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노우 번팅
Snow bunting스노우 번팅 | |
---|---|
알래스카, 번식 깃털 수컷 | |
과학적 분류 | |
왕국: | 애니멀리아 |
문: | 챠다타 |
클래스: | 아베스 |
주문: | 참새목 |
패밀리: | 칼카리아과 |
속: | 플렉트로페넥스 |
종류: | 니발리스 |
이항명 | |
니발리스속(Plexrophenax nivalis) | |
동의어 | |
|
설상어(Plexrophenax nivalis)는 참새과에 속하는 참새목 새이다.북극 전문가로 북반구 전역에 걸쳐 북극을 순환 번식한다.중앙 스코틀랜드 케언검스 산맥과 남부 알래스카-유콘 국경의 세인트 엘리아스 산맥, 그리고 케이프 브레튼 [2]고원을 포함한 북극 지역 남쪽의 높은 산꼭대기에 작은 고립된 개체군이 있습니다.스노우 번팅은 세계에서 [3]가장 북쪽에 기록된 행인입니다.
특성.
스노우 번팅은 성적으로 이형적인 중간 크기의 참새입니다.[4]이 참새는 걷고, 달리고,[4] 필요할 경우 점프할 수 있는 땅에 사는 종이다.그것은 번팅 치고는 꽤 크고 날개가 길다.몸길이는 15cm이고 날개 길이는 32-38cm(13-15인치)이며 무게는 30-40g이다.[2][4][5]이 지폐는 노란색에 끝이 검은색이며 여름에는 모두 검은색이다.깃털은 하체가 하얗고 날개와 등에는 [4]흑백이 있다.암컷과 수컷은 깃털이 다르다.번식기에 수컷은 날개끝이 검은색이고 등이 검은색인 반면 암컷은 날개끝이 검은색이고 등이 [4]적갈색이다.겨울에는 둘 다 [4]뒷부분이 적갈색입니다.봄철에는 다른 새들처럼 털갈이를 거치지 않고 깃털이 [4]닳고 닳아 번식색이 된다.대부분의 행인들과 달리, 그것은 혹독한 환경에 적응한 깃털을 가지고 있다.일반적인 까마귀를 제외하고는 이 [2][5]종만큼 북쪽에서 겨울을 날 수 있는 행인은 없습니다.
이 종은 깃털의 [4]색깔이 비슷하기 때문에 종종 맥케이 번팅(Plexrophenax highboreus)과 혼동된다.게다가, 이 두 종이 그들 [4]영역의 경계에서 교배할 때, 식별의 어려움은 더 어려워진다.또 다른 비슷한 종은 뿔달팽이 종달새인데, 비록 더 큰 검은 꼬리를 가지고 있고 [6]날개에 더 작은 흰 반점이 있다.
분류법
이전에는 미국 참새, 번팅, 토우히, [4][7]핀치를 포함한 눈덩어리로 분류되었다.이 모든 종들은 최근 지질학적으로 넓은 범위의 참새 [4]방사선을 통해 생겨났다.그러나 지금은 긴주머니쥐과([4]Calcariidae)에 속하며 긴주머니쥐도 포함하고 있다.이 종의 광범위한 분포에도 불구하고 다른 표현형들 사이에는 [4]큰 차이가 없다.
속명 플렉트로페낙스는 고대 그리스 플렉트론(pelectron)과 '닭의 박차'와 '속수'에서 유래했으며, 니발리스(nivalis)는 라틴어로 '백설공주'[8]를 뜻한다.
4종의 아종이 있으며,[2] 수컷의 깃털 모양은 약간 다르다.
- 니발리스(Plexrophenax nivalis) (Linnaeus, 1758) :북극 유럽, 북극 북미.머리는 하얗고 엉덩이는 대부분 검은색이고 흰 부분이 작아요
- Plexrophenax nivalis insulae (Salomonsen, 1931):아이슬란드, 페로 제도, 스코틀랜드머리는 하얗고 칼라는 검고 엉덩이는 검다.
- Plexrophenax nivalis vlasowae (Portenco, 1937):북극 아시아머리는 하얗고 엉덩이는 대부분 하얗죠
- Plexrophenax nivalis townsendi (Ridgway, 1887) :알류샨 열도, 캄차카, 시베리아 동부 해안.블라소웨지만 조금 더 크죠
베링강 맥케이의 번팅과 매우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깃털에 흰색이 더 많이 들어 있는 점이 다릅니다.이 [2][9]둘 사이의 잡종은 알래스카에서 발생하며, 일부 [10]저자들에 의해 특정 종으로 간주되어 왔지만, 그들은 일반적으로 별도의 [11]종으로 취급되고 있다.
이 종은 잡종을 만드는 Lapland Longspur와 짝짓기도 했다.이 잡종의 첫 번째 사진은 2011년 4월 봄철 [12]이동 중에 촬영되었습니다.
