snåsa kommune, Nord-Trøndelag" (in Norwegian). LovData.no. 24 September 2010. Retrieved 21 November 2023.
  13. ^ "Stadnamn og rettskriving" (in Norwegian). Kartverket. Retrieved 19 November 2023.
  14. ^ "Civic heraldry of Norway - Norske Kommunevåpen". Heraldry of the World. Retrieved 18 February 2023.
  15. ^ "Snåsa, Nord-Trøndelag (Norway)". Flags of the World. Retrieved 18 February 2023.
  16. ^ "Godkjenning av våpen og flagg". Lovdata.no (in Norwegian). Norges kommunal- og arbeidsdepartementet. 19 August 1994. Retrieved 18 February 2023.
  17. ^ Hansen, Tore, ed. (12 May 2016). "kommunestyre". Store norske leksikon (in Norwegian). Kunnskapsforlaget. Retrieved 1 January 2019.
  18. ^ "Tall for Norge: Kommunestyrevalg 2019 - Trøndelag". Valg Direktoratet. Retrieved 20 October 2019.
  19. ^ a b c d "Table: 04813: Members of the local councils, by party/electoral list at the Municipal Council election (M)" (in Norwegian). Statistics Norway.
  20. ^ "Tall for Norge: Kommunestyrevalg 2011 - Nord-Trøndelag". Valg Direktoratet. Retrieved 20 October 2019.
  21. ^ "Kommunestyrevalget 1995" (PDF) (in Norwegian). Oslo-Kongsvinger: Statistisk sentralbyrå. 1996. Retrieved 2 April 2020.
  22. ^ "Kommunestyrevalget 1991" (PDF) (in Norwegian). Oslo-Kongsvinger: Statistisk sentralbyrå. 1993. Retrieved 2 April 2020.
  23. ^ "Kommunestyrevalget 1987" (PDF) (in Norwegian). Oslo-Kongsvinger: Statistisk sentralbyrå. 1988. Retrieved 2 April 2020.
  24. ^ "Kommunestyrevalget 1983" (PDF) (in Norwegian). Oslo-Kongsvinger: Statistisk sentralbyrå. 1984. Retrieved 2 April 2020.
  25. ^ "Kommunestyrevalget 1979" (PDF) (in Norwegian). Oslo: Statistisk sentralbyrå. 1979. Retrieved 2 April 2020.
  26. ^ "Kommunevalgene 1975" (PDF) (in Norwegian). Oslo: Statistisk sentralbyrå. 1977. Retrieved 2 April 2020.
  27. ^ "Kommunevalgene 1972" (PDF) (in Norwegian). Oslo: Statistisk sentralbyrå. 1973. Retrieved 2 April 2020.
  28. ^ "Kommunevalgene 1967" (PDF) (in Norwegian). Oslo: Statistisk sentralbyrå. 1967. Retrieved 2 April 2020.
  29. ^ "Kommunevalgene 1963" (PDF) (in Norwegian). Oslo: Statistisk sentralbyrå. 1964. Retrieved 2 April 2020.
  30. ^ "Kommunevalgene og Ordførervalgene 1959" (PDF) (in Norwegian). Oslo: Statistisk sentralbyrå. 1960. Retrieved 2 April 2020.
  31. ^ "Kommunevalgene og Ordførervalgene 1955" (PDF) (in Norwegian). Oslo: Statistisk sentralbyrå. 1957. Retrieved 2 April 2020.
  32. ^ "Kommunevalgene og Ordførervalgene 1951" (PDF) (in Norwegian). Oslo: Statistisk sentralbyrå. 1952. Retrieved 2 April 2020.
  33. ^ "Kommunevalgene og Ordførervalgene 1947" (PDF) (in Norwegian). Oslo: Statistisk sentralbyrå. 1948. Retrieved 2 April 2020.
  34. ^ "Kommunevalgene og Ordførervalgene 1945" (PDF) (in Norwegian). Oslo: Statistisk sentralbyrå. 1947. Retrieved 2 April 2020.
  35. ^ "Kommunevalgene og Ordførervalgene 1937" (PDF) (in Norwegian). Oslo: Statistisk sentralbyrå. 1938. Retrieved 2 April 2020.
  36. ^ Sandnes, Jørn (1960). Snåsaboka. 2. Bygdehistorien etter år 1800 (in Norwegian). Snåsa kommune. pp. 116–122, 299–315.
  37. ^ Skar, Hans (1907). Snaasens kulturhistorie til aaret 1907 (in Norwegian). Mallingske bogtrykkeri. pp. 64–82.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