서식 및 분포
눈 번팅은 북극 툰드라의 [13]매우 높은 위도에 산다.북쪽 범위에는 뚜렷한 한계가 없는 반면 남쪽 범위는 그들의 번식 [13]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낮 시간에 의해 제한된다.이 종은 북아메리카의 북극 고지대 툰드라, 엘즈미어 섬, 아이슬란드, 스코틀랜드, 노르웨이, 러시아, 북그린란드, 시베리아, 노바야 젬랴,[14][15] 프란츠 요제프랜드에서 발견된다.겨울 동안, 이 새는 캐나다 남부, 미국 북부, 독일 북부, 폴란드, 우크라이나, 그리고 중앙아시아로 [3][5]이동한다.지난 빙하기 동안, 눈 뭉치는 유럽 [16]대륙 전체에 널리 퍼졌다.
번식 기간 동안, 스노우 번팅은 [4]북극의 바위 서식지를 찾습니다.툰드라의 식생은 저성장하기 때문에 이 새와 새들은 포식자에 노출되어 있으며, 그들의 자손의 생존을 보장하기 위해, 새들을 [17]위협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눈 뭉치는 구멍에 둥지를 틀었다.이 기간 동안, 번팅은 또한 습한 초원이나 드리아와 [4]이끼가 풍부한 지역과 같은 식물이 풍부한 서식지를 찾습니다.겨울에는 농장, 척박한 들판, 호수 호숫가 등 개방된 서식지를 [18]찾아다니며 땅에서 씨앗을 먹고 산다.
이행
눈송이는 번식을 위해 북극으로 이동하며 이 지역에 [4]도착하는 첫 번째 이주종이다.이동하기 [4]전에 체중의 30% 이상이 증가해야 합니다.수컷들은 기온이 [4]영하 30도에 이를 수 있는 4월 초에 먼저 도착할 것이다.이 초기 이동은 이 종이 매우 영토적이고 둥지 지역의 품질이 그들의 번식 [4]성공에 매우 중요하다는 사실로 설명될 수 있다.암컷들은 눈이 [4]녹기 시작하는 4주에서 6주 후에 도착합니다.그들은 작은 무리를 지어 이동하는 경향이 있고 적당한 [4]높이에서 물결치는 비행을 한다.
이 참새목 새는 [2][4]북방 온대 지역에서 수백 마리에 이르는 떼를 형성하며 겨울을 난다.그들은 9월 중순과 말에 북극을 떠날 것이지만, 일부는 11월 [4]초에 이동을 시작할 것이다.암컷이 먼저 떠나고 수컷보다 더 많은 남쪽 지역에서 겨울을 나는 경향이 있는 반면, 청소년은 [4]어른보다 더 늦게 북극을 떠난다.
이 새의 이동은 야행성이며, 그들은 번식지와 겨울 [3]영역을 안내하기 위해 지구의 지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다.이동 중 눈 뭉치의 방향은 어떤 유형의 시각적 [19]신호와도 무관하다.또한 적절한 에너지 저장소를 가진 개인만이 마이그레이션 [19]중에 계절에 따라 적절한 방향을 선택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행동
다이어트
가을부터 봄까지 눈송이는 노른자, 누더기, 아마란스, 구스풋, 애스터, 골든로드 등 다양한 잡초를 먹으며 다양한 종류의 [4]풀씨도 먹는다.이 계절에는 [4]눈 속을 찾아다니며 줄기 아래쪽의 씨앗을 모읍니다.여름 동안 그들의 먹이는 크라우베리, 빌베리, 바이스토트, 독, 양귀비, 보라색 색소폰레이지 그리고 나비, 참벌레, 파리, 말벌, [4]거미와 같은 무척추동물의 씨앗을 포함합니다.아기새들은 무척추동물을 [4]먹이로 삼는다.스노우 번팅은 또한 돌멩이를 던져 돌멩이 거미를 먹이로 삼으며 [4]덜 규칙적으로 비행 중인 무척추동물을 잡으려고 할 것이다.
발성
호출음은 특유의 파문성 호루라기 소리이며, per,r,rit과 전형적인 Plexrophenax warble hudidi feet few hudidi feets입니다.
스노우 번팅은 서로 의사소통을 위해 발성을 사용하고 수컷은 [20]암컷을 유혹하기 위해 노래를 부른다.커뮤니케이션 콜은 수컷과 암컷 모두 이루어지며 비행 중이나 지상에서 발신되는 경향이 있는 반면, 수컷은 종종 횃대 위치나 [4]비행 디스플레이에서 노래를 발신한다.수컷은 번식지에 도착하자마자 노래를 시작하고 [4]짝을 찾으면 노래를 멈춘다.연구들은 노래가 나오는 질과 속도가 [21]수컷의 생식 성공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분당 스트로프 수로 측정되는 노래의 속도는 수컷의 먹이찾기 요구에 의해 제한된다. 따라서, 더 자주 노래를 부를 수 있는 수컷은 그가 더 성공적이고 그의 먹이찾기 [21]행동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이 노래는 수컷의 부모 양육 특성을 보여주는 지표가 되는데, 이는 효과적인 먹이찾기 행동을 하는 것이 [21]아기새들의 생존 가능성을 높여주기 때문이다.암컷들은 그들의 노래율에 [21]따라 짝을 고를 것이다.
설원 안에서 남성의 발성은 개인마다 독특하지만,[20] 서로 특정한 음절을 공유한다.각 곡의 독특함은 개인 간의 인식 능력을 드러내고 개인의 피트니스와 생식 [20]성공에 영향을 미친다.이 곡들은 지속시간이 2초이고 주파수는 2~[21]6kHz이다.각각의 노래는 서로 다른 모티브를 번갈아 반복하여 모든 [21]남성들에게 독특한 패턴을 만들어 내는 유사하고 다른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재생산
스노우 번팅은 일부일처제 행동을 하며 수컷이 암컷의 번식 성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22]둥지의 생존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수컷은 암컷이 다른 [22]수컷과 짝짓기를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암컷의 가임기 동안 암컷을 따라다닌다.이 둥지들은 안전을 제공하지만, 눈사태에 다른 문제들을 야기한다. 왜냐하면 바위 균열과 균열에서는 미세 기후가 가혹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종의 잠복 시간은 더 길어질 수 있고 낮은 온도가 [4]태아를 죽일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이 과제를 극복하기 위해 수컷은 암컷에게 먹이를 가져다주며, 이렇게 함으로써 암컷은 둥지 미세기후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조절할 수 있어 부화 성공과 부화 [4]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 참새는 주변 온도가 섭씨 0도 이상이[23] 되면 알을 낳습니다. 알은 청록색이고, 갈색 반점이 있고, 12-13일 후에 부화하며, 어린 것들은 12-14일 [5]후에 이미 날 준비가 되어 있습니다.
구애 행위
눈싸움의 구애행태는 세계 [15]각지에서 다양하다.그린란드에서는 수컷이 자신의 [15]영역을 확보하기 위해 위협적인 행동을 할 것이다.이 디스플레이는 매우 큰 소리로 구성되며, 수컷이 고개를 숙이고 완전히 방향을 돌려 새로 [15]온 사람을 향합니다.수컷은 암컷을 유인하기 위한 의례적인 비행도 할 것입니다. 암컷은 30~50피트 높이에 도달한 후 활공하고, 매우 큰 소리로 노래를 부르고, 그리고 나서 쭈그리고 앉은 [15]자세로 노래를 계속합니다.
기후 변화가 눈더미에 미치는 영향
몇몇 지표들은 기후 변화가 잠재적으로 눈보라 [23]개체군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북극 진동 지수(AO)는 생태학적 과정을 예측하는 [23]데 도움이 되는 지역 기후 지수이다.북극에서는 AO지수가 양수일 때 겨울 기온과 강수량이 더 높고, 더 일찍 따뜻한 봄이 있으며, 여름에는 흐리고 습하며 기온이 더 [23]낮습니다.보통 AO지수는 양의 국면에서 음의 국면으로 변동하는 경향이 있지만, 지난 40년간 AO지수는 양의 [23]국면을 유지해왔다.연구에 따르면 따뜻한 샘이 눈 속에서 먹이 공급원과 일치하지 않는 조기 번식 행동을 일으켜 부화 [23]성공률을 낮춘다고 한다.더 나아가, 기온이 높을수록 북극에 [23]눈 번팅과 경쟁할 다른 종들을 불러올 것이고, 또한 온도가 높을수록 눈 [23]번팅 종에서 두 번째 알이 더 잘 생존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갤러리
John Gerrard Keulemans, 1905년, 성인 및 청소년 눈의 번팅 그림.
눈송이의 알 MHNT
레퍼런스
- ^ BirdLife International (2016). "Plectrophenax nivalis".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2016: e.T22721043A89345729. doi:10.2305/IUCN.UK.2016-3.RLTS.T22721043A89345729.en. Retrieved 12 November 2021.
- ^ a b c d e f Byers, C., Olsson, U. 및 Curson, J.(1995).번팅과 참새.Pica 프레스 ISBN 1-873403-19-4.
- ^ a b c R Sandberg; J Pettersson (1996). "Magnetic orientation of snow buntings (Plectrophenax nivalis), a species breeding in the high Arctic: passage migration through temperate-zone areas". Journal of Experimental Biology. 199 (9): 1899–1905. Retrieved 2015-10-10.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aa ab ac ad ae af ag "Snow Bunting". The Birds of North America Online. Retrieved 2015-10-10.
- ^ a b c d 스노우, D.W. & Perrins, C. M. (1998년)The Birds of the Western Paleacctic 간결판.OUP ISBN 0-19-854099-X.
- ^ "All About Birds". The Cornell Lab of Ornithology. Retrieved 14 October 2015.
- ^ "Interagency Taxonomic Information System (ITIS)".
- ^ Jobling, James A. (2010). The Helm Dictionary of Scientific Bird Names. London, United Kingdom: Christopher Helm. pp. 273, 310. ISBN 978-1-4081-2501-4.
- ^ Sibley, D. (2000)시블리가이드 투 버드전국오듀본학회 ISBN 0-679-45122-6
- ^ Voous, K (1977). "List of Recent Holarctic Bird Species, part III". Ibis. 119 (3): 376–406. doi:10.1111/j.1474-919x.1977.tb08262.x.
- ^ 미국 조류학자 연합: 북미 조류 목록.
- ^ Macdonald, Christie; Martin, T; Ludkin, R; Hussell, D; Lamble, D & Love, O (2012). "First Report of a Snow Bunting x Lapland Longspur Hybrid". Arctic. 65 (3): 344–348. doi:10.14430/arctic4222. JSTOR 4175894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February 2014. Retrieved 27 January 2014.
- ^ a b Ryzhanovsky, V N (2015). "Comparative ecology of horned lark Eremophila alpestris flava Gm. and snow bunting Plectrophenax nivalis L. in subarctic and arctic zones". Contemporary Problems of Ecology. 8 (3): 309–316. doi:10.1134/S1995425515030117. S2CID 36874349.
- ^ Snow D, Perrins C, Gillmor R (1998). The birds of the western Palearctic. Oxford University Press.
- ^ a b c d e Nethersole-Thompson, Desmond (1993). The Snow Bunting. Peregrine Books.
- ^ Tomek, T.; Bocheński, Z. (2005). "Weichselian and Holocene bird remains from Komarowa Cave, Central Poland". Acta Zoologica Cracoviensia. 48A (1–2): 43–65. doi:10.3409/173491505783995743.
- ^ Hoset K, Wedege M, Moksnes A (2009). "The effects of male mating behaviour and food provisioning on breeding success in snow buntings Plectrophenax nivalis in the high Arctic". Polar Biology. 32 (11): 1649–1656. doi:10.1007/s00300-009-0664-8. S2CID 44053331.
- ^ Smith RD, Metcalfe NB (1994). "Age, sex and prior site experience have independent effects on the foraging success of wintering snow buntings". Behaviour. 129 (1–2): 99–111. doi:10.1163/156853994X00370.
- ^ a b Sandberg R, Baeckman J, Ottosson U (1998). "Orientation of snow buntings (Plectrophenax nivalis) close to the magnetic north pole". Journal of Experimental Biology. 201 (Pt 12): 1859–70. PMID 9600868.
- ^ a b c Baldo S, Mennill D, Grant GilchrisT G, Love O (2014). "Snow buntings sing individually distinctive songs and show inter-annual variation in song structure". The Wilson Journal of Ornithology. 126 (2): 333–338. doi:10.1676/13-157.1. S2CID 49233977.
- ^ a b c d e f Hofstad E, Espmark Y, Moksnes A, Haugan T, Ingebrigtsen M (2002). "The relationship between song performance and male quality in snow buntings (Plectrophenax nivalis)". Canadian Journal of Zoology. 80 (3): 524–531. doi:10.1139/z02-033.
- ^ a b Lyon B, Montgomerie R, Hamilton L (1987). "Male parental care and monogamy in snow buntings". Behavioral Ecology and Sociobiology. 20 (5): 377–382. doi:10.1007/BF00300684. S2CID 4195499.
- ^ a b c d e f g h Fossøy F, Stokke B, Kåsi T, Dyrset K, Espmark Y, Hoset K, Wedege M, Moksnes A (2015). "Reproductive success is strongly related to local and regional climate in the Arctic snow bunting (Plectrophenax nivalis)". Polar Biology. 38 (3): 393–400. doi:10.1007/s00300-014-1595-6. S2CID 14818041.
외부 링크
- 스노우 번팅 종계정 - 코넬 조류학 연구소
- 스노우 번팅 - Plexrophenax nivalis - USGS Patuxent Bird Identification InfoCenter
- 스탬프(세계 범위 지도 포함)는 bird-stamps.org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Snow Bunting media". Internet Bird Collection.
- 비레오(드렉셀대) 스노우번팅 사진 갤러리
- 스노우 번팅 이미지 - ARKive
- IUCN Red List 지도의 Plexrophenax nivalis 대화형 범위 지도
- 북미의 새 온라인
- 오듀본 북미 조류 안내서
- 버드 웹: 스노우 번팅
- 야생 조류 서식지 스토어